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아 내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808080,#555><colcolor=#fff> 경과 | 시리아 민주화 운동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원인과 분석 | 시리아 내전 발발 원인 | 분석과 전망 |
주요 세력 | | 시리아 공화국 수비대 지원세력 | 러시아 연방군 · 이란군(이슬람 혁명 수비대) · 헤즈볼라 |
자유 시리아군[A] | ||
지원세력 | 미군 | ||
지원세력 | 튀르키예군 | ||
이슬람 전선[A] | ||
레반트 해방위원회 | ||
쿠르디스탄 | 셀주크 여단 | 순교자 누바르 오자냔 여단 | 여성방위대 | 인민방위대 | |
|
주요 전투 | 홈스 전투 | 알레포 전투 | 데이르에조르 포위전 | 코바니 포위전 | 팔미라 전투(2016~2017) | 하샴 전투 | 알바구즈 전투 | 2023년 북동시리아 분쟁 | 2024년 시리아 반군 공세 (알레포 전투(2024년) | 다마스쿠스 함락) | 동알레포 공세 |
전쟁범죄 | 훌라 학살 | 구타 화학 무기 공격 참사 | IS의 해외 민간인 납치 살해 | IS의 요르단 조종사 분살 사건 |
사건사고 | 한국 청소년 이슬람 국가 가담 사건 | 2015 러시아 공군기 Su-24 격추사건 | 2023년 홈스 드론 공격 | 이스라엘의 주시리아 이란영사관 공습 |
외국의 개입 | 미국의 역할 | 러시아의 개입 | 헤즈볼라의 역할 | 대IS 군사 개입 | 2019년 튀르키예 쿠르드 침공 | 케일라 뮬러 작전 | 이스라엘의 공습 | 2024년 미국의 이라크·시리아 공습 | 자유의 새벽 작전 | 이스라엘의 침공 |
관련 창작물 | 논스톱: 다마스커스 타겟 | 사마에게 |
기타 | 오해 | 난민과 참상 | 유럽 난민 사태 | 화이트 헬멧 | 통 폭탄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nt-size: 0.90em" {{{#!folding [ 각주 보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 }}}}}}}}} |
{{{#!wiki style="color: #0038b8;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 전쟁·전투 | 교전국 | ||
<colbgcolor=#0038b8> 제1차 중동전쟁 1948 ~ 1949 | | |||
제2차 중동전쟁 1956 | ||||
제3차 중동전쟁 1967 | ||||
소모전 1967 ~ 1970 | | |||
1968년 이스라엘의 레바논 공습 1968 | | |||
1973년 이스라엘의 레바논 공습 1973 | | |||
제4차 중동전쟁 1973 | ||||
엔테베 작전 1976 | 독일 혁명분파 | |||
오시라크 원자로 공습 1981 | ||||
레바논 내전 1975 ~ 1990 | ||||
러시아-이스라엘 공중전 1996 | | |||
여름비 작전 2006 | ||||
2006년 이스라엘-헤즈볼라 전쟁 2006 | ||||
과수원 작전 2007 | ||||
2008-2009년 가자 전쟁 2008 ~ 2009 | ||||
이스라엘의 시리아 공습 2011 ~ 현재 | ||||
2012년 가자 전쟁 2012 | ||||
2014년 가자 전쟁 2014 | ||||
2021년 가자 전쟁 2021 | ||||
2023 - 2025년 중동 위기 | <colbgcolor=#0038b8>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2023 ~ | |||
이스라엘-이란 분쟁 2024 | ||||
이스라엘의 예멘 공습 2024 | ||||
이스라엘-헤즈볼라 전쟁 2024 ~ | ||||
이스라엘의 시리아 침공 2024 ~ | }}}}}}}}} |
이스라엘의 시리아 공습 Israeli air strikes in Syria 시리아 내전과 이란-이스라엘 분쟁의 일부 | |
장소 | |
시리아와 이스라엘 접경지역 | |
교전 국가 및 세력 | |
|
[[헤즈볼라| |
지원 국가 | |
|
|
피해규모 | |
2명 사망16명 부상 |
최소 150명 사망
최소 200명 사망 [[헤즈볼라|
최소 1명 사망[A]
최소 1명 사망[A] |
1. 개요
1. 개요
시리아 내전의 일부로, 바트주의 시리아에 대한 이스라엘의 일련의 공습을 다룬 문서이다.시리아의 바샤르 알 아사드 정권은 이스라엘에 적대적인 입장을 고수하며, 중동권 시아파 맹주인 이란과 협력하고 있었다. 시리아는 이란의 지원을 받는 헤즈볼라나 PIJ,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 시리아 사회민족당 같은 반이스라엘 무장 단체들을 위한 거점을 제공했고, 이들은 시리아와 이란의 원조를 바탕으로 이스라엘을 향한 도발을 감행해왔다.
이에 대응하여 이스라엘은 이들의 도발이 있을 때마다 시리아 내 거점을 공습 및 파괴해왔다. 뿐만 아니라, 이스라엘은 시리아 내 이란의 군사시설을 직접 타격하기도 한다.
2024년 4월 1일에는 이스라엘이 시리아 내 이란 영사관에 대한 공습을 감행하여 이란 혁명수비대 고위 지휘관 2명을 포함하여 총 16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는 곧 이스라엘과 이란이 상대의 본토를 직접 타격하며 양국 간의 직접적인 군사적 충돌로 번졌다. 진실의 약속 작전 및 2024년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 참조.
2024년 시리아 반군 공세로 아사드 정권이 붕괴된 후, 이스라엘은 무주공산이 된 시리아 강역을 직접 침공하여 골란 고원을 완전히 장악하고 아직 남아 있던 시리아 아랍군과 시리아 공화국 수비대의 전차, 군함, 전투기, 헬기, 방공시설 등 추후 위협이 될 수 있는 군사 자산들을 폭격하여 거의 모두를 무력화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