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8 19:31:17

옹진군 공영버스/영흥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옹진군 공영버스
{{{#!wiki style="margin:-10px -0px"<tablebordercolor=#0079c1>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공영버스 노선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nopad> 옹진군
마을

직행좌석
중구
기타
계양구
서구
}}}}}}}}} ||
파일:영흥공영버스카운티.jpg
십리포, 장경리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시간표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파일:옹진군(인천광역시) CI_White.svg 옹진군 마을버스 영흥도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export202408012347018576.png
기점 인천광역시 옹진군 영흥면 내리(영흥도버스터미널) 종점 인천광역시 옹진군 영흥면 내리(영흥도버스터미널)
종점행 첫차 06:20 기점행 첫차 -
막차 21:10 막차 -
배차간격 1일 15회
운수사명 영흥농어촌공영버스운영위원회 인가대수 1대
노선 영흥도버스터미널 → 붉은노리 → 소장골 → 보건소 → 금강찜질방 → 장경리 → 십리포해수욕장 → 영흥도버스터미널
파일:옹진군(인천광역시) CI_White.svg 옹진군 마을버스 방개골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export202408020007188438.png
기점 인천광역시 옹진군 영흥면 내리(영흥도버스터미널) 종점 인천광역시 옹진군 영흥면 내리(영흥도버스터미널)
종점행 첫차 06:20 기점행 첫차 -
막차 21:10 막차 -
배차간격 1일 15회
운수사명 영흥농어촌공영버스운영위원회 인가대수 1대
노선 영흥도버스터미널 → 내3리마을회관 → 중박골 → 장경리 → 보건소 → 우체국 → 내3리마을회관 → 영흥도버스터미널
파일:옹진군(인천광역시) CI_White.svg 옹진군 마을버스 십리포행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영흥2_0116기준.png
기점 인천광역시 옹진군 영흥면 내리(영흥도버스터미널) 종점 인천광역시 옹진군 영흥면 내리(영흥도버스터미널)
종점행 첫차 06:20 기점행 첫차 -
막차 21:10 막차 -
배차간격 1일 15회
운수사명 영흥농어촌공영버스운영위원회 인가대수 1대
노선 영흥도버스터미널 → 용담어촌계 → 십리포해수욕장 → 내2리마을회관 → 장경리해수욕장 → 금강찜질방 → 초등학교 → 용담리 → 영흥면행정복지센터 → 영흥도버스터미널
파일:옹진군(인천광역시) CI_White.svg 옹진군 마을버스 선재리행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export202408031235585954.png
기점 인천광역시 옹진군 영흥면 선재리(선재어촌체험마을) 종점 인천광역시 옹진군 영흥면 내리(금강찜질방)
종점행 첫차 08:30 기점행 첫차 09:30
막차 16:30 막차 17:30
배차간격 1일 4회
운수사명 영흥농어촌공영버스운영위원회 인가대수 1대
노선 선재어촌체험마을 - 선재초교 - 문말삼거리 - 사내기염전 - 드무리해변 - 구 농업협동조합 - 칠성건재삼거리 - 영흥도버스터미널 - 영흥면행정복지센터 - 영흥우체국 - 내4리마을회관 - 금강찜질방

2. 개요

영흥면공영버스와 선재도공영버스가 운행하는 마을버스 노선. 영흥도 십리포행 방개골 선재리행

3. 역사

파일:Screenshot_20240712_115130_Hancom Office.jpg 파일:인천 영흥 노선도.jpg
  • 2014년 4월 11일에 통학생 편의를 위해 노선 변경했다.
  • 시기 미상으로 선재리행 노선이 터미널 ~ 금강찜질방 구간이 변경되었다.
파일:transit-20231215-144922-000.png
  • 2023년 12월 20일에 영흥도 노선이 십리포를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

4. 특징

  • 790번의 도착에서 맞춰서 시간표가 운영된다.
  • 도착 정보에 안내하는 번호와 실제 번호가 불일치한다. 영흥도 노선(1호차)은 장경리행으로 표출된다.

4.1. 시간표

[ 시간표 펼치기 · 접기 ]
파일:영흥면 공영버스_2023.jpg
  • 영흥도 공영버스가 현금없는 버스로 전환된다

5. 연계 철도역

없음.

6. 둘러보기

군 단위 환승할인 가능 지역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인천광역시1 강화군내버스, 영흥면공영버스
파일:경기도 휘장.svg 경기도1 가평군, 양평군, 연천군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svg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영월군2, 인제군, 정선군, 철원군
평창군, 화천군, 홍천군, 횡성군
파일:충청남도 휘장.svg 충청남도 부여군, 서천군, 청양군, 예산군3, 홍성군3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svg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4
파일:전라남도 휘장.svg 전라남도 담양군5, 무안군6, 보성군7, 장성군5, 함평군5, 화순군5
파일:경상북도 휘장.svg 경상북도 고령군8, 성주군8, 예천군9, 청도군8, 칠곡군8
파일:경상남도 휘장.svg 경상남도 함안군10, 거창군11, 합천군11
1: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도 실시 지역
2: 원주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단, 영월군 행복버스 광역 환승시에만 적용.
3: 예산-홍성 광역환승 실시 지역
4: 전주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5: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광주 도시철도와 광역환승시 한정
6: 목포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7: 순천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8: 대구권 광역환승제 실시 지역
9: 안동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10: 창원-함안 광역환승할인 실시 지역
11: 거창군, 합천군 광역환승 실시 지역, 세부 조건 거창-합천 광역환승할인 문서 참고
}}}}}}}}}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8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8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