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터널 리턴의 실험체 목록 |
{{{#!wiki style="margin: -0px -10px" |
이터널 리턴의 80번째 실험체 | ||||
유스티나 | ← | 이슈트반 | → | 니아 |
<colcolor=#fff> 25M-RFT83 이슈트반 István | ||
| ||
"선택에 상응하는 결과를." | ||
<colbgcolor=#1c1c22> 이름 | 시몬 이슈트반 Simon István | |
나이 | 29세 | |
성별 | 남성 | |
키 | 189cm | |
직업 | 물리학자[1] | |
출시일 | 2025년 4월 3일 | |
실험체 가격 | 9900 A코인 / 1075 NP | |
실험체 성우 | |
1. 개요
2. 배경 스토리
(실험체 설명)
(실험체 배경 스토리 설명)===# 상세 및 특이사항 #===
그는 아글라이아에 합류하기 전부터 꽤 유능한 사람이었어요. 어린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여러 학문에 정통했으니까요. 물리학, 특히 양자역학에 집중적으로 연구했던 것도 사실이구요.
다른 연구원들에게 여러모로 많은 영감을 주는 사람이었죠. 이제는 실험체라는 입장이지만...
참 가혹한 현실이죠. 오로지 연구에 대한 열정만으로 똘똘 뭉친 사람이, 이 실험의 일부가 될 줄은..
그 사고가 일어나기 1분, 아니 1초 전까지도 전혀 생각하지 못했을 거예요.
하지만 그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나 봐요.
능력을 얻고 난 후로는 이전보다 다채로운 연구를 할 수 있게 됐다며 오히려 잘됐단 듯이 말했거든요.
그는 무생물과 VF 간의 관계성, 전혀 다른 성질의 능력을 가진 실험체들간의 상성연구, 나아가 연구 전반에 관해 체계화하고 이론화하려 노력했어요.
재밌는 사람은 아니었지만, 그가 쓴 논문이나 이론을 보면 어처구니없는 것들이 꽤 많았죠.
'VF를 이용한 자율행동 기계장치', 'VF각성자를 추적하는 능력자의 샘플을 활용한 VF추적기'...
그런 진지한 얼굴로 이런 생각을 하고 있을 줄 아무도 몰랐을 거예요.
...어쩌면 그가 가진 그런 특이한 사고와 관점이 아직 우리에게 필요하기 때문에 연구원 출신 실험체라는 "예외"가 허락된 거겠죠.
아직까지 그가 실험에 참여한 줄조차 모르는 말단들이 많아요.
실험이 시작됐는데 현장을 떠나지 못한 연구원이 남아있다는 보고가 요즘도 가끔 들어온다니까요.
그나저나, 정말 부러운 능력이지 않나요? 자신이 한 행동의 모든 결과를 볼 수 있다니.
제가 그런 능력이 있다면 그 어떤 것도 부럽지 않을 거예요.
- 심리과학 전문 연구원 Dr.H
===# 행적 #===다른 연구원들에게 여러모로 많은 영감을 주는 사람이었죠. 이제는 실험체라는 입장이지만...
참 가혹한 현실이죠. 오로지 연구에 대한 열정만으로 똘똘 뭉친 사람이, 이 실험의 일부가 될 줄은..
그 사고가 일어나기 1분, 아니 1초 전까지도 전혀 생각하지 못했을 거예요.
하지만 그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나 봐요.
능력을 얻고 난 후로는 이전보다 다채로운 연구를 할 수 있게 됐다며 오히려 잘됐단 듯이 말했거든요.
그는 무생물과 VF 간의 관계성, 전혀 다른 성질의 능력을 가진 실험체들간의 상성연구, 나아가 연구 전반에 관해 체계화하고 이론화하려 노력했어요.
재밌는 사람은 아니었지만, 그가 쓴 논문이나 이론을 보면 어처구니없는 것들이 꽤 많았죠.
'VF를 이용한 자율행동 기계장치', 'VF각성자를 추적하는 능력자의 샘플을 활용한 VF추적기'...
그런 진지한 얼굴로 이런 생각을 하고 있을 줄 아무도 몰랐을 거예요.
...어쩌면 그가 가진 그런 특이한 사고와 관점이 아직 우리에게 필요하기 때문에 연구원 출신 실험체라는 "예외"가 허락된 거겠죠.
아직까지 그가 실험에 참여한 줄조차 모르는 말단들이 많아요.
실험이 시작됐는데 현장을 떠나지 못한 연구원이 남아있다는 보고가 요즘도 가끔 들어온다니까요.
그나저나, 정말 부러운 능력이지 않나요? 자신이 한 행동의 모든 결과를 볼 수 있다니.
제가 그런 능력이 있다면 그 어떤 것도 부럽지 않을 거예요.
- 심리과학 전문 연구원 Dr.H
Q. 어떤 연구 중에 사고로 일어난 건지?
A. 인위적인 VF 각성의 한계와 직접적인 각성 계기를 알아보는 실험.
해당 연구에 자원한 인원이 없어 스스로 실험 대상이 됨.
이후, 해당 실험에서 작은 사고(본인 주장) 발생.
이런 결과를 유도한 건 아니라고 강하게 주장함.
(이후 각성자용 거짓말 탐지기를 사용. 사실임이 판명됨. 자신이 만든 것을 자신에게 사용한다며 다소 불쾌해했음.)
Q. 결과는?
A. 부작용으로 사망직전까지 도달. 그러나 자신의 미래에 다른 길을 열게 해준 계기가 됐고, 기존의 연구와 더불어 새로운 연구를 할 수 있게 됐으므로 후회는 없음.
Q. 얻게된 능력이 실험과 관련이 있는지?
A. 확신하긴 어려우나 완전히 별개의 능력이 각성 된 것으로 사료됨.
비공식 실험체 ■■M-RFT■■로부터 추출된 능력이었으나 관계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
Q. 섬에 들어가려는 이유?
A. 보고서나 영상 같은 간접적인 체험으로는 VF에 대해 이해할 수 없는 것들이 많기 때문에.
(실제로 현장직에 가까운 부서로 인사이동 및 장기 외근 요청 기록이 100여 건 이상 확인됨.)
Q. 본인의 기준에 충족하지 않는 연구 결과가 나온다면 어떻게 할 것인지?
A. 만족스러운 결과가 나올 때까지 무한히 반복. 늘 그랬던 것처럼.
A. 인위적인 VF 각성의 한계와 직접적인 각성 계기를 알아보는 실험.
해당 연구에 자원한 인원이 없어 스스로 실험 대상이 됨.
이후, 해당 실험에서 작은 사고(본인 주장) 발생.
이런 결과를 유도한 건 아니라고 강하게 주장함.
(이후 각성자용 거짓말 탐지기를 사용. 사실임이 판명됨. 자신이 만든 것을 자신에게 사용한다며 다소 불쾌해했음.)
Q. 결과는?
A. 부작용으로 사망직전까지 도달. 그러나 자신의 미래에 다른 길을 열게 해준 계기가 됐고, 기존의 연구와 더불어 새로운 연구를 할 수 있게 됐으므로 후회는 없음.
Q. 얻게된 능력이 실험과 관련이 있는지?
A. 확신하긴 어려우나 완전히 별개의 능력이 각성 된 것으로 사료됨.
비공식 실험체 ■■M-RFT■■로부터 추출된 능력이었으나 관계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
Q. 섬에 들어가려는 이유?
A. 보고서나 영상 같은 간접적인 체험으로는 VF에 대해 이해할 수 없는 것들이 많기 때문에.
(실제로 현장직에 가까운 부서로 인사이동 및 장기 외근 요청 기록이 100여 건 이상 확인됨.)
Q. 본인의 기준에 충족하지 않는 연구 결과가 나온다면 어떻게 할 것인지?
A. 만족스러운 결과가 나올 때까지 무한히 반복. 늘 그랬던 것처럼.
3. 스탯
[include(틀:이터널 리턴/실험체 개요, 무기1=창,
난이도=1, 피해=1, 방어=1, 군중제어=1, 이동=1, 보조=1)]
<colcolor=#fff><rowcolor=#fff> 구분 | 레벨 1 | 레벨 20 | 성장치 | |||
<colbgcolor=#3c4048> 공격력 | 0 | 0 | +0 | |||
방어력 | 0 | 0 | +0 | |||
체력 | 0 | 0 | +0 | |||
체력 재생 | 0 | 0 | +0 | |||
스태미나 | 0 | 0 | +0 | |||
스태미나 재생 | 0 | 0 | 0 | |||
공격 속도 | 0 | |||||
이동 속도 | 0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무기 숙련도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white> 구분 | 레벨 1 | 레벨 20 | |||
<colbgcolor=#3c4048><colcolor=white> (무기) | ||||||
공격 속도 | 0% | 0% | ||||
( ) 증폭 | 0% | 0%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코발트 프로토콜 보정 수치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white> 구분 | (무기) | ||||
<colbgcolor=#3c4048><colcolor=white> 주는 피해 | 0% | |||||
받는 피해 | 0% | |||||
궁극기 쿨다운 감소 | 0% | }}}}}}}}} |
(인게임 실험체 개요)
4. 스킬
4.1. 패시브 - 스킬 이름
스킬 설명 | |
(상세 사항) | |
|
"시전 시 대사"[A]
(스킬 설명)4.2. Q - 스킬 이름
스킬 설명 | |
(상세 사항) | |
|
"시전 시 대사"[A]
(스킬 설명)4.3. W - 스킬 이름
스킬 설명 | |
(상세 사항) | |
|
"시전 시 대사"[A]
(스킬 설명)4.4. E - 스킬 이름
스킬 설명 | |
(상세 사항) | |
|
"시전 시 대사"[A]
(스킬 설명)4.5. R - 스킬 이름
스킬 설명 | |
(상세 사항) | |
|
"시전 시 대사"[A]
(스킬 설명)4.6. D - 무기 스킬
사용 가능 무기 스킬 | ||||||||||||||||||||||
| ||||||||||||||||||||||
그림자 찌르기 |
5. 실험체 평가
5.1. 장점
- (캐릭터의 장점에 대해 적어주시길 바랍니다.)
- (설명은 최대한 간결하게 적어주시길 바랍니다.)
5.2. 단점
- (캐릭터의 단점에 대해 적어주시길 바랍니다.)
- (설명은 최대한 간결하게 적어주시길 바랍니다.)
- ("cc기에 약함"같은 억지 단점이나 단순 주의사항 서술은 자제 바랍니다.)
5.3. 상성
이터널 리턴에서는 각종 숙련도 차이가 나면 상성이 얼마든지 뒤집힐 수 있는 여지가 있다는 점을 유의하자.- 이슈트반으로 상대하기 힘든 실험체
- 이슈트반으로 상대하기 쉬운 실험체
5.4. 권장 조합
5.5. 콤보
5.6. 총평
5.7. 역사
6. 무기별 추천 플레이
6.1. 무기 이름
목표 아이템 | ||
무기 | 옷 | 머리 |
(무기 이름) | (옷 이름) | (머리 이름) |
팔 | 다리 | 전술 스킬 |
(팔 이름) | (다리 이름) | (전술 스킬 이름) |
루트 | |||||
<colbgcolor=#3c4048><colcolor=#fff> 1 | (지역 이름) | → | <colbgcolor=#3c4048><colcolor=#fff> 2 | (지역 이름) | → |
3 | (지역 이름) | → | 4 | (지역 이름) | → |
5 | (지역 이름) | → | 6 | (지역 이름) |
7. 특성
7.1. 무기 특성
추천 특성 | ||
주 특성 | ||
(특성 이름) | ||
보조 특성 1 | 보조 특성 2 | |
(특성 이름) | (특성 이름) | |
보조 특성 3 | 보조 특성 4 | |
(특성 이름) | (특성 이름) |
==# 실험체 대사 #==
로비 | |
예측할 수 없다면, 직접 보는 수 밖에. |
행동 | |
<colbgcolor=#3c4048><colcolor=#fff> 선택 시 | 선택에 상응하는 결과를. |
실험 시작 | (대사 1) |
(대사 2) | |
(대사 3) | |
하이퍼 루프 이용 | (대사 1) |
(대사 2) | |
보안 콘솔 이용 | (대사 1) |
(대사 2) | |
트랩 설치 | (대사 1) |
(대사 2) | |
휴식 | (대사) |
해킹 시도[더미] | (대사 1) |
(대사 2) |
지역 | |
<colbgcolor=#3c4048><colcolor=#fff> 골목길 | (대사 1) |
(대사 2) | |
(대사 3) | |
양궁장 | (대사 1) |
(대사 2) | |
(대사 3) | |
묘지 | (대사 1) |
(대사 2) | |
(대사 3) | |
성당 | (대사 1) |
(대사 2) | |
(대사 3) | |
공장 | (대사 1) |
(대사 2) | |
(대사 3) | |
소방서 | (대사 1) |
(대사 2) | |
(대사 3) | |
숲 | (대사 1) |
(대사 2) | |
(대사 3) | |
주유소 | (대사 1) |
(대사 2) | |
(대사 3) | |
항구 | (대사 1) |
(대사 2) | |
(대사 3) | |
병원 | (대사 1) |
(대사 2) | |
(대사 3) | |
호텔 | (대사 1) |
(대사 2) | |
(대사 3) | |
경찰서 | (대사 1) |
(대사 2) | |
(대사 3) | |
연못 | (대사 1) |
(대사 2) | |
(대사 3) | |
모래사장 | (대사 1) |
(대사 2) | |
(대사 3) | |
학교 | (대사 1) |
(대사 2) | |
(대사 3) | |
개울 | (대사 1) |
(대사 2) | |
(대사 3) | |
절 | (대사 1) |
(대사 2) | |
(대사 3) | |
고급 주택가 | (대사 1) |
(대사 2) | |
(대사 3) | |
창고 | (대사 1) |
(대사 2) | |
(대사 3) | |
연구소[더미] | (대사 1) |
(대사 2) | |
(대사 3) | |
연구소 외곽[더미] | (대사 1) |
(대사 2) | |
(대사 3) | |
금지 구역 | (대사 1) |
(대사 2) | |
(대사 3) |
제작 | |
<colbgcolor=#3c4048><colcolor=#fff> 고급 등급 아이템 제작 | (대사 1) |
(대사 2) | |
(대사 3) | |
희귀 등급 아이템 제작 | (대사 1) |
(대사 2) | |
(대사 3) | |
영웅 등급 아이템 제작 | (대사 1) |
(대사 2) | |
(대사 3) | |
전설 등급 아이템 제작 | (대사 1) |
(대사 2) | |
(대사 3) |
전투 | ||
<colbgcolor=#3c4048><colcolor=#fff> 공격 | (대사 1) | |
(대사 2) | ||
패시브 스킬 발동 | (대사 1) | |
(대사 2) | ||
(대사 3) | ||
Q 스킬 시전 | (대사 1) | |
(대사 2) | ||
(대사 3) | ||
W 스킬 시전 | (대사 1) | |
(대사 2) | ||
(대사 3) | ||
E 스킬 시전 | (대사 1) | |
(대사 2) | ||
(대사 3) | ||
R 스킬 시전 | (대사 1) | |
(대사 2) | ||
(대사 3) | ||
무기 스킬 습득 | ||
무기 이름 - 무기 스킬 | (대사 1) | |
(대사 2) |
처치 | |
<colbgcolor=#3c4048><colcolor=#fff> 1명 처치 시 | (대사 1) |
(대사 2) | |
2명 처치 시 | (대사) |
3명 처치 시 | (대사) |
4명 처치 시 | (대사) |
5명 처치 시 | (대사) |
6명 처치 시 | (대사) |
7명 처치 시 | (대사) |
8명 처치 시 | (대사) |
9명 처치 시 | (대사) |
10명 처치 시 | (대사) |
11명 처치 시 | (대사) |
12명 처치 시 | (대사) |
13명 처치 시 | (대사) |
14명 처치 시 | (대사) |
야생동물 처치 시 | (대사 1) |
(대사 2) | |
(대사 3) |
탐색 | |
<colbgcolor=#3c4048><colcolor=#fff> 상자 수색 | (대사 1) |
(대사 2) | |
(대사 3) | |
항공 보급 수색 | (대사 1) |
(대사 2) | |
(대사 3) | |
나뭇가지 채집 | (대사) |
붕어 채집 | (대사) |
대구 채집 | (대사) |
꽃 채집 | (대사) |
감자 채집 | (대사) |
돌멩이 채집 | (대사) |
물 채집 | (대사) |
시체 발견 | (대사) |
자신이 처치한 시체 수색 | (대사) |
타인이 처치한 시체 수색 | (대사) |
결과 | |
<colbgcolor=#3c4048><colcolor=#fff> 승리 | (대사 1) |
(대사 2) | |
상위권 | (대사 1) |
(대사 2) | |
패배 | (대사 1) |
(대사 2) | |
해킹으로 인한 패배[더미] | (대사) |
항복 | (대사 1) |
(대사 2) | |
(대사 3) | |
(대사 4) |
감정 표현 | |
<colbgcolor=#3c4048><colcolor=#fff> 농담 | (대사 1) |
(대사 2) | |
(대사 3) | |
(대사 4) | |
도발 | (대사 1) |
(대사 2) | |
(대사 3) | |
(대사 4) |
8. 실험체 스킨
8.1. 기본 스킨
| |
<colbgcolor=#1c1c22><colcolor=#fff> 출시일 | 20XX년 X월 XX일 |
가격 | 기본 지급 |
8.2. 스킨1
| |
<colbgcolor=#1c1c22><colcolor=#fff> 출시일 | 20XX년 XX월 XX일 |
등급 | Uncommon (고급) Rare (희귀) Epic (영웅) |
가격 | 1,075 NP 1,485 NP 2,150 NP |
획득 조건 | (이벤트, 교환소, ER 패스, ER 시즌 팩, 스킨 데이터 박스, 시즌 골드 서브젝트 이상 달성) |
(캐릭터 스킨 설명)
(스킨 평가)9. 기타
- 이바에 이은 두번째 아글라이아 연구원 출신 플레이어블 실험체이며, 첫번째인 이바는 사실상 소속만 아글라이아지 그 특수성탓에 실제로는 연구직보다는 Dr.에르샤의 사병이나 보좌관에 가까운, 여러모로 예외적인 위치였으므로 정식 연구원 출신으로선 사실상 최초이다. 이런 점에서 보자면 여러모로 기념비적이며 스토리 관련 떡밥이 풀릴지도 모를 중요한 캐릭터지만, 본인이 남캐인데다가 같이 공개된 니아의 일러스트가 수준급으로 뽑혀 이름도 기억되지 못하는 등 찬밥 신세를 당했다.
- 그의 능력은 행동에 대한 여러 가지 가능성에 대한 결과를 미리 보고 그 가능성을 끌고 오는 것. 물론 너무나 사기적인 능력인지라 가능성에 따른 수백 가지 결과들을 본인의 뇌가 버텨야 한다는 부작용이 있다.
- 이름의 어원은 헝가리의 인명 이슈트반(István). 이 이름은 최초의 순교자인 성 스테판에서 유래하였으며, 라틴어의 스테파노와 영어의 스티븐과 어원을 공유한다. 헝가리에서는 국부 이슈트반 1세와 성 이슈트반 왕관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상의 이유로 국적은 헝가리로 반 확정. 작명법도 헝가리식 작명법을 적극적으로 따라서, 이름인 이슈트반이 뒤에, 성인 시몬이 앞에 붙는다.
- 이렘과의 연관성을 추측하는 의견들도 있다. 도전과제 스토리를 통해 이렘이 아글라이아의 동물 실험 도중 탄생한 존재임이 암시되고 있는데, 이슈트반의 설정이 양자역학 연구자인데 마침 양자역학에 관한 대표적인 이론이 슈뢰딩거의 고양이이기 때문. 기존 실험체 간의 연계성을 삽입하는 최근 실험체들의 경향상 배경 스토리가 부실하다고 비판받아온 이렘을 메인 스토리에 편입시킬 기회가 될지 주목되는 부분.
- 시즌 6 간담회 설정화에서 초기 공개 될때는 백발이었지만 정식 버전은 투톤컬러가 가미된 흑발로 변경됐다. 기존 디자인이 에이든과 유사하단 평가를 반영한 모양. 이후에는 헤어스타일과 코트 차림, 키가 크고 창을 무기로 쓴다는 점에서 원신에 등장하는 캐릭터인 종려와 비슷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래서인지 에스텔, 알론소, 르노어처럼 실제 종려의 성우인 표영재 성우를 캐스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