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6 19:30:40

슈렉 시리즈/등장인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슈렉 시리즈
파일:Shrek-Series_krlogo.png
시리즈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59a82b><colcolor=#fff>
파일:Shrek-Series_logo.png
슈렉/줄거리 · 슈렉 2/줄거리 · 슈렉 3 · 슈렉 포에버 · 슈렉 5
파일:PussinBoots-Series_logo.png
영화: 장화신은 고양이 · 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줄거리
TV 시리즈: 장화신은 고양이의 신나는 모험
하위 문서
등장인물 · 뮤지컬
}}}}}}}}} ||


1. 주연2. 조연3. 1편 등장 캐릭터4. 2편 등장 캐릭터5. 3편 등장 캐릭터6. 포에버 등장 캐릭터7. 5편 등장인물8. 장화신은 고양이 시리즈 등장 캐릭터9. 뮤지컬 등장 캐릭터10. 기타 등장 캐릭터

1. 주연

2. 조연


파일:[극장판][가족][명작][더빙]슈렉 1 [Shrek 1][720화질].mp4_001064433.png
  • 마법의 거울
    백설공주에 나왔던 그 마법의 거울로, 파콰드 영주에게 신부 후보의 공주들을 보여주는 등의 역할을 한다.
    파콰드 영주의 요청으로 인해 피오나 공주만 보여주는 TV 셔틀이 되어버리고 그 이후에는 슈렉의 집에 놓여져 있어 일종의 TV 역할로 나오기도 한다.[2] 3편에는 등장이 없다. 포에버에는 럼플의 소유로 나오고 슈렉 일행을 잡으라는 럼플의 선동 셔틀이 된다. 성우는 이호인.

3. 1편 등장 캐릭터


파일:[극장판][가족][명작][더빙]슈렉 1 [Shrek 1][720화질].mp4_001124133.png
파일:20200907_222359.png
  • 신데렐라
    역시 1에서 파콰드 영주의 신부감 후보로 언급되었다[사실]. 결말에서는 허니문을 떠나는 피오나가 던진 부케를 두고 백설공주와 싸우는데 뺨을 찰지게 후려 갈기지만 용에게 빼앗긴다. 3에서도 등장하며, 날카롭게 간 유리 구두[4]로 부메랑을 던지는 모습을 보였다. 성우는 에이미 세다리스(Amy Sedaris)[5], 더빙판 이현선.[6]

파일:[극장판][가족][명작][더빙]슈렉 1 [Shrek 1][720화질].mp4_000369100.png
  • 동키의 주인
    동키의 전 주인. 동화 속 인물을 팔면 돈을 받는다는 것을 알고 '말하는 당나귀' 동키를 파콰드의 부하들에게 팔아넘기려고 한다. 하지만 평소에는 엄청 시끄러운 동키가 막상 내다팔려고 데려가자 아무 말도 하지 않아서 사기꾼이 될 위기에 처했다. 다급해진 나머지 동키를 흉내내는 복화술을 하지만 바로 끌려나간다(...). 바로 직전에 동키를 위협하거나 평소에 때렸다는 묘사도 있는데, 이 노파가 원래 성격이 더러운 것인지, 입을 멈추지 않는 동키 때문에 괴팍해진 것인지는 모른다. 성우는 나수란.

파일:20200907_224056.png
  • 팅커벨

파일:Tragic-three-bears-story-embedded-in-shrek-1-702-1342043773-2_big.jpg
  • 세마리의 곰 가족
원작은 곰 세마리. 둘락의 동화 속 인물들 처분 정책에 포함되어 있으며, 후에 엄마곰은 파콰드의 카펫이 된다. 어떻게 보면 슈렉 일행이 자신들의 가족을 죽인 원수를 처단한 셈. 장화신은 고양이 2의 그 곰가족과는 다르다.

4. 2편 등장 캐릭터


파일:[극장판][가족][명작][더빙]슈렉 2 [Shrek 2][720화질] (2).mp4_000183733.png
  • 빨간 망토
원작은 빨간 망토. 헨젤의 허니문 하이드어웨이 신혼여행집에서 노크하다가 슈렉과 피오나 공주가 나오자 비명을 지르더니 바구니를 내던진 채로 삼십육계 줄행랑을 친다.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Shrek_kissing_Ariel.jpg
파일:[극장판][가족][명작][더빙]슈렉 2 [Shrek 2][720화질] (2).mp4_004067366.png
  • 몽고
    슈렉이 왕궁에 진입하기 위해 머핀맨이 만든 거대 진저브레드. 하지만 덩치와 다르게 느리고 순진한 성격이며, 왕궁으로 진입하는 도중 스타벅스 커피컵 모형물을 마시려고 하는 등의 어리버리한 모습을 보인다. 성문을 열다가 병사들의 거품을 붓는 공격으로 팔이 떨어져 해자에 묻혀진다.[7] 우는 진저브레드에게 "착하게… 살아라….(Be… Good….)"라는 유언을 남긴다.[8] 이후 성 해자에서 물에 풀어져 사망한다.[9] 원본인 진저브레드와 똑같이 몸통에 있는 사탕 단추가 떨어지는 것을 아주 싫어해서 병사들의 캐터펄트 공격으로 하나가 떨어지자 고질라와 비슷하게 포효했다.

파일:20200907_224328.png
파일:20200907_224501.png
  • 잠자는 숲속의 공주
    원작은 잠자는 숲속의 공주. 2와 3에서 등장한다. 2에서는 등장하자마자 잠들어 레드 카펫에 퍽 쓰러진 모습으로 까메오로 첫 출연한다. 3에서는 살짝살짝 잠이 오는 느낌으로 등장하며, 성으로 쳐들어갈 때 잠을 자는 것을 역이용해서 병사들을 쓰러뜨리는 위엄을 보인다. 기면증이 있는지 늘 졸린 모습으로 나온다. 성우는 이현주.
  • 엘프 접수원
    슈렉 일행이 요정 대모를 만나러 갔을 때 요정 대모는 부재중이라고 응대한 직원, 하지만 직후 요정 대모가 커피와 간식 심부름을 시키고 오늘은 아무 고객도 받지 않는다고 말을 바꾼다. 그러자 슈렉 일행이 우린 전(全)마법산업노조에서 온 조합원들이고 혹시 고용주로부터 부당한 대우나 모욕을 당한 적 있냐고 묻자 태도를 180도 바꿔 우린 치과보험도 없다고 한탄한다. 슈렉이 우리가 온걸 요정대모가 모르는게 좋겠다고 하자 당연히 동의하고 길을 안내해준다. 기사들과 마찬가지로 사회 풍자 장면.

5. 3편 등장 캐릭터


파일:20200907_225645.png
  • 멀린
    아서 왕 전설에 나오는 그 인물을 패러디한 마법사. 아서가 다니던 학교에서 마법 수업을 가르치고 있었지만 모종의 이유로 퇴직해[14] 지금은 어느 바위 밑에서 지내고 있다. 괴짜에 돌팔이 기질이 많이 보이지만 그래도 누구보다도 아서를 존중해 주기 때문에 아서와 매우 친하다. 마법으로 슈렉 일행을 순간이동시켜 주지만 그 과정에서 실수로 동키와 장화신은 고양이의 영혼을 맞바꿨다.[15] 모든 일이 다 끝나고 다시 재회하게 됐을 때 원래대로 고쳐준다.[16] 성우는 이호인.

  • 악당들
파일:20200907_230746.png
파일:20200907_231216.png
  • 사이클롭스
    도리스의 술집 직원 외눈으로 누가 누구인지 척척 맞추며, 외동딸 하나를 두고 있다. 성우는 이광수.

파일:20200907_230139.png
  • 백설공주의 왕비

파일:20200907_230248.png
  • 마벨
    신데렐라의 맏언니. 도리스를 대신해 술집을 운영하고 있다. 성우는 서문석.

파일:[SHANA]Shrek.the.Third.2007.1080p.BluRay.x264.mp4_003140929.png
  • 나무 귀신
  • 럼펠스틸스킨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500dc03f4bab11694af10e054aae2b35.jpg
  • 동키의 자식들
    2편 쿠키영상에서 첫 등장한다. 드래곤의 자식이라 불도 뿜을 줄 알지만 아직 어린애들이라 작중에서 활약은 없다.

파일:[SHANA]Shrek.the.Third.2007.1080p.BluRay.x264.mp4_001316273.png

6. 포에버 등장 캐릭터

파일:[극장판][가족][명작][더빙]슈렉 4 [Shrek Forever][720화질].mp4_001702733.png
  • 피피
    럼플의 자가용 거위이자 애완동물. 몸집이 크고 이빨까지 있는데다 대소변이 지독하다. 첫 장면에서는 보통 거위의 크기지만 슈렉이 럼플을 만날 때부터 엄청 커졌다.
    엔딩에서는 피오나 공주의 노랫소리에 의해 터진다. 1편에서도 피오나가 작은 새에 앞에서 노래부르다가 작은 새가 노랫소리에 자폭했을때와 비슷하다.

파일:20200907_231913.png
  • 파클, 퍼거스, 펠리시아
    피오나 공주가 낳은 아기들. 3의 맨 마지막에 등장한다. 순서는 포에버 후반 장면에서 퍼거스가 장남으로, 파클이 차남으로, 펠리시아가 장녀로 언급된다. 여담으로 펠리시아는 포에버에서 간접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17]

파일:[극장판][가족][명작][더빙]슈렉 4 [Shrek Forever][720화질].mp4_003718300.png
파일:[극장판][가족][명작][더빙]슈렉 4 [Shrek Forever][720화질].mp4_004335033.png
  • 오우거 종족들(부대장은 브로건, 요리사는 쿠케일)
    럼플로부터 겁나 먼 왕국을 구하기 위해 피오나 공주로부터 저항군을 세운다. 그 이전에 슈렉이 포로로 잡혔을 때 마녀들의 노예들로 첫 등장했다. 성우는 브로건은 곽윤상, 쿠케일은 김정은. 여자 오우거는 전숙경

파일:[극장판][가족][명작][더빙]슈렉 4 [Shrek Forever][720화질].mp4_001693400.png
  • 마녀들
    마녀 빈민촌에 살던 마녀들. 럼펠이 조작한 세상에서 럼펠의 부하들이 된다. 1, 3편, 장화신은 고양이 2에서 마녀들이 나오나 동명이인들..

파일:[극장판][가족][명작][더빙]슈렉 4 [Shrek Forever][720화질].mp4_000650600.png
  • 버터팬츠 성우는 ?/ 엄상현.
    어느 슈렉 팬의 아들. 슈렉 파티 도중 슈렉 앞에서 시도때도 없이 "으아! 해요(Do the Roar)!"하면서 슈렉의 속을 벅벅 긁어댄다. 슈렉은 자신의 아이들 앞인지라 "괴물들은 무지 화났을 때만 으아! 한단다"하면서 최대한 애를 달래보지만 소용이 없었고[18] 결국 여러 사고가 잇달아 터지자 슈렉은 아들 소원대로(?) 으아! 하게 되는데, 이때 아빠에게 "사랑해요, 아버지!"[19]하며 감사를 표한다. 럼플에 의해 조작된 평행세계에서 트롤 한마리를 잡아 슈렉이라고 사기치는 장면이 나온다. 마지막에 드롱키 한마리의 등에 탄다.

7. 5편 등장인물

8. 장화신은 고양이 시리즈 등장 캐릭터

8.1. 장화신은 고양이(영화)

  • 잭(성우: 빌리 밥 손튼/정승욱/츠지 신파치) & 질(성우: 에이미 세다리스/이계윤/츠다 마사미)
    전래동요 잭 & 질의 주인공들. 아기 멧돼지 7마리를 데리고 다닌다. 푸스 일행이 그들이 있는 마차를 습격해 마법의 콩 세 개를 훔친다. 하지만 이들은 총까지 쏘면서 끝까지 따라왔고 결국 하늘에서 내려온 거대 거위한테 밟혀 결국 입원한다(...) 작중에선 은근히 금슬이 좋은부부로 묘사되며 평소 아이를 갔고 싶어하다가 끝내 새끼 되지 한마리를 슬하의 자식으로 두게되었다.
  • 이멜다(성우 : 콘스턴스 마리/임은정/야마가타 카오리): 성 이카르도 고아원의 원장. 고아들을 돌봐주고 있으며 푸스에겐 양어머니격 존재.
  • "잭" 콩나무 앤디(성우 : 마이크 미첼): 잭과 콩나무의 주인공 잭. 본명은 앤디지만 친구들에겐 잭이라고 불린다. 지금은 빼빼 마른 백발 노인.
  • 황금알을 낳는 거위: 고양이들보다 약간 큰 거위 병아리의 모습. 그런데 몇 분 정도 간격으로 사람 양손에 가득차는 크기의 거대한 황금덩어리 알을 뿜뿜 낳는다. 속도나 양으로 보면 알이라기보다는 똥에 가까울 지경(...).
  • 황금알을 낳는 거위의 엄마 거위: 작 중 내 호칭 '마더 구스'. 매우 거대한 모습으로 나오는데, 그 모습을 보면 슈렉 포에버에 나오는 럼플의 애완동물 '피피'의 크기가 커진 모습을 하고 있다.

8.2. 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

  • 베이비 베어 - cv.샘슨 카요 / 김현욱
  • 마을 의사 - cv.안토니 멘데즈 / 이상범
  • 마마 루나 - cv.더바인 조이 랜돌프 / 김보나

9. 뮤지컬 등장 캐릭터

파일:[SHANA]Shrek.the.Musical.2013.1080p.BluRay.x264.YIFY.avi_006971266.png
  • 그럼피
파콰드의 아버지이자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에 등장하는 난쟁이 '심술이'의 패러디. 마지막에 아들인 파콰드를 규탄한다.
  • 피터팬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의 토끼
  • 모자장수

10. 기타 등장 캐릭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5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5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주연들 중 유일하게 1편에 등장하지 않았다. 2편에서부터 등장.[2] 심지어 보여주는 프로그램이 생방송인데도 되감기까지 된다.[사실] 원작에서 신데렐라는 계모에게 구박받다가 왕자와 결혼해서 왕족이 된것이기에 왕족이 되려는 파콰드의 계획에 신데렐라는 포함될 수 없다. 물론 영화만의 설정일수도 있다.[4] 말이 유리 구두지 작중 묘사를 보면 그라인더로 갈 때 불똥이 튀는 등 강철에 가깝게 묘사된다.[5] 훗날 장화신은 고양이에서 질의 성우를 맡는다.[6] 원수동네에서 만든 신데렐라에서 새언니인 아나스타샤 트리메인을 맡았다.[7] 팔이 떨어진 것은 두 번째 공격 때이다. 첫 거품 공격 때는 몽고의 머리에 거품이 근세 절대왕정시대 가발 모양으로 덮혀진 개그성 장면이 나왔다. 이 직후 병사 한 명이 "더 뜨겁게, 거품을 줄여라!"(More heat, less foam!)라고 지시하는데, 외국에서는 의외로 인기가 많은 대사이다.[8] 한국 더빙에서는 "안…녕…."으로 번역했다.[9] 최소한 마지막에 정리되고 Livin' da Vida Loca 공연을 할 때까지는 살아있었다. 하이라이트 부분을 부르는 것이 인상적이다.[10] 초반에 열기구에서 슈렉 일행을 추격하는걸 보도할 때 나오는 말은 OJ 심슨 사건당시 경찰이 OJ 심슨을 추격할 때 나온 말의 패러디이다. 또한 열기구에 F.A.P.D라고 적혀있는데 겁나 먼 왕국이 로스앤젤레스를 패러디한 것처럼 이 역시 LAPD 패러디다.[11] 벽엔 그래피티가 그려져 있다.[12] 페퍼 스프레이의 패러디이다.[13] 백인을 페퍼 스프레이로 진압하고, 흑인을 무력으로 진압하며 과잉 진압을 연상케 하고, 히스패닉에게서 마약을 발견하는등 사회 풍자를 한거다.[14] 아서가 말하길 건강상의 이유라고 한다. 그런데 본인의 말로는 건강 문제도 있긴 하지만 도를 닦기 위해 자진해서 퇴직했다고 한다.[15] 이때 동키가 부작용 얘기를 듣고 놀란 나머지 장화신은 고양이와 손을 잡는 바람에 그랬다. 반면, 슈렉과 아서는 손을 잡지 않아 멀쩡했고, 가만히 있어도 영혼이 맞바뀌었다면 슈렉과 아서도 똑같이 휘말렸어야 했다.[16] 그런데 정상으로 돌아온 듯 보였지만 뒤를 돌자 둘의 꼬리가 서로 바뀌어 달려 있었다(...).[17] 극중에서 슈렉이 럼펠과의 계약으로 인해 세상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뼈저리게 느끼게 만든것도 바로 펠리시아의 인형이었으며, 마지막 장면에서 슈렉과 피오나의 영원한 사랑과 그 결실을 나타낸것도 다름 아닌 펠리시아의 인형이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펠리시아란 이름도 라틴어로 “행복하다”, “운좋다”를 뜻한다 피오나가 딸아이는 펠리시아라고 짖고 싶었다는 대사로 미루어 보아 슈렉의 가족애와 피오나의 행복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18] 처음엔 그냥 약하게 "으아"했으나 "맘에 안들어(I Don't Like It)!"라며 찌푸리기도.[19] 더빙판에선 "사랑해 아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