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인물을 모티브로 만든 영화 미이라의 등장인물인 아낙수나문에 대한 내용은 아낙수나문 문서 참고하십시오.
고대 이집트 왕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DB76B 0%, #DECD87 20%, #DECD87 80%, #BDB76B);"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A0522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제18왕조 | |||
아흐모세 1세 | 아멘호테프 1세 | 투트모세 1세 | 투트모세 2세 | |
아흐모세-네페르타리, 아흐모세-시카모세세, 아흐모세-헤누타메후 | 아흐모세-메리타몬 | 아흐모세 | 하트셉수트, 이제트 | |
투트모세 3세 | 아멘호테프 2세 | 투트모세 4세 | 아멘호테프 3세 | |
사티아, 메리트레-하트셉수트 | 티야 | 네페르타리, 이아레트, 무템위야 | 티예, 시타문, 이제트 | |
아케나톤 | 스멘크카레 | 투탕카멘 | 아이 | |
네페르티티 | 메리타텐 | 안케세나멘 | 테이 | |
호렘헤브 | ||||
무트노지메트 | ||||
제19왕조 | ||||
람세스 1세 | 세티 1세 | 람세스 2세 | 메르넵타 | |
시트레 | 투야 | 네페르타리, 이제트, 빈타나트, 메리타멘, 네베타위, 헤누트미레, 마아토르네페루레 | 이제트 2세 | |
세티 2세 | ||||
투스레트, 타카트 | ||||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 ||||
프톨레마이오스 1세 | 프톨레마이오스 2세 | 프톨레마이오스 9세 | 프톨레마이오스 10세 | |
에우리디케, 베레니케 1세 | 아르시노에 1세 | 클레오파트라 셀레네 1세 | 클레오파트라 셀레네 1세 | }}}}}}}}}}}}}}} |
고대 이집트 왕비 안케세나멘 Ankhesenamen | ||
<colbgcolor=#decd87><colcolor=#A0522D> 이름 | 안케세나멘(Ankhesenamun)[1] | |
출생 | 기원전 1348년/1342년 | |
사망 | 기원전 1322년 이후 | |
재위 기간 | 이집트 왕비 | |
기원전 1332년 ~ 기원전 1323년 (9년) | ||
부모 | 아버지 : 아케나톤 어머니 : 네페르티티 | |
배우자 | 투탕카멘, 아이[2] | |
자녀 | 317a, 317b,[3] 안케세파아텐 타셰리트[4] | |
무덤 | 불명 |
[clearfix]
1. 개요
Ankhesenamen생몰년도 미상, 살던 시기는 기원전 1300년대로 추측된다.
이집트 제 18왕조의 12대 왕 투탕카멘의 왕비. 태양신 신앙을 일으켰던 18왕조의 제 11대 왕 아케나톤과 네페르티티의 3녀로 투탕카멘도 아케나톤의 아들이므로 둘은 이복남매였다. 아마르나에 살 때의 이름은 안케센파아텐[5]이다.
투탕카멘 사망 후 외조부로 추정되는 아이와 근친혼인하여 아이가 파라오가 될 수 있었다.
2. 생애
남편이자 이복동생인 투탕카멘의 즉위와 함께 테베로 옮겨오며 아톤신앙을 버려야 했고, 때문에 아톤의 이름을 아멘의 이름으로 바꾸어 개명해야 했다. 참고로 남편인 투탕카멘(아멘의 살아있는 형상)의 이름도 본래는 투탕카톤(아톤의 살아있는 형상), 혹은 투탕카텐(아텐의 살아있는 형상)이었다.다른 왕비들과 마찬가지로 역사에 큰 비중은 없지만 그 남편이 투탕카멘이라는 데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나 투탕카멘이 요절하고 그 죽음이 큰 이슈가 되며 안케세나멘의 이름도 가끔 거론이 되었다.
그녀의 치세에, 18왕조는 쓰러지기 직전의 상황이었으며 사제들과의 반목때문에 안그래도 흔들리던 왕국의 기반이 뿌리채 꺾이기 직전이었다. 여기에 설상가상으로 리비아의 배반, 왕의 갑작스러운 죽음 등이 겹치자 쓰러져가는 왕권을 되살려보기 위해 히타이트의 왕자와 국혼을 추진했으나 그마저도 실패[6]했고 결국 아이와 (강제로?) 결혼하여 아이가 파라오에 오르게 된다.[7] 이후 안케세나멘이 기록에서 사라지는 것으로 보아 아이와 호렘헤브 등에 의해 숙청당한 것으로 추정된다.
2.1. 창작물에서
- 람세스로 유명한 크리스티앙 자크의 소설 '태양의 여왕'이 바로 안케세나멘을 다룬 이야기이다.
- 대항해시대 온라인에서는 투탕카멘의 황금마스크를 발견하는 5연퀘에서 이름이 언급되며, 유적던전인 룩소르 신전의 중계층에서 안케세나멘의 가슴장식이 드랍된다. 투탕카멘의 마스크를 찾는 연퀘 중 두 번째인 운명에 농락된 공주에선 투탕카멘 피살설을 채택했다.
- 하늘은 붉은 강가에서도 잠깐 등장하는데, 여기서는 투탕카멘이 개혁을 해보려다 개혁 반대파에게 살해당한 것으로 나온다.[8][9] 자기 남편을 죽였을지도 모르는 이집트인 중 누군가에게 시집갈 수는 없다고 히타이트에 자신의 남편이 될 왕자를 보내달라고 하여 히타이트 측에서 자난자 하투시리를 파견했으나, 자난자는 이집트로 향하던 중 자객에게 암살당했고 이후 등장은 없다. 아이와 결혼했다는 설명이 한 컷 정도 나오는데 그때 표정을 보면 아이가 영 싫은 듯하다.
[1] '그녀의 삶은 아문의 것이다' 정도로 해석할 수 있다.[2] 투탕카멘이 이른 나이에 죽은 후 재혼했다.[3] 투탕카멘의 무덤에서 투탕카멘의 미라와 함께 두 구의 사산된 여아의 미라가 발굴되었다. 아마 안케세나멘이 투탕카멘과 부부였던 시기에 가졌지만 근친혼의 결과로 선천적으로 심한 장애가 있어서 태어나지도 못하고 각각 임신 4개월차, 6개월차에 사산된 것으로 추정된다.[4] 파라오 아케나톤의 재위 후반부에 등장하는 공주인데, 안케세나멘의 소생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5] 풀어서 표기하면 안케즈 엔 파 아톤, 아톤을 위하여 살아간다는 뜻이다.[6] 히타이트 왕자가 장가왔으나 살해당했다.[7] 다른 해석도 있는데, 아이가 안케세나멘의 외할아버지이며 혈연에 의해 제위를 이었다는 해석도 있다. 현재 남아있는 아이와 안케세나멘의 족보가 애매하게 표현되어 이런 견해차가 생겼다.[8] 물론 만화니까 각색된 것으로 실제 투탕카멘은 유약한 군주였다. 개혁 군주는 투탕카멘의 선대(선선대?)파라오인 아케나톤에 가깝다.[9] 그런데 실제 역사는 제쳐놓고 이 만화상의 설정만 두고 보자면 개혁 반대파의 선두에 설 만한 사람은 안케세나멘의 어머니인 네페르티티인데, 이대로라면 안케세나멘은 어머니 일파가 남편을 죽인 비운의 여성이 된다...후새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