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믹스더블 컬링 선수권 대회[1] World Mixed Doubles Curling Championship[2] | |
창설 | 2008년 |
2024년 개최지 | (외스테르순드 아레나) |
2024년 우승팀 | |
2025년 개최 예정지 | 미정 |
최다 우승국 | |
[clearfix]
1. 개요
믹스더블 컬링 세계 선수권 대회.지역별 예선이 있는 세계컬링선수권대회와 달리 지역별 예선이 없다. 참가팀이 많은 관계로 조별 리그를 치른 후 상위 팀들 간의 토너먼트로 우승자를 정한다. 2015년까지는 각 조별리그 상위 8개 팀으로 플레이오프를 치렀지만, 2016년부터는 16강 플레이오프로 열렸고 2018년까지는 16강 진출팀은 순위 결정전도 치렀다.
2009년 대회부터 세계 시니어 컬링 선수권 대회[3]와 같이 치른다. 다만 2012년은 예외로, 믹스더블 선수권은 터키에서 열렸지만 시니어 선수권은 덴마크에서 따로 열렸다.
2020년 대회부터는 출전팀을 20개 팀으로 제한한다. 전년도 상위 16개 팀은 그대로 출전권을 갖고[4] 4개 팀은 별도의 예선 대회[5]를 통해 선발한다.
2. 역대 결과
연도 | 장소 | 우승 | 준우승 | 3위 | 참가팀 |
2008 | 핀란드 비에루마키 | [여자] 이레네 쇼리 [남자] 토니 뮬러 | [여자] 안네 말미 [남자] 유시 우시파발니에미 | [여자] 마리에 페르손 [남자] 괴란 칼손 | 24팀[6] |
2009 | 이탈리아 코르티나담페초 | [여자] 이레네 쇼리 [남자] 토니 뮬러 | [여자] 세케레스 일디코 [남자] 너지 지외르지 | [여자] 앨리슨 니믹 [남자] 션 그래시 | 27팀 |
2010 | 러시아 첼랴빈스크 | [여자] 야나 네크라소바 [남자] 페트르 드론 | [여자] 브리짓 베커 [남자] 숀 베커 (남매) | [여자] 쑨웨 [남자] 장지펑 | 18팀[7] |
2011 | 미국 세인트폴 | [여자] 알리나 패츠 [남자] 스벤 미셸 | [여자] 알리나 코발레바 [남자] 알렉세이 첼루소프 | [여자] 폴린 제네레 [남자] 아마우리 페르네 | 24팀 |
2012 | 터키 에르주룸 | [여자] 네이딘 레만 [남자] 마르틴 리오스 | [여자] 카밀라 요한손 [남자] 페르 노린 | [여자] 클라우디아 토트 [남자] 크리스티안 로트 | 27팀 |
2013 | 캐나다 프레더릭턴 | [여자] 펄런처 도로처 [남자] 키시 졸트 | [여자] 엘리사베트 노레달 [남자] 프레드릭 할스트룀 | [여자] 주자나 하이코바 [남자] 토마시 폴 | 27팀 |
2014 | 스코틀랜드 덤프리스 | [여자] 미셸 그리비 [남자] 레토 그리비 (사촌) | [여자] 카밀라 요한손 [남자] 페르 노린 | [여자] 이란츠 가르시아 [남자] 세르지오 베즈 | 34팀 |
2015 | 러시아 소치 | [여자] 펄런처 도로처 [남자] 키시 졸트 | [여자] 카밀라 요한손 [남자] 페르 노린 | [여자] 크리스틴 스카슬린 [남자] 망누스 네드레고텐 | 30팀 |
2016 | 스웨덴 칼스타드 | [여자] 아나스타샤 브리즈갈로바 [남자] 알렉산드르 크루셸니츠키[8] | [여자] 왕루이 [남자] 바더신 | [여자] 태비사 피터슨 [남자] 조 폴로 | 42팀 |
2017 | 캐나다 레스브리지 | [여자] 제니 페레 [남자] 마르틴 리오스 | [여자] 조앤 코트니 [남자] 리드 카루더스 | [여자] 왕루이 [남자] 바더신 | 39팀 |
2018 | 스웨덴 외스테르순드 | [여자] 미셸 재기 [남자] 스벤 미셸 | [여자] 마리아 코마로바 [남자] 다닐 고리아체프 | [여자] 로라 크로커 [남자] 커크 뮤이레스 | 40팀 |
2019 | 노르웨이 스타방게르 | [여자] 안나 하셀보리 [남자] 오스카르 에릭손 | [여자] 조슬린 피터먼 [남자] 브렛 갤런트[9] | [여자] 코리 크리스텐슨 [남자] 존 슈스터 | 48팀 |
연도 | 장소 | 우승 | 준우승 | 3위 |
2020 | 캐나다 켈로나 | 대회 취소[10] | ||
2021 | 스코틀랜드 애버딘 | [여자] 제니퍼 도즈 [남자] 브루스 모왓 | [여자] 크리스틴 스카슬린 [남자] 망누스 네드레고텐 | [여자] 알미다 데발 [남자] 오스카르 에릭손 |
2022 | 스위스 제네바 | [여자] 이브 뮤어헤드 [남자] 바비 래미 | [여자] 알리나 패츠 [남자] 스벤 미셸 | [여자] 피아리사 숄 [남자] 클라우디우스 하르슈 |
2023 | 대한민국 강릉 | [여자] 코리 티시 [남자] 코리 드롭킨 | [여자] 마츠무라 치아키 [남자] 타니다 야스마사 | [여자] 마르티네 뢰닝 [남자] 마티아스 브렌덴 |
2024 | 스웨덴 외스테르순드 | [여자] 이사벨라 브라노 [남자] 라스무스 브라노 (남매) | [여자] 마리 칼드비 [남자] 하리 릴 | [여자] 크리스틴 스카슬린 [남자] 망누스 네드레고텐 (부부) |
3. 역대 메달 집계
국가 | 금 | 은 | 동 |
7회 2008, 2009, 2011, 2012, 2014, 2017, 2018 | 1회 2022 | - | |
2회 2019, 2024 | 4회 2012, 2013, 2014, 2015 | 2회 2008, 2021 | |
2회 2010, 2016 | 2회 2011, 2018 | - | |
2회 2013, 2015 | 1회 2009 | - | |
2회 2021, 2022 | - | - | |
1회 2023 | - | 2회 2016, 2019 | |
- | 2회 2017, 2019 | 2회 2009, 2018 | |
- | 1회 2021 | 3회 2015, 2023, 2024 | |
- | 1회 2016 | 2회 2010, 2017 | |
- | 1회 2008 | - | |
- | 1회 2010 | - | |
- | 1회 2023 | - | |
- | 1회 2024 | - | |
- | - | 1회 2011 | |
- | - | 1회 2012 | |
- | - | 1회 2013 | |
- | - | 1회 2014 | |
- | - | 1회 2022 |
4. 역대 참가국
- 2010년대
국가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 24 | 37 | ||||||||||
- | 39 | |||||||||||
- | 47 | |||||||||||
- | 11 | 25 | - | 37 | 36 | 38 | 43 | |||||
4 | 22 | - | 18 | 25 | 4 | 5 | 3 | 9 | 5 | 11 | 9 | |
8 | 13 | 2 | 14 | 10 | 5 | 21 | 20 | 13 | 29 | 39 | 9 | |
- | 20 | - | 23 | 19 | 24 | 15 | 11 | 13 | 6 | 4 | 24 | |
21 | 12 | 12 | 5 | 9 | 16 | 27 | 5 | 13 | 30 | 20 | 22 | |
- | 20 | - | 32 | - | 34 | 21 | 29 | 20 | ||||
7 | 11 | 16 | 24 | 11 | 23 | 17 | 12 | 32 | 8 | 25 | 27 | |
20 | 10 | 1 | 2 | - | 9 | 6 | 5 | 1 | 9 | 2 | 5 | |
- | 27 | 27 | 23 | 27 | 35 | 35 | 31 | 36 | ||||
- | 30 | - | 35 | - | ||||||||
- | 24 | - | 28 | 32 | ||||||||
- | 46 | |||||||||||
15 | 18 | 10 | 8 | 4 | 12 | 19 | 5 | 3 | 10 | 13 | 3 | |
- | 41 | - | 40 | |||||||||
- | 31 | 29 | 26 | 22 | 21 | 28 | ||||||
- | 26 | - | 17 | 34 | - | |||||||
- | 34 | 30 | 29 | 28 | 17 | 26 | ||||||
- | 48 | |||||||||||
- | 40 | 39 | - | |||||||||
3 | 7 | - | 4 | 2 | 2 | 2 | 2 | 25 | 13 | 7 | 1 | |
1 | 1 | 7 | 1 | 1 | 6 | 1 | 13 | 28 | 1 | 1 | 9 | |
14 | 9 | - | 17 | 5 | 7 | 9 | 19 | 4 | 11 | 9 | 9 | |
22 | 25 | 4 | 11 | 18 | 21 | 3 | 17 | 23 | 13 | 22 | 9 | |
19 | 24 | 18 | 15 | 17 | 19 | 29 | 25 | 10 | 25 | 33 | 29 | |
- | 26 | 30 | 23 | 39 | 20 | 30 | 33 | |||||
- | 26 | - | 26 | - | 12 | 13 | 36 | 34 | ||||
16 | 14 | 8 | 19 | 8 | 15 | 22 | 5 | 6 | 32 | 13 | 5 | |
- | 21 | 15 | 21 | 3 | 8 | 8 | 26 | 11 | 24 | 32 | 23 | |
- | 45 | |||||||||||
24 | 27 | - | 20 | - | 36 | 23 | - | 30 | ||||
- | 33 | 26 | 37 | - | ||||||||
11 | 16 | 6 | 22 | 12 | 17 | 24 | 9 | 19 | 12 | 12 | 18 | |
13 | 17 | 14 | 7 | 15 | 14 | 18 | 10 | 20 | 19 | 5 | 5 | |
23 | 19 | 13 | 20 | 22 | 25 | 33 | 15 | 8 | 17 | 26 | 9 | |
10 | 4 | 3 | 6 | 7 | 13 | 11 | 16 | 2 | 3 | 13 | 19 | |
- | 31 | |||||||||||
6 | 6 | 9 | 13 | 16 | 3 | 7 | 18 | 21 | 4 | 10 | 5 | |
- | 28 | - | 38 | 38 | 23 | 25 | ||||||
- | 42 | - | 42 | |||||||||
5 | 3 | - | 12 | 6 | 10 | 10 | 4 | 5 | 2 | 3 | 2 | |
- | 44 | |||||||||||
- | 37 | 40 | 41 | |||||||||
- | 21 | - | 22 | 17 | 27 | 8 | 17 | |||||
18 | 8 | - | 16 | 24 | 22 | 33 | 34 | 21 | ||||
12 | 15 | - | 3 | 23 | 20 | 13 | 21 | 27 | 31 | 19 | 35 | |
2 | 5 | 17 | 9 | 14 | 18 | 14 | 14 | 7 | 7 | 13 | 9 | |
9 | 2 | 11 | 10 | 13 | 1 | 4 | 1 | 13 | 13 | 6 | 9 | |
17 | 23 | 5 | 16 | 24 | 22 | 12 | 28 | 31 | 18 | 18 | 4 | |
- | 27 | 38 |
- 2020년대
국가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취소 | - | 14 | 13 | |||||||
2 | 4 | 3 | 3 | |||||||
12 | 20 | - | 19 | |||||||
17 | 15 | 16 | 7 | |||||||
- | 12 | 9 | 14 | |||||||
10 | 3 | 18 | 11 | |||||||
(11) [RCF] | - | |||||||||
8 | 8 | 1 | 10 | |||||||
3 | 5 | 10 | 1 | |||||||
6 | 2 | 7 | 4 | |||||||
1 | 1 | 5 | 6 | |||||||
20 | 18 | 13 | 20 | |||||||
19 | 14 | 5 | 2 | |||||||
- | 17 | - | ||||||||
5 | 7 | 11 | 8 | |||||||
15 | 9 | 2 | 9 | |||||||
14 | 16 | 20 | - | |||||||
9 | - | 12 | ||||||||
7 | 13 | 15 | 16 | |||||||
4 | 6 | 4 | 5 | |||||||
- | 19 | 12 | 17 | |||||||
- | 18 | |||||||||
17 | 17 | - | ||||||||
15 | 10 | 19 | - | |||||||
13 | 11 | 8 | 15 |
5. 여담
- 2008년 대회 조별리그에서 스위스가 웨일스를 상대로 한 경기에서 식스 엔더[13]를 2번이나 기록했다.
- 2010년 대회 때는 이 해 3월부터 시작된 아이슬란드 에이야퍄들라이외퀴들 화산 폭발의 영향으로 한동안 유럽 항공편 지연이 지연되는 일이 있었다. 노르웨이, 스웨덴, 스코틀랜드, 캐나다, 한국 등 5개 팀이 이 때문에 대회 일정에 맞춰 오지 못하게 되면서 출전을 포기했다. 라트비아, 미국, 핀란드 역시 항공편 지연으로 대회가 시작된 후 러시아에 왔지만 다행히 이 팀들은 경기 일정이 다소 뒤에 있던 편이라 대회 일정 소화에는 문제가 없었다.
- 2014년 대회 조별리그에서 캐나다, 노르웨이, 잉글랜드가 식스 엔더를 기록했다.
- 2019년 대회 조별리그에서 잉글랜드, 에스토니아, 웨일스, 카자흐스탄, 이탈리아, 뉴질랜드가 식스 엔더를 기록했다.
- 2024년 대회 조별리그에서 캐나다가 스코틀랜드, 미국을 상대로 식스 엔더를 기록했다.
[1] 대한컬링경기연맹 시절에는 띄어쓰기 없이 모두 붙여썼다.[2] 약칭은 WMDCC[3] 만 50세 이상 대상[4] 20개 팀을 2개 조로 나누고 조별 예선에 따른 각 조의 꼴찌팀, 예선 이후 각 조 8·9위끼리 강등전을 치러 패배한 팀 등 총 4개 팀이 다음 연도 출전권을 박탈당한다.[5] 세계 믹스더블 퀄리피케이션 이벤트[6] 네덜란드, 독일, 브라질, 아일랜드, 카자흐스탄도 참가 신청을 했지만 최종 불참했다.[7] 불가리아, 폴란드, 프랑스가 참가 신청을 했지만 최종 불참했고, 화산 폭발의 영향으로 항공편 지연으로 5개 팀이 불참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8] 이후 평창 올림픽 때 도핑 적발로 동메달을 박탈당한다.[9] 피터 갤런트의 장남[10] 코로나 19 유행에 따라 대회를 취소했다.[11] 아일랜드 컬링 협회에서는 아일랜드 삼색기 대신 4지방기를 쓴다.[RCF] 러시아 컬링 연맹[13] 한 엔드에서 최고 득점인 6점을 기록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