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ffffff,#191919> 어뢰정 | 페르노프 | |||
구축함 | |||||
잠수정 / 함 | 델핀, 솜급, 카사크타급, 미노가, 아쿨라, 카르프급, 카이만급, 크랍, 모르즈급, 바르스급, 나르발급, A급 | ||||
경순양함 | 알마스급, 스베틀라나급 | ||||
장갑순양함 | 게네랄 아드미랄, 미닌, 블라디미르 모노마흐, 드미트리 돈스코이, 아드미랄 나히모프급, 파먀티 아조노바, 로시야, 그로모보이, 바얀급, 류리크 | ||||
방호순양함 | 디아나급(아브로라함), 바랴그급, 스베틀라나급, 아스콜드, 노빅급, 바가티르급, 이주므루드급 | ||||
군수지원함/구난함 | 콤무나 | ||||
순양전함 | |||||
전함 | <colbgcolor=#ffffff,#191919> 전드레드노트급 | 예카테리나 2세급, 나바린, 임페라토르 알렉산드르 2세급, 페트로파블로프스크급, 트리 스비아티테리아, 아드미랄 우샤코프급 전함, 체자레비치, 보로디노급, 로스티슬라브, 페레스베트급, 포템킨, 레트비잔, 에프스타피급, 안드레이 페르보즈반니급 | |||
드레드노트급 | |||||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Эскадренные миноносцы типа «Изяслав» |
1. 개요
이쟈슬라프급 구축함은 1915년에 설계된 발트함대 소속용으로 노빅급 구축함의 2번째 하부 함급 구축함이다. 이들은 프랑스 회사인 오귀스탱 노르망 사의 도움을 받아 러시아에서 건조된 오르페이급 구축함의 개량형아며, 제1차 세계 대전, 러시아 내전, 에스토니아 독립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 활약했다.2. 제원
배수량 | 1,350t(기준), 1,560t(만재) |
전장 | 107.0 m |
선폭 | 9.5 m |
흘수 | 3.0 m (기준) 4.1 m (만재) |
승조원 | 158명 |
무장 | 102mm Model 1911 단장포 5기, 76.2mm Model 1911 단장포 1기, 45mm 21-K 대공포 단장 4문, 457mm 3연장 어뢰발사관 2~3문, 폭뢰 60발 |
추진체계 | 브라운 보베리 증기터빈 2기, 출력 32,700마력, 2샤프트 |
속도 | 35 knots |
항속거리 | 21 knots로 1,880해리 |
3. 개발 배경과 상세 정보
러시아 해군에서 선체 크기가 가장 크고 가장 강력한 화력을 자랑하는 구축함급 중 하나였다. 이전 군함보다 더욱 강력한 함포를 장착했다. 현측에서 일제 사격할 수 있는 어뢰 수는 적었지만, 당시 다른 국가에서 건조한 구축함보다 구경이 더 큰 어뢰를 장착하였다.이 함선들은 이전 설계의 확장 버전으로, 더 긴 포탑과 프람형 롤링 방지 탱크를 사용했다. 추가로 100밀리미터(4인치) 포가 추가되었고 어뢰 발사관의 수가 줄어들었다. 전량 모두 에스토니아 레발의 보커 앤 랑케에서 건조되었으며,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로 금수조치가 내려진 스위스에서 기계를 주문하면서 건조가 지연되었다. 이후 영국에서 새로운 기계를 주문해서 건조했다.
참조 1, 참조 2
4. 동형함 목록
1번함아브트로일(Avtroil) → 레누크(Lennuk) → 알미란테 기즈(Almirante Guise)
1915년 1월 13일 진수함. 1918년 영국 해군에 의해 노획됨. 이후 에스토니아 해군에서 취역했으나 1933년 페루 해군에 판매됨. 1954년 스크랩.
2번함
이쟈슬라프(Izyaslav) → 카를 마르크스(Karl Marx)
1915년 6월 27일 진수함. 1941년 8월 8일 격침.
3번함
프리미슬라프(Prymyslav) → 칼리닌(Kalinin)
1915년 8월 9일 진수함. 1941년 8월 28일 격침.
4번함
브랴치슬라프(Bryachislav)
1915년 10월 1일 진수함. 1923년 페트로그라드로 대피했지만 미완성 상태로 폐기됨.
5번함
페도르 스트라틸라트(Fedor Stratilat)
1915년 ??월 ??일 진수함. 1923년 페트로그라드로 대피했지만 미완성 상태로 폐기됨.
5. 대중매체
월드 오브 워쉽 소련 구축함트리에 4티어 함선으로 등장한다.
6.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2px -11px" | 겨울전쟁 및 제2차 세계 대전 소련군의 해군 함선 | |
상륙함 | 볼린데르급RE | |
어뢰정 | Sh-4급, G-5급, D3급, PT 보트US | |
잠수정 / 함 | 슈카급, 칼레브급노획, M급, A급, L급, P급, S급, D급, K급, 로니스급노획, 바르스급, L급UK, S급UK, U급UK, 퀘벡급C | |
호위함 | 타코마급 호위함US | |
구축함 | 노빅급(데르즈키급, 오르페이급, 이쟈슬라프급, 피도니시급)RE, | |
기뢰전함 | 마르티급RE, 프로젝트 253L형 | |
순양함 | 키로프급, 막심 고리키급, 카가노비치급, | |
모니터함 | SB-37급(제례즈냐코프급), 하산급 | |
군수지원/구난함 | 콤무나RE | |
순양전함 | ||
전함 | 옥차브리스카야 레볼루치야급RE, 아르한겔스크UK, | |
항공모함 | ||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에스토니아 해군 (1991~현재) Eesti Merevägi | ||
<colbgcolor=#0072CE><colcolor=#FFF> '''[[초계정| 초계정 ]]''' | <colbgcolor=#0072CE><colcolor=#FFF> PB | 라주급 | 롤란드급R | 토름급R | 그리프급R | 리스트나급R | 아티R | |
'''[[초계함| 초계함 ]]''' | ''' PCE ''' | 킨드랄 쿠르비츠 | 어드미럴 피트카R | |
기뢰부설함 (MLS) | 타수야급 | ||
'''[[소해함| 소해함 ]]''' | ''' MHC ''' | 어드미럴 코완급 | 왐볼라급R | 린다우급R | |
''' MSI ''' | 칼레브급R | ||
지원정 | 루드R (잠수지원정) | ||
※ 윗첨자R: 퇴역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
※둘러보기 : | }}}}}}}}} |
⚓️ 해상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차 세계대전 | 미국 | 독일 제국 | 영국 | ||||||
일본 제국 | 이탈리아 왕국 | 프랑스 | ||||||||
제2차 세계대전 | 미국 | 일본 제국 | 영국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0px-War_Ensign_of_Germany_1938-1945.svg.png 나치 독일 | ||||||
소련 | 프랑스 | 폴란드 | ||||||||
스웨덴 | 핀란드 | 중화민국 | 만주국 | |||||||
캐나다 | 호주 | 노르웨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제3세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685050>북미 | 미국 | 캐나다 | 멕시코 | - | ||||
''' 중미/카리브 ''' | 쿠바 | |||||||||
남미 | 브라질 | 칠레 | 페루 | |||||||
에콰도르 | 콜롬비아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함선| 크로아티아 ]] | 튀르키예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라트비아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함선| 우크라이나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
''' 동남아시아 ''' | 베트남 | 태국 | ||||||||
필리핀 | 싱가포르 | 브루나이 | 미얀마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스리랑카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이란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함선| 사우디아라비아 ]]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함선| {{{#!wiki style="margin: -0px -9px"]] | ||||||
바레인 | 카타르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
아프리카 | 이집트 | 알제리 | 모로코 | |||||||
남아공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해상병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러시아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영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프랑스 전함 | 항공모함 | 독일 전함 | 잠수함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