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5 23:31:41

베네딕도회

베네딕토회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베네딕도회 계열 남자 수도회 연합회들이 구성한 자치적 연방체}}}에 대한 내용은 [[베네딕도회 총연합]]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베네딕도회 총연합#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베네딕도회 총연합#|]]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베네딕도회 계열 남자 수도회 연합회들이 구성한 자치적 연방체: }}}[[베네딕도회 총연합]]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베네딕도회 총연합#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베네딕도회 총연합#|]]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라틴 십자가.svg
가톨릭의 수도회와 사도생활단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000> 한국에서 활동하는 교황청 설립 수도회
<colbgcolor=#ffc224> 남자 수도회 <colbgcolor=#fff,#1c1d1f>가르멜회 · 구속주회 · 그리스도의레지오회 · 글라렛선교회 · 꼰솔라따선교회 · 도미니코회 · 마리스타회 · 마리아회 · 마리아의아들회 · 말씀의선교회 · 바오로회 · 베네딕도회(오딜리아 연합회 · 올리베따노 연합회) · 사랑의선교회 · 살레시오회 · 삼위일체회 · 성모승천회 · 시토회 · 아우구스띠노회 · 예수회 · 예수고난회 · 예수성심의로가찌오니스티회 · 예수성심전교회 · 예수의작은형제회 · 오블라띠선교회 · 작은형제관상선교회 · 천주의성요한의료봉사수도회 · 카르투시오회 · 프란치스코회
여자 수도회 가난한이들의작은자매회 · 가르멜회 · 거룩한열정의딸수도회 · 골롬반회 · 그리스도왕선교수녀회 · 그리스도의교육수녀회 · 그리스도의성혈흠숭수녀회 · 글라렛선교수녀회 · 길의성모재속회 · 노틀담회 · 느베르애덕수녀회 · 도미니코회 · 도움이신마리아수녀회 · 마리아회 · 마리아수녀회· 마리아의작은자매회 · 마리아의전교자프란치스코수녀회 · 마리아의종수녀회 · 메리놀회 · 바오로회 · 베네딕도회 · 보혈선교수녀회 · 복자회 · 안드레아수녀회 · 사랑의선교회 · 사랑의성모회 · 살레시오회 · 삼위일체회 · 샬트르성바오로수녀회 · 성령선교수녀회 · 성모마리아방문봉쇄수녀회 · 성모승천봉헌자선교수녀회 · 성심수녀회 · 성체선교클라라수녀회 · 성프란치스코병원수녀회 · 세례자성요한수녀회 · 시토회(트라피스트회) · 씨튼회 · 영원한도움의성모수도회 · 예수고난회 · 예수마리아성심전교수녀회 · 예수성심전교수녀회 · 예수수도회 · 예수의작은자매들의우애회 · 원죄없으신마리아교육선교수녀회 · 위로의성모수녀회 · 자비의메르세다리아스수녀회 · 작은자매관상선교수녀회 · 착한목자수녀회 · 천주섭리수녀회 · 카르투시오회 · 트르와사랑의성모수녀회 · 프란치스코회
한국에서 활동하는 교구 설립 수도회
남자 수도회 그리스도 수도회 · 꽃동네 수도회 · 미리내 수도회 · 복자회 · 작은예수회 · 프란치스코전교봉사회
여자 수도회 가르멜의모후수도회 · 거룩한말씀의회 · 꽃동네 수녀회 · 나자렛예수수녀회 · 말씀의성모영보수녀회 · 미리내 수도회 · 복자회 · 삼성산성령수녀회 · 섭리의딸수녀회 · 성가소비녀회 · 성령강림사도수녀회 · 성삼의딸들수녀회 · 성안드레아수녀회 · 수원성빈센트드뽈자비의수녀회 · 수원순교가르멜봉쇄여자수도원 · 순교자들의선교수녀회 · 순교자의모후전교수녀회 · 예수그리스도수녀회 · 예수성심시녀회 · 예수의선교수녀회 · 예수의성모수녀회 · 예수의소화수녀회 · 오순절요셉자매회 · 원죄없으신성모의기사성프란치스코수녀회 · 인보성체수도회 · 작은예수회 · 천사의모후수녀회 · 티없으신마리아성심수녀회 · 파티마의성모프란치스코수녀회 · 프란치스코전교봉사회 · 한국성모의자애수녀회 · 한국외방선교수녀회
한국에서 활동하는 사도생활단
남자 사도생활단 과달루페외방선교회 · 대사제예수의사업 · 메리놀외방전교회 · 성골롬반외방선교회 · 성황석두루카외방선교형제회 · 천주교사도직회(팔로티회) · 천주교서울국제선교회 · 파리외방전교회 · 필리핀외방선교회 · 한국외방선교회
여자 사도생활단 성빈첸시오아바오로사랑의딸회 · 성프란치스코하비에르사도회 · 성황석두루카외방선교자매회 · 프라도수녀회
※ 이 표에 기재된 수도회 외에도 가톨릭의 수도회는 많습니다. 틀의 분량이 방대하므로 한국에서 활동하지 않는 수도회는 기재되어 있지 않습니다.
※ 여러 수도회를 하나의 명칭으로 종합하여 기재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렇게 하였으나, 누락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나의 명칭으로 종합할 수 있는 수도회들이나 누락된 수도회들을 발견하신 분은 기여 또는 토론 생성을 부탁드립니다.
※ 전 세계의 수도회에 대한 정보는 영문 위키피디아 문서영문 위키피디아 틀 등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다만, 해당 위키피디아 문서와 틀에 기재되어있지 않은 수도회들도 많습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141414 20%, #141414 80%, #000); color: #fff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252525,#252525><colcolor=#ffffff,#ffffff> 사부 <colbgcolor=#fff,#1f2023><colcolor=#181818,#e5e5e5>누르시아의 베네딕토
정보 일반 베네딕도회 · 아빠스
베네딕도회 총연합 <colbgcolor=#3b3b3b,#3b3b3b><colcolor=#ffffff,#ffffff> 총연합 베네딕도회 총연합 · 성 안셀모 수도원 · 교황청립 성 안셀모 대학교
연합회 성 베네딕도회 오딜리아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올리베따노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수비아코-카시노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까말돌리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바이에른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발롬브로사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보이론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브라질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성모영보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솔렘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스위스 아메리카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스위스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슬라브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실베스트로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아메리카 카시노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오스트리아 무염시태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잉글랜드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코노-수르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헝가리 연합회
해외 주요 수도원 몬테카시노 수도원 · 성 오틸리엔 대수도원 · 몬테 올리베토 마조레 대수도원 · 뮌스터슈바르작 수도원
국내 수도원 성 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 · 올리베따노 성 베네딕도 수도원 · 성 베네딕도회 요셉수도원
독립 수사회 몬테 코로나의 까말돌리 독수도승회
수녀회 연합기구 국제 베네딕도회 공동체
개별 수녀회 툿찡 포교 베네딕도 수녀회 · 올리베따노 성 베네딕도 수녀회
비가톨릭 성공회 성공회 베네딕트회 공동체
정교회 성 라브렌티오스 베네딕토스회 · 해외 러시아 정교회 베네딕트 수도원
베네딕도회 수도자
}}}}}}}}} ||

파일:external/media.npr.org/monks_wide-3ed09b1b5464994f8629b133e4c80c57279e803f-s900-c85.jpg
베네딕도회 수사(남자 수도자)들.

파일:베네딕토회수녀.png
베네딕도회 수녀(여자 수도자)들.

1. 개요2. 한국에서3. 기도하며 일하는 수도 활동4. 수도생활 체험학교5. 관련 문서

1. 개요

베네딕도는 오늘날 "서방의 아버지"라는 유일무이한 경칭을 얻었다. 실제로 서방의 그리스도교는 베네딕도 수도제도의 형성 없이는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역사적으로 발전하였다. ... 베네딕도는 (교육에 적대적이었던 이전의 수도원 생활방식과 달리) 완전한 수도제도를 위해 학문과 지적 활동을 강조하면서 규칙서 안에 이러한 내용을 실었다.

...... 베네딕도의 수도규칙서가 가장 성공적인 수도서가 된 반면, 아우구스티누스 규칙서와 이전의 다른 수도서들이 그렇지 못한 근본 이유는 베네딕도 수도서처럼 인간에 대한 깊은 깨달음, 비판적으로 숙고된 체험, 여기서 귀착되는 적절한 균형, 동시대적 적응력을 바탕으로 삼지 않았기 때문이다.
-Hubertus R. Drobner 지음, 하성수 번역, 《교부학》Lehrbuch der Patrologie 633-637쪽.
1964년 10월 24일 교황 바오로 6세는 성 베네딕도를 "구라파의 주보"(Patronus Europae)로 선포하고 7월 11일을 그 축일로 제정하였다. 이보다 앞서 성 베네딕도는 "서방 수도생활의 아버지" 그리고 "기술자와 건축가와 개간자들의 주보"로 불리고 있다. 그에게 붙여진 이러한 여러 가지 명칭은 그의 생애에도 근거하지만 특히 그의 규칙서를 지키며 그를 사부로 모시는 후대의 제자들이 역사 안에 이루어놓은 업적에 근거하고 있다. 로마 제국의 문화가 야만족의 침입으로 인해 붕괴되고 와해되는 혼란한 시기에 "기도하고 일하는"(Ora et labora) 베네딕도 수도자들이 문화 유산을 보존하였으며, 정치적인 안정을 되찾은 구라파에 문화를 발전시키고 꽃피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그의 규칙서는 12세기까지 서방교회의 대부분의 수도원들에서 지켜졌으며, 그후에도 서방교회의 수도생활의 기초가 되었던 것이다.
-이형우 번역, 《베네딕도 수도규칙》 해제, 20쪽
Ordo Sancti Benedicti
O.S.B.

이탈리아어: Ordine di San Benedetto
독일어: Benediktinerorden
영어: Order of Saint Benedict

수도규칙 열람: #

누르시아의 성 베네딕토가 쓴 베네딕토 규칙서를 따르는 그리스도교수도회. 약칭 OSB. 사실 정확한 한국어 명칭은 베네딕'도'이다. 국내 한정으로 '베네딕토'를 한자로 음차하여 '분도'(芬道)라고도 하기 때문에, 베네딕토회를 '분도회'라고 하기도 한다.[1] 모토는 "기도하고 일하라"(ora et labora).

서양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수도회이다. 중세 초기의 혼란기에 수도원들이 서구 문명을 보존했다는 등 흔히 들어봤을 법한 설명에 등장하는 그 수도원들이 바로 베네딕도회 수도원들이다. 비록 베네딕도회가 최초의 수도자[2]들도, 최초의 공주(共住) 수도자[3]들도, 최초의 서방 수도자[4]들도 아니었지만 베네딕도는 선배 수도자들의 시행착오를 종합하여 중용을 갖춘 《수도규칙》을 저술했다. 이는 12세기까지 서방의 수도규칙을 거의 통일하다시피하여 수도생활의 기초가 되었다.[5] 1000년 넘게 이어가고 다른 수도회에도 최중요 참고서가 되어줄 중용의 규칙을 입법하는 게 얼마나 어려운지를 고려한다면, 베네딕도 수도규칙의 위대함을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베네딕도회는 브리타니아와 북유럽게르만족을 대상으로 포교 과업을 수행함으로써, 신흥 민족들을 복음화하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

베네딕도 수도회는 정주 서원을 하고 소속 수도자는 수도승, 여자는 수녀승이라고 불린다. 그러나 활동수녀회는 베네딕도 규칙서를 따라도 수녀승이 아닌 수녀라고 불린다. 기본적으로 베네딕도회는 정주와 봉쇄가 기본이지만 연합회의 성격에 따라 변화된 곳도 있다. 대표적으로 한국에서 유명한 성 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이 속한 '선교 베네딕도회'라고 불리는 오딜리아 연합회가 그러하다. 올리베따노 연합회라고 불리는 몬테 올리베또의 복되신 동정녀 연합회에 속한 수도원들도 연합회의 카리스마가 시대적 상황에 따라 바뀔 수 있다고 적시했다.

베네딕도회는 다른 수도회들과는 달리 중앙집권적인 구조가 아니다. 가톨릭 베네딕도회의 경우 여러 자치 수도원들이 연합체를 이루는 형태인 연합회와 어떤 연합회에도 속하지 않고 개별적으로 살아가는 독립 수도원들이 있다. 남자 수도원 연합회들의 경우 각각의 총회를 통해 '총재아빠스'를 선출하여 연합회를 대표하게 한다. 이런 남자 수도원 연합회들 중 19개의 연합회가 다시 연합체를 이룬 베네딕도회 총연합이 있는데. 이를 대표하는 자리는 '수석아빠스'(Abbas primas)라 칭한다. 여자 수도원 연합회의 경우 국제 베네딕도회 공동체라는 또 다른 연합체를 구성하기도 한다.

성공회 베네딕도회의 경우에도 가톨릭과 마찬가지로 자체적인 연합회가 있고 독립 수도원이 있다. 다만, 성공회에는 가톨릭의 베네딕도회 총연합과 같은 총체 기구는 존재하지 않는다. 최근에는 성공회 또한 베네딕도회 총연합이나 국제 베네딕도회 공동체와 같은 초국가적 베네딕도 연합체를 구성하려는 시도가 있으며 주로 북미에서 움직임이 활발하다.

정교회 내부에도 베네딕도회가 있다. 성 베네딕토는 대분열 이전의 사람이므로 정교회 수도원에서 성 베네딕토의 규칙서를 따르는 것 자체가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아토스 산에는 10세기에 라틴 수도사들이 세운 아말피논 수도원이 있는데, 분열 이후에도 1287년까지 베네딕토의 규칙서를 따랐다. 이후 오랫동안 전통이 끊겼지만 20세기에 서방 전례 정교회가 등장하면서 베네딕도 수도원을 정교회에서 복원하려는 운동이 일부에서 나타났다. 본래 정교회는 수도원은 있으나 수도회라는 조직은 없지만, 서방 전통의 영향에 노출된 북아메리카의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청 산하 교구에는 '성 라브렌티오스 베네딕토스회'[6]라는 이름의 수도회가 설립되어 있다. 해외 러시아 정교회에 소속되어있는 수도원 일부도 성 베네딕도의 수도규칙을 따르며, 수도회는 아니더라도 개별 수도원들이 베네딕도적 수도생활을 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중세 서방교회에서 베네딕도회가 모든 서방 수도회의 모범이 되면서, 베네딕도회는 아니어도 베네딕도 규칙서를 따르는 수도회들도 생겼다. 시토회[7], 트라피스트회 등이 '베네딕도 규칙서를 따르긴 해도 베네딕도회는 아닌' 수도회로서 지금까지도 전해진다.

여담으로 성 베네딕도회 솔렘 연합회에 속한 산토 도밍고 데 사일로 수도원에서 1995년에 발매한 앨범에 있는 성가하나언더테이커드루이드들의 등장곡으로 쓰였다.

이 수도회의 이름을 딴 술도 있다. 항목 참조.

2. 한국에서

파일:대한민국 천주교 상징.svg 한국천주교 교구
서울관구 서울 · 인천 · 수원 · 의정부 · 춘천 · 원주 · 대전 · 평양 · 함흥
대구관구 대구 · 부산 · 안동 · 마산 · 청주
광주관구 광주 · 전주 · 제주
교황청 직속 군종 · 덕원자치수도원
밑줄: 대교구
※ 위 첨자: 침묵의 교회

파일:external/www.catholictimes.org/P2931_2015_0208_1106.jpg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오딜리아 연합회 소속 성 마오로-쁠라치도 대수도원 전경.

한국에서는 가장 먼저 세계 선교(특히 동아시아)를 위해 1884년 독일 보이론(Beuron) 수도원의 수도승이었던 안드레아스 암라인(Andreas Amrhein) 신부에 의해 독일에서 창설된 오딜리아 연합회가 경성부 백동이라고 불리던 서울 혜화동(현 가톨릭대학교/성신교정)에서 활동을 시작했다. 한국에 파견된 첫 남자 수도회였다.

고등 교육기관 설립에 적합한 수도회 물색을 위해 프랑스로 건너왔던 조선교구장 뮈텔 주교는 이를 위해 수많은 수도회를 방문했으나 인력부족 등 이유로 번번이 거절당했다. 로마에서도 역시 좋은 결과를 얻어내지 못했던 뮈텔 주교는 포교성성 장관 고티 추기경을 만난 자리에서 오틸리엔 수도원을 소개받았다. 귀국 일정까지 늦춰 1908년 9월 15일 수도원을 찾았던 뮈텔 주교는 놀벨도 웨베 아빠스를 만나 한국 사정을 전하며 선교사 파견을 청했다. 성 베네딕도회 오딜리아 연합회도 사정이 어렵기는 마찬가지였다. 1884년 안드레아스 암라인 신부에 의해 시작, 선교의 틀을 막 잡아나가던 상황에서 1887년 아프리카에 첫 선교사를 파견한 이후 여러 가지 면에서 여력이 부족하던 때였다.

그러나 뮈텔 주교의 설득으로 웨버 아빠스는 이듬해 1월 11일 모원 경리책임자 도미니쿠스 엔쇼프 신부와 딜링엔 수도원 보니파시오 사우어 원장신부를 한국에 파견했다. 한국에서 베네딕도회의 역사가 시작되는 순간이었고 남자수도회가 처음으로 한국 땅에 공동체를 마련하는 서막이기도 했다. 당시 성 베네딕도회 오딜리아 연합회는 숭신학교(사범학교), 숭공학교(기술학교) 등을 운영했다. 숭신학교는 2년 만에 폐교했고, 숭공학교가 그래도 10여 년 가까이 존속했다.

제1차 세계 대전의 여파와 교구 분할 등의 이유로 성 베네딕도회 오딜리아 연합회는 1927년 서울에서 완전히 떠나 함경남도 덕원-원산 지역으로 향했으며, 덕원을 포함한 북부 지방과 간도에서 활동하였으나, 8.15 광복6.25 전쟁을 겪으면서 일부 남쪽으로 옮겨왔다. 북한에 남아있던 수도자들은 공산주의자들에 의해 잔혹한 박해를 받아 순교했고, 덕원에 있던 대수도원과 신학교 건물은 원산농업대학으로 용도가 변경되어 지금도 사용되고 있다. 6.25 전쟁 중에 불에 탄 대수도원은 없어졌다.

한국 전쟁흥남 철수 당시 피난민들을 싣고 남쪽으로 내려온 메러디스 빅토리호의 레너드 라루 선장은, 전쟁 후 베네딕도회에 입회하여 수도자가 되었고, '마리노'라는 수도명을 받았다. 마리노 수사는 전쟁에 관한 이야기는 일절 하지 않았고, 2001년 사망했다. 그 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훈장을 받았고, 마리노 수사가 지내던 미국 베네딕도회 수도원이 경영난으로 폐쇄되려는 것을 왜관수도원에서 복구했다. 이 이야기는 소설가 공지영 마리아의 장편소설 <높고 푸른 사다리>의 모티브 및 소재가 되기도 했다.[8]

남자 수도회로는 현재 성 베네딕도회 오딜리아 연합회(Congregatio Ottiliensis)[9]와 성 베네딕도회 올리베따노 연합회(Congregatio Sanctae Mariae Montis Oliveti)[10] 2곳이 국내에 진출해 있다. 왜관수도원 아빠스의 경우 한국 교회의 유일한 자치수도원구장 서리를 맡고 있다. 그밖에 분도출판사 본사와 서울 분원이 서울특별시 중구 장충동에 있지만, 대로변에서 벗어난 주택가에 자리잡아 수도분원이 있는지 모르는 사람이 의외로 많다.

여자 수도회도 두 회가 국내에 진출해 있는데, 하나는 부산광역시에 본원이 있는 올리베따노의 성 베네딕도 수녀회, 하나는 대구광역시서울특별시에 있는 포교 성 베네딕도 수녀회(툿찡 분도회라고도 부름). 2곳 모두 병원을 운영하고, 군종교구 본당에 수도자를 파견한다.
  • 까말돌리 연합회 - 성 로무알도가 설립한, 최초의 은수 수도회. 1450년부터 천연재료로 약품, 화장품, 와인, 식료품 등을 만들어 보급하는 사도직을 했다. # 2016년 한국에 진출했으며, 명동성당 앞 가톨릭회관 2층에 전통 약방을 열었다.# 화장품도 비싸지만 품질이 좋다.

이 외에도 베네딕도회는 아니지만 엄률 시토회(일명 트라피스트 수녀회)가 베네딕도 규칙서를 사용하는 수도 공동체이다.

3. 기도하며 일하는 수도 활동

'기도하고 일하라(Ora et Labora)'는 모토가 있어, 모든 수도자들은 열외 없이 한 가지 이상의 노동에 종사한다.

여기서는 왜관 수도원의 노동들에 대해 설명한다. 대표적으로 출판사업인 분도출판사를 운영하고 있다.

분도출판사 이외는 그야말로 육체노동이 대부분이다. 왜관 수도원 내부에 농장이 있어 농업을 맡은 수사들이 직접 농사를 짓고 있으며, 공방에서 미사나 기도에 쓰일 밀랍초, 성물 등을 제작하는 수사들도 있다. 이처럼 직접 제작한 성물은 분도출판사 유통망을 통해 공급되고 있다.

왜관 수도원에는 가구 공방도 존재하여 성당에 쓰이는 가구의 직접 제작과 유통을 한다. 제대, 장의자[11] 등 성당에 쓰이는 모든 가구를 생산 중이다.

이러한 수도원에서 생산하는 제품중 특히 유명한 것이 수제 소시지인 분도소시지이다. 정통 독일식으로 만들어진 뛰어난 수준의 명품 소시지이다. 1909년 독일에서 오신 독일인 수사들이 고향에서 먹던 소시지가 그리워 직접 소시지를 만들던 것이 유래다. 이후 한국인 수사들이 독일에 자리한 수도원으로 소시지 제조 방법을 전수받으러 유학까지 다녀와 정통 독일식 소시지 제조법 그대로 만들고 있다. 전분이나 대두단백 등을 전혀 섞지 않아 돼지고기 함량이 높고, HACCP 인증도 받았다. 전통 독일 방식으로 제작되는 수제라서 가격은 공장제 소시지보다 비싸지만 먹어본 사람들사이 평이 굉장히 좋다.

원래 왜관 수도원 성물방과 명동성당 앞 가톨릭회관 1층 분도출판사에서만 판매해서 접하기 쉽지 않았으나 최근에는 일반 유통사에도 납품되어, 네이버 페이 등지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하면 택배로 받아볼 수 있다. 2017년 하반기부터 홈페이지를 오픈해, 3만원 이상부터 택배 주문이 가능하다. 분도식품 홈페이지 참고로 원래 소시지는 수도원 내에서 만들었으나, 법인화하면서 수도원 옆 농어촌 공사 뒷편에 공장을 새로 지은 후에는 그곳에서 생산하고 있다.

이러한 베네딕도회의 상품들은 노동에 종사해야 하는 수도 규율 아래 생산되었기에, 대부분 수제 혹은 정통 제조방식대로 만들고 있다. 그렇다보니 값은 굉장히 비싸지만 맛이나 품질은 반드시 보장되는 것이 특징이다.

4. 수도생활 체험학교



다른 남녀 수도회들처럼, 베네딕도회도 성소자 모임을 운영하고 있다. 수도생활에 관심을 가지고 있고 수도자가 되길 원하는 청소년/청년들을 위한 모임이다. 또한 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에서는 청년들을 대상으로 여름과 겨울에 '수도생활 체험학교'라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수도원에 2박 3일~3박 4일간 머무르며 기도, 미사, 성무일도, 노동 등 수도원 생활을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다. 남자 수도원이지만 여자 청년들도 참가가 가능하며, 가톨릭 신자가 아니더라도 참가할 수 있다. 실제로 개신교 신자들도 꽤 참가하는 듯.

5. 관련 문서


[1] 특히 1960년대 이전에 출생하신 분들에게는 분도회라고 말해야 이해한다.[2] 시대적으로 이집트의 성 안토니오 등 이집트 은수자들이 앞선다.[3] 공주(共住) 수도자란 사막이나 동굴 등에서 혼자 생활하던 은수자들과 달리, 수도원에서 집단으로 생활하는 수도자를 의미한다. 최초의 공주 수도생활은 이집트의 성 파코미우스(Pachomius, 290?-346/347년)가 창시하였다.[4] 서방 안으로 한정하더라도, 아우구스티누스가 베네딕도보다 먼저 공주 수도생활을 하였다.[5] 이는 위대한 교부이자 베네딕도보다 앞서서 수도생활을 했던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수도규칙도 누리지 못했던 명예이다.[6] 가톨릭식으로 하면 성 라우렌시오 베네딕도회[7] 1, 2, 3, 4, 6으로 0부터 9999까지 표기 가능한 숫자를 발명하기도 했다.[8] 주인공 정 요한 신부의 할머니가 흥남 철수 때 메러디스 빅토리호를 타고 남쪽으로 피난 왔으며, 메러디스 빅토리호에서 정 신부의 아버지가 태어났다. 훗날 정 요한은 베네딕도회에 입회하여 수도사제가 되었고, 미국 베네딕도회 수도원을 복구하는 일에 참여하게 된다.[9] 한국에서는 경상북도 칠곡군의 성 마오로-쁠라치도 대수도원(성 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이 모원이다.[10] 한국에서는 경상남도 고성군성 베르나르도 똘로메이 대수도원이 모원이다.[11] 교회 예배당에서 신자들이 앉는 긴 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