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9 16:41:19

성덕도

동아시아의 종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한국
전통신앙 계통
· ·
삼교 계통
· · ·
[[금강대도|파일:[[파일:종교상징_금강대도_검은색.png
금강대도]]
동학 계통
·
증산 계통
· · ·
중화권
삼교 계통
· ·
소수민족 계통
·
일본
신토 계통
·
교파신토 계통
· · ·
삼교 계통
·
베트남
·
몽골
}}}}}}}}}
<colcolor=#fff> 성덕도
聖德道
<colbgcolor=#4C4C4C> 설립년도 1952년
분류 종교 (경상북도)
창교주 김옥재(金沃載), 도학수(都鶴姝)
도종
(성도사)
옥양지(玉良智) 홍광연(洪光連)[1]
본부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평천길 106-60[2][3]
도종
(성도사)
옥양지(玉良智) 홍광연(洪光連) [4]
공식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접속불가]성덕도 공식사이트 비활성화 상태
질의응대: [email protected]
1. 개요2. 역사3. 특징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1952년[6] 5월 27일(음력)에 김옥재(金沃載)선생과 도학수(都鶴姝)님이 도덕입법하고 10월 3일(음력) 대구광역시에서 공동으로 창도한 종교로, 본원은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평천리 1번지에 소재하고 있다. 본부 위치 소개

2. 역사

성덕도의 역사에 대한 참고 문서(성덕도 공식 사이트의 연혁 페이지)

성덕도를 창도한 월근(月根) 김옥재 도주는 1909년 경남 김해시 대동면 주중리에서 출생했다. 종교적인 가정에서 성장하여 한학을 수학했던 그는 일찍부터 인생과 우주에 대한 의문을 품었지만 종교활동에는 직접 나서지 않았는데 젊은 시절 심신의 병고를 겪으면서 구도생활에 뜻을 두게 되었고 제방을 주유하면서 고행수도하는 일변 사람들을 계몽하고 사람의 갈 길을 선도교화 함으로써 많은 난치자들을 구활하기도 했다. 그는 구도과정에서 제주 출신 선지자 김봉남을 만나 수행의 큰 인연을 가지게 되고 구도생활의 해답을 마침내 얻게 된다. 이후 김옥재는 1952년 천지의 음양이치에 따라 구제창생의 대업을 함께 할 법주 도학수님을 만나게 된다. 월근의 수행은 천지(天地)의 이치(理致)에 따라 구제창생의 대도의 진리를 정각(正覺)하였고, 같은 해 5월 27일 법해와 함께 도덕법을 세우고 공부에 들어가니 이 날을 ‘도덕입법일’이라고 부르며, 그 해 음력 10월 3일 드디어 성덕도를 창도하게 된다.(成道日)

그 후. 1960년 3월 4일(음력)에는 창도자인 월근(月根) 김옥재 도주가 사망하자, 김옥재의 아우인 김윤재가 그 해 10월 29일에는 문교부[7]에서 사단법인 성덕도 교화원 설립 인가를 받았다.

이후 성덕도는 10월 31일에는 대구시 북내동 3번지 소재 부동산을 매입하여 교화원의 본원 원사(본부와 같은 개념)를 마련하게 되었다.

1966년에는 본원을 대구시 중구 인교동 44번지 소재 가옥을 매입하여 이전하였고, 1967년에는 공식적인 단체 명칭을 문교부의 인가를 받은 후 '사단법인 성덕도'로 변경하였다.

1984년에는 퇴임 무의탁 교직자의 생활 보장과 현직 성직자 중 보양이 필요한 사람을 위주로 한 복지시설로 보양원을 개설하였고, 1989년에는 대구광역시 동구 각산동으로 본원을 이전하였다.

그 후 1993년에는 경상북도 영천시 신령면 화남리에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수련시설인 성덕수련원[8]을 개원하였고, 그 후. 이곳으로 본원을 이전하였으며, 1997년에는 성덕수련원 근처에 성덕대학교(현 성운대학교)를 설립하였다.[9]

2004년에는 기존 조치원 교화원으로 사용되었던 곳을 수리하여 교직자 양성 기관인 본원 부설 교육원을 개설하였고, 2011년에는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평천리로 본원을 이전하였으며, 2016년에는 성덕수련원이 운영을 종료하였고, 기존 수련원 건물은 교육연구시설 내 성덕도교육원으로 용도가 변경되었다. 2017년에는 옥양지(玉良智) 홍광연(洪光連)선생이 제5세 성도사로 선출되어 성덕도 대표에 취임하였으며, 2022년 제6세 성도사로 연임되었다.

전국에 12개 책임교구가 있다.
(서울·부산·대구·대전·광주·전주·진주·안동·강릉·영월·청주·마산)

3. 특징

여느 종교처럼 우상을 섬기는게 아니라 자기 자신의 본성을 믿고 自性을 신앙하고 수양하는 종교이다.

또한 성덕도는 유(儒), 불(拂), 선(仙) 삼합법에 따라 각각 성(聖)의 元理는 儒(유)이고 儒의 精神은 사람의 도리인 삼강오륜, 인의예지 실천을 중심하고, 덕(德)의 元理는 佛이며 佛의 精神은 無量大德의 明心이며 마음을 닦아 물의 이치따라 덕화를 본받아 행함으로써 자성자불(自性自佛)을 찾음에 있으며, 도(道)의 이치(理致)는 선(仙)이고 선의 의미는 미신을 타파하고 회개하여 선화개악(善化改惡)하여 교화중생활인(敎化衆生活人)을 중심하고 있다. 각자 도덕을 받들고 실천함으로써 몸안에 내재하고 있는 육체, 마음, 행위를 관장하는 유불선 삼령(三靈)을 맑혀 인간을 내신 天地父母님께 순명하는 삶을 살아가고 진정한 자아를 찾아가는 길이다.(十勝之地 생방의 길)
心水法 받들어 수양과 도덕의 실천을 통해 心中의 우물에 心水를 채워 스스로의 苦를 벗어 해원 해탈 탈갑하고 나아가 천보(天寶)의 선화법(仙化法인 심수묘법(心水妙法)의 道氣를 전하고 선도교화함으로써 타인의 心生化 肉生化의 교화중생활인(敎化衆生活人)을 중심하고 궁극적 목표인 도덕사회를 건설하고자 한다.
인간은 누구나 존엄하며 한 사람도 이유없이 하늘이 내지 않았으며 서로 예의로써 존중해야하고 화목해야하며 전 인류가 형제같이 화목하게 살아가야함을 강조한다. (원자정신圓慈精神) 또한 예의와 도덕을 앞세우는 것만이 인간다운 풍요로운 사회를 이룰 수 있으며 그렇지 못하고 물질문화를 앞세우고 지우치게 되면 결국 도덕문화와 정신이 퇴보되어 이기적이고 옳지 못한 사회로 우리를 이끌게 되고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이 사회에서 많은 사람들이 고통과 苦를 격을 것임을 예고한다고 말한다.

자성반성(自性反省), 미신타파(迷信打破), 문맹퇴치(文盲退治), 도덕정신(道德精神)을 법기(法紀)로 삼고 있다.

(성덕도에서 미신타파, 문맹퇴치는 일반사회 개념과 다소 다르며 정사구별함으로써 옳지못한 것은 모두 미신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문맹이란 사람으로서의 기본도리인 도덕을 망각하고 무시하고 살아가는 행위를 말한다)

또한 성덕도가 창시된 경상북도 지역은 동학이 창도된 곳으로 사실상 한국의 여러 신흥 종교의 발상지이며, 종교적인 열정이 강해 한 때 10 계통에 34개 단체가 분포되어 있었고, 그 중에는 전국적인 규모의 단체들도 있었다. 하지만 중앙진출을 위한 교단 이전과 교파간의 이합집산 등으로 여러 단체들이 지역을 떠나게 되면서 현재는 이 중 18개[10]의 단체만이 남아있다.
성덕도는 대구경북 지역이 뿌리인 향토 종교이지만 그 뿌리인 대구경북 지역에서조차 이러한 종교가 있는 지를 모르는 분들도 상당히 많다.[11]
기관지로 1992년부터 <聖德의 빛>을 격월간 발행하고 있다.

봄 인성지(仁盛智), 여름 원달군(源達群), 가을 선광지(宣光智), 겨울 정일군(淨一群) 네분이 성도사임.
이후 5년을 임기로 5년마다 도종을 선출하여 현5세 도종에 옥양지(玉良智,홍광연)로 이어지고 있다
  • 1세 신성지(信誠智) 윤한수(尹漢壽)
  • 2세 현원지(現源智) 김주대(金周大)
  • 3세 보경지(普敬智) 구경회(具庚會) : 2012년 11월 15일 취임
  • 4·5세 옥양지(玉良智) 홍광연(洪光連) : 2017년 11월 19일 취임, 2022년 10월 26일 재취임

제성일(齊誠日)인 일요일에는 오전 9시부터 11시 30분까지 청심주, 도덕경과 자성반성 공부시간을 가지고, 평일 저녁 7시부터 9시까지 공부시간을 가진다. 주로 『자성반성 성덕명심도덕경(自性反省 聖德明心道德經)』을 기준으로 수양하며 상황에 따라 신도들이 모여 산행을 하면서 마음 공부를 하는 시간을 갖기도 한다.

4. 관련 문서

유불선 합일의 종교


[1] 2017년 11월 19일 취임 관련 연혁 참고.[2] 구 평천리 1번지[3] 원래는 영천시 신녕면 화남리에 위치해 있었지만 2011년에 현재의 위치로 이전했다.[4] 2017년 11월 19일 취임 관련 연혁 참고.[접속불가] [6] 교단에서는 이 해를 원년으로 하는 聖紀라는 기년법을 사용한다. 2023년은 聖紀 72년.[7]문화체육관광부[8] 현재는 운영이 중단된 상태이다.[9] 현재는 성덕도 교단과는 별개로 운영되고 있다.[10] 대구광역시 10개, 경상북도 8개[11] 실제로 우리나라는 수도권 중심으로 인구가 집중되고 경제발전이 되면서 종교를 비롯한 수 많은 문화가 수도권을 중심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에서는 그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널리 알려지고 잘 나가는 종교가 드물다고 할 것이다. 이미 대한민국 4대 종교로 인정받고 있는 원불교를 제외하면 그나마 관광객이 많은 감천문화마을 덕분에 알려진 부산지역의 향토 종교인 태극도, 대전지역에 본부가 있는 동학 계통의 수운교, 그 밖에 금정산 자락의 산성마을[12]에 위치한 유법사를 모태로 하는 대일체불교(大一體佛敎), 조계종 출신 스님이 주지스님이지만 자체적 종파인 만불회를 비롯한 일부 자체적 불교 종파들을 제외하면 널리 알려진 향토 종교는 거의 없다고 할 것이다.[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