최근 수정 시각 : 2024-10-22 10:59:24

직지심체요절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120deg, #fff 5%, #000 5%, #000 9%, #fff 9%, #fff 10%, #000 10%, #000 14%, #fff 14%, #fff 15%, #000 15%, #000 19%, #fff 19%, #fff 81%, #cd313a 81%, #cd313a 90%, #0047a0 90%)"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fff>
파일: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로고.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훈민정음(해례본)』

『조선왕조실록』
[朝鮮王朝實錄
]

『불조직지심체요절』 하권-
佛祖直指心體要節 (下卷)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고려대장경판 및 제경판
(高麗大藏經板-諸經板)

조선왕조 『의궤(儀軌)』

『동의보감(東醫寶鑑)』

1980년 인권기록유산
5·18 광주 민주화운동 기록물

『일성록(日省錄)』

『난중일기(亂中日記)』:
이순신 장군의 진중일기(陣中日記)

새마을운동 기록물

KBS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기록물

한국의 유교책판

조선통신사에 관한 기록 –
17세기~19세기 한일 간 평화구축과
문화교류의 역사

조선왕실 어보와 어책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4.19혁명 기록물

동학농민혁명기록물
}}}}}}}}} ||

파일: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로고.svg 세계기록유산
Memory of the World
<colbgcolor=#F39100> 『불조직지심체요절』 하권-
佛祖直指心體要節 (下卷)

The second volume of
"Anthology of Great Buddhist Priests' Zen Teachings"

Second volume de
l'"Anthologie des enseignements zen des grands prêtres bouddhistes"
<colcolor=#fff> 국가 <colbgcolor=#fff,#1f2023>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충청북도 청주시
위치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파리
제출자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제출년도 2000년
등록년도 2001년[1]
링크 유네스코 공식 홈페이지
파일:jikjiha-1.png
직지심체요절 권하 1면 출처
1. 개요2. 역사3. 형태 및 내용4. 목차5. 의의6. 기타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직지심체요절(直指心體要節)은 고려 시대 청주목(淸州牧)에 있었던 사찰 흥덕사(興德寺)에서 만들어진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활자본으로 인쇄된 불교 요절(要節)이다.

직지심체요절의 정확한 이름은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이다. 제목을 풀이하면 백운[2]이라는 고승(화상)이 간추린(초록) 부처님(불조)의 깨달음(직지심체[3])을 요약한 책(요절)이라는 뜻이다. 이름이 길기 때문에 세간에서는 '직지' 또는 '직지심체요절'로 축약해서 부르는 경우가 많다. 일부에서는 '직지심경'으로 부르기도 하나, 직지는 불경이 아닌 요절이므로 엄밀히 '직지심경'은 잘못된 표현이다.

2. 역사

1377년(우왕 3년), 고려 청주 흥덕사에서 고승이었던 백운 경한이 쓴 책을 금속활자로 뜬 것이다. 이 경전은 학승들이 대교과(大敎科)를 마치고, 수의과(隨意科, 현재의 대학원 혹은 사회 학습)에서 공부하는 데 사용되는 학습서 역할을 했다. 그 후 행방은 알 수가 없다가 구한말에 다시금 모습을 드러냈다.

구한말 당시 주한프랑스공사이자 고서적 수집광이기도 했던 빅토르 콜랭 드 플랑시(Collin de Plancy)가 수집한 고물품들 중에 직지심체요절이 포함되어 있었다.

파일:Courant_-_Souvenir_de_Séoul,_Corée-03a.jpg
빅토르 콜랭 드의 이름은 한자로갈림덕(葛林德)이라고 한다. 아마도 '콜랭 드'를 한자로 적은 것 같다. 때문에 직지의 첫 페이지에는 갈('')이라는 글자가 붙어있다.

이후 1911년, 앙리 베베르라는 사람이 재구입하여 소장하고 있다가 베베르가 사망한 뒤 그의 유언에 따라 1950년 프랑스 국립도서관으로 보내졌다. 1900년 파리 엑스포 한국관에 소개되기도 했으나 당시에는 서양 중심의 세계관은 접어두더라도 오리엔트(근동) 지역에서 워낙 유물 유입이 빈번해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런데 외규장각 도서와 함께 알려졌기 때문에 직지심체요절까지 병인양요프랑스군에 약탈당한 것으로 오해하는 이들이 많다. 하지만 직지심체요절은 외규장각에 있지도 않았다. 외규장각과 직지심체요절이 프랑스로 가게 된 바에는 하등 관계가 없다. 9급 공무원 시험과 한국사능력검정시험에서도 이 점을 노리고 문제가 출제된 바 있다. 둘 다 약탈과 관련된 문항을 고르면 틀리는 함정문제였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 인쇄물이라는 사실도 1972년, 박병선 박사에게서 밝혀졌다. 발견 당시 학계에서는 직지가 요하네스 구텐베르크성서보다 더 오래된 금속활자본이라는 말을 믿지 않고 무시했기 때문에, 결국 박병선 박사는 혼자서 연구를 시작했고, 한국 학자들의 도움을 받아 기어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임을 입증해냈다. 이로써 그녀는 \'직지대모'로 불리게 됐다.

상기의 내용이 그간 알려진 사실이었으나, 조선일보에서 이것이 부풀려졌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프랑수아 미테랑 프랑스 대통령김영삼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직지 및 외규장각 의궤를 포함한 고서적들을 반환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로 약속한 것은 사실이며, 실제로 의궤는 반환받았지만, 직지는 반환받는 데 실패했는데, 프랑스 국립도서관 사서들이 주도한 직지 반환 반대 시위 등으로 인해 어쩔 수 없었다고 했다. 반출 경위가 약탈이 아닌 구입이었기에 명분도 부족하다.

3. 형태 및 내용

직지심체요절은 고려의 승려 백운경안 화상이 중국에서 가져온 요절을 재구성하여 엮은 책으로, 여러 선종 조사들의 어록과 게송이 주된 내용이다. 때문에 영어로는 'anthology'로 번역됐다.

이 책은 '무심선(無心禪)'이라는 특유의 선 수행법을 가르치고 있다. 이 방법은 무심무념으로 있으면서, 사람이 저마다 지니고 있는 깨달음(불성)이 자연스럽게 깨어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백운경한은 현대 한국 불교에서 주력으로 삼는 의심 기반의 간화선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무(無)’·‘만법귀일(萬法歸一)’·‘부모미생전본래면목(父母未生前本來面目)’ 등의 화두를 유용하다고 보았다. 그런데 마지막에는 화두마저도 버릴 것을 권하고 있다. 이는 당나라 시대의 선풍을 되돌리기 위했던 백운의 노력인 것으로 풀이된다.

직지는 각 상권, 하권의 2권으로 나뉘어 있는데, 현재 프랑스에 있는 원본은 하권에 해당하며, 상권은 한때 현상금까지 내걸고 찾았지만 아직까지도 발견되지 않았다. 단, 이는 최초본의 상권 책 실물이 실종되었다는 뜻으로, '직지'라는 책의 텍스트 자체는 인쇄물의 특성상 오늘날에도 잘 남아 있다. 후에 간행된 목판본 직지는 완본이 제대로 남아 있기 때문에 청주고인쇄박물관의 주도 아래에 그 내용을 바탕으로 금속활자본 직지 하권의 글자체와 판형을 본떠서 2015년 상권 내용의 디지털 복원이 이루어졌고,# 복원된 상권을 보면 권말의 출간 연도도 二千十五年(2015년) 을미년 12월로 인쇄되어 있다. 후에 실물활자를 전통방식 그대로 다시 만들어 상권을 복원할 계획이다.

인쇄 상태는 일반인이 보기에도 그다지 좋다고 보기는 어렵다. 우선 직지를 찍어낸 활자는 주조를 제대로 하지 못하여 글자획의 굵기와 가늘기가 일정하지 않고, 어떤 글자는 기울어져 있고, 각 열이 곧지 못하고, 삐뚤빼뚤하고, 어떤 글자는 희미한 데다가, 획수의 일부가 제대로 찍히지 않았으며, 어떤 데는 윗열의 글자와 아랫열의 글자의 획이 맞물려 있는 등 조잡한 오류가 많다. 이는 관청에서 제대로 된 거푸집을 사용해서 주조한 게 아니라, 민간 사찰에서 밀랍을 이용해 주조했기 때문이다. (박문열,『고인쇄출판문화사론』, 피아이, 1999. 참조)[4]

잘 알려지지는 않았으나 이 문헌에도 일부 면에 구결이 기입되어 있다. 여말선초 음독구결의 전반적인 특징을 따라가고 있다.# 구결 기입 면은 약 3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언어적 특징이 약간 차이를 보여 각 부분 모두 다른 사람이 구결을 기입했을 것으로 추정된다(김두찬 1987:145-148).[5]

4. 목차

과거 7불(佛) 7장, 서천(西天)의 조사(祖師) 27장, 중국의 조사 138장(총 172장)으로 구성되어있다. 하권은 중국의 조사 중 1명인 대주 혜해(大珠慧海)부터 시작한다.

5. 의의

직지심체요절은 공식적으로 현존하는 세계 최고(最古)금속활자본으로 알려져있다. 2010년대에 발견된 활자 증도가자가 직지보다 138년 앞선 1239년의 유물로 더 앞선 시대의 금속활자 인쇄의 증거라는 주장이 제기되어 2015년은 논란이 일기도 했으나, 검사 결과로 증도가자는 위작으로 밝혀졌다. 또다른 세계 최고(最古) 타이틀로 알려진 문화재인 무구정광대다라니경과도 헷갈리기도 하나 이것은 금속으로 만든 금속활자가 아닌, 나무로 만든 활자로 인쇄한 것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목활자 기술이 금속활자보다 더 먼저 출현하기 마련이므로 시대는 그 쪽이 직지보다 500여 년 앞섰다.

현재 남아 있는 본은 1372년 제작이 시작되어 1377년에 간행되었다. 이는 요하네스 구텐베르크가 간행한 금속활자본 성경보다 78년 더 앞섰다. 기록에 따르면 직지 전인 1234년 인종 시기의 '고금상정예문(상정고금예문)', 1239년(고종 26년) 고종 시기의 '남명천화상송증도가' 같은 금속활자 인쇄물이 존재했던 것으로 보이나, 소실되어 현대에 전해지지 않기에 인류에게 남아있는 것 중에서는 가장 오래된 것이 이 직지이다. 당시 고려의 발달했던 인쇄문화를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유산 중 하나이다.

현재 남아 있는 남명천화상송증도가는 후대에 목판으로 재간행된 목판본으로 알려져 있으나 남명천화상송증도가 공인본(보물 제758-2호)이 금속활자로 인쇄된 것으로 판명되어 달라질 수 있다.# 2015년 진위논란이 일었던 증도가자는 '활자'고, 이 남명천화상송증도가는 적어도 과거에는 실제로 존재했을 그 금속활자로 인쇄한 '문서'이므로 증도가자 유물의 진위 논란과 직접적 관련은 없다. 이 문서는 일단 최소한 가짜는 아니고 이미 심사를 거쳐 대한민국의 보물 758호로 지정되어 있다. 다만 기존에는 목판본으로서 보물로 지정되어 있었는데 직지보다 앞선 금속활자본으로 결론날 경우는 그 가치가 더욱 올라갈 것으로 보인다.

고려시대의 금속활자는 당대 동아시아의 전반적인 한계로 유럽과는 달리 폭발적인 사회 변혁을 일으키지는 못했다. 금속활자 문서의 해당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기타

  • 앞서 직지를 펴낸 것으로 언급한 흥덕사는 오늘날에는 폐사되었다. 청주시 흥덕구 운천동 흥덕사지로서, 옆에 고인쇄박물관이 있다. 청주시의 일반구 흥덕구의 어원이기도 하다.
  • 충청북도 청주시에 가면 '직지'라는 글자가 시내 이곳저곳에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버스정류장이나 전봇대마다 'JIKJI'를 써놨다. 구 이름 중 하나도 직지를 만든 흥덕사에서 이름을 따 흥덕구이고, 흥덕사지 부근 청주시 주요도로 이름도 직지대로이다. 가로수길 타고 가경동으로 들어오면 '직지의 고장 청주'라는 비석이 있으며 청주IC에도 광고판에 같은 내용이 써져 있다. 청주농협에선 직지빵도 판다.
  •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보관된 한국 고서적 중에는 직지심체요절보다 약간 먼저 제작된 책도 있다. '육조대사법보단경(六祖大師法寶檀經)'이라는 책으로 직지심체요절보다 약 7년 앞선 1370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되기도 했다. 이 책은 목판본이다.
  • 직지심체요절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기념하고 세계기록유산 사업을 진흥하고자 '유네스코 직지상'(UNESCO/Jikji Memory of the World Prize)이 2004년 제정되었다. 2005년부터 2년마다 세계기록유산 보존·활용에 공헌한 개인에게/단체에 시상하며, 상금과 비용은 청주시에서 부담한다.##
  •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본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됐지만 사실 문헌 자체가 큰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은 아니다. 고려 금속활자중 최초로 찍어낸 책인 것도 아니고 남아 있는 책들 중 오래된 것일 뿐이다. 기록상으로 고려 내에도 금속활자로 펴낸 책이 여럿 존재한다.
  • 중국에서는 어떻게 해서든 '직지심체요절' 이전의 금속활자본을 찾으려 눈에 불을 켜고 있다. 하지만 문화대혁명으로 수많은 유물들이 방화되거나 소실된 탓에 고려보다 더 빨리 금속활자를 제작했다는 증거를 아직 찾지 못한다. 1103년은 발행된 '불설관무량수불경'(佛說觀無量壽佛經)을 금속활자본으로 주장했으나 금속활자는 아니라 찰흙활자가 사용된 것으로 드러났다. 이후 1341∼1345년 사이에 인쇄된 어시책(御試策)이 금속활자본이라 주장했으나 일본 정가당(靜嘉堂) 문고에 소장된 어시책의 원본을 확인한 결과는 1341년은 편찬된 목판본으로 확인됐다.
  • 1999년 KBS 골든벨 강릉고 편에서 이 답이 골든벨 문제에서 출제되었다.
  • 사이버 외교 사절단 반크는 현존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 인쇄본 직지심체요절(직지)의 역사적 가치를 세계에 알리는 캠페인을 전개하는 동시에 또한, 이를 계기로 전 세계 많은 국가에서 직지의 가치를 기려 9월 4일을 직지의 날로 제정할 수 있도록 요청하는 글로벌 청원도 제기했다.#
  • 제58장에는 중국 당나라 시대의 문인 백거이도 잠깐 언급된다. 백거이는 불교와 무관한 인물이지만 동시기의 스님 흥선 유관(755-817)과의 대화가 실려 있다.
    惟寬和尙、因白居易問。

    旣無分別、何以修心師云心本無損傷、云何要修理?無論垢與淨一切勿起念。

    又問。垢則不可念淨無念可乎?

    師曰。如人眠睛上、一物不可住金屑雖珍寶、在眼亦爲病。

    又問。

    無修無念、又何異凡夫?

    師曰。凡夫無明、二乘執着、離此二病、是爲眞修。眞修者、不得勤不得忘、勤則近執着、忘則落於無明。此爲心要。



    백거이(白居易)가 유관(惟寬) 화상에게 물었다.

    “분별이 없으면 어떻게 마음을 닦습니까?”

    유관 화상이 대답하였다.

    “마음은 본래부터 손상된 바가 없는데 닦을 필요가 어디 있겠소? 더럽다, 깨끗하다 따지지 말고 아무 생각도 일으키지 마시오.”

    “더러움이야 생각하지 않을 수 있겠지만 깨끗함을 어찌 생각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사람의 눈동자에는 한 가지 물건도 머물 수 없으니 아무리 귀한 금가루라도 눈에 들어가면 병이 생기게 되는 것과 같소.”

    백거이가 다시 물었다.

    “닦지도 않고 생각하지도 않으면 이 또한 범부와 무엇이 다릅니까?”

    “범부는 무명이고, 이승(二乘)은 집착이니, 이 두 가지 병을 떠나야만 참된 닦음이 된다오. 참된 닦음이란 부지런히 하지도 말고 잊지도 말아야 하는 것이니, 부지런하면 집착에 가까워지고, 잊으면 무명에 떨어지게 되는 것이오. 이것이 심요(心要)라오.”



    (동국역경원의 번역서 123쪽)

7. 관련 문서


[1] 9월 4일에 등재되어 대한민국의 법정기념일, 지식재산의 날로 지정된 날이기도 하다. (지식재산기본법 제29조의2 제1항 의거).[2] 본명은 '경한'(景閑, 1298/1299-1374)으로 고려 후기의 승려였다. 현 정읍시 출신이며 전라북도 장수군 신광사(神光寺), 경기도 장단군 흥성사(興聖寺)의 주지였다.#[3] ‘직지심체(直指心體)’는 ‘직지인심견성성불(直指人心見性成佛)’이라는 오도(悟道)의 명구에서 따온 것이다. 그 뜻은 사람이 마음을 바르게 깨달을 때 그 심성이 바로 부처의 실체라는 것이다. 민족문화대백과사전[4] 사실 한반도의 고문헌이 유독 국가 편찬이 많아서 인쇄 품질이 좋은 편이다.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민간에서 찍은 책이 많아서 도서의 수는 한반도보다 많지만 그런 만큼 인쇄 품질은 낮은 편이었다.[5] 김두찬(1987), 직지심체요절의 구결에 대하여, "국어학" 16, 125-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