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4 18:12:51

윤을수

파일:라틴 십자가.svg
가톨릭의 수도회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000> 한국에서 활동하는 교황청 설립 수도회
<colbgcolor=#ffc224> 남자 수도회 <colbgcolor=#fff,#1c1d1f>가르멜회 · 구속주회 · 그리스도의레지오회 · 글라렛선교회 · 꼰솔라따선교회 · 도미니코회 · 마리스타회 · 마리아회 · 마리아의아들회 · 말씀의선교회 · 바오로회 · 베네딕토회 · 사랑의선교회 · 살레시오회 · 삼위일체회 · 성모승천회 · 시토회 · 아우구스티노회 · 예수회 · 예수고난회 · 예수성심의로가찌오니스티회 · 예수성심전교회 · 예수의작은형제회 · 오블라띠선교회 · 천주의성요한의료봉사회 · 카르투시오회 · 프란치스코회
여자 수도회 가난한이들의작은자매회 · 가르멜회 · 거룩한열정의딸수도회 · 골롬반회 · 그리스도왕선교수녀회 · 그리스도의교육수녀회 · 그리스도의성혈흠숭수녀회 · 글라렛선교수녀회 · 길의성모재속회 · 노틀담회 · 느베르애덕수녀회 · 도미니코회 · 도움이신마리아수녀회 · 마리아수녀회 · 마리아회 · 마리아의종수녀회 · 메리놀회 · 바오로회 · 베네딕토회 · 보혈선교수녀회 · 한국순교복자수녀회 · 안드레아수녀회 · 사랑의선교회 · 사랑의성모회 · 살레시오회 · 삼위일체회 · 샬트르 성 바오로 수녀회 · 성령선교수녀회 · 성모마리아방문봉쇄수녀회 · 성모승천봉헌자선교수녀회 · 성심수녀회 · 성체선교클라라수녀회 · 성프란치스코병원수녀회 · 세례자성요한수녀회 · 시토회 · 씨튼회 · 영원한도움의성모수도회 · 예수고난회 · 예수마리아성심전교수녀회 · 예수성심전교수녀회 · 예수수도회 · 예수의작은자매들의우애회 · 원죄없으신마리아교육선교수녀회 · 위로의성모수녀회 · 자비의메르세다리아스수녀회 · 작은자매관상선교수녀회 · 착한목자수녀회 · 천주섭리수녀회 · 카르투시오회 · 트르와사랑의성모수녀회 · 프란치스코회
한국에서 활동하는 교구 설립 수도회
남자 수도회 그리스도 수도회 · 꽃동네 수도회 · 미리내 수도회 · 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 · 작은예수회 · 프란치스코전교봉사회
여자 수도회 가르멜의모후수도회 · 거룩한말씀의회 · 나자렛예수수녀회 · 말씀의성모영보수녀회 · 미리내 수도회 · 한국순교복자빨마수녀회 · 삼성산성령수녀회 · 섭리의딸수녀회 · 성가소비녀회 · 성령강림사도수녀회 · 성삼의딸들수녀회 · 성안드레아수녀회 · 수원성빈센트드뽈자비의수녀회 · 수원순교가르멜봉쇄여자수도원 · 순교자들의선교수녀회 · 순교자의모후전교수녀회 · 예수그리스도수녀회 · 예수성심시녀회 · 꽃동네 수녀회 · 예수의선교수녀회 · 예수의성모수녀회 · 예수의소화수녀회 · 오순절요셉자매회 · 원죄없으신성모의기사성프란치스코수녀회 · 인보성체수녀회 · 작은예수회 · 천사의모후수녀회 · 티없으신마리아성심수녀회 · 파티마의성모프란치스코수녀회 · 프란치스코전교봉사회 · 한국성모의자애수녀회 · 한국외방선교수녀회
※ 이 표에 기재된 수도회 외에도 가톨릭의 수도회는 많습니다. 문서의 양이 방대하므로 한국에서 활동하지 않는 수도회는 기재되어있지 않습니다.
※ 여러 수도회를 하나의 명칭으로 종합하여 기재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렇게 하였으나, 누락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나의 명칭으로 종합할 수 있는 수도회들이나 누락된 수도회들을 발견하신 분은 기여 또는 토론 생성을 부탁드립니다.
※ 전 세계의 수도회에 대한 정보는 영문 위키피디아 문서영문 위키피디아 틀 등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상기 위키피디아 문서와 틀에 기재되어있지 않은 수도회도 있습니다.
}}}}}}}}}

1. 개요2. 출생과 신학교 입학3. 사제 생활4. 인보성체수녀회 창설5. 말년

1. 개요

尹乙洙, 1907년 10월 2일~1971년 5월 9일(향년 63세)

토마스 아 켐피스의 저서 준주성범한국어 번역자이자, 한국 가톨릭 최초로 박사학위를 받은 신부. 인보성체수녀회(隣保聖體修女會)의 창설자이기도 하다.

2. 출생과 신학교 입학

윤을수 라우렌시오 신부는 1907년 10월 2일 충청남도 예산군에서 태어나, 1920년 서울로 상경하여 소신학교(용산예수성심신학교)에 입학했다. 입학 동기들 중에는 제6대 평양교구장인 홍용호 프란치스코 보르지아 주교, 교회사학자이자 고아들을 극진히 돌본 것으로 유명한 오기선 요셉 신부도 있었다.[1]

소신학생 윤을수는 독학으로 프랑스어를 공부하여 프랑스어판 준주성범을 번역하기도 했다. 번역 작업은 나중에 사제 수품 후에 마무리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라틴어판 <준주성범>과 프랑스어판 <준주성범>을 참고하였다.

3. 사제 생활

소신학교와 대신학교를 마치고 1932년 12월 17일 명동성당에서 사제로 서품된 윤을수 라우렌시오 신부는, 충청북도 음성군 장호원 성당[2] 보좌신부를 거쳐 1934년 3월 동성상업학교[3] 을조(乙組)의 교사로 부임했다. 당시 동성상업학교는 갑조(甲組)와 을조로 나뉘어 있었는데, 갑조는 일반 학급이었고 을조는 사제가 되려는 신학생들이 공부하는 소신학교였다.

윤 신부는 소신학생들을 가르치는 한편, 가톨릭교회의 월간지인 <가톨릭 청년>과 <가톨릭 연구>에 여러 글들을 썼다. 1936년에는 <라한사전>을 번역, 출간하여 학생들의 라틴어 공부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제9대 서울대교구아드리앙 조셉 라리보 주교는 윤 신부의 학문적 재능을 높이 평가해, 1937년 프랑스파리 대학교유학보냈다. 윤 신부는 1939년 <한국유교사론>이라는 논문으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아, 한국 가톨릭 최초의 박사 신부가 되었다.

이후 윤 신부는 이탈리아 로마 교황청립 라테라노 대학교에서 교회법을 공부하고, 미국 뉴욕문화원 교수를 지내다가, 광복 후인 1948년에 귀국하여 성신대학(현 가톨릭대학교 성신교정) 제2대 학장이 되었다.#

한국 전쟁 중이던 1951년에는 미 육군 제1군단 군종 신부로 사목했다. 당시 유엔군이 서울 수복작전을 펼치면서 명동 인근의 건물들은 대부분 파괴되었는데, 미군에서는 명동성당 일대에 주둔하고 있던 북한군을 물리치기 위해 “성당 일대를 모조리 폭격하고, 이후에 새로 성당을 지어주겠다.”고 제안했다. 그러나 윤을수 신부가 유엔군 사령부와 미군 사령관 등을 간곡하게 설득하여, 명동성당은 파괴되지 않고 원형을 보존할 수 있었다.###

4. 인보성체수녀회 창설

윤 신부는 학문적 재능이 뛰어났으나, 어려운 사람들을 돕는 사회복지사업에도 관심이 많았다. 한국전쟁 중에는 전쟁고아들을 돌보았으며, 사회사업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하여 1956년 11월 19일 구산후생학교를 설립했다. 이 학교는 2년제 여자초급대학으로, 한국 최초의 사회사업 전문학교였다.

이듬해 초에는 학생들 중에서 수도생활에 뜻이 있는 이들을 모아 수도반을 만들었다. 학교는 경영난으로 1964년에 폐교되었지만, 수도반은 정식 수도회인보성체수녀회로 발전되어 교황청의 정식 인가를 받았다. '인보(隣保)'는 Caritas[4]를 번역한 말이고, '성체(聖體)'는 성체성사의 신비를 공경하고 성체성사의 정신을 따라서 살라는 의미이다.

현재 인보성체수녀회는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중노송동에 본원, 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동에 분원,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에 수련원을 두고 있으며, 본당, 사회복지, 유아교육, 해외선교 등등 다양한 활동들을 하고 있다.

5. 말년

이후 성 라자로 마을[5] 제3대 원장을 지내기도 한 윤을수 라우렌시오 신부는, 1971년 5월 9일 “어머니 품에서 땅에 묻힐 때까지 나는 웃으며 행복에 넘쳐 살았다고 동서(東西)에 전해 주!”라는 유언을 남기고 병으로 사망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한국 전쟁 중에 이북에서 남쪽으로 피난 온 임길순 암브로시오에게 밀가루 2포대를 주어 빵집 성심당을 차릴 수 있게 도와준 신부. 꽃동네를 창설한 오웅진 사도 요한 신부도, 소년 시절에 오기선 신부를 보고 많은 감명과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2]천주교 청주교구 감곡성당[3]동성중학교 + 동성고등학교[4] 자애(慈愛), 자선(慈善), 애덕(愛德)[5] 경기도 의왕시 오전동에 있는 나환자촌. 천주교 수원교구에서 운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