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27 16:14:34

원산농업대학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bgcolor=white,black><colbgcolor=#024FA2><colcolor=#fff> 중앙급대학 김일성종합대학(국제관계학과) · 김책공업종합대학 · 리과대학 · 김형직사범대학 · 평양외국어대학 · 평양의학대학 · 김원균명칭 평양음악무용종합대학 · 평양건축종합대학· 평양기계대학 · 평양철도대학 · 한덕수평양경공업대학 · 화학공업대학 · 함흥수리동력대학 · 고려성균관 · 청진광산금속대학
일반대학 강계의학대학 · 강계교원대학 · 김일성방송대학 · 김철주사범대학 · 남포공업대학 · 라진해운대학 · 리수덕원산교원대학 · 사리원고려약학대학 · 신의주경공업대학 · 원산농업대학 · 원산수산대학 · 원산의학대학 · 장철구평양상업대학 · 정준택경제대학 · 조선체육대학 · 평성석탄공업대학 · 평성수의축산대학 · 평양교원대학 · 평양미술대학 · 평양연극영화대학 · 평양콤퓨터기술대학 · 평양건축대학 · 평양외과대학 · 평양관광대학 · 평양인쇄공업대학 · 평양농업대학 · 혜산농림대학 · 희천공업대학 · 함흥의학대학 · 청진의학대학 · 청진오중흡사범대학 · 청진경공업대학 · 함북대학 · 김정숙교원대학
사립대학 평양과학기술대학
특수대학 금성정치대학(당간부) · 금성학원 · 조선로동당 중앙간부학교(당간부) · 인민경제대학(경제간부) · 청진공산대학
군사대학 김일군사대학(사이버전사) · 김일성군사종합대학 · 김일성정치대학(정치지도원) · 강건명칭종합군관학교(육군 보병) · 오진우명칭포병종합군관학교(육군 포병) · 류경수명칭군관학교(육군 기갑) · 김정숙명칭해군대학 · 김책명칭공군대학 · 김정일군정대학(고위장교) · 봉화정치대학(남파공작원) · 김정일인민보안대학(안전원) · 김정은국방종합대학(국방과학자) · 최광명칭통신병군관학교 · 림춘추명칭군의대학 · 룡성략전대학 · 국가보위성정치대학(보위지도원) · 김책보위대학(보위지도원) · 압록강군사대학(남파공작원) · 래천군관학교(특수부대원)
외국 설립 대학 조선대학교
아시아 소재 대학교 일람 · 대학 관련 정보
}}}}}}}}}

원산농업대학
元山農業大學
Wonsan Agricultural College
<colbgcolor=#ED1C27> 국가 <colbgcolor=#ffffff,#191919>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북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북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북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분류 단과대학
개교 1948년 9월 1일
총장 미상
주소

원산농업대학
(북한 강원도 원산시 송천리)

1. 개요2. 역사3. 시설4. 학부5. 여담

1. 개요

북한 강원도 원산시에 위치한 북한의 최초이자 최대의 5년제 농과대학.

2. 역사

원산농업대학은 1948년 이전에 가톨릭 베네딕토회 덕원수도원과 덕원신학교가 위치해있었다.

함경도연길 지역 사목을 위해 원산으로 이전했던 성 오틸리엔 선교회 소속 독일 베네딕토회 수도자들이 1927년에 대수도원을 설립했다. 신학교가 먼저 건설되었으며, 그 이후 수도원과 성당이 지어졌다.

일본제2차 세계 대전에서 항복하고, 한반도가 독립한 이후에도 이 수도원은 운영되었으나, 1948년 북한의 정치보위부 탄압으로 폐쇄되었고, 원산농업대학으로 바뀌었다. 수도원 성당은 제1관으로, 신학교는 제2관으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6.25 전쟁 당시 제1관이 폭격을 맞아 일부가 파괴되었으며, 이 때 덕원수도원 소속 수도승들이 남한으로 내려와 지은 수도원이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에 위치한 왜관수도원이다.

1980년 즈음에 외국인 유학생들을 위해 4층짜리의 기숙사가 지어졌다.

3. 시설

도서관, 행정동, 기숙사, 실습농장, 온실로 구성되어있다. 도서관에는 약 10만 권의 책이 있으며, 농장은 약 70m2이다. 온실에는 김정일이 서있던 곳이 있는데, 이곳에 빨간색 삼각형으로 표시를 해두었다.

1980년에 심은 소나무가 국가 천연보물로 지정되었다.

4. 학부

농학, 농업생물학, 농업화학, 농업기계화, 농업경영학, 원림/경제식물학, 과목학, 잠학
  • 농학
  • 농업생물학
  • 농업화학
  • 농업기계학
  • 농업경영학
  • 원림/경제식물학
  • 과목학
  • 잠학
  • 수산학[1]

5. 여담



[1] 1959년 신설된 학과이나, 원산수산대학으로 분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