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
특별시 | ||||
베오그라드 Београд | ||||
중앙세르비아 | ||||
콜루바라구 Колубарски округ [[발레보| 발레보 ]] | 마치바구 Мачвански округ [[샤바츠| 샤바츠 ]] | 모라비차구 Моравички округ [[차자크| 차자크 ]] | 포모라블레구 Поморавски округ [[야고디나| 야고디나 ]] | |
라시나구 Расински округ [[크루셰바츠| 크루셰바츠 ]] | 라슈카구 Рашки округ [[크랄레보| 크랄레보 ]] | 슈마디야구 Шумадијски округ [[크라구예바츠| 크라구예바츠 ]] | 즐라티보르구 Златиборски округ [[우지체| 우지체 ]] | |
보르구 Борски округ [[보르| 보르 ]] | 브라니체보구 Браничевски округ [[포자레바츠| 포자레바츠 ]] | 야블라니차구 Јабланички округ [[레스코바츠| 레스코바츠 ]] | 니샤바구 Нишавски округ [[니시(세르비아)| 니시 ]] | |
프치나구 Пчињски округ [[브라네| 브라네 ]] | 피로트구 Пиротски Округ [[브라네| 피로트 ]] | 포두나블레구 Подунавски округ [[스메데레보| 스메데레보 ]] | 토플리차구 Топлички округ [[프로쿠플레| 프로쿠플레 ]] | |
자예차르구 Зајечарски округ [[자예차르| 자예차르 ]] | ||||
보이보다니 자치주 | ||||
중앙바나트구 Средњобанатски округ [[즈레냐닌| 즈레냐닌 ]] | 북바치카구 Севернобачки округ [[수보티차| 수보티차 ]] | 북바나트구 Севернобанатски округ [[키킨다| 키킨다 ]] | 남바나트구 Јужнобачки округ [[판체보| 판체보 ]] | |
남바치카구 Јужнобачки округ [[노비사드| 노비사드 ]] | 스렘구 Сремски округ [[스렘스카미트로비차| 스렘스카미츠로비차 ]] | 서바치카구 Западнобачки [[솜보르| 솜보르 ]] | ||
코소보 및 메토히야 자치주 | ||||
코소보구 Косовски округ [[프리슈티나| 프리슈티나 ]] | 코소보포모라블레구 Косовско-поморавски округ [[그릴라네| 그릴라네 ]] | 코소브스카미트로비차구 Косовскомитровички округ [[코소브스카미트로비차| 코소브스카미트로비차 ]] | 페치구 Пећки округ [[페치| 페치 ]] | |
프리즈렌구 Призренски округ [[프리즈렌| 프리즈렌 ]] | }}}}}}}}} |
솜보르 (세르비아) | ||
[clearfix]
1. 개요
세르비아 보이보디나 자치주 서바치카구의 중심 도시. 인구는 2022년 기준 41,814명이다.2. 언어 표기
세르비아어 | Сомбор |
헝가리어 | Zombor[1] |
3. 역사
1340년 헝가리 왕국의 마을로 처음 언급되며, 1526년 이후 오스만 제국령 오스만 헝가리에 속하다가 1699년 카를로비츠 조약으로 합스부르크 제국령 헝가리 왕국에 속했다.1749년 2월 17일, 합스부르크 가문의 수장 마리아 테레지아가 도시법을 인가하며 본격적인 도시가 되었다. 1848년 헝가리 혁명 이후 오스트리아 제국의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보이보디나 공국에 속했다가 1867년 대타협에 따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 전환되며 성 이슈트반 왕관령 바치-보르도그 주(Bács-Bodrog vármegye)의 주도가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으로 트리아농 조약이 체결되며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양도되었다.
1941년 헝가리에서 영토를 되찾았으나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다시 유고슬라비아령이 되었다.
4. 인구
오스만 제국의 유명한 여행가 에블리야 첼레비(Evliya Çelebi 1611~1682)는 이곳을 여행하고 '헝가리에 속하지만 세르비아인이 더 많다.'는 기록을 남겼다. 1786년 헝가리 왕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11,420명 중 대부분이 세르비아인이었다. 1843년 오스트리아 제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절반 이상이 세르비아어를 사용하는 정교회 신자였으며 제2 언어는 독일어였다. 1910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인구 조사에 따르면 30,593명의 인구 중 절반은 세르비아인, 나머지 절반은 헝가리인이었다.현재는 인구의 63% 가량이 세르비아인이며 헝가리인 약 11%, 크로아티아인 약 8%의 비중을 보이고 있다.
5. 기타
6. 출신 인물
[1] 좀보르. 옛 명칭은 Czoborszentmihály(초보르센트미하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