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1 17:41:41

쇠고기면

파일:삼양식품 로고.svg파일:삼양식품 로고_다크모드.svg 삼양식품의 제품/라면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삼양라면 불닭볶음면 짜짜로니 간짬뽕 삼계탕면
삼양 손칼국수 맛있는 라면 바지락 칼국수 삼양 나가사끼 짬뽕 삼양 수타면
삼양 사리면 열무비빔면 된장라면 쇠고기면 코다리볶음면
바담뽕 삼양 화끈라면 우돈사골곰탕면 쿠티크 맵탱
기타 PB상품 }}}}}}}}}


파일:2019100101000063000001051.jpg

1. 개요2. 역사3. 가격4. 맛5. 기타

1. 개요

삼양식품에서 제조하고 있는 라면. 삼양의 라면 중 삼양라면 다음으로 오래됐으며, 삼양라면이 우지 파동 등으로 원래의 맛을 잃고 브랜드만 이어받은 제품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사실상 쇠고기면이 가장 오래된 라면이자 그때 그 라면의 맛을 가장 잘 보존하고 있는 라면이라고 봐도 될 것이다.

2. 역사

전신은 1970년 10월 30일 처음으로 발매된 '소고기면'으로, 우지 파동 이전의 삼양라면 하위 버전이었다. 우지 파동 당시인 80년대 말에는 90원이였다. 당시 신라면은 200원. 안성탕면은 120원 하던 시절. 문제는 가격이 싸지만 건더기는 거의 없었던 가격만 싼 라면이었다는 것이다. 이 원조 소고기면은 우지 파동후 약 1년이 안되어 단종되었으며 최종 소비자 가격은 100원이었다. 우지 파동이 진정되고 '쇠고기면'으로 이름을 바꿔서 출시한 것은 1995년의 일이다.

우지 파동 이전의 삼양라면의 맛이 쇠고기면과 같은 쇠고기 육개장맛 기반이었기 때문에 여전히 인기가 높다. 삼양라면은 우지파동을 겪은 뒤 김치찌개맛 등 방향성을 잃고 계속 맛을 미세 조정해가며 헤매는 상태기 때문에 과거의 라면 맛을 기억하는 이들이라면 국내에서 판매되는 라면 중에서 가장 맛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는 나름대로 충성도 높은 라면이다. 즉 80년대에 라면을 먹으며 성장한 세대들에겐 어린 시절 각인된 라면 맛에 가장 근접하다. 안성탕면도 같은 시대에 나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지만 당시에도 저 라면들과는 차이가 좀 있는 좀 더 고급 제품이었던 데다가 지금은 맛이 많이 변한 상태. 복고풍을 타고 부활한 해피라면과 삼양라면 클래식이 모두 단종됨에 따라 현재로서는 80년대 저가형 라면맛과 가장 비슷한 유일한 제품으로 소소하게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1997년 북한 동포 돕기 운동의 일환으로 북한에 보내졌다. 선정된 이유는 다른 제품보다 값이 싸면서도 열량은 490kcal로 높은 편이라서. 사실 옛날에 개발된 식품일수록 밥 대신이라는 의미를 둔 게 많다. 평양은 좀 낫다 치더라도 북한 사람의 전체적인 영양 섭취 상태는 열악해서, 곡류대 고기 비율은 우리의 70년대 초와 비슷하게 곡류가 압도적이고, 칼로리는 더 적다.

삼양라면이 원조 마케팅을 통해 조금씩 리뉴얼되면서 정가가 올라 2012년 기준 700원이 된것과는 달리, 큰 인지도 없이 명맥을 이어온 덕분에 2014년 기준 쇠고기면의 정가는 삼양라면보다 더 싼 650원으로 삼양이 생산하는 라면중 가장 싼 라면에 속한다. 가격은 스낵면과 동일하지만 양은 일반 라면 사이즈이다.

2013년 12월에 이 제품의 상위 호환 제품격인 한우특뿔면이 판매개시되었으나, 판매 부진 끝에 단종되었다.

2019년 10월 컵라면 버전이 발표되었다. 안성탕면 이후 처음 발표되는 저가형 라면의 컵라면 버전이다. 그러나 단 맛이 강해 인기는 없는 편

2022년 9월 패키지에 횡성한우 문구가 삭제되고 국내산 쇠고기로 대체되었다. 마스코트도 동일.

2023년 8월에는 쇠고기면의 상위 호환격인 제품인 맵탱 흑후추소고기라면이 출시되었다. 다만 맵기 때문에 호환이라고 보긴 어렵다.

3. 가격

가격만으로 따지면 경쟁자가 많아 보이지만 의외로 진짜 라이벌이라 불릴만한 라면은 많지 않은 독특한 포지션을 자랑하고 있다. PB상품 라면을 제외하더라도 가격으로 따지면 농심의 안성탕면, 오뚜기의 진라면, 열라면, 스낵면, 오!라면, 팔도의 팔도 도시락이 경쟁자라 할 수 있다. 다만 진라면과 열라면은 수년동안 오뚜기가 펼쳐온 마트 중심의 번들 저가 공세 + 10년 동안의 가격 동결 결과 체감 가격이 쇠고기면과 큰 차이가 나지 않는 수준이 된 것이지 저 두 라면은 원래는 신라면급의, 쇠고기면보다는 한 단계 위의 라면이다. 오히려 포지션은 스낵면이나 오!라면 등의 경쟁제품으로 보는게 맞다. 또한 안성탕면은 취향을 가리는 된장라면이 된 이후 쇠고기면과 전혀 다른 컬트한 라면이 되었고, 스낵면은 면 굵기나 국물 특징이 쇠고기면과 차이가 있다.

오히려 수 많은 PB 라면이 쇠고기면의 경쟁자와 가까운데, No Brand 라면한그릇, 이마트 민생라면, 홈플러스 소문난라면 등 각 마트별 PB 제품들이 쇠고기면과 비슷한 또는 저렴한 가격대를 가진다. 다만 이들 PB 라면의 약점은 대체로 시식후기가 쇠고기면보다 맛이 없다는 방향으로 의견이 모아진다는 것이다.

2016년까지는 식당용 박스라면으로 가장 저렴했다. 32개 분량의 스프와 면이 각각 하나로 포장돼 나왔기 때문에 값은 싸지만 진짜 식당용이다. 면과 스프는 봉지를 뜯으면 습기 먹고 산화되기 때문에, 단체여행용으로 쓰거나 어지간한 라면덕후가 아닌 이상 개인이 소지하긴 어렵다.

4.

저렴하게 국민의 배를 채운다는 삼양라면의 과거의 이상과 맛을 21세기인 지금 가장 잘 이어받고 있는 라면이다. 하지만 95년에 리뉴얼된 쇠고기면은 그 이전과는 맛이 매우 다르다. 1992년에 먼저 리뉴얼된 안성탕면과 마찬가지로 자극적인 후추맛이 사라져버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성탕면과 달리 과거의 맛을 떠올릴 정도로는 맛이 남아있어서 안성탕면처럼 과거의 맛을 기억하는 올드팬에게 지탄을 받지는 않는 편이다. 여러 식품회사에서 줄창 내놓는 프리미엄라면 사이에 몇 없는 장수 스탠다드 라면이다.

주재료가 매년 바뀜에도 맛은 거의 변함 없이 클래식한, 별 특징 없고 자극적이지 않으면서도 구수한 무난한 맛이라 취향도 잘 안타며 부담없이 먹을 수 있다. 저가형 분식집 등에서 기본 라면메뉴나 사리면 등으로 자주 쓰이는 품목 중 하나이며 생라면으로 먹기도 괜찮은 편이다. 실제로 저렴한 가격과 취향을 안타는 맛 덕분에 대학교 교내식당, 휴게소에서 이 라면을 많이 애용한다. 뽀글이로 해먹어도 맛이 꽤 괜찮은 편이며, 면도 금방 익어서 빨리 먹기에 편하다. 가성비를 생각하지 않고 순수 맛 측면에서 보더라도, 구수한 계열의 라면을 좋아한다면 평균 이상으로 만족할 수 있는 맛이다. 다만 저가 라면의 한계상 건더기 스프가 따로 없는 건 확실한 단점.

삼양식품이 대관령에 목장을 운영하고 있는 만큼 당연히 쇠고기면에는 육우가 들어갔으며, 이걸 100% 국내산 소고기 사용이라고 홍보했다. 그런데 2019년 9월 리뉴얼로 무려 횡성 한우를 사용했고 횡성군수 인증까지 받으면서 이제 육우다 뭐다 육우가 나쁘다 하는 논쟁은 의미 없게 됐다. 원래 소고기가 그렇게 많이 사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극적인 맛의 변화는 느껴지지 않으나 최저가형 라인업인데도 한우를 사용했다는 점은 어떻게 보면 놀라운 부분이다.[1]

5. 기타

처음에 상표는 삼양 쇠고기면이었다가 중간에 대관령 쇠고기면으로 살짝 바뀌었다. 이후로도 중간중간 대관령 표시는 붙였다 뗐다 한다. 라면'스프'중에 0.87% 들어간다는 쇠고기의 사정에 따라 바뀌는 것일지도 모른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가격이 싸기 때문에 이말년 만화에서 가난의 상징은 쇠고기면, 부의 상징은 무파마로 자주 나왔었다.[2] 데뷔 전 기안84와 살았던 에피소드 등에서 쐬고기면이라는 이름으로 종종 등장하는데, 무명 시절에 먹던 애증의 음식 포지션을 맡았다. 이말년의 오너캐 혹은 여타 캐릭터가 쇠고기면을 끓이거나 부숴서 먹는 장면이 자주 나온다.

예전 라면봉지 디자인에서는 폰트가 지금과 달랐는데 '쇠'자가 로 보였다. #

파일:external/gndmall.co.kr/%EC%98%A4)%EC%87%A0%EA%B3%A0%EA%B8%B0%EB%A9%B4.jpg

오뚜기에는 유사제품인 "쇠고기 라면"이 있다. 일반 소매점에서의 판매는 거의 이뤄지지 않고 업소나 급식소에서 사용되는 덕용 제품으로만 공급이 이뤄지고 있다. 인터넷 오픈마켓에서 구입 가능하다. 맛은 삼양 쇠고기면과 비슷한 편이다. 고속도로 휴게소의 라면은 기본적으로 오뚜기 쇠고기 라면인데, 스프만 업소용으로 대량으로 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3]

중국의 대중적인 면 요리인 우육면은 단어 자체가 쇠고기면이라는 의미이지만, 인스턴트 라면으로만 알려진 한국의 쇠고기면과는 태생 자체가 다른 음식이다.


[1] 소뼈나 소기름 등의 부산물을 사용해도 해당 원산지의 표기가 가능하다. 즉 횡성한우라고 해서 우리가 생각하는 꽃등심 같은 부위는 당연히 아니다. 다만 한우는 부산물도 비싸니 의미가 없는 것은 아니다.[2] 사실은 구로막차오뎅한개피에 이 드립이 먼저 나왔었으나 아무도 모른다.[3] 다만 한국도로공사 소속 고속도로 휴게소는 최근 들어 휴게소 물가 안정화를 위해 자체브랜드인 휴休라면을 출시하여 해당 제품이 계속 공급되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