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03:24:42

육군동원전력사령부


파일:육군본부 부대마크.svg
육군본부 직할부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36px"
군사학교
파일:육군사관학교 부대마크.svg
육군사관학교
파일:육군3사관학교 부대마크.svg
육군3사관학교
파일:육군학생군사학교 부대마크.svg
육군학생군사학교
기능사령부
파일:중장 계급장.svg
파일:육군교육사령부 부대마크.svg
육군교육사령부
파일:육군군수사령부 부대마크.svg
육군군수사령부
파일:수도방위사령부 부대마크.svg
수도방위사령부
파일:육군특수전사령부 부대마크.svg
육군특수전사령부
파일:육군미사일전략사령부 부대마크.svg
육군미사일전략사령부
파일:소장 계급장.svg
파일:육군본부 부대마크.svg
육군인사사령부
파일:육군항공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육군항공사령부
파일:육군동원전력사령부 부대마크.svg
육군동원전력사령부
단급부대
파일:육군본부 부대마크.svg
제2경비단
파일:육군본부 부대마크.svg
육군지능정보기술단
파일:육군본부 부대마크.svg
지상군 페스티벌 지원단
파일:육군본부 부대마크.svg
전투준비안전단
파일:전투지휘훈련단 부대마크.svg
전투지휘훈련단
}}}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중장 계급장.svg
군단급 사령부
파일:육군교육사령부 부대마크.svg
육군교육사령부
파일:육군군수사령부 부대마크.svg
육군군수사령부
파일:수도방위사령부 부대마크.svg
수도방위사령부
파일:육군특수전사령부 부대마크.svg
육군특수전사령부
파일:육군미사일전략사령부 부대마크.svg
육군미사일전략사령부
파일:소장 계급장.svg
사단급 사령부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상무대통합방호사령부
파일:육군동원전력사령부 부대마크.svg
육군동원전력사령부
파일:육군항공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육군항공사령부
파일:육군본부 부대마크.svg
육군인사사령부
파일:준장 계급장.svg
여단급 사령부
파일:육군탄약지원사령부 부대마크.svg
육군탄약지원사령부
파일:제1군수지원사령부 부대마크.svg
제1군수지원사령부
파일:제5군수지원사령부 부대마크.svg
제5군수지원사령부
}}}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작전사령부 · 기능사령부 | 해체된 야전군 · 해체된 기능사령부
}}}}}} ||
육군동원전력사령부
陸軍動員戰力司令部
Army Mobilization Force Command
파일:육군동원전력사령부 부대마크.svg
예비전력 정예화의 핵심!
우리는 승리한다
창설일 2018년 4월 6일(육군동원전력사령부)
약칭 동원사
소속 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 대한민국 육군본부
종류 기능사령부
규모 군단
역할 예비군 전력 정예화
사령관 소장 전성대(육사 47기)
부사령관 평시 공석[1]
참모장 준장
위치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2]
1. 개요2. 소개3. 편제
3.1. 직할부대3.2. 동원사단3.3. 동원지원단
4. 과거부대5. 출신인물
5.1. 사령관5.2. 장교/부사관
6. 기타
6.1. 근무환경6.2. 선봉레스텔6.3. 사령부가
7. 사건사고8. 여담
육군동원전력사령부령
제1조(설치와 임무) 육군 예하부대의 동원훈련, 동원전력 관리 및 작전부대 지원에 관한 사항을 관장하기 위하여 육군에 육군동원전력사령부를 둔다.
파일:0002905894_006_20180407033624985.jpg
육군동원전력사령부 창설식
[clearfix]

1. 개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를 근거지로 하는 대한민국 육군예비군 사령부이다. 대한민국 육군본부 직할부대군단급 제대이다. 예비군 관련 부대답게 평소 감편부대로 운용되며, 원래 감편부대의 지휘관의 계급은 상비보다 하나씩 아래로 편성되기에, 부대는 군단급임에도 지휘관은 상비 군단장보다 1계급 낮은 육군 소장이다.

동원전력사령부의 창설은 현역 및 예비군의 훈련을 강화하고 전투력을 증가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2. 소개

예전부터 각 군단과 사령부에 분산 배속된 동원사단[3]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동원전력사령부의 필요성이 주장되다가, 2016년부터 실질적인 창설준비작업이 시작되었다. 2017년, 장군·제독수 감축을 위한 검토과정에서 송영무 국방부 장관에 의해 창설이 지연된 바 있다.

그러다가 예비군 창설 50주년인 2018년 4월 6일, 육군동원전력사령부령에 근거하여 경기도 용인시 소재 (구)제3야전군(現 지상작전사령부) 내에 창설되었다. 그동안 각 군단 예하에 있던 동원사단, 동원지원단들이 동원전력사령부 예하로 편제가 4월 6일부로 변경이 되었다. 2018년 7월까지 임무 수행체계를 평가해 보완할 예정이라고 한다.

과거에 존재했던 (구)제9군단(구)제11군단의 대체재로 창설된 부대라는 의견도 있는데, 과거의 후방 군단은 제2야전군(現 제2작전사령부)과 예하 사단들을 이어주던 중간 역할이자 각 충청, 전라도와 경상도의 지역방위 성격에 가까웠다면 지금의 동원전력사는 전국 단위의 예비군 동원을 수월하게 만들 목적에서 창설된 것이며, 지역 방위의 역할이 없기 때문에 그 의견은 옳지 않다.

부대마크는 대한민국 육군본부 마크에 예비군 마크를 덧씌운 형태다.

3. 편제

그동안 육군 제1군단, 제5군단, (구)제6군단수도방위사령부 예하에 있던 동원사단[4](60, 66, 72, 73, 75), 지역방위사단[5](31, 32, 35, 37, 39, 50, 51, 52, 53, 55, 56) 예하의 동원지원단[6], 동원자원호송단이 평시에는 동원전력사령부 예하로 귀속될 예정이며 전시에는 소요에 맞춰 재분배하게 된다. 군단급 제대로서 동원예비군 전력을 지휘하게 된다.[7]

3.1. 직할부대

3.2. 동원사단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제60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6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7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73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7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60사단 제66사단 제72사단 제73사단 제75사단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사단 | 해체된 사단
}}}}}}}}} ||

3.3. 동원지원단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제31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7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31동원지원단 제32동원지원단 제35동원지원단 제37동원지원단
파일:제50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51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5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53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50동원지원단 제51동원지원단 제52동원지원단 제53동원지원단
파일:제5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5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육군동원전력사령부 부대마크.svg
제55동원지원단 제56동원지원단 동원자원호송단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단 · | 해체된 독립단
}}}}}}}}} ||
※ 각 동원지원단 별로 담당하고 있는 동원 지역에 무조건 해당 부대가 위치해 있지는 않다. 예를 들어 52동원지원단은 한강 이남 서울을 관할하고 있지만 부대 자체는 안양시에 있다.
※ 지역방위사단들 자체가 동원전력사령부 예하로 변경되는 것은 아니며, 각 사단 산하의 동원지원단들만이 동원전력사령부에 편입된다.
※ 동원지원단 부대표지 목록을 보면 제36보병사단이 없는데, 제36보병사단 편제에 동원지원단이 없기 때문이다.

4. 과거부대

5. 출신인물

5.1. 사령관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3853a4><tablebgcolor=#3853a4>
파일:육군동원전력사령부 부대마크.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3853a4><tablebgcolor=#3853a4>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초대
구원근
2대
이정웅
3대
권삼
4대
김인건
5대
전성대
※ 초대~현재: 소장
※관련 직위 둘러보기 }}}}}}}}}}}}}}}
볼드체대장 진급이 된 사령관.
역대 육군동원전력사령관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초대 구원근 예) 소장 육사 42기 제36보병사단 [16]
2대 이정웅 예) 중장 육사 45기 미사일전략사령관 [17]
3대 권삼 예) 소장 육사 43기 사령관 [18]
4대 김인건 예) 소장 육사 45기 사령관 [19]
5대 전성대 소장 육사 47기 사령관 [20]
동원전력사령관은 동원[21] 또는 인사직능[22]의 소장이 보임되는 보직이다. 다만 동원전력사령관이 예하 사단들을 거느리는 만큼 군단장 보직이 맞기는 한데 감편부대인 만큼 평시에는 소장이 보임된다. 요직이 아닌 한직인 만큼 중장 진급에 실패한 소장들을 주로 보임시킨다. 실제로 이정웅 사령관을 빼면 전역까지 얼마 남지 않은 소장들이 보임되었다. 그렇다보니 말년 준장인 사단장과 사령관이 동기라는 특이점도 찾아볼 수 있다.

5.2. 장교/부사관

직할부대 출신만 기재 요망.
  • 김종태
    육군동원전력사령부 창설추진단장을 역임했다.
  • 이방현
    제37동원지원단장을 역임했다.

6. 기타

6.1. 근무환경

창설일은 2018년이나, 이에 앞서 '동원전력사령부 창설추진단'이라는 명칭으로 육군본부 직할부대로 출범, 창설 추진 관련 업무를 진행하였고 현 동원전력사령부의 뼈대를 이루는 간부 및 병사 편제를 유지하였다. 당시 창설추진단장은 前 제72보병사단장인 김종태 장군. 병사들도 이때부터 근무하기 시작하였는데, 동원전력사령부가 위치한 제3야전군사령부(현 지상작전사령부) 근무지원단의 신병들을 특기에 맞게 근무병(CP병),네트워크병, 정훈병, 상황병, 재정회계병, 통신병, 운전병 등으로 분류하여 운용하였으며 이들은 운전병을 제외하고 근무지원단이 아닌 동원전력사령부의 당직근무에 투입되었다.

위에 언급한 병사들의 소속은 지상작전사령부이기 때문에 병사 생활은 그들과 동일하다. 육군을 통틀어 상위권에 속하는 근무 환경을 자랑한다. 우선 서울과 터미널, 용인 시내, 에버랜드가 가깝다. 또한 PX, 풋살장, 헬스장, 사지방, 오락실, 노래방 그리고 최고급 면회시설인 선봉레스텔을 이용할 수 있다. 매주 토요일에는 정훈공보부에서 주관하는 선봉강당 영화 상영 시 관람이 가능하고 근무지원단 간부식당 취사병들이 튀겨주는 팝콘과 콜라를 매우 저렴한 가격에 구입할 수도 있다.

이렇듯 기본적으로 지상작전사령부 근무지원단의 근무환경을 공유하기 때문에 동원전력사령부에서 일하게 되었다면 나름 괜찮은 곳에 배치받았다고 볼 수 있다. 다만 보직과 담당 간부에 따라 업무 강도는 상이한 편. 또한 간부보다 병사가 많은 다른 근무지와는 달리 병사보다 간부가 훨씬 많기 때문에 심리적 압박감과 스트레스를 호소하는 병사도 가끔 있다. [23]

6.2. 선봉레스텔

선봉레스텔
先鋒레스텔
Sun-bong레스텔
위치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금학로 235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6.3. 사령부가


1절
어제의 용사들이 조국을 위해
번개처럼 뛰여모여 하나로 뭉쳐
조국산하 내손으로 반드시 지키리라!
장하로다 호국의 방패
싸우면 승리하는 동원전력사령부!
2절
역전의 용사들이 조국을 위해
비호처럼 뛰여모여 하나로 뭉쳐
조국산하 내손으로 반드시 지키리라!
장하로다 호국의 방패
싸우면 승리하는 동원전력사령부!

7. 사건사고

2020년 1월 22일 경기도 안양시에 위치한 동원전력사령부 예하 부대에 근무 중인 n번방 성착취물 제작 및 유포 사건의 피의자인 이원호의 신상공개가 군 소속 피의자 신상공개 최초의 사례가 되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n번방 성착취물 제작 및 유포 사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여담

  • 창설추진 중 전 병력에게 이 문서에도 자주 쓰인 '동전사'라는 줄임말 사용을 지양하도록 권고했다. '동전'을 연상케 한다는 이유 때문.(...) 실제로 '동원전력사'라는 줄임말을 사용했다. 크게 상관하지 않는 분위기다 요즘은.
  • 현재의 부대마크는 육군 전 병력을 대상으로 공모전을 개최해 1등을 한 모 간부의 디자인을 채택한 것이다. 다른 안건으로는 '동원'의 'ㄷ'과 'ㅇ', 태극마크를 합친 것, 방패 형상 속에 한반도 지도와 두 개의 별이 들어간 것이 있었는데 결국 현재의 것이 채택되었다. 위장색 부대마크가 매우 간지나기 때문에 많은 근무지원단 병사들이 구하고 싶어한다.
  • 사령부 본청은 옛 제3야전군사령부 본청을 그대로 사용한다. 애초에 제3야전군사령부 본청 자체가 1974년에 완공되어 2층 규모로 협소한 건물이었던 만큼 지상작전사령부가 새로 출범하면서 크고 아름다운 본청을 새로 지었고 동원전력사령부는 남는 구 본청에 입주한 것이다.
  • 사령관은 군단장급 보직이지만 보직계급이 소장인 탓에 장교 자력상으로는 사단장으로 취급된다. 때문에 전직 동원전력사령관인 이정웅 전 수도군단장의 경우, 실제로는 사단장 경력은 없지만 장교 자력표에는 사단장란이 공란이 아니라 동원전력사령관으로 기재되어 있다.

[1] 육군동원전력사령부령 제6조(전시 특례) ① 전시에는 사령부에 부사령관을 두되, 대한민국 육군장성급 장교로 보한다. <2018. 4. 6.>[2] 지상작전사령부 본부와 영내를 같이 쓴다. 정확히는 과거 제3야전군사령부 본청 건물을 그대로 사용중이다. 참고로 지상작전사령부는 새 건물로 이전했다[3] 제5군단 예하였던 제75보병사단이나 수도방위사령부 예하였던 제60보병사단 등 사례가 있다.[4] 사단장 준장[5] 사단장 소장[6] 단장 대령[7] 제36보병사단은 동원지원단이 없다.[8] 수도방위사령부에서 예속.[9] 제5군단에서 예속.[10] 제1군단에서 예속.[11] 제6군단에서 예속.[12] 제5군단에서 예속.[13] 포항특정경비지역사령부 관할구역, 울릉군 전역 제외[14] 제17보병사단해병대 제2사단 담당구역 제외[15] 구리시, 남양주시, 양평군 포함[16] 2018.4.6. ~ 2020.5.20[17] 2020.5.20. ~ 2020.12.[18] 2020.12. ~ 2021.12.[19] 2021.12. ~ 2022.12.[20] 2022.12. ~[21] 구원근, 권삼[22] 김인건, 전성대[23] 그중에는 장성이나 대령 등 고위 간부들도 있다. 물론 잘 챙겨주는 경우가 더 많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