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보미레 Shin Bomire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출생 | 1994년 4월 6일([age(1994-04-06)]세) |
서울특별시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신체 | 키 168cm|59kg[1] | 리치 169cm |
프로 전적 | BoxRec| 19전 15승(8 KO) 3무 1패 |
타이틀 | 2019 WIBA 슈퍼페더급 챔피언 2022 WBO 아시아퍼시픽 슈퍼페더급 챔피언 2022 WBC 인터내셔널 슈퍼페더급 챔피언 |
소속사 | 원포인트 스포츠매니지먼트 |
MBTI | ISFP |
SNS | 주먹왕 미레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복서. WBC 인터내셔널 슈퍼페더급 챔피언이다.
2023년 1월24일 기준 전세계 랭킹을 보여주는 Boxrec에서 신보미레의 랭킹은 WBC 슈퍼페더급 전체 3위에 랭크된 바 있다. 동 사이트에서 2025년 2월 기준 라이트급 2위까지 순위가 상승하였다. 최현미가 2020년대 이후 뜸한 경기와 타이틀전 패배로 상위권에서 밀려나며, 2025년 2월 기준 신보미레 선수가 대한민국에서 세계랭킹이 가장 높은 권투선수라고 할 수 있게 되었다.
2023년 방영된 넷플릭스의 피지컬 100 시즌 1에서는 복싱 선배인 최현미와 공 지키기 경기에서 맞대결해 당당히 승리를 거두며 주목받기도 했다.
2. 복싱 경력
- 주요 승: 치카 미즈타니(일본), 수만 쿠마리(인도), 찬드리 메하라(인도), 이란다 토레스(멕시코), 디아나 로드리게스(베네수엘라), 나카이 아사미(일본), 아나 로사노(베네수엘라)
- 주요 패: 트란 티 린(베트남), 델파인 페르손(벨기에)
2014년, 서울여대 2학년 재학 도중 복싱에 흥미가 생겨 체육관(신길권투)을 다니기 시작했고, 신보미레의 잠재력을 알아본 신길권투 윤강준 관장이 선수활동을 권유했다고 한다. 2016년에 프로에 데뷔했다.
2020년 1월까지 9승 3무의 상승세를 이어가다, 동년 2월 생애 첫 프로 원정경기를 캄보디아에서 갖게 되었고 베트남의 트란 티 린에게 판정으로 지고 만다.[2] 이후 한국의 김혜인을 꺾으며 반등에 성공.
2022년 2월 19일, 인도의 찬드니 메하라(Chandi Mehra)와 WBO 동양-태평양 슈퍼페더급 타이틀 결정전을 가졌고 8회 TKO로 이기며 생애 첫 프로복싱 타이틀을 획득했다.
메하라전. 펀치력 차이가 눈에 띄게 났기 때문에 신보미레가 차곡차곡 데미지를 누적시켰고, 메하라는 7회까지는 잘 버텼지만 8회에 큰 펀치를 여럿 얻어맞으며 다운을 허용한 후 경기를 포기하다시피하는 모습을 보이며 TKO로 경기가 끝났다.
2022년 5월 21일, 이번에는 미국 원정에 나서 WBC 인터내셔널 챔피언 결정전을 가졌다. 상대는 멕시코의 이란다 토레스. 10라운드 판정승으로 상승세를 이어갔다.
2022년 9월 4일, WBC 슈퍼페더급 인터내셔널 타이틀 1차 방어전에서 아카링고(나카이 아사미)를 7회 TKO로 꺾었다.
아카링고전. 영상 초반에 잘 익은 사과를 우적우적 씹어먹으며 운동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상대의 링네임 아카링고가 '빨간 사과'라는 뜻이기에 벌인 퍼포먼스이고 실제로 경기도 그렇게 씹어먹듯이 전개되었다. 1회에 불의의 안면공격 허용으로 코피가 난 것 이외에는 신보미레가 초반부터 거의 압살하다시피한 경기.
2022년 11월 26일, 제6회 프로복싱 국가대항전에서 태국의 나파폰 렁수완과 8R 논타이틀 매치를 벌여 또다시 TKO로 제압했다. 경기영상(2시간 26분부터) 이 경기에서는 아카링고전보다 훨씬 경쾌한 움직임을 보여주며 초반부터 밀어붙여 1회부터 다운을 빼앗았고, 이후에도 바디샷을 잘 섞는 등 압도적인 경기를 펼치다 3회 TKO승을 거두었다. 이로써 18전 14승(8KO) 1패 3무의 무시무시한 성적을 이어갔다.
2023년 2월 18일, 강원도 홍천종합체육관에서 열린 WBC 인터내셔널 슈퍼페더급 챔피언 2차 방어전에서 다이아나 로드리게즈를 상대로 심판 전원일치 판정승을 기록하며 챔피언 벨트를 지키는 데 성공했다.
2024년 5월 28일 동체급 WBC 실버 챔피언인 벨기에의 델파인 페르손에게 원정 경기에서 판정패했다. 이후 논타이틀 매치를 가지며 숨을 고르다 최현미처럼 라이트급으로 월장, 2025년 3월 공석인 WBC 라이트급 세계챔피언 자리를 놓고 영국으로 건너가 캐롤라인 듀보이스와 맞붙을 예정이다. 여담으로 캐롤라인 듀보이스는 최현미에게 생애 첫 패배를 안긴 제시카 카마라와도 경기를 가졌는데, 세계타이틀 결정전이었던 이 경기에서 카마라에게 커팅이 발생해 경기가 중단되고 무승부 처리된 바 있다.
3. 기타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6px)" {{{#!folding 스포일러 주의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4px -1px -11px; word-break:normal; letter-spacing:-.2px; font-size:.96em" | 최종 우승자 | ||||||||||||||||||
우진용 | |||||||||||||||||||
QUEST 5: 파이널 퀘스트 탈락자 | |||||||||||||||||||
김민철 • 박진용 • 정해민 • 조진형 | |||||||||||||||||||
QUEST 4: 고대 신화 5종 경기 탈락자 | |||||||||||||||||||
아틀라스의 형벌 | 프로메테우스의 불꽃 | 이카루스의 날개 | 우로보로스의 꼬리 | 시지프스의 형벌 | |||||||||||||||
김식 • 김강민 • 신보미레 | 니퍼트 • 미라클 • 설기관 | 김다영 • 손희동 • 송아름 | 조정명 • 정한샘 • 차현승 | 마선호 • 윤성빈 • 추성훈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letter-spacing: -0.3px" | QUEST 3: 1.5톤 배 끌기 탈락자 | ||||||||||||||||||
TEAM 장은실 | TEAM 김상욱 ★ | ||||||||||||||||||
장은실 • 미호 • 박형근 • 서하얀 • 양학선 | 김상욱 • 성치현 • 심으뜸 • 이준명 • 최성혁 | }}} | |||||||||||||||||
QUEST 2: 모래 나르기 탈락자 | |||||||||||||||||||
TEAM 남경진 | TEAM 김상욱 | TEAM 타잔 | TEAM 장성민 | TEAM 곽명식 | |||||||||||||||
남경진 • 박지수 • 손희찬 • 짱재 • 황빛여울 | 김상욱 • 방지훈 • 안다정 • 오반 • 주동조 | 호주타잔 • 심으뜸 • 방성혁 • 임정윤 • Dbo | 장성민 • 김예현 • 성치현 • 이국영 • 최성혁 | 곽명식 • 강한 • 박종혁 • 이준명 • 이민우 | |||||||||||||||
QUEST 1: 1 vs 1 데스매치 탈락자 | |||||||||||||||||||
강천일 • 고다영 • 김경백 • 김경진 • 김길환 • 김병진 • 김성준 • 김성훈 • 김은지 • 김정욱 • 김지욱 • 김지한 • 김춘리 • 까로 • 깡미 • 박민지 • 박선관 • 박정호 • 빛하믹주 • 뻘컵 • 신동국 • 신세계 • 에이전트 H • 오스틴 강 • 요요 • 유가람 • 유상훈 • 윤석환 • 윤준협 • 이다현 • 이대원 • 이소영 • 이예지 • 이용승 • 이주형 • 일레인 • 전민석 • 정보경 • 조연주 • 조이택 • 전영 • 채완기 • 최현미 • 최규태 • 최민용 • 최인호 • 카를로스 • 플로리안 • 하제용 • 홍범석 | |||||||||||||||||||
★ - 패자부활전 생존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