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5 23:09:46

스웨덴 사회민주노동자당

{{{#!wiki style="margin: -7px -10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6AA7><tablebgcolor=#006AA7>
파일:스웨덴 의회 로고.svg
스웨덴 의회
원내 구성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크리스테르손 내각
(2022 ~ 현재)
연립 여당
파일:온건당 흰색 로고.svg
온건당

68석
파일:기독교민주당(스웨덴) 흰색 로고.svg
기독교민주당

19석
파일:스웨덴 자유당 흰색 로고.svg
자유당
16석
신임 공급
파일:스웨덴 민주당 흰색 로고.svg
스웨덴 민주당

73석
야당
파일:스웨덴 사회민주노동자당 흰색 로고.svg
스웨덴 사회민주노동자당

107석
파일:스웨덴 중앙당 흰색 로고.svg
중앙당

24석
파일:스웨덴 좌파당 흰색 로고.svg
좌파당

24석
파일:스웨덴 녹색당 흰색 로고.svg
녹색당

18석
재적
349석
}}}}}}}}}
파일:스웨덴 사회민주노동자당 로고.svg
Sveriges Socialdemokratiska Arbetareparti[1]
<colbgcolor=#ffffff,#000000><colcolor=#ED1B34> 약칭 <colbgcolor=#fff,#1c1d1f>SAP, S
한글명칭 스웨덴 사회민주노동자당
영문명칭 Social Democratic Workers' Party of Sweden
슬로건 Vårt Sverige kan bättre.
우리 스웨덴은 더 잘할 수 있다.
창당일 1889년 4월 23일
주소
대표 마그달레나 안데르손
원내대표 안넬리 칼손
사무총장 토비아스 바우딘
의회 의석수
107석 / 349석 (33.3%)
유럽의회 의석수
5석 / 21석 (23.8%)
지방의원
523석 / 1,696석 (28.7%)
지방자치의원
3,752석 / 12,700석 (27.5%)
상징 색 적색
유럽 정당 유럽 사회당
유럽의회 교섭단체 사회민주진보동맹(S&D)
국제 조직


북유럽 국제조직 사회민주 노동운동 합동위원회(SAMAK),
사회민주 그룹(The Social Democratic Group)
학생 조직 스웨덴 사회민주주의 학생
청년 조직 스웨덴 사회민주청년연맹
여성 조직 스웨덴 사회민주여성
종교 조직 스웨덴 종교사회민주당원
LGBT 조직 스웨덴 LGBT 사회민주당
당원 수 75,000명(2021년 기준)
이념 사회민주주의[2]
페미니즘
역사적 :[A]
민주사회주의[4]
정치적 스펙트럼 중도좌파[5][6][7]
역사적:[A]
좌익
웹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스웨덴 사민당 포스터.jpg
우리는 함께, 우리 스웨덴을 더 좋게 만들 수 있습니다[9]
1. 개요2. 이념3. 역사
3.1. 초창기3.2. 페르 알빈 한손 당 대표 기간
3.2.1. 계급정당에서 국민정당으로3.2.2. '스웨덴 모델'을 만들다3.2.3. 전쟁소용돌이에서 중립을 지키다
3.3. 타게 엘란데르 내각3.4. 올로프 팔메 내각
4. 역대 당 대표5. 선거결과
5.1. 스웨덴 의회 선거결과5.2. 유럽의회 선거결과

[clearfix]

1. 개요

파일:Magdalena Andersson.png
스웨덴중도좌파 사회민주주의 정당.

1889년 창당한 이래 스웨덴에서 가장 오래된 정당이며, 가장 규모가 큰 정당이고 가장 오래 집권해온 정당이다. 집권 기간 동안 북유럽 복지국가모델의 전형으로 불리는 국민의 집 보편 복지 시스템의 제도화를 주도하며 사실상 오늘날의 복지국가 스웨덴을 만드는데 가장 크게 일조하였다.

정치에 대한 신뢰와 사회민주주의에 대한 지지가 높은 스웨덴 국민들로부터 폭넓은 인기를 얻고 있다. 이 지지에 힘입어 1914년 9월 총선 이후 100년 넘게 이어진 30회 이상의 총선에서 단 한 번도 원내 제1당 지위를 놓쳐본 적이 없는 정당이 되었다. 다만 단독 과반 의석 확보는 별로 없었고 내각제 특성상 연립정부를 구성해야 집권할 수 있기에, 단일 정당으로는 제1당을 계속 유지했지만 집권에 실패하여 야당으로 지낸 적도 여러 번 있었다.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진보동맹에 소속되어 있다. 정식 당명은 스웨덴 사회민주노동자당이지만 한국에서는 그냥 스웨덴 사회민주당이라고 부르며, 스웨덴 사민당이라는 약칭으로 통용하고 있다.

2. 이념

사회민주주의를 표방한다. 이른바 '폴크헴메트(국민의집)'이라 일컬어지는 세계 최고 수준의 복지국가 스웨덴을 만들었다. 스웨덴/복지 문서도 참조.

특히 타국의 중도좌파 사민주의 정당들과 비교해서 진보 색채가 더 선명한 편이다.[10] 사회 정책으로도 진보 색채가 여실히 드러나는데 타국 중도좌파 정당들과 비교해봐도 페미니즘을 적극적으로 내세우며, 타협과 연대의 공동체를 강조한다. 난민에게도 동정적인 편이다.[11]

올로프 팔메 전 총리 시기에는 급진적인 정책 노선을 보여 좌익 정당으로도 볼 수 있었으나 21세기 들어 시장자유주의적 요소를 수용하고 있고, 미국 민주당 내 민주사회주의자들조차도 자국 내 좌파당과 비슷하게 보고 거리를 둘 정도로 상당히 온건해졌다.#

3. 역사

1920년대 이후 20세기 거의 대부분을 스웨덴에서 집권했다. 1917년부터 1926년까지 첫 집권하였고[12], 1932년부터 1974년까지 장기집권하였으며[13] 이 시기에 그 유명한 스웨덴식 복지 시스템[14]을 구축하였다. [15] 1974년 총선에서 패배하면서 실각하게 되었지만 1982년 총선에서 재집권하였으며 1980년대 말부터 90년대 초반까지의 경제불황의 여파로 1991년 총선에서 패배하며 정권을 상실했다. 그러나 오래지 않아 1994년 총선에서 재집권하였고 2006년까지 또다시 장기집권을 하다가 2006년 총선에서 우파연합에게 패배하였다가 2014년 총선에서 다시 재집권하여 2022년까지 집권하고 있다. 집권기간과 횟수로 봐도 스웨덴에서 다른 정당 대비 압도적인 영향력을 가졌다. 사실상 현대 스웨덴 정치, 사회, 문화 전반의 기틀을 닦은 정당인 셈.

3.1. 초창기

초기 스웨덴 사회민주주의의 경우, 독일과 덴마크 사회민주주의의 영향으로 1889년에 당시 의류점 직원이었던 인물에 의해 설립되어진다.

특히 스웨덴 남부의 말뫼 지역에서 먼저 생성되었는데, 이는 덴마크의 수도 코펜하겐과 말뫼의 거리 차이가 그닥 나지 않기 때문도 있었다.

3.2. 페르 알빈 한손 당 대표 기간[16]

3.2.1. 계급정당에서 국민정당으로

1921년 당수로 취임한 페르 알빈 한손1928년 총선에서 스웨덴 공산당(좌파당)과 협력하면서 노동자 계급정당을 내세웠으나 패배한다. 일단 보수적인 부르주아 정당들이 공산당과의 협력관계를 문제삼으면서 전반적인 지지를 받는 것에 실패했기 때문이다.[17] 그래서 한손은 조직과 노선의 전반적인 재정비를 단행하였다. 우선 핵심적인 조직기반인 LO[18]내의 공산주의자의 영향력을 차단하고, 계급투쟁과 같은 단어 대신에 인민[19]을 자주 사용하면서 다양한 계층으로의 지지기반의 확대를 도모하였다. 또한 1931년 헬싱란드 지역의 파업에서 시위진압으로 동원된 군이 민간인 5명을 죽인 사건에서, 당내의 급진파[20]의 반발을 무릅쓰고, 무리한 진압을 한 정부를 비판하면서 시위를 진압한 공산주의자에게도 책임을 주장하기도 하였다. 이것으로 다시 분당까지 일어날 뻔 했지만 타협안이 마련되면서 일단 마무리 되었고, LO의 지도부 교체를 통해 사회민주노동자당과의 결속을 강화시키며 공산주의자의 영향력을 축소하는데에 성공한다. 그리하여 이듬해인 1932년 치러진 총선거에서 성공하여 집권에 성공한다.

3.2.2. '스웨덴 모델'을 만들다

1932년 총선 직전 대공황의 여파가 강하던 당시에 치러진 전당대회에서 급진파의 생산수단 소유의 사회화 주장과 한손과 지도부의 제한적 위기 관리정책을 통한 경제위기 극복 주장이 충돌했었다. 이와중에 당내 급진파에 영향력이 있던 에른스트 비그포르스가 사회화와 계획경제가 서로 다르며 사회화 없는 계획경제 추진이 가능하다는 점을 주장하였고 이를 수용하였다. 집권 직후부터 실업대책과 농민에 대한 보호 지원정책[21]을 시작하였고, 1934년에는 실업보험제도를, 1937년에는 모성보호지원금제도와 1938년에는 2주 유급휴가제 같은 다양한 사회복지제도를 도입하였다.

노사관계에서도 사회민주노동자당이 집권한 이래, 노사갈등은 이어졌다. 그래서 부르주아 정당들은 사회민주노동자당에게 압박을 가하였다. 사회민주노동자당 정부는 입법조치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뜻을 전달했다. 노조인 LO는 이러한 입법조치를 통한 정부의 개입이 노조의 자율성을 떨어트릴 것이라고 생각하였고, 경영자 단체인 SAF 또한 LO와 사회민주노동자당이 어느정도 연관이 있는만큼 유리한 입법조치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리하여 몇년간의 협상 끝에 1938년 LO와 사용자 단체인 SAF가 자율적 협상으로써 스웨덴의 휴양도시 살트셰바덴에서 일명 '살트셰바덴 협약'을 마련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정부의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노사의 자율적인 문제 해결이 가능하게 되었다.

3.2.3. 전쟁소용돌이에서 중립을 지키다

1939년 11월 소련핀란드침공할 당시, 군부와 외무부를 중심으로 개입을 해야 한다는 여론이 형성되었다. 그러나 당시 내각은 외무부 장관까지 자진 해임하게 하면서 피를 보지 않으려고 노력하였다. 다만 군수물자와 필수품을 지원하고 민간인이 의용대를 조직해 파병하는 수준의 개입은 눈감아 주었다.

그해 12월에는 안정된 국가운영을 위한 거국내각[22]을 수립하였다. 그러면서 독일과의 무역협정을 체결해 철강을 독일로 수출하였다. 이후 독일이 노르웨이마저도 점령하고 1941년 6월에는 독일군의 스웨덴 영토 통과도 승인하게 되었다. 이후 1943년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독일이 패배하자 방향을 바꾸었다. 우선 연합국이 독일군의 이동열차의 횡단 중단 요청을 승인하였고, 철강 수출 규모도 줄여나갔다.

1939년에서 1945년에 이르는 기간 동안 스웨덴의 중립정책은 철저한 중립은 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중립정책은 당내에서도 불만이 제기되었고, 일정부분 도덕적인 상처도 입게 되었다.[23] 그러나 덕분인지 스웨덴은 당시 불구덩이 유럽 한복판에서도 전쟁의 참화를 당한 이웃국가 노르웨이덴마크와는 달리 이를 면할 수 있었다. 또한 한손은 잦은 라디오 연설을 통해 국민들을 위로하고 격려했으며, 이것은 정치적으로 스웨덴을 구하려고 노력하는 이미지를 구성했으며 그와 사회민주노동자당 그리고 거국내각의 지지를 높이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

1944노르망디 상륙 작전바그라티온 작전을 통해 독일군의 패색이 짙어진 가운데 사회민주노동자당에서는 LO와 같이 전후 스웨덴 경제의 운영방향인 '노동운동의 전후 강령'을 작성하였다. 금융시장의 공적 통제와 국영 상업은행의 신설, 국가 주도의 산업 합리화 그리고 독과점적인 시장구조를 가진 기업이나 비효율적인 시장경쟁이 이루어지면 국가가 국유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특히 중점적으로 석유유통업의 국유화가 제안되었다. 당시 한손은 너무 급진적인 내용이라 지지기반에 타격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기에 이를 반대했지만, 이전과는 달리 좁아진 당내 입지로 인해 공식적으론 채택이 될 수밖에 없었고, 한손 또한 결국엔 옹호하게 되었다.[24]

1945년 7월 총선 이후 한손의 반대에도 거국내각은 해산되었고 단독정부를 구성하였다. 이후 수상직을 맡은 한손은 1946년 10월 6일 사망하기 전까지 이 임기를 수행하게 되었다.

3.3. 타게 엘란데르 내각

1946년부터 1969년까지는 타게 엘란데르 내각의 시대였다. 엘란데르는 2차세계대전 시기엔 스웨덴 내 난민캠프의 설립을 지원한 고위 관료 중 한명이었는데, 1946년 급사한 한손 총리의 뒤를 이어 그가 기반을 닦은 스웨덴 모델을 본격적으로 발전시킴으로써 이른바 '강한 사회'와 '인민의 집'으로 대표되는 정책을 스웨덴에 관철시켰다. 스웨덴 경제 성장의 절정기인 '기록 시대'와도 맞물린다.

군나르 뮈르달이 쓴 《인구문제의 위기》를 토대로 인구의 양적, 질적 향상을 위한 정책이 대거 취해졌다.[25] 또한 우파의 비판을 일부 수용하여 복지 정책과 경제 성장이 연동될 수 있도록 실용주의적인 정책을 짰다.

집권 말기에도 사회민주노동자당이 선거에서 대승할 정도로 인기가 괜찮은 총리였기에 더 집권할 수 있었음에도 자신의 후임 양성과 당의 체질 개선이 필요하다고 여겼는지 동지인 팔메에게 내각을 넘겨주고 사임했다. 퇴임할 때 기거할 집이 없어 스웨덴 국민들이 별장을 지어주기도 했다고 한다.

3.4. 올로프 팔메 내각

현재 스웨덴 사회민주노동자당의 성향은 올로프 팔메 내각을 계승하고 있다고 평가받는다. 특히 엘란데르 시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급진적인 정책을 펼친 팔메의 집권 시기 오늘날 스웨덴 복지 정책은 거의 완성되었다고 평가받는다.

4. 역대 당 대표

  • 진한 글씨총리로 취임하게 된 인물을 뜻함.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c00b25,#ED1B34 20%,#ED1B34 80%,#c00b25); color:#fff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fff> 제1대 제2대 제3대 제4대
클라에스 톨린 얄마르 브란팅 페르 알빈 한손 타게 엘란데르
<rowcolor=#ffffff>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올로프 팔메 잉바르 칼손 예란 페르손 모나 살린
<rowcolor=#ffffff> 제9대 제10대 제11대
호칸 유홀트 스테판 뢰벤 마그달레나 안데르손 }}}}}}}}}
<rowcolor=#fff> 대수 이름 임기 비고
1 클라에스 톨린 1889년 ~ 1907년
2 얄마르 브란팅 1907년 ~ 1925년
3 페르 알빈 한손 1925년 ~ 1936년
4 타게 엘란데르 1946년 ~ 1969년
5 올로프 팔메 1969년 ~ 1986년 [26]
6 잉바르 칼손 1986년 ~ 1996년
7 예란 페르손 1996년 ~ 2007년
8 모나 살린 2007년 ~ 2011년
9 호칸 유홀트 2011년 ~ 2012년
10 스테판 뢰벤 2012년 ~ 2021년
11 마그달레나 안데르손 2021년 ~

5. 선거결과

5.1. 스웨덴 의회 선거결과

연도 대표 의석수 득표수 (득표율) 의석 증감 연립 집권 여부
1911 얄마르 브란팅 64 172,196 (28.51%) - - 비집권
1914.3 얄마르 브란팅 73 228,712 (30.09%) +9 - 비집권
1914.9 얄마르 브란팅 87 266,133 (36.39%) +14 - 비집권[27]
1917 얄마르 브란팅 86 228,777 (31.08%) -1 - 비집권[28]
브란팅 1기 내각
1920 얄마르 브란팅 75 195,121 (29.65%) -11 - 비집권
1921 얄마르 브란팅 93 630,855 (36.22%) +18 거국정부 브란팅 2기 내각
비집권[29]
1924 얄마르 브란팅 104 710,407 (41.09%) +11 소수정부 브란팅 3기 내각
비집권[30]
1928 페르 알빈 한손 90 873,931 (37.05%) -14 - 비집권
1932 페르 알빈 한손 104 1,040,689 (41.40%) +14 소수정부 한손 1기 내각
1936 페르 알빈 한손 112 1,338,120 (45.86%) +8 사회당-공산당 한손 2기 내각
1940 페르 알빈 한손 134 1,546,804 (53.81%) +22 다수정부 한손 3기 내각
1944 페르 알빈 한손 115 1,436,571 (46.55%) -19 우파당-농민연맹-인민당 한손 4기 내각
엘란데르 1기 내각
1948 타게 엘란데르 112 1,748,459 (46.1%) -3 공산당과 신임공급 엘란데르 2기 내각
1952 타게 엘란데르 110 1,742,284 (46.05%) -2 농민연맹-공산당 엘란데르 3기 내각
1956 타게 엘란데르 106 1,729,463 (44.58%) -4 농민연맹 엘란데르 4기 내각
1958 타게 엘란데르 112 1,776,667 (46.22%) +6 공산당과 신임공급 엘란데르 5기 내각
1960 타게 엘란데르 114 2,003,016 (47.79%) +2 공산당과 신임공급 엘란데르 6기 내각
1964 타게 엘란데르 113 2,006,923 (47.27%) -1 공산당과 신임공급 엘란데르 7기 내각
1968 타게 엘란데르 125 2,420,242 (50.12%) +12 다수정부 엘란데르 8기 내각
팔메 1기 내각
1970 올로프 팔메 163 2,256,369 (45.34%) +38 좌파당과 신임공급 팔메 2기 내각
1973 올로프 팔메 156 2,247,727 (43.56%) -7 좌파당과 신임공급 팔메 3기 내각
1976 올로프 팔메 152 2,324,603 (42.75%) -4 - 비집권[31]
1979 올로프 팔메 154 2,356,234 (43.24%) +2 - 비집권[32]
1982 올로프 팔메 166 2,533,250 (45.61%) +12 좌파당과 신임공급 팔메 4기 내각
1985 올로프 팔메 159 2,487,551 (44.68%) -7 좌파당과 신임공급 팔메 5기 내각
칼손 1기 내각
1988 잉바르 칼손 156 2,321,826 (43.21%) -3 좌파당과 신임공급 칼손 2기 내각
1991 잉바르 칼손 138 2,062,761 (37.71%) -18 - 비집권
1994 잉바르 칼손 161 2,513,905 (45.25%) +23 좌파당과 신임공급 칼손 3기 내각
페르손 1기 내각
1998 예란 페르손 131 1,914,426 (36.40%) -30 좌파당-녹색당과 신임공급 페르손 2기 내각
2002 예란 페르손 144 2,113,560 (39.9%) +13 좌파당-녹색당과 신임공급 페르손 3기 내각
2006 예란 페르손 130 1,942,625 (34.99%) -14 - 비집권
2010 모나 살린 112 1,827,497 (30.7%) - 비집권
2014 스테판 뢰벤 113 1,932,711 (31.0%) +1 소수정부 뢰벤 1기 내각
2018 스테판 뢰벤 100 1,830,386 (28.3%) -13 소수정부 뢰벤 2기 내각
안데르손 1기 내각
2022 마그달레나 안데르손 107 1,964,474 +7 - 비집권

5.2. 유럽의회 선거결과

연도 의석수 전체 의석수[33] 득표율 비고
1995년 7석 22석 28.1%
1999년 6석 22석 26.0%
2004년 5석 19석 24.6%
2009년 5석 18석 24.4%
6석 20석
2014년 5석 20석 24.2%

[1] Socialdemokraterna도 공식 당명으로 사용한다[2] 반자본주의를 강령에서 공식적으로 표방하나 실질적으로는 자본주의를 수용하는 사회민주주의 정당이다. 사회민주주의 정당 중에서는 상당히 진보적인 편이며, 제3의 길이 유럽 사회민주주의를 휩쓸 때에도 상대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았다.[A] 창당 극초기와 올로프 팔메 집권기[4] 좁은 의미의 강성 좌익 스펙트럼의 민주사회주의를 의미하며, 현 사회민주노동자당이 공식적으로 민주사회주의를 포기한 적은 없다.[5] 경향신문, 연합뉴스, YTN, 한국경제, 동아일보, 문화일보[6] '스웨덴 정치 기준'에서 사회민주노동자당은 중도적, 온건파적인 정당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영어 위키백과어서도 단순 중도좌파 정당으로 표기하는 경향이 있다.# 게다가 현 스웨덴 사회민주노동자당 인물 중에서도 버니 샌더스를 비롯한 미국 민주사회주의자들(DSA)을 급진주의자로 인식하며 자국의 좌파당과 비교할 정도로 온도차를 보이기도 한다.# 또한 자국 신축 아파트에 대한 임대료 규제 완화하는 정책을 지원하는 등 팔메 총리 시절 수준의 좌익 성향은 잘 드러나지 않는다.[7] 스웨덴 사회민주노동자당은 군소 정당이 아닌 수권정당으로서 현실적으로 어느 정도 타협적인 스탠스를 보일 수밖에 없는데다가, 단독 집권이 아닌 연정으로 집권하는게 일반적인 정치 현실 상 연립정권 내의 다른 정당의 눈치를 봐야 되는 부분도 크다. 실제로 2014 - 2022년 동안 중도 우파 정당들인 중앙당자유당의 신임 공급이 없으면 집권이 불가능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그들의 눈치를 어느 정도 볼 수밖에 없었던 상황이었으며, 이 때문에 2014년에도 우파 야당들과 중앙당, 자유당이 지지한 예산안 통과를 받아들였으며, 2021년에도 우파야당(Högeroppositionen)인 온건당, 스웨덴 민주당, 기독교민주당이 발의한 예산안이 중앙당의 묵인 속에 통과 되자 이를 받아들이기도 했고 그 때문에 녹색당이 연정에서 이탈하기까지 했다.[A] [9] 포스터 속 인물은 사회민주노동자당 대표이자 제35대 스웨덴 총리마그달레나 안데르손.[10] 스칸디나비아 반도를 이끈 노르웨이나 덴마크 등의 다른 좌파정당들과 비교해도 좀 더 그런 편이다.[11] 실제 2010년대 아랍발 난민 유입 당시 독일 다음으로 많은 난민들을 수용한 나라가 스웨덴이었다. 다만 창당 초기만 하더라도 당시 유행하던 우생학(근데 이땐 좌파 지식인들도 나치 등장 이전이라 우생학을 문명화 정도로 보고 긍정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었다), 인종주의, 가부장적 성향이 있었다고 하나 집권 이후 성향이 변화한다. 특히 지금의 스웨덴 사회민주노동자당은 올로프 팔메 전 총리의 성향을 많이 계승하고 있다고 보면 된다.[12] 근데 아래 표는 1921년 첫 집권한 걸로 나와있다. 사회민주노동자당 출신 최초 총리인 얄마르 브란팅은 1920년 집권했다고 나와있다.[13] 중간에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거국내각 시기도 포함되어 있다. 193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스웨덴 사회민주노동자당은 기본 득표율 40% 이상에 잘하면 50%를 넘기기도 하는 득표율을 보여주었다.[14] 이른바 '국민의 집'.[15] 민주적인 선거로 이루어진 42년의 집권기간은 일본의 55년 체제(38년)보다 4년 더 길다.[16] 해당 항목 내용은 북하우스 출판사의 '위기를 극복한 세계의 리더들 158~189'를 참조해서 서술했습니다. 그래서 문장에서 유사한 구조가 많습니다.[17] 보수당의 경우 사회민주노동자당과 공산당 두 정당을 러시아 코사크 기병대로 묘사해 가정을 파괴하는 모습을 선거 포스터로 담았다.[18] 전국노동조합연맹을 의미하며, 1898년 사회민주주의자들을 중심으로 조직된 민간부문과 공공부문 생산직 노동자의 전국조직이다. 의외로 재미있는건 단순한 노동조합에만 그치지 않고 독자적인 연구조직을 두고 있다.[19] 한국 기준으로는 윗동네와의 연계 때문에 조금 어색하게 느껴질수도 있지만, 전반적으로 국민과 비슷한 단어 선택이라고 보면 된다. 애초에 인민이란 말 자체가 뜻풀이를 생각해보면 전혀 나쁜 단어가 아니다. 북한이 사용하면서 어감이 좀 변질되어 문제일뿐.[20] 상기 언급한 회그룬드 등.[21] 사실 이 정책은 농민을 지지기반으로 하는 농민당과의 협력을 위한 정치적 고려라고도 볼 수 있다.[22]소련이었던 공산당은 제외.[23] 언론검열로 독일을 비판하는 기사를 막으려고도 하였다.[24] 다만 이 강령은 타 정당의 반대나 미국의 석유산업 국유화 무산 압력 등으로 종국엔 유명무실하게 되었다.[25] 이 과정에서 집시, 정신장애인, 부량자 등에 대해서 우생학에 근거한 강제불임수술이 이루어진 흑역사가 있다.[26] 직무 중 피살[27] 원내 1당을 차지했으나 과반 실패로 우익 연정이 들어섰다.[28] 1920년까지[29] 1923년부터[30] 중간에 자유당으로 총리 교체[31] 44년만에 정권상실[32] 우익 175 대 좌익 174로 근소하게 정권탈환에 실패했다.[33] 스웨덴 몫의 의석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