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2 07:30:15

스톰 쉐도우 미사일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torm_Shadow_p1220865.jpg
파일:external/www.european-security.com/storm_1s.jpg
Storm Shadow / Le SCALP-EG[1]

1. 개요2. 개발3. 상세4. 파생형
4.1. MdCN
5. 운용국6. 실전
6.1.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스톰 쉐도우 혹은 SCALP-EG 라고 불리는 공대지 순항 미사일이다. 영국과 프랑스가 공동개발하였으며 MBDA가 생산, 2002년에 실전 배치되었다.

영국은 '스톰 쉐도우', 프랑스는 'SCALP-EG'라고 부른다. 서로 부르는 명칭만 다를 뿐이지, 미사일과 내부부품은 100% 동일하다. 공동개발국인 영국, 프랑스에서 각자 맡은 부품과 파트를 서로 만들어서 하나의 생산라인에서 함께 조립하는 방식으로 생산하기 때문이다.

2. 개발

1991년 걸프전에서 활주로자탄을 투하하기 위한 저공비행전술로 큰 피해를 입은 영국은 전후 200km이상의 장거리에서 목표물을 정밀타격할수 있는 장거리 공대지 무기 획득사업인 CASOM[2]사업을 시작한다. 당시 미국의 3개사, 독일-스웨덴합작, 이스라엘, 프랑스가 경쟁에 참여했다.

프랑스는 영국현지의 BAE 에어로스페이스[3]와 함께 프랑스 마트라(Matra)사에서 개발한 활주로파괴용 순항미사일인 아파치(APACHE, Arme propulsée à charge éjectable)을 기반으로 영국의 요구사항에 맞게 변형하고 활주로파괴용 자탄탄두를 단일 관통탄두로 교체한 아파치-C모델을 SCALP-EG의 명칭으로 CASOM 사업에 제안했다.
파일:Matra MAW Apache.jpg
프랑스 마트라 사 아파치 순항 미사일 2001년 스칼프 EG/스톰 쉐도우 최초 실사격영상

프랑스의 아파치 기반 모델은 영국의 요구성능에 충족했으며 유럽 방산협력을 촉진하는 영국정책과 해외수출에 유리한 프랑스의 정치적 강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프랑스 SCALP-EG가 1996년 7월, CASOM사업의 최종승자로 선정되었다. 사업최종선정 이후 영국은 미사일의 자국명칭을 스톰 쉐도우로 명명했다. 이후 1996년 8월, 사업의 승자가 된 프랑스/영국 컨소시엄 회사 일부가 통합되어 마트라 BAe 다이나믹스로 합병하는 과정을 통해 프랑스/영국이 스칼프 EG/스톰 쉐도우를 공동으로 소유, 생산하게 되었으며 다음해인 1998년 영국은 7억 파운드규모, 프랑스는 60억 프랑규모의 미사일 정식생산계약이 체결되었다.

이후 2001년 최초 미사일 실사격이 있었으며 2003년에 영국공군에 정식으로 실전배치되었다.

3. 상세

스텔스 형상을 지닌 순항 미사일이며 같은 체계를 영국군에선 스톰 쉐도우, 프랑스군에선 스칼프-EG 라고 부른다. 대한민국 공군FX 사업 당시 라팔과 세트로 내놓아졌다.

무게 1,300kg 중 탄두무게는 450kg. 길이 5.1m, 직경 48cm(19인치), 시속 1,000km/h (마하 0.8-0.95)의 아음속으로 최대 작전반경은 560km에 달하나, 미사일 기술 통제 체제(MTCR)에 따라 수출용은 250km로 제한된다. 전폭기나 함정, 또는 잠수함에서 발사해 GPS와 관성항법장치 및 디지털 지형대조로 유도되며, 5.4kN 추력의 터보젯 엔진으로 30-40미터 정도의 저고도도 순항하여 최종단계에서 자체 적외선 종말유도로 고정 또는 이동하는 지상 목표나 함정을 타격할 수 있다. 다만 한번 발사하면 원격제어는 할 수는 없다. 오차반경은 약 1미터. 주로 영국과 이탈리아, 프랑스의 전투기나 프랑스의 함정에서 사용하고 있다. 가격은 한 발당 85만 유로. 비슷한 수준의 서구 순항 미사일로는 KEPD 350이나 AGM-158 JASSM 등이 있다.

접이식 보조익을 채용하여 300nm(555km)의 최대 사거리를 자랑하며[4] INSGPS를 기반으로 종말유도단계에서는 TERPROM이라는 적외선 지형대조항법을 사용한다. KEPD 350 타우러스와 더불어 AGM-158 JASSM의 개발에 영향을 주었으며 유력한 경쟁자로 손꼽히는 우수한 정밀유도체계이다.

후계 미사일로 역시 영국과 프랑스 공동으로 FC/ASW가 개발되고 있다. 또한 자매품(?)으로는 파이어 쉐도우가 있었다.[5]

4. 파생형

4.1. MdCN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MdCN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운용국

긴사정거리와 우수한 성능으로 서방세계과 제3세계 국가에서 큰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현재까지 총 3000기 이상의 미사일이 생산되었으며 공동개발국인 영국, 프랑스의 주문수량 이외에도 1700기 이상의 미사일이 해외로 수출되었다.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700기 - 공동개발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900기 - 공동개발국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435기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90기+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200기+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600기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140기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100기+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200기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50+

6. 실전

2011년 당시 오디세이 새벽 작전에서 프랑스 공군은 SCALP-EG, 이탈리아 공군영국 왕립 공군은 스톰 쉐도우를 발사해 리비아군을 폭격했다. 그 중에는 알 주프라 공군기지와 시르테에 위치한 벙커가 포함되었다. 해당 작전 기간 동안 이탈리아 공군은 총 30발 이상의 스톰 쉐도우를 사용했으며 97% 이상의 성공률을 보였다고 한다.

2015년 대IS 군사 개입 기간 동안 프랑스 공군은 SCALP 12발을 발사해 다에시를 타격했으며, 2016년 6월 26일에는 영국 왕립 공군이 스톰 쉐도우를 4발 발사하여 다에시의 벙커를 완전히 파괴하는데 성공했다.

예멘 내전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 공군이 스톰 쉐도우를 사용했다.

2020년, 제2차 리비아 내전에서는 리비아 국민군을 지지하는 세력(이집트 또는 UAE) 소속 항공기가 스톰 쉐도우를 발사하여 통합 정부와 튀르키예군의 거점인 알 와티야 공군기지를 폭격했다. 이 폭격으로 튀르키예군 호크 대공미사일과 코랄 전자전 시스템이 파괴당하고 군인 여러 명이 부상을 당했다.

2021년 3월 11일, 키프로스 주둔 영국 왕립 공군 유로파이터 타이푼이 이라크 에르빌에 위치한 다에시의 동굴 거점을 스톰 쉐도우로 폭격하였다.#

6.1.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2023년 5월, 영국이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발발 1년여 시점에서 우크라이나에 공여하겠다고 발표했다. 미국이 사정거리가 긴 미사일의 공여를 꺼리고 있기 때문에 영국이 나선 형국. 이에 러시아는 상응하는 보복을 하겠다며 발끈하고 있다. 한편 또 다른 개발국인 프랑스 또한 해당 미사일의 지원을 발표했다. Su-24M, Su-24MR에 장착된 사진이 찍히기도 했다.## Su-24MR은 정찰기로 표적지시 포드(Pod)가 없으나, 어떻게든 미사일을 매달고 있다가 떨어뜨리기만 하면 스톰 쉐도우 특성상 알아서 비행하니 Su-24MR에도 장착할 수 있다고 한다.[6]

250km의 긴 사거리를 이용해 장거리 타격을 하고 있지만 작년에 비해 러시아군의 보급망과 방공망이 크게 강화되어서 효과에는 한계가 있다고 한다.

2023년 6월부터 시작된 우크라이나군의 반격 작전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우크라이나 국방부는 100%의 명중률을 기록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판치르-S1등 러시아 방공망이 코 앞에서 놓치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


콘크리트 다리를 정확하게 타격하는 모습이 포착되었다.

6월 12일에는 러시아 제35제병연합군 사령부를 정확히 타격하였다.

올렉시 레즈니코프와 벤 왈러스 영국 국방부장관이 회동한 가운데, Su-24에 본 미사일이 장착된 엽서가 공개되었다. 영국-우크라이나 관계의 상징으로 사용된 것. #

다만 몇몇 언론 보도에 따르면 이 엽서사진으로 인해 해당 부대의 위치가 러시아 정보망에 특정되었고 그 결과 스타로콘스탄티노우(Starokonstantinov) 비행장이 공습를 받고 항공기의 손실이 발생했다고 한다.###

2023년 7월 베르단스크항 근처에서 1기가 요격됐다.[7]#

7월 4일 또다른 스톰 쉐도우 미사일 한 기가 러시아군에 의해 요격되어 잔해가 공개되었다.#

이전에 요격된 미사일과는 달리 이번 것은 탄두 부분을 포함해 상태가 상당히 온전한지라 러시아군이 연구용으로 쓰기 위해 이틀이란 시간을 들여 수거해 갔다.##

7월 11일, 러시아군 올렉 초코프 중장이 위치한 58군 예비지휘소를 스톰 쉐도우가 타격해 초코프 중장을 폭살하는데 성공했다.#

프랑스의 마크롱 대통령은 50여발 정도의 SCALP-EG를 추가 지원하기로 발표했다.

9월 13일, 세바스토폴 군항 공습에 사용되어 킬로급 잠수함 로스토프나도누 1척, 로푸카급 상륙함 민스크 1척을 파괴시켰다.##

9월 20일에는 세바스토폴 흑해함대 해군 사령부를 타격하는데 성공했다.# 러시아측에 의하면 우크라이나 공군 Su-24에서 발사된 스톰쉐도우 8발 중 5발을 요격했으나 3발이 사령부 건물을 타격했다고 한다. 우크라이나군은 흑해함대 사령관 빅토르 소콜로프 대장이 건물 내에 있다는 첩보를 입수하고 공격을 감행했다고 한다.# 우크라이나 특수작전군은 고위장성 여러 명을 포함한 34명이 죽고 105명이 다쳤다고 밝혔으며, 빅토르 소콜로프 대장은 의식이 없는 채 병원에 이송되었다가 25일경 죽은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발표했다.# 빅토르 소콜로프 대장은 해당 공격에서 사망하지 않았으며, 이후 화상회의에서 모습을 보였다.# 이후 해임되었다.#

11월 5일에는 케르치 잘리프 조선소에서 건조중이던 카라쿠르트급 초계함 아스콜드함을 직격해 파괴시키는데 성공했다.#

12월 26일에는 정박중이던 흑해함대 로푸카급 상륙함 노보체르카스크를 타격해 파괴시키는데 성공했다.## 노보체르카스크는 다수의 탄약을 하역중이었다고 하며 유폭의 여파로 인근에 정박되어 있던 흑해함대 훈련함 UTS-150도 같이 격침되었다고 한다.#

24년 7월 러시아군이 전자전을 걸거나 요격한 스톰 쉐도우들을 전시했다.#

7. 둘러보기

파일:그리스 국기.svg 현대 그리스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colbgcolor=#0D5EAF><colcolor=#FFF><colbgcolor=#0D5EAF><colcolor=#FFF>BGM-71E TOW 2A | 밀란 (F1/F2) | 9K111 파곳
탑재형
기갑차량
스파이크 NLOS | 9K135F 코넷-E | BGM-71C I-TOW
소형함선
스파이크 NLOS | SS.12R
공대지
회전익기
스파이크 NLOS | AGM-114(F/K/L/M) 헬파이어 | AS.12R
고정익기
AGM-65(A/B/G2) 매버릭 | AGM-12B 불펍R
'''[[지능탄|
유도포탄
]]'''
지대지
SMArt 155 (155mm, PzH2000)
공대지 (ALCM)
SCALP-EG
함대지
SCALP-나발
MGM-140A ATACMS 블록 I
함대함
MM40 블록 II/III 엑조세 | RGM-84(G/D) 하푼 블록 1G/1C | MM38 엑조세R | RGM-84A 하푼 블록 1AR | 펭귄 Mk.2 Mod 3R
잠대함
UGM-84D 하푼 블록 1C
공대함
AM39 블록 II 엑조세 | AGM-119 펭귄 Mk.2R
지대함
MM40BC 블록 II 엑조세
대잠미사일 RUR-5A Mod 4 ASROCR
어뢰
경어뢰
{MU90 임팩트} | Mk.46 Mod (2/5) | Mk.44 Mod 1R
중어뢰
SUT Mod (0/4) | SST-4 Mod 0 제알R | Mk.37 Mod 3R
보병
FIM-92(A/C/E) 스팅어 | FIM-43 레드아이R
차량
FIM-92E (험비 ASRAD)
단거리
9K331 토르-M1 | 9K33M2 오사-AK | 크로탈 NG
중거리
RIM-7M (스카이가드) | MIM-23(B/C/E) I-호크R
장거리
MIM-104E PAC-2 GEM | MIM-104F PAC-3 CRI | S-300PMU1 (48N6E)R | MIM-14B 나이키 허큘리스R
'''
CIWS
'''
RIM-116(B/C) RAM 블록 1/2
'''
개함방공
'''
RIM-162C ESSM | RIM-66E SM-1MR 블록 VI | RIM-7(PR/M) 시스패로우 | 아스피데R
'''
함대방공
'''
{아스터 30 블록 1 NT}
단거리
IRIS-T | AIM-9(L/M) 사이드와인더 | R.550 매직 II | AIM-9(F/P-4/J)R | AIM-4C 팰콘R
'''
중장거리
'''
미티어 | AIM-120(AR/B/C-5/C-7) AMRAAM | MICA-(IR/EM) | 쉬페르 530D | AIM-7(E/M) 스패로우R
{AGM-88E AARGM} | AGM-88B HARM
유도폭탄 AGM-154C JSOW | SPICE (1000/2000) | GBU-31 JDAM | GBU-(48/49/50) 인핸스드 페이브웨이 | GBU-(24/27) 페이브웨이 III | GBU-(10/12/16) 페이브웨이 II | GBU-8 HOBOSR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대표 발사 플랫폼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현대 우크라이나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우크라이나 국군 (1991~현재)
Збройні Cили України
<colbgcolor=#0056B9><colbgcolor=#0056B9>참고: 틀:현대전/우크라이나 보병장비
탑재형
배리어 | {AGM-114 헬파이어}D | BGM-71F TOW 2D | 브림스톤D | 9K114 슈투름
포발사
콤바트(125mm, T-80 등) | 9K117 바스티온(100mm, MT-12) | 9K112 코브라(125mm, T-64 등)
공대지
회전익기
9M114 코콘
고정익기
{AGM-65G 매버릭}D | Kh-29T | Kh-25ML
유도포탄
곡사포
M982 엑스칼리버D | SMArt 155D | BONUS 155D| 불카노 155D | M712 코퍼헤드D
유도로켓
지대지
R624(M)(300mm, 빌카-M) | GMLRSD(227mm, HIMARS/MLRS) | GLSDBD(290mm, HIMARS) | APKWSD(70mm, 테크니컬) | TRLG-230D | FZ275
배회폭탄
지대지
보버 | ALTIUS-600 | RAM II | Tu-141 | Tu-143 | 스카이나이츠 2 | 피닉스 고스트D | 스위치블레이드 (300/600)D | WB 워메이트D | 사제 FPV 자폭드론 | Vidsich | {트렘비타} | {AQ-400} | AN-196 류티 | A-22 폭스배트 | R-15 | 팔야니챠 | OSKARD
공대지 (ALCM)
스톰 쉐도우/SCALP-EGD(Su-24)
MGM-140 ATACMSD
OTR-21 토치카-U | 흐림-2
함대함
{RGM-84L 하푼 Block 2}
지대함
R-360 넵튠 | RGM-84L-4 하푼D | RBS 17D
어뢰
경어뢰
{MU90 임팩트}
무인 자폭정 TLK-150 | 시 베이비 | 마구라-5 | 마리치카 | 마마이 | {스토커 5.0}
참고: 틀:현대전/우크라이나 보병장비
단거리
마틀렛 LWMD | 크로탈-NGD | 9K33BM3-P1 종드워D | 9K330 토르 | 9M311(퉁구스카) | 9K35M 스트렐라-10M3 | 9K33M3 오사-AKM | R-73(오사 TEL) | ASRAAMD(트럭형 TEL)
중거리
NASAMSD | RIM-7 시스패로우D(부크 TEL) | MIM-23 호크D | IRIS-T SLMD | 아스피데 2000 · 스파다D | S-125 네바-SCD | 9K37M1 부크 M1 | 2K12M3 쿠프 M3 | S-125 페초라-(2D/2M/BM)
장거리
MIM-104D PAC-2 · MIM-104F PAC-3D | SAMP/TD | S-300PMUD | S-300(PS/PT) | S-200
개함방공 {VL-MICA M} | R-73마구라 V5
단거리
AIM-9(M/X) 사이드와인더D | R-73E | R-60MK
중장거리 AIM-120B 암람D | AIM-7M 스패로우D | R-27(ET/ER/R1)
유도폭탄 JDAM-ERD | MAM-CD | MAM-LD | KAB-1500L | KAB-500Kr | AASM-250D | SDBDMiG-29 | {GBU-12 Paveway IV}D | {AGM-154 JSOW}D
AGM-88(B/E) HARMD
기만체 미사일
ADM-160B MALDDMiG-29
※ 윗첨자D: 공여받은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렛첨자(□□□): 대표 발사 플랫폼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군의 운용장비 | 파일:missile_icon__.png 유도무기 }}}}}}}}}


🚀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685050><colcolor=white>북미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남미
서유럽
'''
중부유럽
'''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북유럽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동유럽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
동아시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동남아시아
'''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
남아시아
'''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
중앙아시아
'''
서아시아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
오세아니아
'''
아프리카}}}}}}}}}}}}


[1] «Système de croisière conventionnel autonome à longue portée» et d'«Empoloi général»[2] Conventionally Armed Stand Off Missile, 재래식 무장 스탠드오프 미사일[3] 해외의 참여업체와 현지생산을 담당할 영국 업체가 함께 참여하는 사업방식이었다.[4] 출처 위키피디아, 영국 공군.https://en.wikipedia.org/wiki/Storm_Shadow[5] 2018년에 프로젝트 폐기.[6] 영상의 6분 12초 부근 설명[7] 잔해의 파손이 심하고 뱔견된 곳이 녹색 초지인데 비해 후술할 미사일의 경우 잔해 상태가 좋고 발견지가 황색 풀밭이나 경작지로 보이는걸로 볼때 별개의 스톰 쉐도우 미사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