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0px" | <tablebordercolor=#0079c1>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nopad> 옹진군 | 마을 직행좌석 | |
중구 | |||
기타 | 계양구 서구 |
|
십리포, 장경리 |
1. 노선 정보
| |||||
| |||||
기점 | 인천광역시 옹진군 영흥면 내리(영흥도버스터미널) | 종점 | 인천광역시 옹진군 영흥면 내리(영흥도버스터미널) | ||
종점행 | 첫차 | 06:20 | 기점행 | 첫차 | - |
막차 | 21:10 | 막차 | - | ||
배차간격 | 1일 15회 | ||||
운수사명 | 영흥농어촌공영버스운영위원회 | 인가대수 | 1대 | ||
노선 | 영흥도버스터미널 → 붉은노리 → 소장골 → 보건소 → 금강찜질방 → 장경리 → 십리포해수욕장 → 영흥도버스터미널 |
| |||||
| |||||
기점 | 인천광역시 옹진군 영흥면 내리(영흥도버스터미널) | 종점 | 인천광역시 옹진군 영흥면 내리(영흥도버스터미널) | ||
종점행 | 첫차 | 06:20 | 기점행 | 첫차 | - |
막차 | 21:10 | 막차 | - | ||
배차간격 | 1일 15회 | ||||
운수사명 | 영흥농어촌공영버스운영위원회 | 인가대수 | 1대 | ||
노선 | 영흥도버스터미널 → 내3리마을회관 → 중박골 → 장경리 → 보건소 → 우체국 → 내3리마을회관 → 영흥도버스터미널 |
| |||||
| |||||
기점 | 인천광역시 옹진군 영흥면 내리(영흥도버스터미널) | 종점 | 인천광역시 옹진군 영흥면 내리(영흥도버스터미널) | ||
종점행 | 첫차 | 06:20 | 기점행 | 첫차 | - |
막차 | 21:10 | 막차 | - | ||
배차간격 | 1일 15회 | ||||
운수사명 | 영흥농어촌공영버스운영위원회 | 인가대수 | 1대 | ||
노선 | 영흥도버스터미널 → 용담어촌계 → 십리포해수욕장 → 내2리마을회관 → 장경리해수욕장 → 금강찜질방 → 초등학교 → 용담리 → 영흥면행정복지센터 → 영흥도버스터미널 |
| |||||
| |||||
기점 | 인천광역시 옹진군 영흥면 선재리(선재어촌체험마을) | 종점 | 인천광역시 옹진군 영흥면 내리(금강찜질방) | ||
종점행 | 첫차 | 08:30 | 기점행 | 첫차 | 09:30 |
막차 | 16:30 | 막차 | 17:30 | ||
배차간격 | 1일 4회 | ||||
운수사명 | 영흥농어촌공영버스운영위원회 | 인가대수 | 1대 | ||
노선 | 선재어촌체험마을 - 선재초교 - 문말삼거리 - 사내기염전 - 드무리해변 - 구 농업협동조합 - 칠성건재삼거리 - 영흥도버스터미널 - 영흥면행정복지센터 - 영흥우체국 - 내4리마을회관 - 금강찜질방 |
2. 개요
영흥면공영버스와 선재도공영버스가 운행하는 마을버스 노선. 영흥도 십리포행 방개골 선재리행3. 역사
| |
- 2014년 4월 11일에 통학생 편의를 위해 노선 변경했다.
- 시기 미상으로 선재리행 노선이 터미널 ~ 금강찜질방 구간이 변경되었다.
|
- 2023년 12월 20일에 영흥도 노선이 십리포를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
4. 특징
-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도가 적용되어 790번으로 환승하면 할인이 적용된다.
- 790번의 도착에서 맞춰서 시간표가 운영된다.
- 도착 정보에 안내하는 번호와 실제 번호가 불일치한다. 영흥도 노선(1호차)은 장경리행으로 표출된다.
4.1. 시간표
|
- 영흥도 공영버스가 현금없는 버스로 전환된다
5. 연계 철도역
없음.6. 둘러보기
군 단위 환승할인 가능 지역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 강화군내버스, 영흥면공영버스 |
| 가평군, 양평군, 연천군 | |
| 고성군, 영월군2, 인제군, 정선군, 철원군 평창군, 화천군, 홍천군, 횡성군 | |
| 부여군, 서천군, 청양군, 예산군3, 홍성군3 | |
| 완주군4 | |
| 담양군5, 무안군6, 보성군7, 장성군5, 함평군5, 화순군5 | |
| 고령군8, 성주군8, 예천군9, 청도군8, 칠곡군8 | |
| 함안군10, 거창군11, 합천군11 | |
1: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도 실시 지역 2: 원주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단, 영월군 행복버스 광역 환승시에만 적용. 3: 예산-홍성 광역환승 실시 지역 4: 전주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5: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광주 도시철도와 광역환승시 한정 6: 목포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7: 순천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8: 대구권 광역환승제 실시 지역 9: 안동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10: 창원-함안 광역환승할인 실시 지역 11: 거창군, 합천군 광역환승 실시 지역, 세부 조건 거창-합천 광역환승할인 문서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