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 0 -10px;" | <colbgcolor=#8c8c70><colcolor=#fff>천안시 | · · | ||
아산시 | · | <colbgcolor=#8c8c70><colcolor=#fff>공주시 | ||
당진시 | 논산시 | |||
서산시 | 계룡시 | |||
보령시 | 금산군 | |||
홍성군 | 부여군 | |||
예산군 | 서천군 | · 안전여객 | ||
청양군 | 태안군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계룡시 | 공주시 | 금산군 | 논산시 | 당진시 |
보령시 | 부여군 | 서산시 | 서천군 | 아산시 | |
예산군 | 천안시 | 청양군 | 태안군 | 홍성군 | }}}}}}}}} |
| |
홍주여객 洪州旅客 / Hongju Passenger Company | |
정식 명칭 | 홍주여객자동차(주) |
영문 명칭 | Hongju Passenger Company |
국가 | |
운행 지역 | 홍성군 전역, 예산군, 보령시, 청양군, 서산시 일부 |
업종 | 농어촌버스 |
대표자 | 이실 |
대표번호 | 041-641-6100[1] |
고객센터 | 041-642-1371[2] |
홈페이지 | |
1. 개요
충청남도 홍성군의 농어촌버스 회사다. 사명 유래는 홍성군의 옛 지명인 홍주목이며, 본사는 충청남도 홍성군 광천읍 충서로 487 (벽계리)에 있다.2. 연혁
<colbgcolor=#00a681><colcolor=#fff> 1980년 12월 10일 | 충남교통운수[3]에서 분리, 차량 15대로 설립 |
1991년 | 현 대표이사인 이실 취임 |
1996년 3월 27일 | 본사 및 차고지를 현재 위치로 이전 |
2003년 3월 | 교통카드제 도입 |
2023년 2월 25일 | 예산교통 노선들과 무료환승제 실시[4] |
2024년 3월 | 안내 방송이 기존 본 시스템에서 인근 서산, 당진과 같은 마이비 TTS 안내방송으로 변경 |
3. 보유차종
농어촌버스치고는 대형차 비중이 적지 않은 편이다.2022년 12월 말에 사내 첫 전기버스로 일렉시티를 도입했으며 2024년 4월 말에 전기버스로 일렉시티가 아닌 스마트 110을 도입했다.
3.1. 현재 보유차종
3.1.1. 현대자동차
3.1.2. 자일대우버스
3.1.3. KGM커머셜
3.2. 과거 보유차종
3.2.1. 현대자동차
3.2.2. 자일대우버스
- 대우 BM090 로얄미디 디젤
- 대우 BS090 로얄미디 F/L 디젤
- 대우 NEW BS090 뉴 로얄미디 디젤
- 새한 BF101 디젤
- 대우 BF101(Q) 디젤
- 대우 BF105 디젤
- 대우 BS106 하이파워 디젤
- 대우 BS106 로얄시티 디젤
3.2.3. KG모빌리티
4. 노선
운행 지역으로는 홍성군 전역 이 외에 예산군[6]/보령시/청양군/서산시 일부를 운행한다.번호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서류 상으로 기점 발은 H, 종점 발은 L로 구분되어 있다.
400번대와 600번대는 공번이다.
주 52시간 근무의 시행으로 인하여 2020년 1월 1일부터 시간표가 변경된다. (86개 노선 폐지 206회 감회 / 22개 노선 신설 117회 증회)
홍성군 시(군)내버스 노선안내
시내버스의 LED 전광판은 탑이앤씨코리아에서 제작했다. 관련 게시물
4.1. 100번대
4.2. 200번대(은하, 결성, 서부, 갈산, 구항)
4.3. 300번대(홍북, 금마, 광시)
4.4. 500번대(홍성)
4.5. 700번대(광천)
4.6. 800번대(홍동, 장곡)
4.7. 900번대(내포, 덕산)
4.8. 1000, 1001번(내포신도시 순환)
5. 면허 체계
- 충남 76 자 10##호
6. 둘러보기
군 단위 환승할인 가능 지역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 강화군내버스, 영흥면공영버스 |
| 가평군, 양평군, 연천군 | |
| 고성군, 영월군2, 인제군, 정선군, 철원군 평창군, 화천군, 홍천군, 횡성군 | |
| 부여군, 서천군, 청양군, 예산군3, 홍성군3 | |
| 완주군4 | |
| 담양군5, 무안군6, 보성군7, 장성군5, 함평군5, 화순군5 | |
| 고령군8, 성주군8, 예천군9, 청도군8, 칠곡군8 | |
| 함안군10, 거창군11, 합천군11 | |
1: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도 실시 지역 2: 원주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단, 영월군 행복버스 광역 환승시에만 적용. 3: 예산-홍성 광역환승 실시 지역 4: 전주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5: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광주 도시철도와 광역환승시 한정 6: 목포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7: 순천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8: 대구권 광역환승제 실시 지역 9: 안동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10: 창원-함안 광역환승할인 실시 지역 11: 거창군, 합천군 광역환승 실시 지역, 세부 조건 거창-합천 광역환승할인 문서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