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중해의 섬들에 서식했던 난쟁이코끼리 (Dwarf elephant, Palaeoloxodon falconeri). 위 사진의 코끼리 수컷과 암컷 한쌍 및 중앙의 새끼 코끼리(두개골)는 몰타에 서식했던 개체들이다. 기원전에는 개체수가 여럿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후 멸종되었다. |
용각류 공룡 에우로파사우루스 홀게리(Europasaurus holgeri) |
[clearfix]
1. 개요
Insular dwarfism같은 생물 종임에도 대륙에서 사는 개체보다 섬에서 사는 개체의 크기가 작아지는 현상. 공간과 먹이가 한정된 탓에 여기에 적응하고자 몸집이 작아지는 것으로 추정한다.
2. 상세
반대현상인 섬 거대화(Island gigantism)도 존재하며 이는 주로 조류, 파충류, 곤충 및 절지동물에게서 나타난다. 대표적인 예가 도도와 솔리테어.섬 거대화와 마찬가지로 이 증상을 보이는 동물들은 대체로 오늘날까지 살아남은 경우가 극히 드물다. 섬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만 살다 보니 대륙에서 살던 동물이 유입되기라도 하면 경쟁에 취약하기 때문이며 설령 살아남았어도 인류에게 멸종하는 일이 많았다.
섬 거대화와 함께 진화론을 뒷받침하는 현상이다.
대형 포유류는 섬 왜소화를 겪는 경향이 있다. 물론 반대로 소형 포유류는 섬 거대화를 겪는다.(ex> 지중해의 난쟁이코끼리와 거대겨울잠쥐) 조류도 역으로 섬 거대화를 겪는다.(ex>하스트수리, 모아)
3. 섬 왜소화의 예시
멸종한 종은 † 기입.- 갈라파고스펭귄[1]
- 나노카멜레온(Brookesia nana)[2]
- †니폰노사우루스[3]
- †지중해의 난쟁이 코끼리[4][5]
- 보르네오코끼리
- †지중해와 마다가스카르의 난쟁이하마
- †브랑겔 섬의 털매머드
- †보나티탄, 야마나사우루스, 아라카르, 네우켄사우루스[6]
- †마기아로사우루스, 팔루디티탄을 비롯한 루마니아의 하체그 분지에서 발견된 대부분의 공룡들[7][8]
- †에우로파사우루스
- 야쿠시마의 일본원숭이[9]
- †발리호랑이
- †자바호랑이
- 수마트라호랑이
- 민도로물소
- †스테고돈 트리고노세팔루스 프로렌시스/솜포엔시스
- †스트루티오사우루스[10]
- †일본늑대
- 수마트라승냥이
- 잔지바르표범
- †캐리비안땅늘보과(Megalocnidae)
- 코모도왕도마뱀[11]
- †피로랍토르
- †플로레스인
- †하와이따오기(Apteribis)
[1] 가까운 친척인 훔볼트펭귄에게서 분화된 종으로, 특이하게도 조류지만 섬 왜소화가 일어났다.[2] 마다가스카르에 서식하는 세상에서 가장 작은 카멜레온. #[3] 백악기 후기 당시 러시아 사할린 섬에서 서식하던 람베오사우루스아과의 하드로사우루스류 공룡으로 북아메리카에서 발견된 람베오사우루스, 히파크로사우루스, 코리토사우루스, 파라사우롤로푸스, 마그나파울리아나 러시아 본토 지역에서 발견된 올로로티탄과 아무로사우루스 등 다른 대륙 지역에서 살던 람베오사우루스아과 공룡들에 비해 크기가 작았다. 다만 이 공룡이 단순한 섬 왜소화가 아니라 아성체 새끼공룡일 것이라는 연구결과도 있는데 자세한 건 문서 참조.[4] 새끼는 수리에게 채여갈 정도로 작았다고 한다. 이 모습을 본 고대인들이 코끼리를 새끼의 먹이로 주는 로크에 대한 전설을 만들었다는 얘기가 있다.[5] 이 코끼리의 두개골은 키클롭스의 모티브가 되었다는 이야기도 있다.[6] 백악기 남미 대륙에서 살던 티타노사우루스류 용각류로 이 네 공룡이 서식하던 남미 대륙은 북미 대륙과 단절된 섬 지형이었다. 크기는 지금의 가축 소나 당나귀 정도 크기로 작았다. 물론 예외도 있어서 백악기 당시 같은 남미 대륙에서 살던 티타노사우루스류 용각류인 살타사우루스와 아르겐티노사우루스, 후탈롱코사우루스, 펠레그레니사우루스는 오히려 섬 왜소화가 아니라 섬 거대화 현상을 겪었거나 현생 아시아코끼리나 기린 크기 정도로 이들보다 조금 더 컸다. 물론 말이 섬이지 실제로는 당시 남아메리카도 대륙이었다.[7] 백악기 당시에는 섬이었다. 그 때문에 대부분의 공룡들이 크기가 작았고, 대표적으로 그곳에 서식하던 용각류 종류인 마기아로사우루스는 6m 남짓한 길이에 1t 정도 무게로 백악기 후기 다른 지역에서 서식하던 알라모사우루스(북아메리카)나 살타사우루스(남아메리카), 푸에르타사우루스(남아메리카), 라페토사우루스(마다가스카르), 오피스토코엘리카우디아(몽골) 등 다른 티타노사우루스류 용각류들에 비해 굉장히 왜소한 크기다.[8] 그런데 당시 같은 유럽 지역에 서식하던(오늘날의 프랑스 남서부 지역) 같은 티타노사우루스류 용각류 공룡인 암펠로사우루스는 마기아로사우루스와는 달리 섬 왜소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또한 같은 섬에서도 조각류인 라브도돈과 조류인 발라우르는 특이하게 섬 왜소화가 아니라 섬 거대화가 일어났다. 또한 날아다녀서 자유롭게 섬과 섬들을 왕래가 가능했던 익룡 역시 섬 왜소화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심지어 루마니아에서 발견된 익룡 하체고프테릭스는 날개 폭이 가장 거대한 익룡 중 하나였다.[9] 일본 열도 본토에서 서식하는 일본원숭이들보다 더 왜소하며 아종이 다르다.[10] 백악기 후기 유럽 일대에서 서식하던 곡룡류의 무리로, 백악기 후기 당시 안킬로사우루스나 덴버사우루스 등 미국, 캐나다 등 북아메리카 지역에서 살던 곡룡류 공룡들보다 몸집이 작았다.[11] 과거에는 섬 거대화의 예시로 생각되었으나, 플라이스토세 호주와 티모르의 거대한 코모도왕도마뱀 화석들이 발견되면서 오히려 섬 왜소화를 겪었다는 것이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