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7:31:22

싱가포르 MRT/역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싱가포르 MRT
1. 개요2. 설명3. 역대 노선도

1. 개요

싱가포르 MRT의 역사를 다루는 문서이다.

2. 설명

싱가포르1965년 8월 9일말레이시아 연방에서 축출되면서 독립한 신생국이었지만 이미 1960년대 초반부터 도시가 포화상태가 되기 시작됐다. 영국의 싱가포르 자치령 시절부터 말레이시아 본토에서 수많은 이민자들이 유입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태국, 인도네시아 등 주변국에서 유입되는 인구도 많았으며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미얀마, 라오스, 필리핀 등 수많은 아시아 개발도상국들로부터 인구가 많이 유입되었다. 특히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걸쳐 그랬다.

1960년대 독립 당시에는 지하철은 커녕 홍콩 트램 같은 트램 역시 다니다가 사라져서 아예 도시철도 자체가 없어서[1] 다들 시내버스를 이용했는데 출퇴근 시간이면 항상 헬게이트가 열렸다. 같은 영국령인 홍콩의 경우는 1904년에 일찍이 홍콩 트램이 다녀서 일찌감치 도시철도가 등장했으나 싱가포르는 그렇지 않았다. 홍콩은 트램으로 어느 정도 분산이 되어 홍콩 버스는 그렇게까지 크게 혼잡하진 않았으나 싱가포르는 이미 독립 당시부터 사람이 많은데다 대중교통도 시내버스 하나뿐이라 아침마다 헬게이트가 열릴 수밖에 없었다.또한 당시에는 정식 시내버스 회사가 4개가 아니라 여러 군데였고 요금도 천차만별이어서 대중교통이 매우 불편했다.[2] 더불어 1960년대에는 싱가포르 버스 중 에어컨이 있는 차량이 많지가 않았다.[3] 그리고 싱가포르의 극심한 교통정체 현상도 문제였다.[4] 그래서 시내버스 이용을 기피하며 아예 가까운 거리는 걷는 사람도 많았다.

그래서 이 나라는 말레이시아 연방에 속해 있을 때부터 도시철도 건설이 논의되었다.[5] 상기한 문제점들 때문이다. 그리고 도시철도 계획은 1965년 독립한 이후부터 시작되었다. 그리고 1992년까지 도시철도가 건설되어 개통하지 않으면 교통이 미어터질 것이라는 결과가 나와. 싱가포르 정부는 1967년에 도시철도를 건설할 계획을 발표한다. 당시에는 현재의 싱가포르 MRT 남북선(레드라인)과 싱가포르 MRT 동서선(그린라인)이 먼저 거론되었고 실제로도 이 둘이 먼저 개통되었다. 이유는 싱가포르의 중심가인 오차드 로드와 부킷 메라,티옹 바루는 물론 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는 주택가/ HDB 아파트 단지인 비샨이나 주롱 등 신시가지를 지나기 때문이다. 또한 1960~70년대에 여러 지역들이 과거 서울의 강남 개발 처럼 개발되고 신도심이 생기면서 중심지이던 구도심을 잇는 교통이 필요했다.[6] 거기에 공항이 시내와 가까운 칼랑공항이 폐쇄되고 파야레바 비행장으로 이전했다가 다시 파야레바에서 동부 외곽지대 창이로 이전된 1981년 이후부터는 도심에서 가깝던 구 공항을 폐쇄하고 오차드 로드 등 도심과 20분 이상 떨어진 창이까지 오가야 해서 창이공항과 시내를 잇는 대중교통도 필요했다.[7] 그리고 톰슨이스트코스트선과 크로스 아일랜드 선이 신설되어 창이공항엔 접속되는 지하철이 두개나 더 생긴다.

파일:mrt map 1975.png
1970년대[8]의 지하철 계획 노선도 현재의 남북선,동서선,동북선,다운타운선과 상당히 유사하다.

파일:Screenshot 2021-08-25 at 5.38.39 PM.png
1980년대초반의 대략적인 노선도[9]

파일:Screenshot 2021-08-25 at 9.42.56 PM.png
1986년경의 노선도. [10]

파일:mrtmap1987.jpg
1986년경의 노선도[11]

1967년에 독립 2년 뒤에 교통정책을 수립하면서 도시철도 건설이 결정되었다. 그래서 1969년 ~ 1971년 사이에 싱가포르 MRT 남북선(레드라인), 및 싱가포르 MRT 동서선(그린라인)이 먼저 만들어지기로 결정되었다. 그리고 1970년대 초반부터 도심 내 연약지반 검사 및 본격적인 지하철 건설이 시작되었다. 더 나아가 1980년대 중반에는 현재의 싱가포르 MRT 동북선의 계획이 발표되었고 1980년대 말에는 서클선, 2000년대 초반에는 다운타운선 그리고 2000년대 후반에는 톰슨 이스트 코스트선의 계획이 발표되었다.[12] 다만 당시에 버스 교통을 발전 시켜 도시철도가 필요없다고 주장하는 쪽이 있었기 때문에 MRT 대신 다수의 급행 버스나 BRT 시스템이 생길 뻔 했으나 여러가지 우여곡절 끝 후 1987년 남북선과 동서선이 먼저 개통되었다.[13]

1983년 10월에 이오 추캉 ~ 우트램 파크 구간이 공사를 시작했다.
1984년 1월에 우트램 파크 ~ 클레멘티 구간이 공사를 시작.
1984년 7월에 클레멘티 ~ 레이크사이드 구간이 공사를 시작.
1985년 1월에 마리나 베이 역이 공사에 들어감. 그리고 시티홀 ~ 타나 메라 구간도 공사를 시작.
1985년 6월에 타나메라 ~ 파시르 리스 구간이 공사 시작. 주롱 이스트 ~ 초아 추 캉 구간이 공사에 들어감.
1988년 1월에 레이크 사이드 ~ 분레이 구간이 공사에 들어감.

먼저 개통한 홍콩 지하철을 벤치마킹하여 편리하고 쾌적한 문자 그대로 싱가포르다운 지하철을 만들었으며[14], 도로의 극심한 교통체증 현상도 이 때 ERP시스템 도입과 지하철 개통 등으로 크게 완화되었다. 그리고 이곳의 MRT 시스템은 저 위의 대만 타이베이타이베이 첩운의 중전철 노선에도 기여를 했다. 차량 형태가 거의 동일하고 급전 방식도 제3궤조집전식으로 같으며 타이베이 첩운 차량들의 제작사도 가와사키중공업지멘스로 똑같다.

1980년대는 싱가포르가 선진국에 진입한 시기로 이 지하철 개통과 센토사 섬 개발 등이 싱가포르 경제발전의 상징이 됐다.

현재도 신생 노선들이 여럿 계획되고 있다. 안 그래도 좁은 싱가포르 섬에서 지하철로 못 가는 곳이 없는데 주거단지들을 연계하거나 말레이시아 국경 근처를 가는 식으로 여러 노선들이 논의 중이다. 말레이시아의 조호르바루 관문으로 동서선이 연장되어 국경 검문소인 투아스 링크까지 가지만 투아스 링크 쪽은 조호르바루 중심이 아닌 교외 지역인지라 중심 검문소까지 지하철을 놓으려 하는 것이다. 그리고 톰슨 이스트 코스트선을 마지막으로 도심 및 주요 구간을 지나는 노선은 없을 것이다. 이제는 주요 구간을 잇는 노선이 완성되었기에 앞으론 원래 있는 노선들이 있는 곳의 교통을 담당하는 식으로 운행할 예정이다. 대표적으로 주롱 지역선이 있다. 그 이외의 크로스 아일랜드 선은 그동안 지하철 연결이 어렵던 북쪽의 주요 역들을 연결해주는 노선으로 개통 예정이다.

파일:Singapore_MRT_Network.svg
미래의 노선을 담은 싱가포르 MRT 지도

싱가포르 MRT 동서선으로는 싱가포르 창이 공항과 주롱 새공원 등을 갈 수 있고, 싱가포르 MRT 남북선으로는 차이나타운과 오차드 로드 등 싱가포르 도심지, 교외 주택단지인 비샨, 그리고 우들랜드 말레이시아 접경지대로 미국 해군영국 해군 셈바왕 해군기지 등 군사시설들이 많은 북부 셈바왕, 애드미럴티 등으로 갈 수 있다. 여담으로 싱가포르 창이 공항에서 오차드 로드까진 지하철을 이용하면 30분도 걸리지 않는다.

의외지만 무려 1987년부터 스크린도어가 지하역에 존재했다. 그리고 아시아 최초의 스크린도어를 가진 도시철도다. 이유는 안전 등의 이유라고. 다만 지상역은 2010년대 초반 까지 없어서 가끔씩 떨어져 다치는 사고 벌어지기도 했다. 크란지 같은 역에서는 아예 자살 시도 등이 야간에 벌어지기도 했다고. 그 이후로 모든 지상역은 스크린도어가 설치 되었다. 다만 LRT는 아직도 없다.


건설 영상

개통 뉴스

1987년 11월 영상

1987년에서 1991년 초 까지는 기관사가 직접 안내방송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다만 자료가 많이 남지 않고 그나마 남은 음성 녹음은 거의 없다. 몇 안돼 자료로 알려진 영상인데 28:12 즈음에 들을 수 있다. 영상은 밑에 있다.



4:17 즈음에 들을 수 있다.

3. 역대 노선도

파일:01-Singapore_old_mrt_map-2.png
1990년의 노선도
파일:singapore_map1996.png
1996년의 노선도
파일:02-mrt_sys_map-2006-transitlink.jpg
2006년의 노선도
파일:03-Network_Map_100112.png
2012년의 노선도
파일:SM_TEL4_Eng.png
현재의 노선도


[1] 싱가포르 트램은 1926년까지 있었고 트램 폐지 이후에도 전차선 인프라를 사용하는 트롤리버스가 1965년까지는 운행했다만 독립 당시엔 모두 사라졌다.[2] 1973년 이전 싱가포르 시내버스는 2004년 서울 버스 대개편 이전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3] 에어컨이 버스에 달리는 것도 1960년대에는 일부 선진국들만이었다. 미국만 해도 에어컨 없는 버스가 대부분이었다. 일본은 더 심했다.[4] 1973년에 싱가포르에 있는 버스 회사들을 정부가 나서서 통합된 이후에는 사정이 나아졌다. 에어컨 달린 버스는 1980년대 중반부터 도입되었고, 1970년대 말에 SBS Transit에서 2층버스를 영국으로부터 도입한 후부터 버스가 만원이 되는 일은 서서히 줄어들었다. 그러나 여전히 지하철보다 불편한 건 똑같았다.[5] 무려 영국령 시절인 1950년대부터 그 얘기가 나왔을 정도.. 쿠알라룸푸르 조차도 1960년대에 가서 논의되었을 정도[6] 싱가포르의 1950년대~1970년대 사진들을 보면 외곽의 아파트들 전부 1970년대~1980년대 강남처럼 허허벌판에 아파트 단지가 있는 경우가 많았다.[7] 2001년 창이 지선 연장 이전에 버스가 창이공항으로 가는 유일한 대중교통이었다. 그래도 공항과 가까운 타나메라 역으로 셔틀버스를 굴릴 수 있어서 지하철이 등장하고 교통이 훨씬 편해진 것이다.[8] 혹은 1960년대[9] 지금과는 많이 다르다.[10] 매우 비슷하지만 캅팁역이 뜬급없이 셈바왕이고 초아추캉이 부킷 판장이다(...) 퀸스타운과 커먼웰스역의 위치가 뒤바뀌어 있다(...) 타나메라가 창이역이고 탄종 파가역이 맥스웰이다.[11] 동북선이 보인다.[12] 이 노선들은 현재 개통되었다.[13] 다만 급행버스및 여러 시내버스 노선은 존재했으나 1988에서 1991년에서 MRT하고 많이 겹치는 노선들은 페선되거나 변경되었다. 그리고 MRT 연장 구간 개통 이전에 그 구간을 이어주는 임시 셔틀 서비스라는 단거리 버스 노선도 있었으며 해당 구간 개업 한 날 폐선되었다.[14] 다만 MTR은 한국의 중대형 전철과 같이 가공전차선을 쓰는 반면 MRT는 제3궤조를 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8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8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