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3 15:16:53

워 썬더/지상 병기/프랑스 트리/대공전차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워 썬더/지상 병기/프랑스 트리
워 썬더의 등장 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6px; letter-spacing: -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0%;"
{{{#!folding [ 공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gray> 파일:워 썬더 미국 국기.png 미국 요격기 | 육군 항공대 · 공군 | 해군 항공대 | 공격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독일 국기.png 독일 메서슈미트 · 서독 계열 | 포케불프 · 동독 계열 | 중전투기 | 공격기 · 요격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소련 국기.png 소련 야크 계열 | 미그 계열 | 라보츠킨 · 수호이 계열 | 공격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영국 국기.png 영국 호커 계열 | 슈퍼마린 · 글로스터 계열 | 해군 항공기 | 중전투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일본 국기.png 일본 해군 전투기 | 육군 전투기 | 중전투기 · 요격기 | 경폭격기 | 중형 · 중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중국 국기.png 중국 국민당 | 공산당 | 공격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이탈리아 국기.png 이탈리아 레지아네 계열 | 피아트 · 마키 계열 | 공격기 | 폭격기 | 헝가리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프랑스 국기.png 프랑스 자국산 | 공여 전투기 · 공격기 | 공격기 | 폭격기 | 베네룩스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스웨덴 국기.png 스웨덴 전투기 | 전투기 · 폭격기 혼합 | 폭격기 | 핀란드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이스라엘 국기.png 이스라엘 전투기 | 전투기 · 공격기 혼합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 항공 병기 전반에 대한 내용은 워 썬더/항공 병기를 참고.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0%;"
{{{#!folding [ 육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gray> 파일:워 썬더 미국 국기.png 미국 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중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대전차 자주포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독일 국기.png 독일 자주포 · 경전차 | 중전차 · MBT | 중형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구축전차 · 대전차 차량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소련 국기.png 소련 중형전차 · MBT | 중전차 · MBT | 경전차 | 자주포 · 대전차 차량 | 자주대공포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영국 국기.png 영국 중형전차 · MBT | 중전차 · MBT | 자주포 · 대전차 차량 | 자주대공포 | 남아프리카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일본 국기.png 일본 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구축전차 | 자주대공포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중국 국기.png 중국 경전차 · MBT | 중형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자주포 · 대전차 차량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이탈리아 국기.png 이탈리아 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구축전차 · 대전차 차량 | 헝가리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프랑스 국기.png 프랑스 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중전차 | 대공전차 | 대전차 차량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스웨덴 국기.png 스웨덴 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구축전차 · 대전차 차량 | 핀란드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이스라엘 국기.png 이스라엘 미국제 | 유럽제 · 자국산 | 자주대공포 | 대전차 차량 | 프리미엄
* 지상 병기 전반에 대한 내용은 워 썬더/지상 병기를 참고.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0%;"
{{{#!folding [ 해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gray> 파일:워 썬더 미국 국기.png 미국 연안해군 | 대양해군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독일 국기.png 독일 연안해군 | 대양해군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소련 국기.png 소련 연안해군 | 대양해군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영국 국기.png 영국 연안해군 | 대양해군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일본 국기.png 일본 연안해군 | 대양해군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이탈리아 국기.png 이탈리아 연안해군 | 대양해군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프랑스 국기.png 프랑스 연안해군 | 대양해군 | 프리미엄
* 해상 병기 전반에 대한 내용은 워 썬더/해상 병기를 참고. }}}}}}}}}}}}



파일:워 썬더 프랑스 국기.png 프랑스 지상 병기[1]]
[ 연구 가능 장비 ]
## -↓- 1랭 -↓- ##
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AMC.34_YR.png
파일:WarThunder_H.35.png
파일:WarThunder_FCM.36.png
파일:WarThunder_P.7.T_AA.png
파일:WarThunder_AMR.35_ZT3.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AMD.35.png
파일:WarThunder_H.39.png
파일:WarThunder_R.35_(SA38).png
파일:WarThunder_Lorraine_37L.png
## ↓ 4행 ↓ ##
## ↓ 5행 ↓ ##
파일:WarThunder_AMC.35_(ACG.1).png
파일:WarThunder_S.35.png
파일:WarThunder_D2.png
파일:WarThunder_SAu_40.png
## ↓ 6행 ↓ ##
## -↓- 2랭 -↓- ##
I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Crusader_Mk.II_(France).png
파일:WarThunder_M3A3_Stuart_(France).png
[ B1/2C ]
파일:WarThunder_B1_bis.png
파일:WarThunder_2C.png
파일:WarThunder_CCKW_353_AA.png
파일:WarThunder_M4A3_(105)_(France).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M4A1_(France).png
파일:WT_VTT_DCA_FR.png
파일:WarThunder_M10_GMC_(France).png
## ↓ 4행 ↓ ##
## -↓- 3랭 -↓- ##
II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AMX-13_(FL11).png
파일:WarThunder_M4A4_(France).png
파일:WarThunder_ARL-44_(ACL-1).png
파일:WarThunder_AMX-13_DCA_40.png
파일:WT_M44_FR.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E.B.R._(1951).png
파일:WarThunder_M4A4_(SA50).png
[ ARL/M4A3E2 ]
파일:WarThunder_ARL-44.png
파일:WarThunder_M4A3E2_(France).png
파일:WT_TPK_6.41_FR.png
파일:WarThunder_M36B2_(France).png
## ↓ 4행 ↓ ##
## -↓- 4랭 -↓- ##
IV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AMX-13.png
파일:WT_M26_FR.png
파일:WarThunder_AMX_M4.png
파일:WT_AMX-10P_FR.png
[ 로렌/ELC ]
파일:WarThunder_CA_Lorraine.png
파일:WarThunder_ELC_bis.png
## ↓ 2행 ↓ ##
## -↓- 5랭 -↓- ##
V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AML-90.png
[ 로렌/Char ]
파일:WarThunder_Lorraine_40t.png
파일:WarThunder_Char_25t.png
파일:WarThunder_AMX-50_(TOA100).png
[ AuF/ACRA ]
파일:WT_AUF1_FR.png
파일:WT_AMX-10M_FR.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AMX-13-90.png
파일:WarThunder_AMX-30_(1972).png
파일:WarThunder_AMX-50_Surbaisse.png
파일:WarThunder_AMX-50_Foch.png
## ↓ 4행 ↓ ##
## -↓- 6랭 -↓- ##
VI 랭크
## ↓ 1행 ↓ ##
[ MARS/AMX ]
파일:WarThunder_MARS_15.png
파일:WarThunder_AMX-13_(HOT).png
[ 30 B2/BRENUS ]
파일:WarThunder_AMX-30B2.png
파일:WarThunder_AMX-30B2_BRENUS.png
[ AMX-32 105/120 ]
파일:WarThunder_AMX-32_(105).png
파일:WarThunder_AMX-32.png
파일:WarThunder_AMX-30_DCA.png
파일:WarThunder_AMX-30_ACRA.png
## ↓ 2행 ↓ ##
## ↓ 3행 ↓ ##
[ AMX/SK ]
파일:WarThunder_AMX-10RC.png
파일:WarThunder_SK-105A2.png
파일:WarThunder_AMX-32.png
파일:WarThunder_SANTAL.png
파일:WarThunder_MEPHISTO.png
## ↓ 4행 ↓ ##
#!wiki style="display: table-cell; 
## ↓ 5행 ↓ ##
파일:WT_VBCI_FR.png
#!wiki style="display: table-cell; 
## ↓ 6행 ↓ ##
#!wiki style="display: table-cell; 
## -↓- 7랭 -↓- ##
VII 랭크
## ↓ 1행 ↓ ##
파일:WT_Vextra_FR.png
파일:WarThunder_AMX-40.png
파일:WarThunder_Roland_1.png
## ↓ 2행 ↓ ##
## ↓ 3행 ↓ ##
파일:WT_2A4NL_FR.png
## ↓ 4행 ↓ ##
## -↓- 8랭 -↓- ##
VIII랭크
## ↓ 1행 ↓ ##
[ 르클레르 S1/S2 ]
파일:WarThunder_Leclerc.png
파일:WarThunder_Leclerc_S2.png
파일:WT_2A5NL_FR.png
파일:WarThunder_ItO_90M_(France).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Leclerc_SXXI.png
파일:WT_2A6NL_FR.png
## ↓ 4행 ↓ ##
## ↓ 5행 ↓ ##
파일:WT_Leclerc_AZUR_FR.png
## ↓ 6행 ↓ ##
## -↓- 구분선 -↓- ##
[ 프리미엄 장비 ]
## -↓- 장 비 -↓- ##
## -↓- 1랭 -↓- ##
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H.39_Cambronne.png
파일:WarThunder_AMD.35_(SA35).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2C_bis.png
## ↓ 4행 ↓ ##
## -↓- 2랭 -↓- ##
I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B1_ter.png
파일:WarThunder_LVT-4_40.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AMX-13-M24.png
## ↓ 4행 ↓ ##
## -↓- 3랭 -↓- ##
II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M4A1_(FL10).png
파일:WarThunder_Lorraine_155_Mle.50.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E.B.R._(1954).png
## ↓ 4행 ↓ ##
## -↓- 4랭 -↓- ##
IV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Panther_Dauphiné.png
파일:WarThunder_E.B.R._(1963).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AMX-13_(SS.11).png
파일:WarThunder_Somua_SM.png
## ↓ 4행 ↓ ##
## ↓ 5행 ↓ ##
파일:WarThunder_AMX-50_(TO90_930).png
## ↓ 6행 ↓ ##
## -↓- 5랭 -↓- ##
V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AMX-30.png
파일:WarThunder_AMX-50_Surblinde.png
## ↓ 2행 ↓ ##
## -↓- 6랭 -↓- ##
V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AMX-30_Super.png
## ↓ 2행 ↓ ##
## -↓- 7랭 -↓- ##


[1] PC로 편집했기에 모바일 화면에서 가독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1. 개요2. 1랭크3. 2랭크4. 3랭크5. 4랭크6. 6랭크7. 7랭크8. 8랭크

1. 개요

2. 1랭크

2.1. P.7.T AA

P.7.T AA
시트로엥 케그레세 P.7.T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프랑스 육군 대공전차 트리
파일:fr_citroen_kegresse_p4t.png
이전 차량 현재 차량 다음 차량
- P.7.T AA - }}}}}}}}}
성능 카탈로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필요 RP 2,900 파일:13px-Rp_icon.png 가격 700 파일:19px-Sl_icon.png 전환 훈련 비용 200 파일:19px-Sl_icon.png
<colcolor=#373a3c> 랭크 I 전진 속도[1] 40 km/h 특수 기능 -
BR [2] 1.3 / 1.3 / 1.3 후진 속도[3] 7 km/h
승무원 3명 엔진 출력 20 hp
무장 13.2mm Hotchkiss Mle 1930 기관총 × 4 (탄약 적재량:1440) / 재장전 시간 : 7.8초
사용 탄띠 AP-T [스톡] AP/AP-T (M2 철갑탄/철갑예광탄) }}}}}}}}}

시트로엥 케그레세 반궤도차량에다 13.2mm 기관총 4정이 달린 포탑을 올려놓아 만든 자주대공포이다. 화력은 우수하지만 장갑이 없어 적 전차 동축기관총 사격에 전멸하는 일이 빈번하다. 급탄 방식으로 탄띠를 쓰는 미제 자주대공포들과는 달리 30발 들이 막대 탄창을 쓰기 때문에 지속사격 시간이 짦다. 하지만 일단 맞으면 갈려나간다. 따라서 대공사격시 기회를 잘 잡는 것이 좋다.

3. 2랭크

3.1. CCKW 353 AA

CCKW 353 AA
GMC CCKW 353 (40mm 보포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프랑스 육군 대공전차 트리
파일:fr_cckw_353_bofors.png
이전 차량 현재 차량 다음 차량
- CCKW 353 AA VTT DCA }}}}}}}}}
성능 카탈로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필요 RP 7,900 파일:13px-Rp_icon.png 가격 10,000 파일:19px-Sl_icon.png 전환 훈련 비용 3,000 파일:19px-Sl_icon.png
<colcolor=#373a3c> 랭크 II 전진 속도[5] 64 km/h 특수 기능 -
BR [6] 2.7 / 2.3 / 2.0 후진 속도[7] 9 km/h
승무원 6명 엔진 출력 94 hp
무장 40mm 보포스 L/60 기관포 × 1 (탄약 적재량:384) / 재장전 시간 : 0.6초
사용 탄띠 기본 [스톡] AP-T/FI-T (철갑예광탄/파편소이예광탄[9])
Mk.II FI-T (파편소이예광탄[10])
M81A1 AP-T (철갑예광탄) }}}}}}}}}

자유 프랑스군이 미제 GMC CCKW 트럭에 40mm 보포스포를 올려놓아 만든 대공자주포. 남들은 BR 4점대는 가야 쓸 수 있는 보포스포를 2.0 에서 쓰며 놀 수 있다[11]. 물론 1랭크 대공트럭과 마찬가지로 장갑이 없다는 감안해야 한다. 동 BR대 전차포와 관통력이 크게 차이가 없는 수준의 40mm AP탄을 분당 120발씩 쏠 수 있어 0.5초마다 철갑탄을 쏘아대면 적 전차가 터져나가니 대전차용으로 쓰기에 좋다. 대신 공중 장비 상대로는 연사력이 낮아서 대공사격하기엔 어려움이 어느정도 있을 수 있다. 차륜형이라 도로나 평지에선 나름 빠른 속력을 보여주지만 설원 같은 험지에선 처참한 주파력을 보여준다.

3.2. VTT DCA

VTT DCA
AMX-13 VTT DCA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프랑스 육군 대공전차 트리
파일:WT_VTT_DCA.png
이전 차량 현재 차량 다음 차량
CCKW 353 AA VTT DCA AMX-13 DCA 40 }}}}}}}}}
성능 카탈로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필요 RP 9,200 파일:13px-Rp_icon.png 가격 16,000 파일:19px-Sl_icon.png 전환 훈련 비용 4,500 파일:19px-Sl_icon.png
<colcolor=#373a3c> 랭크 II 전진 속도[12] 61 km/h 특수 기능 -
BR [13] 3.0 / 3.0 / 3.0 후진 속도[14] 7 km/h
승무원 4명 엔진 출력 270 hp
무장 12.7mm M2HB 기관총 × 4 (탄약 적재량:3200) / 재장전 시간 : 18.2초
사용 탄띠 기본 [스톡] API-T/I/AP/API-T (M20 철갑소이예광탄/M1 소이탄/M2 철갑탄)
API API-T/AP-I/API-T (M20 철갑소이예광탄/M8 철갑소이탄)
AP AP/AP/API-T (M2 철갑탄/M20 철갑소이예광탄)
APIT API-T (M20 철갑소이예광탄) }}}}}}}}}

[개발]VTT DCA: 프랑스제 미트쵸퍼
"Alpha Strike" 업데이트에서 추가된 자주대공포이다.

AMX-13 차체를 기반으로 한 APC인 VTT에 M45 쿼드마운트를 얹은 자주대공포이다.
지대공 용도로 사용할만한 대공차량이 그다지 없던, 특히 대전기 저랭크에서는 남들에게 업혀가야 하던 프랑스 트리의 가려운 부분을 긁어주는 신규 장비라고 볼 수 있다.

4. 3랭크

4.1. AMX-13 DCA 40

AMX-13 DCA 4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프랑스 육군 대공전차 트리
파일:fr_amx_13_dca_40.png
이전 차량 현재 차량 다음 차량
VTT DCA AMX-13 DCA 40 TPK 6.41 }}}}}}}}}
성능 카탈로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필요 RP 26,000 파일:13px-Rp_icon.png 가격 76,000 파일:19px-Sl_icon.png 전환 훈련 비용 22,000 파일:19px-Sl_icon.png
<colcolor=#373a3c> 랭크 III 전진 속도[16] 61 km/h 특수 기능 -
BR [17] 5.0 / 5.0 / 5.0 후진 속도[18] 7 km/h
승무원 5명 엔진 출력 270 hp
무장 40mm Mle51 T1 기관포[19] × 1 (탄약 적재량:404) / 재장전 시간 : 0.5초
사용 탄띠 기본 [스톡] AP-T/HEFI-T (철갑예광탄/고폭파편소이예광탄[21])
40mm HE-T HEFI-T/HEFI-T/HEFI-T/AP-T (고폭파편소이예광탄[22]/철갑예광탄)
40mm AP-T AP-T/AP-T/AP-T/HEFI-T (철갑예광탄/고폭파편소이예광탄[23]) }}}}}}}}}

AMX-13 경전차를 기반으로 만든 대공전차로 40mm 보포스 1문을 달았다. 후기형 70구경장 보포스 기관포를 쓰는지라 미국과 영국이 쓰는 초기형 보포스보다 발사속도가 2배 더 빠르고 철갑탄의 관통력도 영거리에서 무려 94 mm로 강력한 대전차 능력을 가진다.[24] 덕분에 1문이지만 보포스 2문인 M19와 유사한 대공화력을 낼 수 있다. 7.62 mm 기관총에도 무방비로 썰려나가는 수송트럭에서 벗어나 대공전차 수준에 맞는 장갑을 얻었으며 차륜형 장비가 아닌 궤도차량이라서 모든 지형에서의 기동성도 우수하다. 그래서 대공이 아니라 매치 스타팅 전차로 이 녀석을 픽업하는 사람들도 곧잘 있다.

대전차용으로 주목받는 장비이지만 대공용으로도 밀리지는 않는데, 연사력도 연사력이지만 엄연히 냉전 시대 자주대공포임을 보여주듯이 포탑 회전속도가 무려 초당 90°[25], 앙각은 초당 45°로 반응을 못해서 죽을 일은 없다. 독일의 BR 8.3 게파르트와 동일한 속도이니 얼마나 빠른지를 알 수 있다. 다만 클립식인지라 4발 쏘고 0.5초씩 반응을 못하는 장전 시간이 있다는 건 감안해야 할 단점.

방호력은 좋지 못한데, Lvkv 42와 비교하자면 Lvkv는 장갑이 얇아서 APHE종류가 폭발하지 않고 그대로 반대편로 나가버리는 경우가 많으나[26] DCA는 그게 거의 불가능하다. 게다가 좀 두꺼워서 중기관총정도는 막아주는 장갑도 아니니 오히려 무장갑이 나은걸 보여준다. 즉 오히려 애매한 장갑으로 인해 생존성은 의외로 높지 못하다.

4.2. TPK 6.41

TPK 6.41
ACMAT TPK 6.41 VP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프랑스 육군 대공전차 트리
파일:WT_TPK_641.png
이전 차량 현재 차량 다음 차량
AMX-13 DCA 40 TPK 6.41 AMX-10P }}}}}}}}}
성능 카탈로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필요 RP 33,000 파일:13px-Rp_icon.png 가격 105,000 파일:19px-Sl_icon.png 전환 훈련 비용 22,000 파일:19px-Sl_icon.png
<colcolor=#373a3c> 랭크 III 전진 속도[27] 90 km/h 특수 기능 -
BR [28] 5.7 / 5.7 / 5.7 후진 속도[29] 13 km/h
승무원 6명 엔진 출력 160 hp
무장 20mm 오리콘 KAD 기관포 × 2 (탄약 적재량:1200) / 재장전 시간 : 9.1초
사용 탄띠 기본 [스톡] HVAP-T/HEFI-T (경심철갑예광탄/고폭파편소이예광탄[31])
20mm HE HEI-T/HEI-T/HEI-T/HVAP-T (고폭소이예광탄[32]/경심철갑예광탄)
20mm AP HVAP-T/HVAP-T/HEI-T (경심철갑예광탄/고폭소이예광탄[33]) }}}}}}}}}

"Air Superiority" 업데이트에서 추가되었다.
ACMAT VRLA 6륜 트럭에 20mm 오리콘 KAD 2연장 기관포탑을 얹은 오픈탑형 자주대공포다.

차체에 장갑이 전혀 없고 사수 또한 외부에 노출되어있기에 소구경 기관총 사격이나, 근처에 떨어지는 포격에도 취약하기에 주의를 요한다.

5. 4랭크

5.1. AMX-10P

AMX-10P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프랑스 육군 대공전차 트리
파일:WT_TPK_641.png
이전 차량 현재 차량 다음 차량
TPK 6.41 AMX-10P AMX-30 S DCA }}}}}}}}}
성능 카탈로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필요 RP 46,000 파일:13px-Rp_icon.png 가격 155,000 파일:19px-Sl_icon.png 전환 훈련 비용 45,000 파일:19px-Sl_icon.png
<colcolor=#373a3c> 랭크 IV 전진 속도[34] 65 km/h 특수 기능 수륙 양용
BR [35] 6.3 / 6.3 / 6.3 후진 속도[36] 12 km/h
승무원 3명 엔진 출력 300 hp
무장 20mm CN20 M693/mod F2 기관포 × 1 (탄약 적재량:800) / 재장전 시간 : 9.1초
7.62mm AA NF1 기관총 × 1 (탄약 적재량:2000)
사용 탄띠 기본 [스톡] HVAP-T/HEFI-T (경심철갑예광탄/고폭파편소이예광탄[38])
DM51A1 [스톡] HEFI-T/HEFI-T/HEFI-T/HVAP-T (고폭파편소이예광탄[40]/경심철갑예광탄)
DM63 APDS/APDS/APDS/HEFI-T (분리철갑탄/고폭파편소이예광탄[41]) }}}}}}}}}

"Kings of Battle" 업데이트에서 추가되었다.

프랑스제 궤도형 IFV로, Pbv 301처럼 대전차 미사일이 없는 것을 감안했는지 대공차량으로 분류되었다. AMX-30/32의 부무장으로도 달리는 GIAT의 20mm F2 기관포를 달고 있으며, DM63 분철탄띠를 사용할 수 있다.

추중비가 우수하여 기동성도 괜찮고 탄약 적재량도 800발로 꽤 넉넉한 편이지만, 작은 구경답게 거리별 관통력 하락폭이 상당히 크다[42]. 또한 꽤 현대적인 외형과 달리 포신 안정기가 없기 때문에 대전차전은 그리 쉽지 않다.

6. 6랭크

6.1. AMX-30 DCA

AMX-30 S DCA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프랑스 육군 대공전차 트리
파일:fr_amx_30_dca.png
이전 차량 현재 차량 다음 차량
AMX-10P AMX-30 S DCA SANTAL }}}}}}}}}
성능 카탈로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필요 RP 135,000 파일:13px-Rp_icon.png 가격 380,000 파일:19px-Sl_icon.png 전환 훈련 비용 45,000 파일:19px-Sl_icon.png
<colcolor=#373a3c> 랭크 VI 전진 속도[43] 65 km/h 특수 기능 레이저
거리측정기

ESS
탐색/추적 레이더
BR [44] 8.7 / 8.7 / 8.7 후진 속도[45] 65 km/h
승무원 3명 엔진 출력 650 hp
무장 30mm HSS 831A 기관포 × 2 (탄약 적재량:1200) / 재장전 시간 : 39.0초
76mm 연막탄 × 4
사용 탄띠 기본 [스톡] SAP-I/HEI-T (반철갑소이탄/고폭소이예광탄[47])
30x170 HE-I-T HEI-T/HEI/HEI/SAP-I (고폭소이예광탄[48]/고폭소이탄[49]/반철갑소이탄)
30x170 APHE-I SAP-I/SAP-I/SAP-I/HEI-T (반철갑소이탄/고폭소이예광탄[50])
30x170 APHE-I SAP-I/APDS/SAP-I/HEI-T (반철갑소이탄/분리철갑탄/고폭소이예광탄[51]) }}}}}}}}}

사우디아라비아에 수출할 목적으로 AMX-30 기반의 프랑스 대공전차이다.

무장은 영국의 팰컨과 동일한 히스피노-수이자 30mm 기관포 2문이라 탄속이 빨라서 제트기들을 무리없이 갈아버릴 수 있다. 팰컨과 동일한 APDS 혼합 탄띠를 가득 채우고 대공과 대지상을 겸용하는 것도 가능. 치프틴 마크스맨처럼 MBT 차체를 장갑 열화없이 그대로 이식해서 차체 방호력도 대공전차 답지 않게 우수하다. 오리콘 기관포를 채용한 다른 대공전차들과는 달리 600발 예비탄이 차체 정면에 비치되어 있어서 탄 고갈 걱정도 적다.

유일하게 아쉬운 점은 스태빌라이저가 없단 점인데[52] 이 때문에 갑작스러운 적 조우 시 상당히 불리한 편이라 팰컨처럼 전차를 잡으러 마구 쏘다니기는 제한이 좀 있다. 그래도 대공전차 특유의 빠른 부앙각 조절속도와 안정적인 서스펜션 덕분에 포신이 심하게 흔들리지는 않는 편이다.

틈만 나면 BR이 슬금슬금 오르다가 결국은 게파르트보다도 한 단계 높은 BR 8.7까지 올랐다. 장탄수와 방호력, 그리고 기동성에서 약간의 우위를 지니긴 하나 정작 대공이고 대전차고 성능은 게파르트에 비해 딱히 나은 점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BR만 더 높아져 애매해지고 말았다. [53]

과거에는 5랭크였으나 대공전차 치고 대전차 능력이 우수한 점도 있고 해서인지 배틀레이팅과 함께 올라가버렸다.

6.2. SANTAL

SANTAL
Véhicule de l'avant blindé, SANTA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프랑스 육군 대공전차 트리
파일:WT_SANTAL.png
이전 차량 현재 차량 다음 차량
AMX-30 S DCA SANTAL 롤랑 1 }}}}}}}}}
성능 카탈로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필요 RP 220,000 파일:13px-Rp_icon.png 가격 620,000 파일:19px-Sl_icon.png 전환 훈련 비용 175,000 파일:19px-Sl_icon.png
<colcolor=#373a3c> 랭크 VI 전진 속도[54] 90 km/h 특수 기능 1세대 열상 [55]
탐색/추적 레이더
수륙 양용
BR [56] 9.3 / 9.3 / 9.3 후진 속도[57] 13 km/h
승무원 4명 엔진 출력[58] 300 hp
무장 미스트랄 SATCP (탄약 적재량:12) / 재장전 시간 : 19.5초
76mm 연막탄 × 4
사용 탄종 미스트랄 SATCP(SAM) 지대공미사일 [스톡] }}}}}}}}}

차륜형 6연장 미스트랄 자주대공포. 차체에도 예비탄 6발이 실려 있어서 탑재량이 12발로 넉넉하다. 맨패즈 자주대공포지만 1세대 포수 열상과 레이더가 있어서 색적이 용이한 편. 다만 레이더 성능이 썩 좋은 편은 아니며, IFF가 없어서 레이더 화면에서 적기와 아군기를 구분할 수 없다.

미스트랄 SATCP는 16G까지 꺾이기 때문에 지상발사 맨패즈 중에서는 스트렐라 다음으로 기동성은 좋지만, 부스터 연소 시간이 너무 짧아서 사거리는 최대 3~4km 정도로 별로 길지 않다. 맨패즈 대공들의 고질병인 중장거리 헬기 견제가 불가능한 점 역시 거슬리는 부분.

7. 7랭크

7.1. 롤랑 1

롤랑 1
AMX-30 Roland 1
AMX-30 롤랑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프랑스 육군 대공전차 트리
파일:fr_amx_30_roland.png
이전 차량 현재 차량 다음 차량
AMX-30 DCA 롤랑 1 ItO 90M }}}}}}}}}
성능 카탈로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필요 RP 260,000 파일:13px-Rp_icon.png 가격 710,000 파일:19px-Sl_icon.png 전환 훈련 비용 200,000 파일:19px-Sl_icon.png
<colcolor=#373a3c> 랭크 VII 전진 속도[60] 65 km/h 특수 기능 거리 측정기
탐색 레이더
추적 IRST
BR [61] 9.7 / 9.7 / 9.7 후진 속도[62] 65 km/h
승무원 3명 엔진 출력[63] 720 hp
무장 롤랑 지대공 미사일 [64] (탄약 적재량:10) / 재장전 시간 : 5초
76mm 연막탄 × 4
사용 탄종 롤랑 1(SAM) 지대공미사일 [스톡]
롤랑 3(SAM) 지대공미사일
}}}}}}}}}

AMX-30 차체를 기반으로 하는 자주대공포이다.

독일의 FlaRakPz 1과 미국의 XM975는 롤랑2 포탑을 사용하지만, 이건 초기형 롤랑1 포탑을 사용한다. 따라서 독일/미국 롤랑과는 달리 추적 레이더가 따로 없으며, IRST 추적만 가능하다. 락온을 걸어도 적기에게 RWR 락온 경고를 주지 않는다는 것은 장점이지만, 대신 적기 자동락온이 불가하고 직접 눈으로 찾아야 한다는 것은 단점. 이외에 스톡 미사일이 롤랑2가 아닌 롤랑1이지만, 롤랑2와 스펙은 똑같다. 최종 미사일은 롤랑3으로 다른 롤랑들과 동일하다.

가장 큰 단점은 앙각이 고작 35도라서 머리 위에 있는 적기를 공격할 수 없다는 점이다. 이는 상술하였듯 롤랑1 포탑은 추적 레이더 없이 IRST 조준기만 있는데, 이 조준기의 앙각이 35도라서 그런 것이다. 따라서 머리 위에 떠 있는 헬기나 항공기는 그냥 손 놓고 지켜볼 수밖에 없다.

독일/미국 롤랑 대비 장점은 추적 레이더와 앙각을 잃은 대가로 두 단계나 낮은 9.7 BR에 위치하고 있어 좀 더 만만한 적기를 만나기 쉽다는 점과, 다른 프랑스 전차들과 별 고민 없이 9.7덱을 구성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3개 롤랑 중 추중비가 가장 높아[66] 기동성이 확연히 좋기 때문에 위치를 잡기가 더 수월하다.

롤랑3 미사일은 BR을 생각하면 과분한 수준의 무장이다. 탄속이 느려터지긴 했지만 대신 기동이 부드럽고, 모터 연소시간이 길어서 최대 기동성이 발휘되는 시간이 매우 길기 때문에 9.7 BR에서 주로 만나는 아음속/초기 초음속 캐스기들이나 감자헬기 정도는 쉽게 잡을 수 있다. 다만 항공기를 쏠 때에는 심각한 앙각을 생각해서 미리 바위나 언덕을 밟아서 앙각을 좀 더 확보해 두는 것이 좋다.

롤랑3 미사일의 TNT 당량이 6.8kg으로 꽤 많은 편이라 경전차 정도는 잘 잡는다. 그러나 단순 고폭탄두라 MBT는 웬만해선 잡기 힘들고, 포탑 천장을 맞춰 폭압으로 잡는 등의 요행을 기대해봐야 한다.

미사일이 자폭하기 전까지 장전이 되지 않기 때문에 두 번째 미사일이 빗나가면 미사일이 자폭할 때까지 적기를 그냥 멍하니 쳐다보는 롤랑들이 자주 보인다. 전차장 쌍안경 시점으로 바꾸면 강제 재장전이 가능하니 참고하자.

8. 8랭크

8.1. ◉ItO 90M

ItO 90M
ilmatorjuntaohjus 90M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프랑스 육군 대공전차 트리
파일:WT_ITO90M.png
이전 차량 현재 차량 다음 차량
롤랑 1 ItO 90M - }}}}}}}}}
성능 카탈로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필요 RP 400,000 파일:13px-Rp_icon.png 가격 1,080,000 파일:19px-Sl_icon.png 전환 훈련 비용 310,000 파일:19px-Sl_icon.png
<colcolor=#373a3c> 랭크 VIII 전진 속도[67] 82 km/h 특수 기능 3세대 열상[68]
탐색/추적 레이더
BR [69] 12.0 / 12.0 / 12.0 후진 속도[70] 14 km/h
승무원 4명 엔진 출력[71] 240 hp
무장 VT1 대공 미사일 (탄약 적재량:8) / 재장전 시간 : 1.3초
사용 탄종 VT1(SAM) 지대공미사일 [스톡] }}}}}}}}}

"Red Skies" 업데이트에서 추가된 프랑스 최종 대공전차.

원래대로라면 명칭이 크로탈 NG였어야 하지만, 어째서인지 핀란드식 제식 명칭을 달고 나왔다. 스웨덴 트리에 있는 ItO 90과 동일하다.

포수 3세대 열상이 있고 IRST도 사용 가능하며, 스톡 미사일이 따로 없기 때문에 구매하자마자 바로 지대공 전투시, 최대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VT1 미사일은 빠른 탄속과 우수한 기동성으로 사격이 편하기는 하나, 4세대 기체들이 온갖 흉흉한 공대지 미사일을 던지는 현재의 탑랭크 지상전에서는 적기의 CAS를 제대로 막지 못하는 상황도 자주 보인다.

특히 Kh-38MT를 가진 소련의 Su-34나 Su-25SM3, 브림스톤으로 아웃파이팅을 하는 유로파이터 등은 사거리 상 아예 견제가 불가능하며, 저것들을 잡으려면 그냥 제공기를 뽑아야 한다.

하필 비교 대상이 적폐대공 판치르-S1이라 상대적으로 빛이 바래는 감도 있는데, 레이더 성능과 미사일 성능 모두에서 판치르 대비 많이 열세이기 때문이다.


[1] 리얼리스틱[2] (ab)(rb)(sb)[3] 리얼리스틱[스톡] [5] 리얼리스틱[6] (ab)(rb)(sb)[7] 리얼리스틱[스톡] [9] 자폭탄[10] 자폭탄[11] 스웨덴 트리에도 Br 2.7에서 40mm 보포스 포를 사용할 수 있는 Lvtdgb m/40 대공트럭이 있다.[12] 리얼리스틱[13] (ab)(rb)(sb)[14] 리얼리스틱[스톡] [16] 리얼리스틱[17] (ab)(rb)(sb)[18] 리얼리스틱[19] 자동 장전 장치[스톡] [21] 자폭탄[22] 자폭탄[23] 자폭탄[24] 비슷한 외양을 가진 Lvkv 42보다 더욱 우수한 탄약량, 탄속을 자랑한다.[25] 에이스 승무원 기준[26] 뒷쪽은 탄약고이긴 한데 Lvkv는 탄약적재량이 너무 적어서 쉽게 탄약고가 사라진다.[27] 리얼리스틱[28] (ab)(rb)(sb)[29] 리얼리스틱[스톡] [31] 자폭탄[32] 자폭탄[33] 자폭탄[34] 리얼리스틱[35] (ab)(rb)(sb)[36] 리얼리스틱[스톡] [38] 자폭탄[스톡] [40] 자폭탄[41] 자폭탄[42] 10미터 수직기준 66mm 까지 나오는 관통력이 1000미터에서는 절반 이하인 31mm까지 떨어진다[43] 리얼리스틱[44] (ab)(rb)(sb)[45] 리얼리스틱[스톡] [47] 자폭탄[48] 자폭탄[49] 자폭탄[50] 자폭탄[51] 자폭탄[52] 원래 발매 당시에는 존재하였으나 다음 메인 패치 때 고증이 아니라는 이유로, 잠수함 패치로 인해 없어졌다.[53] 대전차가 가능하다는 점이 BR을 상당히 올려놓는다. 레이더조차 안달린 팰컨이 탄띠 전체에 APDS가 들어가서 대전차를 잘한다는 이유로 8.3에 위치한다.[54] 리얼리스틱[55] 사수[56] (ab)(rb)(sb)[57] 리얼리스틱[58] 리얼리스틱[스톡] [60] 리얼리스틱[61] (ab)(rb)(sb)[62] 리얼리스틱[63] 리얼리스틱[64] 자동장전장치[스톡] [66] 풀업 기준 독롤랑 18.5, 미롤랑 16.3, 프롤랑 21.2[67] 리얼리스틱[68] 사수[69] (ab)(rb)(sb)[70] 리얼리스틱[71] 리얼리스틱[스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