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23 23:11:45

이혜경(독립운동가)

<col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aaa
가네코 후미코 강원신 강혜원 공백순 권기옥
권애라 김경화 김덕세 김도연 김마리아¹
김마리아² 김란사 김순애 김알렉산드라 김자혜
김점순 김정숙 김조이 김향화 김효숙
남자현 동풍신 민영주 박계남 박신애
박원희 박자혜 박차정 박현숙 방원희
부덕량 부춘화 신마실라 신순호 신의경
신정숙 심영신 안경신 안영희 양방매
어윤희 연미당 오건해 오광심 오희영
오희옥 유관순 유순희 윤용자 윤희순
이병희 이신애 이의순 이혜련 이효정
이희경 장매성 장선희 전수산 전월순
정정화 조마리아 조순옥 조신성 조화벽
주세죽 지복영 차경신 차미리사 차보석
최선화 최용신 최정숙 홍애시덕 황마리아
황애시덕
}}}}}}}}} ||
<colcolor=#fff><colbgcolor=#0047a0>
파일:이혜경 독립운동가 사진.jpg
출생 1889년 2월 22일
함경남도 원산
사망 1968년 2월 10일 (향년 78세)
묘소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선열공원
가족 배우자 김성국
서훈 대통령표창 수훈
건국훈장 애국장 추서

1. 개요2. 생애3. 활동4. 여성운동5. 교육6. 독립운동 자금7. 체포와 이후 활동8. 의의와 영향9. 묘소10. 상훈과 추모11. 참고문헌

[clearfix]

1. 개요

한국독립운동가.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수여받았다.

2. 생애

1889년 2월 22일 함경남도 원산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민족의식을 가지고 자라난 그녀는 일본의 식민통치 아래에서 독립운동에 헌신하게 되었다.

3. 활동

주로 여성운동과 교육 분야에서 큰 역할을 했다. 그녀는 여성의 지위 향상과 교육의 필요성을 강하게 느끼고 이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함경남도 원산의 진성여학교 교사로 재직 중이던 1919년 3.1 운동에 학생들과 함께 적극 동참하였다.

대한민국애국부인회는 1919년 6월에 혈성단애국부인회와 대조선독립애국부인회가 통합하여 결성된 단체로, 같은 해 9월에는 김마리아를 중심으로 결사부와 적십자부를 신설하고 항일 독립전쟁에 대비한 조직 전환을 이루었다. 이혜경은 부회장을 맡아 주도적으로 활동하였다.

이 단체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와의 연계를 맡았으며, 대한적십자회의 활동도 수행하였다. 또한 회비와 수예품 판매 등을 통해 독립운동 자금 6,000원을 모아 임시정부에 송금하였다.

4. 여성운동

일제강점기 동안, 이혜경은 여성의 권리와 지위 향상을 위해 노력했다. 그녀는 여성들이 독립운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이들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5. 교육

여성 교육의 중요성을 깨닫고, 이를 위해 여성 교육 기관을 설립하고 운영하였다. 그녀의 노력으로 많은 여성들이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얻었으며, 이를 통해 민족의식과 독립운동에 대한 의지를 키우게 되었다.

1921년 원산의 마르다윌슨 여자 신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6. 독립운동 자금

독립운동 자금을 마련하는 데에도 큰 기여를 했다. 그녀는 독립운동을 지원하기 위해 자금을 모으고, 이를 통해 독립운동 단체들이 지속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7. 체포와 이후 활동

1920년 중반, 이혜경은 일제 경찰에게 체포되어 12월 대구복심법원에서 징역 1년형을 선고받고 대구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1926년에는 대구성경학교 교사로 근무하며, 경상남도 양산 출신의 김성국과 결혼하여 광복 이후 대구에 거주하였다.

1968년 2월 10일에 사망하였다.

8. 의의와 영향

이혜경의 노력은 독립운동의 중요한 부분을 이루었으며, 많은 이들에게 귀감이 되었다. 그녀의 헌신과 노력은 독립운동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후대에도 여성 독립운동가로서 존경받고 있다.

9. 묘소

대구광역시 동구 동북로71길 33에 위치한 국립신암선열공원 제3묘역에 묻혔다.

10.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이혜경의 공적을 기려 1963년 대통령표창을 수여했고,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11. 참고문헌

• 『고등경찰요사』 (경상북도 경찰부, 1934)
• 김정명, 『조선독립운동』 1 (원서방, 1967)
• 『독립유공자공훈록』 7 (국가보훈처, 1990)
• 박용옥, 『한국근대 여성운동사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 「판결문」 (대구복심법원, 1920. 12. 27.)
• 이배용, 「중국 상해 대한애국부인회와 여성독립운동」 (『이화사학연구』 30,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학연구소, 2003)
• 김성은, 「상해 임정시기 여성 독립운동의 조직화와 특징」 (『여성과 역사』 29, 한국여성사학회, 2018)
• 조규태, 「대한적십자회의 설립과 확장, 1919년~1923년」 (『한국민족운동사연구』 102, 민족운동사학회, 2020)
이 내용은 한국학중앙연구원과 대구향토문화백과 등의 자료를 참조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