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4 16:14:53

이기흥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 파일:대한체육회 심볼.svg대한체육회
역대 회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일제강점기
초대
장두현
제2대
고원훈
제3대
최린
제4대
박창하
제5대
이동식
일제강점기
제6대
김규면
제7대
신흥우
제8대
유억겸
제9대
윤치호
제10대
유억겸
일제강점기
하지 군정
하지 과도정부
제11대
여운형
제12대
유억겸
제13대
정환범
제14대
신익희
제15대
신흥우
장면 내각
송요찬 내각
제16대
조병옥
제17대
이기붕
제18대
이철승
제19대
김동하
제20대
이주일
김현철 내각
제21대
이효
제22대
민관식
제23대
김용우
제24대
김택수
제25대
박종규
최규하 정부
제26대
조상호
제27대
정주영
제28대
노태우
제29대
김종하
제30대
김종열
제31-33대
김운용
제34대
이연택
제35대
김정길
제36대
이연택
제37대
박용성
제38대
김정행
제39대
강영중
제40대
이기흥
제41대
이기흥
제42대
유승민
}}}}}}}}}
<colbgcolor=#186efe><colcolor=#fff> 제40·41대 대한체육회장
이기흥
李基興 | Lee Gi-heung
파일:이기흥2024.jpg
출생 1955년 1월 26일[1] ([age(1955-01-26)]세)
충청남도 논산시 가야곡면
거주지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현직 사단법인 서담 이사장
재임기간 제40·41대 대한체육회장
2016년 10월 6일 ~ 2025년 1월 31일
링크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186efe><colcolor=#fff> 학력 구자곡초등학교 (졸업)
보문중학교 (졸업)
보문고등학교 (졸업)[최종학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행정학 / 제적)[3]
용인대학교 (체육학 / 명예박사)
동국대학교 (철학 / 명예박사)
종교 불교 (법명: 보승)
경력 국제올림픽위원회 IOC 위원
국제경기대회지원위원회 위원
제40대 대한체육회 KSOC 회장
스포츠안전재단 이사장
국제수영연맹 집행위원
대한체육회 통합추진위원회 위원장
대한체육회 체육발전위원회 위원장
대한체육회 수석부회장
아시아수영연맹 부회장
제30회 2012 런던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장
제16회 광저우 아시안 게임 대한민국 선수단장
제25대 대한수영연맹 회장
청소년을 위한 나눔문화재단 설립
대한올림픽위원회 상임위원
대한카누연맹 회장
대한근대5종연맹 고문
}}}}}}}}} ||

1. 개요2. 생애3. 비판 및 논란4. 관련 보도5. 여담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기업인 출신 체육 행정가.

2. 생애

학력에 대한 논란이 있었는데 방송통신대학교를 졸업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후에 제적으로 공식 확인[4]되어 사실상 고졸이다. 명예 박사학위는 말 그대로 공식 학력이 아니라 사회적 지위에 따라 수여하는 요식이라서 정식학위로 인정 받지 못하기 때문이다.

만 30세였던 1985년에 신한민주당 이민우 총재 비서진으로 정치에 "잠깐 몸을 담았다"고 본인이 주장한다.[5] 1989년에는 (주)우성산업개발을 창업하여 기업인으로도 활동하였다. 이후 2004년 대한카누연맹 회장, 2010년 대한수영연맹 회장을 거쳐 2016년부터 대한체육회 회장과 IOC 위원을 맡았다. 또한 대한불교조계종 제25, 26대 신도회장을 역임했다. 2022년 1월 17일 출범한 '제5기 불교리더스포럼'에서 상임대표로 선출됐다.[6] 이러한 불교계 조직과 단체가 대한체육회를 장악하는데 뒷배가 되었다는 설이 많다.

2024년 11월 11일 20시경, 주무기관인 문화체육관광부유인촌 장관은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52조의3 제2항에 따라 이기흥의 회장 직무를 정지했다. 보도자료(문화체육관광부) 기사(연합뉴스)

이에 이기흥 회장은 기자회견에서 가처분 신청을 비롯한 법적 대응을 할 것이며 자신을 향한 수사와 각종 비리 의혹에 1%도 동의할 수 없고 국제올림픽위원회에서도 대한민국에서 벌어지는 상황에 우려를 표하고 있다며 강대강 대치를 이어가고 있으며 직무정지 상태임에도 체육회에 출근을 강행해서 업무 보고를 받는 등 문체부와 문체위까지 무시하며 막나가는 행보를 일삼고 있으며 자신의 연임을 불허하겠다는 문체부유인촌 장관의 제지와 일부 선수들, 체육회 노조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회장직 3선에 출마하는 등의 행보를 보였다.

2025년 1월 14일, 대한체육회장 선거에서 유승민 후보에게 선거에서 패배하는 것으로 3선에 실패하여, 회장 자리를 계속 유지할 수 있을 거라 여긴 것 마냥 체육회 노조는 물론 문체부와 국회까지 무시했다가 다 잃은 꼴이 되고 말았다. 그리고 낙선 후 IOC 위원직에서도 바로 사퇴하면서 그간의 업보를 청산하듯이 초라하게 퇴장했다. #

그나마 유승민 회장에 의하면 전화 하자 잘해봐라면서 덕담을 했고 IOC 위원에서도 바로 사퇴하며 배드민턴의 김택규보다는 나은거 같다는 평도 받는 중이다.

3. 비판 및 논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기흥/비판 및 논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한체육회 사유화 논란부터 태광그룹 골프로비 연루까지 논란 문서가 본 문서 내용보다 훨씬 더 길다. 주무 부처인 문체부는 물론, 국회 문체위까지 꾸준히 문제를 지적한 바 있어서 재선 임기를 마친 것이 놀라울 정도.

4. 관련 보도

5. 여담

  • 기업가나 체육회장으로서 여태까지 알려진 일화로 보았을 때 사고방식 자체가 일명 꼰대라 할 정도로 대단히 구시대적이고 권위적인 성향인 것 같다. 더군다나 근거없는 정신력 타령과 요식행위에 대한 집착도 강한 성향으로 보인다.
  • 정부 합동 공직복무점검단에서 이기흥 회장을 부정채용과 금품수수 혐의로 경찰에 수사 의뢰하였음을 발표하였다. #
  • 대한배드민턴협회 김택규 전 회장과 공통점이 많다는 비교를 많이 당한다. 고졸 학력, 불명예 퇴진, 그리고 권위주의 논란에서 유사한 궤적을 그렸다.

6. 둘러보기

파일:스포츠동아 로고.svg
스포츠 파워피플
{{{#!wiki style="margin:0 -10px -5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2c5abb;"
<rowcolor=#ffffff> 연도 야구 축구 농구 배구 골프 일반체육
2018년 정운찬 정몽규 유재학 김연경 박세리 김연아
2020년 류현진 정몽규 유재학 김연경 박세리 이기흥, 유승민
스포츠동아에서 스포츠 전문가 100명을 대상으로 투표한 스포츠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파워피플’ 명단이다.
}}}}}}}}} ||

[1] 음력으로는 1월 3일이다.[최종학력] [3] #[4] 중앙선관위 홈페이지에 공지되어 있다.[5] 이는 확인된 사실이 아닌 것으로 보이는데 국회 소속 공식 비서관이 아니라 단순 선거운동원이었을 매우 크다. 적어도 서류상 확인된 프로필이 아니다. 더우기 "잠깐"이라는 모호한 표현은 이력 부풀리기가 충분히 의심스럽다.[6] 이런 경력과 영향력을 이용해 대한체육회 예산을 많이 배정받은 공로가 있다. 하지만 문제는 후술할 각종 비리와 부정, 권위주의 행보 등 악행으로 이게 무의미해졌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