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16:43:30

신안군 농어촌버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d69ab><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파일:신안군 CI_White.svg
}}}
<colcolor=#fff> 광역
신안여객
읍면

1. 개요2. 특징3. 요금4. 노선
4.1. 개별 문서가 있는 노선4.2. 개별 문서가 없는 노선
5. 둘러보기

1. 개요

전라남도 신안군농어촌버스를 서술한 문서다. 운영 주체는 신안군에서 운영하는 신안군 공영버스와 민영제로 운행하는 신안여객으로 나뉘어 있다.

2. 특징

신안여객이 운행하는 130번, 150번을 제외한 전 노선이 공영제다. 원래 신안군은 완도군처럼 섬마다 별개의 운송업체가 있었으나, 2007년 임자도를 시작으로 약 6년에 걸쳐 버스 공영화 사업을 실시, 2013년 1월 15일에 신안여객에서 운행하던 압해도 농어촌버스를 인수함으로써 신안군 전 지역에 공영제를 달성했다.

각 읍/면별로 공영버스가 운행되며, 최근에는 읍/면에 속한 일부 도서지역에도 공영버스가 운행하고 있다. 또 목포나 무안쪽으로 연륙된 지역은 다리를 건너 목포쪽으로 운행하는 노선도 있다. 130번과(목포 삼학도~압해 송공항), 150번(목포 해양대~압해 송공항), 1004번(목포터미널~자은면), 2004번(목포터미널~안좌면), 그리고 공영버스로는 증도 우전리 ~ 신안군청을 운행하는 노선이 대표적이다.

신안군내로 진입하는 타 지자체 버스는 목포시의 130번과 무안군의 무안-지도 노선이 있다.

BIS의 경우 과거 목포시 광역 BIS[1]를 사용하였으나 2023년 한국교통안전공단의 TAGO BIS로 변경되었다.

네이버 지도에선 노선 조회 자체가 안되니 참고. 또한, 공영버스의 일부 지역(흑산, 비금 등)의 노선도 조회가 안된다.[2]

3. 요금

  • 신안군 공영버스
    • 성인 요금은 신안군민 1,000원, 신안군 비거주자 2,000원이다.
    • 신안군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 노인, 청소년, 어린이는 공영버스 카드를 발급받으면 무료다.

4. 노선

4.1. 개별 문서가 있는 노선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d69ab><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파일:신안군 CI_White.svg
}}}
<colcolor=#fff> 광역
신안여객
읍면

4.2. 개별 문서가 없는 노선

5. 둘러보기

파일:신안군 CI.svg 신안군 교통체계
<colbgcolor=#0d69ab> 도로 국도 2번 국도, 24번 국도, 77번 국도
지방도 805번 지방도, 825번 지방도
버스 시내버스, 고속(시외)버스 신안군 농어촌버스, 지도여객자동차터미널, 암태남강환승정류장
해운 연안항 대흑산도항 외 2개소
어항 가거도항 외 214개소
전라남도의 교통

파일:노란바탕휠체어빗금.svg
저상버스 미보유 지역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고성군, 양구군, 양양군, 영월군, 철원군
충청남도 금산군, 청양군, 태안군
충청북도 괴산군, 단양군, 증평군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고창군, 무주군, 순창군, 임실군, 장수군, 진안군
전라남도 강진군, 고흥군, 구례군, 담양군, 무안군, 신안군, 완도군, 장성군, 장흥군, 진도군, 함평군
경상북도 고령군, 봉화군, 성주군, 영덕군, 영양군, 울릉군, 의성군, 청도군, 칠곡군
경상남도 고성군, 의령군
}}}}}}}}} ||


[1] 현재 목포, 무안, 영암에서 쓰는 BIS다.[2] 이쪽은 BIS에 등록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군청에서 제공하는 시간표로만 노선확인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