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5 09:28:46

젤다(젤다의 전설 스카이워드 소드)

스소 젤다에서 넘어옴
ゼルダ / Zelda
파일:SS젤다.png 파일:Princess_Zelda_Artwork_2_(Skyward_Sword).png
비행 의식[1] 무녀복
1. 개요2. 상세3. 작중 행적4. 여담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초대 젤다 버전 젤다의 자장가[2]

성우는 시마무라 유.[3]

젤다의 전설 스카이워드 소드의 중심 인물. 링크의 가장 절친한 소꿉친구이자[4] 연인. 기사학교 교장이자 스카이로프트의 실질적 수장인 게포라의 외동딸이다.[5]

2. 상세

천공섬 스카이로프트의 촌장 게포라의 외동딸이자, 본작에서는 링크와 어린 시절부터 함께 자란 소꿉친구 사이다. 그 덕분에 링크에게 깊은 애정을 가지고 있으며, 잠꾸러기인 링크를 깨우려고 자기 로프트버드를 보내는 등 누구보다도 링크를 잘 챙겨주는 면모를 보인다. 둘의 이런 친밀한 관계는 다른 어떤 젤다 시리즈보다도 독보적인 수준으로, 젤다만큼이나 링크도 젤다를 아끼기 때문에 서로를 위한 일이라면 목숨조차 마다하지 않고 몸을 던지는 헌신적인 면모가 부각된다. 덕분에 스토리 내내 이 둘의 관계가 중점적으로 조명되며, 엔딩에 이르러서는 로맨틱한 관계로 발전할 것임이 암시된다.

촌장의 외동딸이지만 다른 또래들과 큰 격식 없이 친근하게 지내고, 스카이로프트가 큰 이변 없는 평화로운 섬이기에 활달하고 발랄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덕분에 평소에 잠이나 자면서 게으름을 피우는 링크를 언제나 챙겨주고, 비행 의식이 끝난 이후 먼저 데이트를 제안하는 등 적극적인 면모가 부각된다. 외모에 대해서는 링크와 마찬가지로 굉장한 미녀로 묘사되며, 기사학교 학생인 버든의 열렬한 짝사랑의 대상이기도 하다. 다만 본인은 링크 말고는 별 관심이 없어서 버든에게 귀찮게 굴지 말라며 성가셔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후 지상에 정착한 이 둘과 그 후손들이 훗날 하이랄을 건국하는 초대 왕가로 추정되며, 거기에 더해 종언자의 저주가 "여신의 를 이은 자의 영원한 윤회" 임을 생각해보면 훗날 있을 모든 젤다 공주들의 최초 전생이자 조상으로 여겨진다.

3. 작중 행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젤다(젤다의 전설 스카이워드 소드)/작중 행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여담

기존에 출시된 젤다 시리즈의 면면을 살펴보면 젤다는 가논돌프나 여타 서브 악당들에 의해 붙잡히거나 저주에 걸려 링크가 구해야 하는 피랍자 혹은 퀘스트 자극제로 등장했지만, 이번 젤다는 링크 못지않는 사명을 갖고 있었고 두 번째 여행부터는 임파와 함께 링크와 플레이어가 안 보이는 곳에서 제 할 일을 열심히 수행하였다.

이번 작에는 이전까지의 전통을 모두 깨버리고 하이랄 왕국의 공주가 아닌 링크와 똑같은 스카이로프트 시민이자 소꿉친구라는 설정이었지만 중후반부로 넘어갈 즈음에 인간으로 환생한 하일리아 여신으로 신분이 상승했다.

이번 작에서는 젤다와 링크의 로맨스가 주요 소재이고 그러한 대놓고 묘사되어 있어서 팬들도 엄청난 양의 팬아트를 만들었다.

젤다가 혈통을 타고 이어진다는 점을 감안해 보면 하이랄 왕가의 조상님의 위치에 있다. 만일 링크가 남편이 되었다면 초대 링크, 초대 젤다는 하이랄 왕가의 선조이며 젤다가 여신 하일리아의 환생이라는 점을 감안해 보면 하일리아 역시도 하이랄 왕가의 조상인 셈이다.

티어스 오브 더 킹덤하고 시열대가 이어진다면 티어스 오브 더 킹덤에 나오는 하이랄 왕국의 초대 왕비 소니아가 후손으로 추정된다. 숨결의 용사 쪽 하이랄 왕국의 초대 왕이 하일리아인이 아닌 이종족으로 밝혀졌으니 여신의 혈통이 야숨~왕눈 본편의 젤다에게까지 이어지려면 왕비인 소니아 쪽이 초대 젤다의 후손일 수밖에 없기 때문.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362c2b><tablebgcolor=#362c2b> 파일:Royal_Crest_TP.png젤다의 전설
등장인물
}}}
[ 펼치기 · 접기 ]
주역

링크(소년 링크 · 툰링크 · 울프/황공 · 스소 · 야숨 · 무쌍)
젤다(시크 · 테트라 · 툰젤다 · 스소 · 야숨 · 무쌍)
가논돌프(야숨 · 왕눈)
단골

임파 · 꼬꼬 · 하이랄 왕 · 데크나무 · 에포나
마론 · 단페이 · 행복의 가면 상인 · 팅글 · 테리
조력자

나비 · 채트 · 붉은 사자 왕 · 에제로
미드나 · 시에라 · 파이
대표 악역

다크 링크 · 악몽의 그림자 · 무쥬라의 가면
구후 · 베라무 · 말라더스
봉인된 괴물 · 시스터 레이디
악역

아그님 · 트윈노파 · 스탈키드
고르곤 · 베란 · 젠트 · 콜 총리 · 바이런
기라힘 · 유가 · 코가님
기타

마린
사리아 · 루토 · 다르니아 · 나볼
아릴 · 메들리
일리아 · 호나 · 라인백 · 버든 · 하일리아
라비오 · 힐다
수수께끼의 노인 · 미파 · 리발 · 다르케르 · 우르보사 · 시드 · 테바 · 윤돌 · 마키·아·루쥬 · 카시와
튤리 · 라울 · 소니아 · 미넬
외전

링클 · 시아 · 라나 · 발가 · 위즈로 · 아스톨
메인 시리즈 일람



[1] 이 차림새는 젤다무쌍의 젤다가 입고 나오는 복장 중 하나다.[2] 해당 곡은 젤다 공주들이 공유하기에 딱히 전용 테마곡은 아니지만, 젤다 중 따로 문서가 분리된 데다가 해당 곡은 게임마다 약간씩 다른 만큼 이 버전은 이 캐릭터의 테마곡으로 간주해 별개로 기입한다.[3] 파이와 중복 캐스팅이다. 극중에 하일리아의 발라드를 부르기 때문에 제작진이 임시 개발해 둔 고대 하일리아어(가상의 언어이다.)로 연기하는 부분이 일부 들어가 있다. 훗날, 시마무라 유는 훗날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티어스 오브 더 킹덤에서도 젤다 공주를 연기하게 된다. 해당 젤다 공주에 대해서는 젤다 참고.[4] 황혼의 공주에서의 링크의 소꿉친구인 일리아의 포지션과 우리가 흔히 아는 전통적인 젤다의 포지션을 그대로 융합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번 작의 젤다는 여태까지 봤던 젤다와는 다르게 존댓말도 안 쓰는 데다 분위기도 평민적이고 활발해서 전통적인 젤다와 확연히 다르다는 걸 구분할 수 있다. 젤다와 일리아 모두 마을 촌장의 딸들이고 특히 성격이 고집스럽고 적극적이며 링크가 그녀의 잔소리에 찍소리도 못하고 그대로 당하고 만다는 유사점이 있다.[5] 다시 말해 소규모 단위의 마을의 귀한 영애가 되지만, 이런 특징에 구애 받지 않고 대등한 마을 사람으로서 취급 받는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5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5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