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21 04:16:49

성남이천로

성남~장호원간 도로에서 넘어옴
둘러보기 틀 보기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55b7><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55b7>
파일:성남시 CI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colbgcolor=#fff,#191919> 갈마치로 · 갈현로 · 공원로 · 광명로 · 금빛로 · 금상로
남한산성로
도촌남로 · 도촌로 · 도촌북로 · 돌마로
마지로
박석로 · 보통골로 · 분당수서로
사기막골로 · 성남이천로 · 순암로 · 순환로 · 시민로 · 신이배재로
양현로 · 여수공원로 · 여수울로 · 연꽃로 · 원터로 · 은이로 · 은행로 · 이배재로
자혜로 · 제일로
탄천로
황송로 · 희망로
경기도의 도로 틀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aa51><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aa51>
파일:광주시 CI_White.svg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colbgcolor=#00aa51> <colbgcolor=#fff,#191919> 경안로 · 경안천로 · 고불로 · 곤지암로 · 곤지암천로 · 광남안로 · 광동로 · 광여로 · 광주역로 · 국사봉로
남한산성로 · 노곡로 · 능평로
다람로 · 도척로 · 도척윗로
마도로 · 만삼로 · 만선로 · 무들로 · 문현로 · 문화로
벼루개로
산수로 · 성남이천로 · 송정로 · 순암로 · 신만로 · 신이배재로 · 신현로
양벌로 · 역동로 · 오포로 · 오포안로 · 왕림로 · 이배재로
정영로 · 중앙로 · 지월로 · 직동로
천진암로 · 청석로
태봉로 · 태성로 · 태재로 · 태전동로 · 태전로 · 태전중앙로 · 태중로 · 태허정로 · 통미로
파발로 · 포돌이로
해공로 · 행정타운로 · 현산로
경기도의 도로 틀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5098><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5098>
파일:이천시 CI_White.svg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colbgcolor=#005098> <colbgcolor=#ffffff,#191919> 가좌로 · 갈산로 · 고당로 · 고월로 · 공원로 · 관고재로 · 관진로 · 구만리로 · 군들로 · 금율로
나래천로 · 남천로 · 노성로
다솔로 · 단월로 · 대덕산로 · 대산로 · 대월로 · 대장로 · 대죽로 · 대평로 · 덕이로 · 덕평로 · 동산로 · 두무재로 · 둔터로
마국산로 · 마도로 · 매양로 · 무촌로
복숭아로 · 부발중앙로 · 부흥로
사동로 · 사실로 · 사음로 · 샘재로 · 서이천로 · 서희로 · 설가로 · 설봉로 · 설성로 · 설장로 · 성남이천로 · 성주로 · 송갈로 · 신대동로 · 신아로 · 신암로 · 신원로 · 신추로
아리역로 · 안평로 · 안흥로 · 애련정로 · 양녕로 · 양진로 · 어재연로 · 억만리로 · 어농로 · 어석로 · 영창로 · 오천로 · 원설로 · 원적로 · 이섭대천로 · 이여로 · 이장로 · 이풍로 · 일생로 · 임오산로
자석로 · 작촌로 · 장감로 · 장여로 · 장자터로 · 장터로 · 주래본죽로 · 죽당로 · 중리천로 · 증신로 · 지산로 · 지읍로 · 진상미로
청강가창로 · 청백리로
프리미엄아울렛로
향교로 · 현방로 · 황무로
경기도의 도로 틀 둘러보기 }}}}}}}}}

성남이천로
城南利川路/ Seongnamicheon-ro
{{{#!wiki style="margin: -16px -11px"← 여수대로 (서) }}}
남해 방면
경충대로
철원 방면
성남대로
노선 번호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3)] 3번 국도
기점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 성남시청교차로
종점
경기도 이천시 부발읍 응암IC
연장
47.30km
개통
2012. 09. 28. 섬말IC - 직동IC
2013. 04. 30. 태전JC - 쌍동JC
2015. 04. 23. 대원IC - 섬말IC
2016. 11. 11. 쌍동JC - 초월IC
2017. 01. 25. 백사IC - 부발IC
2017. 09. 08. 성남시청교차로 일부 - 대원IC
2017. 12. 31. 초월IC - 백사IC, 부발IC - 응암IC
2018. 01. 성남시청교차로 완전 개통
2025. 01. 01. 광남IC
2025. (예정) 동이천IC
2028. 05. (예정) 응암IC - 풍토IC
관리
서울지방국토관리청[1]
성남시[2], 광주시[3]
왕복 차로 수
4차로 부발IC - 응암IC
6차로 성남시청교차로 - 부발IC
주요 경유지
성남시청교차로쌍동JC초월IC부발IC응암IC
1. 개요2. 구간3. 특징
3.1. 제 1, 2공구(성남 ~ 초월IC 구간)3.2. 제 3, 4, 5공구(초월IC ~ 이천 부발 구간)3.3. 제 6공구(이천 부발 ~ 장호원 구간)
4. 주행 영상

[clearfix]

1. 개요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 성남시청교차로에서 출발해 이천시 부발읍 응암리 응암IC를 잇는 총연장 47.3km의 도로. 전 구간이 3번 국도로 지정돼 있다.

2. 구간

  • 총 47.27km의 구간이 개통, 제 6공구 구간은 시공중
제 1공구 제 2공구 제 3공구 제 4공구 제 5공구 제 6공구
여수동 10.9km
개통
태전동 6.3km
개통
초월읍 7.72km
개통
곤지암읍 10.15km
개통
백사면 12.2km
개통
부발읍 15.2 km
일부 시공중
장호원읍
여수대로 직결 (고등동,
110
여수대로IC 방면)
성남대로
용인, 분당, 야탑역 방면
↙↗
↘↖
<colbgcolor=#00ccff> 1 성남시청교차로
여수지하차도
↘↖
↙↗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3)] 성남대로
서울, 위례, 모란역 방면
여수터널
경충대로 광주 방면 진출입 불가 ↙↗
↘↖
2 대원IC ↘↖
↙↗
경충대로
100
성남IC, 중원구청 방면
희망로
야탑동, 도촌동 방면
↙↗
3 섬말IC
섬말교
↘↖
희망로
단대동, 상대원동 방면
중원터널
직동터널
29
세종포천고속도로 (광남IC)
야탑동, 도촌동 방면
↙↗
↘↖
광남IC교차로[4]
고불로
직동, 광주소방서 방면
↙↗
↘↖
4 직동IC
직동교
↘↖
↙↗
고불로
삼동, 삼동역 방면
중대졸음쉼터 (성남 방향)
태중로미개통
광남동, 중대동 방면
↙↗
↘↖
중대IC미개통
태전졸음쉼터 (이천 방향)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45)] 회안대로
용인, 오포,
29
오포IC 방면
↙↗
↘↖
5 태전JC ↘↖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45)] 회안대로
하남, 광주시청, 탄벌동 방면
경안대교 (경안천)
백마터널
경충대로
35
곤지암IC, 초월역 방면
↙↗
6 쌍동JC
쌍동나들목교

↙↗
경충대로
경안동, 광주종합터미널, 초월읍 행정복지센터 방면
교량 (곤지암천)
용수교 (장담길)
광주1터널
늑현교 (중부·제2중부고속도로, 산수로)
7 초월IC ↘↖
↙↗
52
광주원주고속도로
원주, 흥천이포, 동곤지암 방면
광주2터널
광주3터널
광주4터널
열미1교 (상열미천)
광주5터널
[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98)] (광여로)[간접]
곤지암, 하열미리 방면
↙↗
↘↖
8 열미IC
열미IC교
↘↖
↙↗
[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98)] (광여로)[간접]
양평, 산북 방면
오향교 (곤지암천)
부항교 (가마을길50번길)
신만로
신촌리, 동원대학교 방면
↙↗
↘↖
9 봉현IC
설월교
↘↖
↙↗
신만로
만선리, 봉현리 방면
봉현터널
봉현1교 (새재길)
정개터널
지석1교 (원적로159번길)
지석2교
지석3교 (석등로)
수하1교
수하2교
증신로
이천시내, 신둔 방면
↙↗
↘↖
10 도암IC ↘↖
↙↗
증신로
도암리, 도암초교 방면
도봉1교
도봉2교 (원적로)
도봉졸음쉼터 (양방향)
[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70)] 이여로
이천시내, 증포동 방면

↘↖
11 백사IC
신대1·2교, 백사IC교
↘↖
↙↗
[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70)] 이여로
이천시내, 백사 방면
모전교 (보인산로)
도지1교 (청백리로)
청백리로228번길
부발, 도지2리 방면
↙↗
↘↖
12 도지IC
도지2교
↘↖
↙↗
청백리로228번길
조읍리, 도지1리 방면
우곡교 (청백리로474번길)
신원1교 (복하천)
신원2교 (신원로)
신원3교 (죽당천)
고사천교 (고사천)
신원4교 (중부대로1925번길)
13 부발IC
부발교

↙↗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42)] 중부대로
원주, 여주,
45
서여주IC 방면
↘↖
↙↗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42)] 중부대로
이천, 부발, 여주 방면
부발졸음쉼터 (양방향)
죽당1교 (죽당로)
황무로1833번길
부발역, 아미리 방면
↙↗
↘↖
14 수정IC ↘↖
↙↗
황무로1833번길
양거리, 수정리 방면
월양천교 (월양천)
송온교 (황무로1965번길)
동이천IC교차로미개통 ↘↖
↙↗
50
영동고속도로 (동이천IC)
미개통
강릉, 원주, 수원, 인천 방면
가산교 (영동고속도로)
경충대로
이천, 부발 방면
↙↗
↘↖
15 응암IC ↘↖
↙↗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3)] 경충대로
장호원, 가남 방면
도로 끝 (응암IC~풍토IC 2028년 개통 예정)

3. 특징

도로 사업상 명칭은 '성남~장호원간 국도대체우회도로'이다. 흔히 '성장간선로'로 불리나 이는 성남시에서 자체적으로 지정한 명칭이었고, 2018년 3월에 전 구간이 성남이천로로 명명되었다. 툭하면 밀리는 경충대로의 대체 도로로 지어졌고, 그 중에서도 교통방송의 단골 멘트였던 갈마터널의 우회도로를 2012년 우선적으로 완성하여 운영하였다. 이후 순차적으로 나머지 구간이 개통됐고, 2017년 12월 31일에 응암IC까지 개통됐다. 장호원까지의 이후 구간은 현재 공사 중.

개통 초기에는 정체로 고통 받던 기존 경충대로 이용자들이 이 구역을 통과하는 시간을 약 10분정도 단축해서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여수동까지 이 구간이 개통하고 난 뒤에는 차량이 증가하여 러시 아워동안에는 정체현상이 스멀스멀 보이기 시작하고 있다. 편도 3차로의 도로라는 게 이전 갈마터널 정체에 비하면 좀 더 나은 정도. 게다가 이 도로는 제2경인고속도로광주원주고속도로를 잇는 역할도 하고 있어서 두 도로를 오가는 차량은 물론 각 고속도로를 접속하기 위해 이동하는 차량까지 성남이천로로 몰려들기 때문에 2025년 기준 현재는 사실상 옛 경충대로의 정체를 성남이천로가 그대로 받아들여 툭 하면 밀리는 수준까지 왔다.

고속화도로이지만 도로 규격이 거의 고속도로 수준에 가깝다. 심지어는 무료 도로임에도 나들목마다 나들목 번호가 각각 붙어 있을 정도.

성남 ↔ 대구/부산/서부산/진해/창원 고속버스 노선 철산/광명 ↔ 강릉/속초 노선(폐선)[7]광주원주고속도로 초월IC[8]를 이용하기 위해 지나가는 구간인데, 도촌동(광주 - 성남 시경계) 쪽에서 교통체증이 잦은 편이며 시내버스는 성남 버스 3100 ,이천 버스 G2100, 경기광주 버스 3201, 경기광주 버스 G3202, 경기광주 버스 3800가 경유하고 있다. 간혹 서울버스 폐차 회송시 이 도로를 이용하며 대월차고지음성군에 위치한 KD 오토리사이클링으로 이동할때 이 도로를 이용한다.

안 그래도 졸음쉼터가 적은편인데 거기에 일부 졸음쉼터는 화장실이 없거나 폐쇄된 상태이다.뉴스기사 장이나 방광이 예민한 운전자라면 다른 고속도로를 이용하는 경로로 우회하는 것이 낫다.

2023년 들어 광주원주고속도로 문서에 나오듯 대체 고속도로가 추진중이다.

3.1. 제 1, 2공구(성남 ~ 초월IC 구간)

성남이천로의 핵심 구간이자 성남이천로에서 가장 교통량이 많은 구간이다. 공사가 가장 먼저 진행된 구간도 이 구간이며, 2공구에 해당하는 태전JC ~ 쌍동JC 구간은 백마터널 공사가 끝나자 1차로로 임시로나마 개통을 했을 정도이다. 원래도 경충대로 성남 ~ 광주 구간은 교통량이 터져나가는 구간이였는데, 이 구간의 우회로 역할에 더해 광주원주고속도로, 제2경인고속도로를 이용하려는 차량까지 합쳐지니 평일에도 수시로 차량 통행이 지체된다. 2025년 1월에 세종포천고속도로 광남IC가 개통돼 이 나들목을 이용하려는 차량들로 인해 더 붐빌 것으로 예상된다.

태전JC가 존재하는 태전동의 경우 태전JC를 이용하기 위해 태전동의 모든 차량들이 회안대로로 집결해야 하는 구조라 원래도 막히던 회안대로가 더 막히는 결과를 초래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회안대로를 거치지 않고 태전지구와 바로 연결되는 중대IC가 직동IC와 태전JC 사이에 건설 중이다.

직동터널과 중원터널 사이에 터널관리소로 연결되는 나들목(성남 방향 진출만 가능, 이천 방향 진입만 가능)이 있는데, 이 나들목을 통해서도 직동으로 진출할 수 있기는 하다. 하지만 터널관리소를 조금만 벗어나면 비포장 흙길이라 진출입로로써의 기능은 없는 수준.

본선이 아닌 여수대로IC가 편의상 이 구간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3.2. 제 3, 4, 5공구(초월IC ~ 이천 부발 구간)

광주와 이천을 잇는 구간. 아무래도 이 구간은 성남 ~ 광주 구간에 비하면 중요도가 떨어지는 구간이다 보니 광주원주고속도로가 개통된 지 1년 후에 따로 개통되었다. 대부분의 차량이 광주나 초월IC로 빠지다 보니 이 구간은 교통량이 많지 않은 편. 물론 국토교통부도 이를 모를 리가 없기에, 광주 방향은 봉현터널 ~ 쌍동JC 구간, 장호원 방향은 정개터널 ~ 부발IC 구간에서 구간단속을 시행 중이다. 최근에는 부발IC를 통해 42번 국도를 이용하면 영동고속도로의 정체를 우회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이 구간의 교통량이 꽤 늘었다.

5공구 구간인 부발에서 응암까지는 4차로로 개통되어 있는데, 이 구간은 빠질 차량이 다 빠지고 3번 국도를 계속 이용할 차량만 남기 때문에 한산하다. 이 구간에 성남이천로와 영동고속도로 간의 연계 문제[9]를 해결하고자 동이천IC가 건설 중에 있다.

이 구간은 경강선과 나란히 달리는데, 신둔면 인근에서 경강선이 남쪽으로 확 꺾으면서 떨어졌다가 수정IC 인근에서 교차한다. 중부내륙선도 인근에 지나가나 간발의 차이로 교차하지는 않는다.

성남방향 응암IC-수정IC 구간 2차선도로가 완성이 덜 된건지 도로 상태가 좋지 않다. 특히, 영동고속도로를 횡단하는 가산교(양방향)의 양끝부분의 높이차가 상당하여 규정속도 이상으로 주행시 차량과 승객이 상당한 충격을 받을 수 있다.

3.3. 제 6공구(이천 부발 ~ 장호원 구간)

응암교차로 이후 6공구에 해당하는 구간은 2019년 1월 31일 예타 면제 사업으로 선정되어서 공사 중이다. 37번 국도를 확장공사하면서 이 구간이 6공구와 연결될 계획이 있다. 참고로 여주~점동 구간은 완공 상태. 지금은 상황이 서울지방국토관리청에서 설계중이다. 하지만 이천시가 2021년부터 해당 공구를 착공한다고 하였다.관련 기사

전체 15.2km 중 이천시 부발읍 응암리 ~ 여주시 가남읍 은봉리까지 6-1공구(6.1km)를 고운시티아이가 약 444억에 수주했다. 공사기간은 2021.07.08. ~ 2027.06.06 이다.

여주시 가남읍 은봉리 ~ 이천시 장호원읍 진암리까지 6-2공구(9.1km)는 강산건설이 수주했다. 공사기간은 2022.06. ~ 2028.05.이다.

종점인 풍토IC는 현 진암삼거리를 입체화하게 되어 그 이남에 개통된 3번 국도의 중원대로와 상호 직결될 예정이다. 현 진암삼거리는 서울 방향 차량들이 좌회전을 해야 하는 구조라 명절 귀경철만 되면 정체가 극심한데, 이를 완화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구간이 개통되면 성남시청교차로를 통해 성남이천로로 진입한 순간 충주시 주덕교차로까지 신호등 없이 이동할 수 있다. 즉, 3번 국도-37번 국도-34번 국도 경로를 이용해 서울특별시 동남권(강남구, 송파구)과 충청북도 북부(음성군, 충주시, 괴산군), 경상북도 북부(문경시, 상주시, 예천군, 안동시) 사이를 저렴한 통행료를 내고서도 비슷한 시간대(2시간~2시간 30분)에 오고갈 수 있다. 또한 세종포천고속도로가 개통되면 서울특별시 동북권(노원구, 도봉구, 중랑구 등)과도 연계가 가능할 예정이다. 한편 現 진암삼거리까지는 이 도로를 이용하다가 그 이후 장호원읍소재지 방향으로 틀어 장호원고가차도부터 직결되는 38번 국도를 이용해 동충주IC부터 평택제천고속도로를 이용하면 중앙고속도로 연선(제천시, 단양군, 영주시, 봉화군)과의 연계도 가능하며, 계속 38번 국도를 쭉 타고 가면 강원도 남부 지역(영월군, 정선군 남부, 태백시)와의 연계도 가능하다.

4. 주행 영상



[1] 태전JC~응암IC[2] 성남시청교차로~중원터널[3] 중원터널~태전JC[4] 별도의 나들목 번호가 없다.[간접] 간접연결[간접] [7] 제2경인고속도로 - 성남이천로 - 광주원주고속도로 이용[8] 초월IC에서 성남터미널은 차가 안 밀리면 15~17분 정도 걸린다.[9] 본래 3번 국도와 영동고속도로는 이천IC를 통해 바로 연결되었으나, 성남이천로가 영동고속도로와 바로 연결되지 않아 응암IC에서 4km 정도를 여전히 기존 경충대로를 이용해야 한다. 거기에 이 구간은 하필 SK하이닉스 정문이 있어 출퇴근시간에 정체가 극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