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석면과 내면 지역을 운행하는 공공형버스에 대한 내용은 홍천군 공공형버스 문서 참고하십시오.
강원특별자치도 시내/농어촌버스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강릉시 | 고성군 | 동해시 | 삼척시 | 속초시 |
양구군 | 양양군 | 영월군 | 원주시 | 인제군 | |
정선군 | 철원군 | 춘천시 | 태백시 | 평창군 | |
화천군 | 홍천군 | 횡성군 | 운수 업체 목록 |
1. 개요
홍천군 농어촌버스는 금강고속, 대한교통, 현대교통 3개 업체가 운영하고 있다.2. 특징
농어촌버스는 교통카드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하차 후 60분 이내에 1회 환승이 가능하다.[1] 교통카드는 선불카드 기준으로 캐시비, 마이비, 이비카드, 티머니, 레일플러스를 사용할 수 있다. 한때는 티머니가 적용되지 않은 적도 있었기 때문에 티머니 이용자들은 다소 혼선이 있기도 했다.2014년 4월 7일부터 농어촌버스 단일요금제가 전면 시행[2]되어 홍천군 전 지역 어디를 가든 일반인 기준 1,700원(교통카드 사용시 1,530원)[3][4]의 요금만 내면 된다. 단일요금제 시행 전에는 거리비례 요금제였는데, 홍천군이 워낙 면적이 넓기 때문에 단일요금제 시행 이후 홍천군 대부분의 지역에서 교통요금 인하 효과를 볼 수 있었다. 특히 홍천읍과의 거리가 먼 내면은 거리비례 요금제 때는 무려 8,400원에 달하는 요금이 나왔는데[5], 단일요금제 시행 이후 1,400원만 내면 되어 무려 83%의 교통요금 인하 효과를 보았다.
홍천군 바깥으로 넘어가는(인제, 원통 등) 인제군 면허 노선인 농어촌버스는 단일요금제에 참여하지 않고 거리비례 요금제를 적용받다가, 2017년 1월 1일부터 홍천군 관내 구간에 한하여 모든 농어촌버스가 단일요금제를 적용받게 되었다. 관련 기사 다만 금강고속과 대한교통은 차돌리기로 홍천군 내에서만 운행하는 버스에 인제군 차량이 들어오기도 한다. 이 때에는
다만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을 오가는 금강고속 농어촌버스의 경우 강원도 차적버스이기 때문에 서울, 인천, 경기 지역에서 적용되는 수도권 통합요금 대상이 아니며, 양평군 용문터미널과 용문역에서 경의중앙선 전철, G9311번, 양평군 차적 동사 농어촌버스로 갈아탈 경우 기본요금이 징수된다. 또한 양평군 용문면 ↔ 홍천으로 갈 경우에는 시계외요금이 적용된다[7].
경기도나 다른 군의 농어촌버스와는 환승이 되지 않으나, 홍천군 농어촌버스끼리는 하차 후 30분 이내에 1회 환승이 적용됐다. 하지만 농어촌버스 특성상 배차간격이 넓은점 등을 고려하여 요금 개편과 함께 23년 1월 1일부터 환승시간이 60분으로 늘어났다. 다만 도시와는 달리 노선 번호 입력을 정확하게 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같은 회사 다른 노선으로 갈아타는 경우 같은 노선으로 인식하여 환승할인이 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물론 다른 회사는 노선 번호가 다르니 무조건 가능하다. 다른 지자체로 넘어가서 추가 요금이 포함되는 경우에 환승하면 기본 요금만큼 할인된다.
3. 요금, 시간표
홍천군 대중교통안내를 참조. 정류장의 위치는 물론 대략적인 통과 시각까지 나와 있다. 물론 오차가 있고 잘못 표시된 노선과 버스 회사들이 잘 밟는 걸로 유명한 회사들이기 때문에 늦어도 도착 10분 전에 미리 기다리는 걸 권장한다. 카카오맵에서 실시간 도착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차량 내부 LED에서도 각 정류장 도착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부 정류장에 한해서도 BIS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치했다.4. 노선
2010년대 초반에 번호제를 도입해 실제 차량에도 LED로 된 번호 표시기[8]를 달았다. 당시 모습 하지만 이후 번호 표시기가 철거되었고 번호는 인가 상으로만 남게 되었다.2019년 9월부터 금강고속 차량에 한해 전면 LED를 시범 설치하면서 번호제가 부활하였다.[9] 이후 2023년 12월 말부터 BIS를 본격적으로 도입하면서 번호 개편과 함께 홍천군 소속 농어촌버스 전 차량을 대상으로 실내.외 LED 설치가 진행중이다. 또한, 기존의 캐시비 전용 안내방송에서 자체 제작한 안내방송을 사용하고 있다.
- 홍천군 농어촌버스/홍천읍, 북방면, 화촌면
- 홍천군 농어촌버스/남면
- 홍천군 농어촌버스/내면
- 홍천군 농어촌버스/내촌면, 두촌면
- 홍천군 농어촌버스/서면
- 홍천군 농어촌버스/서석면
- 홍천군 농어촌버스/영귀미면
- 홍천군 공공형버스
4.1. 금강고속
- 홍천 - 군청입구 - 화동입구 - 상화계삼거리 - 화계초교 - 능평휴게소 - 부사원 - 동산 - 역전평사거리 - 본궁 (83번)
- 홍천 - 부대앞 - 상화계삼거리 - 화계초교 - 능평휴게소 - 부사원 - 동산 - 역전평사거리 - 본궁 (인가상으로 안 나와 있으니 이용하실 때 주의)
- 홍천 - 연봉삼거리 - 장전평 - 옥류동 - 삼마치종점 - 원터 (원터입구는1, 원터종점은 2번)
- 홍천 - 하오안 - 노루목 - 장전평2리 - 높은터 (3번)
- 홍천 - 결운 - 만내 - 송정 - 신내 - 일건 - 성산 (11, 11-1번)
- 홍천 - 결운 - 와동 - 굴운 - 송정 (10, 10-1번)
- 홍천 - 결운 - 송정 - 신내 - 일건 - 성산 - 새말 - 말고개 - 철정 - 철정2리 (21번)
- 홍천 - 결운 - 송정 - 신내 - 오림촌 - 오림손 - 무수터 - 소양쉼터 - 샛터 - 학교앞 - 풍천 - 덕밭재 (덕밭재 미경유 12번, 덕밭재 경유 13번)
- 홍천 - 결운 - 송정 - 신내 - 일건 - 성산 - 새말 - 야시대1리 - 야시대2리 (14번)
- 홍천 - 결운 - 송정 - 신내 - 삼포중 - 삼포초교 - 성산 - 새말 - 야시대1리 - 야시대2리 (14-1번, 15번)
- 홍천 - 결운 - 송정 - 신내 - 일건 - 성산 - 말고개 - 철정 - 지다치 - 추평승강장 - 역내리 - 천현리(가리산) (20번으로 추정)
- 홍천 - 결운 - 송정 - 신내 - 일건 - 성산 - 말고개 - 철정 - 지다치 - 추평승강장 - 역내리 - 모리골쉼터 - 양지말입구 - 두촌 - 원동입구 - 자은3리 - 쾌석리 (첫차는 22번, 그외는 22-1번)
- 홍천 - 결운 - 송정 - 신내 - 일건 - 성산 - 말고개 - 철정 - 지다치 - 추평승강장 - 역내리 - 모리골쉼터 - 양지말입구 - 두촌 - 원동입구 - 원동 - 양지마을 (인가상 노선번호가 안나와 있으니 이용하실 때 주의!)
- 홍천 - 결운 - 송정 - 신내 - 일건 - 성산 - 말고개 - 철정 - 지다치 - 추평승강장 - 역내리 - 모리골쉼터 - 양지말입구 - 두촌 - 원동입구 - 장남1리 - 장남군계 - 가물교 - 신남 (301번으로 추정)
- 홍천 - 결운 - 송정 - 신내 - 일건 - 성산 - 말고개 - 철정 - 지다치 - 추평승강장 - 역내리 - 옹망골 - 작은평내 - 양지마을 - 가사골 - 웃못골 - 밤나무골 - 매표소 - 역내리 - 모리골쉼터 - 양지말입구 - 두촌 (20번)
- 홍천 - 하오안 - 상오안 - 월천리 - 양덕원 - 양덕과고 - 신탁 - 삼성 - 다리 - 용두휴게소 - 용두리 - 가현 - 비룡리휴게소 - 비룡리 - 단월 - 양동입구 - 봉상리 - 광탄 - 금곡 - 마룡 - 용문고 - 용문 (200번)
※ 용문을 오가는 홍천군 농어촌버스는 수도권 경의중앙선 전철과 경기도 차적의 금강고속 시내버스, G9311번과의 환승할인 혜택이 없으므로 주의 요망. 이들과 환승을 하려면 기본요금이 징수된다. 홍천군 관내를 벗어나면 시외버스와 비슷한 요금을 내야 한다. 그러다 보니 버스 동호인 이외에는 전구간을 타는 경우는 드물다. 같은 돈 내고 더 빠르고 편안하게 갈 수 있고 1시간 간격으로 운행하는 동사 시외버스를 탄다. 금강고속 승무원부터가 농어촌버스를 타고 양평과 홍천 사이를 이동하려고 탑승하는 고객이 있으면 이 노선은 시간이 많이 지체되니 시외버스를 이용하라고 먼저 말리는 경우가 자주 있다.[10]
4.2. 대한교통
- 홍천 - 우시장 - 부대앞 - 여우고개 - 덕치 - 성수 - 속초리 - 산수골 - 개운 - 학교앞 - 월운종점
- 홍천 - 우시장 - 부대앞 - 여우고개 - 덕치 - 성수 - 속초리 - 산수골 - 개운 - 후동 - 후동종점
- 홍천 - 우시장 - 부대앞 - 여우고개 - 덕치 - 성수 - 속초리 - 산수골 - 개운 - 학교앞 - 월운종점 - 공주터
- 홍천 - 우시장 - 부대앞 - 여우고개 - 덕치 - 성수 - 속초리 - 산수골 - 개운 - 방량입구 - 월운 - 월운종점
- 홍천 - 우시장 - 부대앞 - 여우고개 - 덕치 - 성수 - 속초리 - 용각 - 민박촌 - 수타사
- 홍천 - 우시장 - 부대앞 - 여우고개 - 덕치 - 성수 - 속초리 - 성수 - 숫골 - 삼현리 - 방량회관 - 방량리 - 방량종점
- 홍천 - 우시장 - 부대앞 - 여우고개 - 덕치 - 성수 - 속초리 - 방앗간 - 고아원 - 신봉입구 - 고개위 - 신봉종점
- 홍천 - 우시장 - 부대앞 - 여우고개 - 덕치 - 성수 - 속초리 - 방앗간 - 고아원 - 신봉입구 - 목장입구 - 저수지 - 소리고개 - 노천 - 삼거리 - 새목 - 화방 - 화곡 - 좌운 - 예의촌
- 홍천 - 우시장 - 부대앞 - 여우고개 - 덕치 - 성수 - 속초리 - 방앗간 - 고아원 - 신봉입구 - 목장입구 - 저수지 - 소리고개 - 노천 - 삼거리 - 공작교 - 물골 - 고개정상 - 약수터 - 황정골 - 어론 - 용두안 - 서석
- 내면 - 절애 - 원당 - 광원 - 청도 - 목맥동
- 내면 -자운리 - 괸돌 - 뱃재 - 가진포승강장 - 방내
- 내면 - 소한동
- 내면 - 자운리 - 운두
- 서석 - 검산 - 생곡 - 가진포 - 방내 - 율전 - 상뱃재 - 괸돌 - 자운리 - 내면
- 서석 - 검산 - 생곡 - 율전 - 상뱃재 - 괸돌- 자운리 - 내면
- 서석 - 검산 - 생곡 - 가진포 - 방내
- 서석 - 서봉사
- 서석 - 청량리
- 서석 - 피리골
- 홍천 - 결운 - 부대앞 - 송정 - 신내 - 삼포중 - 군업 - 조가터 - 답연밭 (서울대학교 시스템면역의학연구소) - 당무 - 삼거리 - 도광터
- 홍천 - 결운 - 송정 - 신내 - 삼포중 - 삼포초교 - 건금 - 성산 - 새말 - 주음치입구 - 주음치 - 주음치종점
- 홍천 - 결운 - 송정 - 신내 - 일건 - 성산 - 말고개 - 철정 - 화상대 - 답풍리 - 내촌 - 광암교회 - 광암(하) - 광암(상)
- 홍천 - 결운 - 송정 - 신내 - 성산 - 말고개 - 철정 - 화상대 - 답풍리 - 내촌 - 서곡 - 와야삼거리 - 망전 - 수작골 - 동창 - 가루개 - 절골 - 수하 - 항곡 - 눌언동 - 가곡 - 용두안 - 서석
- 홍천 - 결운 - 송정 - 신내 - 성산 - 말고개 - 철정 - 화상대 - 답풍리 - 내촌 - 서곡 - 와야삼거리 - 망전 - 깨들 - 장수원 - 전말 - 새말 - 물걸2리
- 홍천 - 결운 - 송정 - 신내 - 성산 - 외삼포 - 군업 - 조가터 - 장평 - 솔치 - 어론 - 용두안 - 서석
- 홍천 - 결운 - 송정 - 신내 - 성산 - 외삼포 - 군업 - 조가터 - 장평 - 솔치 - 어론 - 용두안 - 서석 - 검산 - 생곡 - 율전 - 상뱃재 - 괸돌- 자운리 - 내면
- 홍천 - 결운 - 송정 - 신내 - 성산 - 말고개 - 철정 - 화상대 - 답풍리 - 내촌 - 서곡 - 와야삼거리 - 중와야 - 주곡치 - 미다리 - 방아다리 - 고석평 - 상남 - 광주동 - 하남 - 용포 - 덕다리 - 현리
4.3. 현대교통
- 홍천 - 북방 - 화동입구 - 화동리 - 갈골 - 저수지 - 돌모루 - 용태리 - 오성교 - 사곡 - 대룡교 - 연화사 - 사랑말
- 홍천 - 북방 - 화동입구 - 화동리 - 갈골 - 저수지 - 성골
- 홍천 - 군청입구 - 화동입구 - 상화계삼거리 - 화계초교 - 능평휴게소 - 부사원 - 동산 - 역전평사거리 - 다리 - 원소리 - 노일다리 - 데룡골 - 팔봉초교
- 홍천 - 군청입구 - 화동입구 - 상화계삼거리 - 화계초교 - 능평휴게소 - 부사원 - 동산 - 역전평사거리 - 다리 - 원소리 - 노일다리 - 북노일
- 홍천 - 군청입구 - 화동입구 - 상화계삼거리 - 화계초교 - 능평휴게소 - 부사원 - 동산 - 역전평사거리 - 굴지리 - 장항리
- 홍천 - 군청입구 - 화동입구 - 상화계삼거리 - 화계초교 - 능평휴게소 - 부사원 - 동산 - 역전평사거리 - 다리 - 원소리 - 구만리 - 광판중 - 어유포리 - 통곡 - 반곡 - 두미리
- 홍천 - 군청입구 - 화동입구 - 상화계삼거리 - 화계초교 - 능평휴게소 - 부사원 - 동산 - 역전평사거리 - 다리 - 원소리 - 구만리 - 광판중 - 어유포리 - 통곡 - 반곡 - 두미리 - 개야리 - 모곡
- 홍천 - 하오안 - 상오안 - 월천리 - 양덕원 - 화전1리 - 길곡 - 화전2리 - 고개정상 - 굴업 - 대곡고개 - 귀량 - 석산 - 중방대 - 모곡 - 한서 - 점말 - 동막 - 길곡
- 홍천 - 하오안 - 상오안 - 월천리 - 양덕원 - 화전1리 - 길곡 - 화전2리 - 고개정상 - 굴업 - 스키장 - 팔봉산
- 홍천 - 하오안 - 상오안 - 월천리 - 양덕원 - 화전1리 - 길곡 - 화전2리 - 고개정상 - 굴업 - 대곡고개 - 대곡2리
- 홍천 - 하오안 - 상오안 - 월천리 - 양덕원 - 유목정 - 신대1리 - 곰실 - 시동2리 - 매산 - 유치종점 - 상유치
- 홍천 - 양덕원 - 유목정 - 신대리 - 곰실 - 시동 - 매산 - 유치 - 상창 - 하창 - 도곡 - 공근 - 삼거리 - 하일 - 횡성
- 홍천 - 장전평 - 삼마치 - 원터 - 상창 - 유치 - 매산 - 시동 - 곰실 - 신대1리 - 유목정 - 양덕원 - 월천리 - 상오안 - 홍천
- 홍천 - 하오안 - 상오안 - 월천리 - 양덕원 - 유목정 - 신대1리 - 동은승강장 - 인삼밭 - 시동4리 - 도촌
- 홍천 - 하오안 - 상오안 - 월천리 - 양덕원 - 명동입구 - 명동 - 제곡 - 용수삼거리 - 안말 - 안말다리.응아지 - 남노일 - 고드래미 - 위안터
- 홍천 - 부대앞 - 상화계 - 화계초교 - 북방온천
- 춘천시외버스터미널 - 김유정역 - 삼포 - 광판리 - 구만삼거리 - 어유포 - 팔봉삼거리 - 팔봉리 - 대명비발디파크
5. 둘러보기
군 단위 환승할인 가능 지역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인천광역시1 | 강화군내버스, 영흥면공영버스 |
경기도1 | 가평군, 양평군, 연천군 | |
강원특별자치도 | 고성군, 영월군2, 인제군, 정선군, 철원군 평창군, 화천군, 홍천군, 횡성군 | |
충청남도 | 부여군, 서천군, 청양군, 예산군3, 홍성군3 | |
전북특별자치도 | 완주군4 | |
전라남도 | 담양군5, 무안군6, 보성군7, 장성군5, 함평군5, 화순군5 | |
경상북도 | 고령군8, 성주군8, 예천군9, 청도군8, 칠곡군8 | |
경상남도 | 함안군10, 거창군11, 합천군11 | |
1: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도 실시 지역 2: 원주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단, 영월군 행복버스 광역 환승시에만 적용. 3: 예산-홍성 광역환승 실시 지역 4: 전주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5: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광주 도시철도와 광역환승시 한정 6: 목포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7: 순천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8: 대구권 광역환승제 실시 지역 9: 안동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10: 창원-함안 광역환승할인 실시 지역 11: 거창군, 합천군 광역환승 실시 지역, 세부 조건 거창-합천 광역환승할인 문서 참고 |
홍천군 교통체계 | ||
<colbgcolor=#008c44> 도로 | 고속도로 | 중앙고속도로(홍천IC), 서울양양고속도로(동홍천IC, 내촌IC) |
국도 | 5번 국도, 19번 국도, 31번 국도, 44번 국도, 56번 국도 | |
지방도 | 70번 지방도, 86번 지방도, 345번 지방도, 403번 지방도, 406번 지방도, 408번 지방도, 424번 지방도, 444번 지방도, 446번 지방도, 451번 지방도, 494번 지방도 | |
버스 | 시내버스, 고속(시외)버스 | 홍천군 농어촌버스(홍천군 공공형버스), 홍천종합버스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의 교통 |
[1] 통합 요금제 시행 및 요금 인상 등에 있지만 여전히 잘 이루어지고 있다. 이전에는 30분에 한해서만 환승이 가능해 배차 간격이 긴 농어촌버스 특성상 환승할인을 받기 쉽지 않았으나, 23년 1월 요금개편과 함께 60분으로 증가되어 환승이 용이해졌다.[2] 금강고속 및 대한교통 버스는 2014년 3월 24일부터, 현대교통은 2014년 4월 7일부터 시행했다.[3] 요금제 개편 당시에는 1,100원이었으나, 2014년 10월 1일부터 100원이 인상되었고 2018년 10월 26일 200원이 추가로 인상되었으며, 2023년 01월 01일 한차례 더 인상되어 현재의 가격이 되었다.[4] 2023년 7월부터 교통카드 할인율 증대로 인해 기존 5%에서 10%로 상향 조정됐다.[5] 이는 당시 내면행 버스가 시외버스 면허였기 때문이다. 단일요금제 시행을 위해 농어촌버스로 전환한 것.[6] 버스 기사들이 시계외요금 마냥 단말기를 조작해 홍천군 기본요금을 받아간다.[7] 이쪽은 양평군 ↔ 홍천군으로 넘어감과 동시에 광역단체 기준으로 경기도 ↔ 강원자치도로도 넘어가며 지역번호도 차를 탔던동안 변경된다. 경기 031 ↔ 강원 033. 예를 들어 양평군에서 홍천군으로 넘어갔을 때 경기도 콜센터에 문의하라면 반드시 031과 동시에 120번을 눌러줘야 한다. 이 경우는 과천시, 광명시, 부천시, 안산시(대부도 지역 및 풍도 한정)에서도 그러해야 하는데 이들 지역은 경기도 시군이지만 각각 02(과천, 광명), 032(부천, 안산(대부도 전역 및 풍도))로 되어있어서 경기 지역번호인 031을 먼저 누르고나서 경기도 콜센터 120번을 눌러야한다. 특히 광명이나 과천에서 120을 누르면 서울특별시 다산콜센터로 직결되어버린다. 특히 안산시의 경우 대부도 및 풍도 지역 한정으로 031을 먼저 누르고 경기도 콜센터 120을 함께 눌러야한다. 이들 지역은 안산시청이나 관할 구청인 단원구청에 전화할 때도 이렇게 해야한다.[8] 버스 위쪽에 LED를 장착하는 다른 지자체들과 달리 행선판이 있는 그 자리에 조그만 LED를 달았다. 현재 춘천시 시내버스 차량 뒤쪽과 오른쪽에 달린 조그만 것과 같은 기종이다.[9] 기판은 싸인텔레콤 것으로, 울산시 시내버스와 동일한 것을 사용했었다.[10] 단, 용문 버스정류장 같은 경우 용문역까지 약 1km 이상 도보로 환승하거나, 시내버스로 환승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이 점은 단점으로 꼽힌다. 강원도 차적 농어촌버스는 구 용문 버스정류장까지 가기 때문에 농어촌버스가 더 편리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