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73a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f2023> | 주식회사 경인방송 株式會社 京仁放送 Kyung-In Broadcasting Co., Ltd. | }}} | ||
이전 명칭 | 국문 | iTV 인천방송(1997 ~ 2000) iTV 경인방송(2000 ~ 04) 라디오인천(2006 ~ 07) | ||||
영문 | Incheon Broadcasting Television limited (1997 ~ 2000) Kyung-in Broadcasting Television limited (2000 ~ 04) Radio Incheon limited (2006 ~ 07) | |||||
설립 | 1997년 1월 7일 ([age(1997-01-07)]주년) | |||||
개국 | TV | 1997년 10월 11일 | ||||
라디오 | 2003년 6월 30일 | |||||
폐국 | TV | 2004년 12월 31일 | ||||
라디오 | ||||||
재개 | 라디오 | 2005년 3월 1일 | ||||
본사 소재지 | 경인방송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아암대로287번길 7 (학익동) | |||||
호출부호 | ATV | |||||
DTV | ||||||
FM | HLDO-FM | |||||
채널 | ||||||
링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73a5> 대표자 | <colbgcolor=#fff,#1f2023>이기우 | ||||
법인형태 | 주식회사 | |||||
업종명 | 방송사업 | |||||
상장유무 | 비상장기업 | |||||
기업규모 | 중견기업 | |||||
소재지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아암대로287번길 7 (학익동)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 | 경인방송 90.7 경인방송 라디오 | }}} | ||
<colbgcolor=#0073a5> 행복느낌 90.7 | |||||
<colcolor=#fff> 국가 | <colbgcolor=#fff,#1f2023> | ||||
개국 | 2003년 6월 30일 | ||||
폐국 | 2004년 12월 31일[2] | ||||
재개 | 2005년 3월 1일 | ||||
채널 구분 | 지상파 라디오 | ||||
운영 유형 | 민영방송 | ||||
장르 | 라디오 종합편성채널 | ||||
주요 분야 | 뉴스, 시사교양, 예능, 음악, 교통, 재난정보 | ||||
호출부호 | HLDO-FM | ||||
주파수 | 90.7㎒ ''' 수도권 서부 ''' | ||||
방송 시간 | <colbgcolor=#0073a5> 통상 | 오전 5시 ~ 다음날 오전 5시(24시간) | |||
정파 | |||||
방송 품질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073a5,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FM-AM 파일럿 톤 스테레오)] | ||||
인터넷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073a5,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MPEG-4 AAC)](128kbps, 48khz) | ||||
방송망 | 독립 민영방송국 | ||||
언어 | 한국어 | ||||
가청취권역 | 경기도, 인천광역시 | ||||
방송 책임자 | 편성 | 안병진 (편성제작국장) | |||
광고 | 신미정 (경영국장) | ||||
소유 | (주)경인방송 | }}} |
느껴봐요 젊음을, 함께해요 90.7, iTV iFM[4]
행복느낌 90.7 우리함께 iFM~
행복느낌 90.7 우리함께 iFM~
[clearfix]
1. 개요
|
경인방송 본사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아암대로287번길 7 (학익1동 587-310) |
|
경인방송 경기총국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경수대로 396-4 성은빌딩 4층 (권선1동) |
경인방송은 이미 경영악화로 2004년 12월 31일 폐업했지만, 2005년 4월 FM라디오방송과 방송시설 임대사업을 재개했다. 이후 법원으로부터 2007년 10월 8일 회생계획 인가결정을 받은 후 3년 연속 흑자경영을 해왔다.(2024년 현재까지도 흑자 경영을 유지하고 있다.) 이런 경영 여건 개선으로 인천지방법원은 2010년 12월 30일부로 경인방송에 대해 회생절차 종결결정을 했다.
이로써 경인방송은 경영정상화를 이뤄냈다. 경인방송이 법정관리 졸업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었던 힘은 괄목할 만한 재무개선에 있었는데, 2003년 300억 원에 육박했던 채무가 약 2억 원으로 줄었다.
숭의동의 수봉공원에 송신소가 있으며, FM 90.7㎒에 출력 5㎾로 송신하고 있다.[6][7] 개국 당시부터 2011년 10월 10일까지 1㎾의 출력으로 송신하였으나, 경인방송이 2011년 7월에 인천광역시의 재난 방송 주관 방송사로 지정되었음에도 서해 5도 지역에 방송이 제대로 수신되지 않는다는 문제를 들어 방송국을 비롯한 각계 인사들이 방송통신위원회 측에 지속적인 건의하였고, 이것이 관철되어 출력을 5㎾로 증강하였다.(관련 기사)
2009 인천세계도시축전을 계기로 경인방송은 이동식 오픈스튜디오 'BOX 907'를 직접 설계하고 제작해 운영해오고 있다. BOX 907은 '선물', '라디오'라는 뜻의 'BOX'와 경인방송의 주파수 90.7MHz의 907이 결합한 애칭이다.경인방송은 BOX 907을 이용해 초대형 행사에서 동네 시장 어귀의 행사까지 공개방송을 진행하고 있다. 그 어떤 행사도 장소에 관계없이 진행할 수 있는 전천후 이동식 방송 스튜디오로 2009년 6월 지역 민영방송 최초로 가동됐다.
2. 찾아가는 길
대중교통을 이용해 방송국으로 가려면 521번을 타면 된다. 동인천역이나 숭의역에서 521번을 타면 도착할 수 있다.자가용을 이용해서 찾아가기는 편하다. 인천대로 용현동 종점에서 송도 방면으로 좌회전하여 아암대로를 달리다가 보면 연수구 경계 직전에[8] 방송국이 나온다.
네비게이션에서 미추홀구 학익동에 있는 경인방송으로 검색하면 쉽게 찾아올 수 있다. 주차장 부지가 꽤 넓어 주차하기가 편한 장점도 있다.
3. 노동조합
- 전국언론노동조합 경인방송지부: 당시 해직된 조합원은 민주노총 소속이었다. (총 조합원 224명)[9]
현재 경인방송에는 복수 노동조합 2개가 있다.
(2023.10) (기존) 경인방송 라디오 노동조합 (대표자: 한준석)
4. 상징
4.1. 로고
4.1.1. iTV (1997.1~2004.12)
4.1.2. 경인방송
| | |
iTV iFM 로고 (2005년 3월 1일 ~ 2006년 4월 2일) | SUNNY FM 라디오 인천 로고 (2006년 4월 3일 ~ 2007년 10월) | 경인방송 로고 (2007년 10월 ~ 2013년 10월) |
| | |
iTVFM 로고 (2008년 12월 ~ 2013년 10월) | {{{#ffffff {{{+1 경인방송 iFM 로고 {{{-2 (2013년 10월 ~ 현재)}}}}}}}}} | {{{#ffffff {{{+1 경인방송 90.7MHz 로고 {{{-2 (2016년 3월 1일 ~ 현재)}}}}}}}}} |
5. 역사
6. 방송 현황
6.1. 지상파 텔레비전 방송
6.2. 지상파 라디오 방송
7. 역대 임원 및 간부
7.1. iTV (1997.1~2004.12)
7.2. iFM (2005.3~2006.4)
7.2.1. 사장
- 이창운 (2005)
7.2.2. 보도국장
- 김유중 (2005~2006)
7.3. 라디오인천 (2006.4~2007.10)
7.3.1. 사장
- 이춘재 (2005~2007)
7.3.2. 보도국장
- 장우식 (2006~2007)
7.4. 경인방송 (2007.10~)
7.4.1. 이사회 의장
- 조동성 (2023)[10]
- 이기우 (2023.09 ~)
7.4.2. 회장
7.4.3. 사장 (대표이사)
7.4.4. 보도본부장
- 이영철 (2015~2019)
- 김규원 (2012~2014)
- 이인수 (2015)
7.4.5. 보도국장[14]
- 장우식 (2007~2008)
- 정종웅 (2008~2009)
- 김규원 (2009~2012)
- 이영철 (2012/2014~2019)
- 윤관옥 (2012~2014)
- 구대서 (2019~2021)
- 박주성 (2021~2023)
- 구대서 (2023.10.~2024.05)
8. 직원
(2023.12) 직원과 프리랜서를 합하여 100여명 규모8.1. 아나운서
8.1.1. iTV (1997.1~2004.12)
8.1.2. 경인방송 (2007.10~)
8.1.2.1. 현직
- 김경옥
- 박주언
- 김고운
- 최희선
- 신재은
- 김진이
- 문현아
8.1.2.2. 전직
8.2. PD
8.2.1. 현직
8.2.1.1. 인천본사
- 김종영 - Always 인천 배칠수입니다, 포근한 밤 김경옥입니다, 나의 플레이리스트
- 박수진 - 웰컴투 경인마을, 최희선의 SKY 907
- 김국 - 굿모닝 인천 이도형입니다, 오유석의 소통클래식
- 안병진 - 당신이 주인공, 박현준의 라디오 가가, 델리스파이스의 뮤직시티, 당신의 BGM, 조용주가 만난 사람과 책, 김소영의 행복한가요, 여기는 인천항 유동현입니다
- 임다원 - 당신이 주인공
- 문소연
8.2.1.2. 경기본부
8.2.2. 전직
- 김성민
8.3. 기자
8.3.1. 현직
8.3.1.1. 인천 보도팀
- 이장원
- 여승철
- 김지호
- 윤종환
- 송승원
- 김예빈
- 이혜원
8.3.1.2. 경기 보도팀
- 홍성민
- 이영종
- 최상민
- 안은주
- 한준석
- 김장선
8.3.2. 전직
9. 로고송
- 느껴봐요 젊음을 함께해요 90.7 iTV iFM (2003년 6월 30일 ~ 2004년 12월 31일)
- iTV iFM~ (2005년 3월 1일 ~ 2005년 11월 6일)
- 느껴봐요 젊음을 함께해요 90.7 iFM (2005년 11월 7일 ~ 2006년 4월 2일)
- 행복느낌 90.7 우리함께 Sunny FM (2006년 4월 3일 ~ 2008년 11월 30일)
- 행복느낌 90.7 우리함께 iTVFM (2008년 12월 1일 ~ 2014년 5월 11일)
- 행복느낌 90.7 랄랄라랄라 우리함께 즐겨봐 i~TVFM! (내레이션:iTVFM) (2008년 12월 1일 ~ 2014년 5월 11일)
- 사랑해 사랑해 사랑해 사랑해 경인방송 iTV~FM (2008년 12월 1일 ~ 2014년 5월 11일)
- 빠빠빠빠빠빠 iTVFM! (2010년 ~ 2014년 5월 11일)
- 행복느낌 90.7 우리 함께 iFM (2014년 5월 12일 ~ 현재)
- 행복느낌 90.7 랄라랄라~우리함께 즐겨봐 i~FM! (2014년 5월 12일 ~ 현재)
- iFM~ (2014년 5월 12일 ~ 현재)
- 행복느낌 90.7 랄랄라랄라 우리함께 즐겨봐 i~FM! (2014년 5월 12일 ~ 현재)
- Good Music Good News 경인방송 iFM 행복느낌 90.7 i~FM~ (2014년 5월 12일 ~ ? )
- 행복느낌 90.7 iFM 경인방송 (2014년 5월 12일 ~ 현재)
10. 시보 멘트
FM 90.7㎒, 경인방송에서 정시를 알려드립니다
11. 기타
라디오에서 틀어주는 곡들은 주로 방송국 DB에 저장된 음원 파일들을 틀어주는 방식. 문제는 인천본사와 경기총국의 음악 DB가 연동 따위 없이 따로 구성되어 있는데다가, 음악 DB는 되레 경기총국쪽이 더 풍족하게 꾸려져있다. 인천본사쪽의 음악 DB는 후발주자인 OBS 라디오만도 못한 수준.[DTV] 준비했으나, TV방송 폐국 때문에 개국하지 못함.[2] TV 방송과는 달리 전파를 내리지는 않고 대신 이듬해 3월 1일까지 논스톱 음악방송이 이어졌다. 즉, 엄밀히 말하면 폐국이 아닌 정규방송 중단인 셈.[3] OBS 라디오처럼 부정기 정파인데다 정파 빈도도 적어서 이 편성을 보기에는 쉽지 않다.[4] 라디오방송 초창기 사용했던 로고송.[5] 삼죽면, 죽산면, 일죽면 제외. 2024년 9월 25일부터 옆 주파수 90.5㎒에서 KBS 1라디오 안성 중계소가 송출을 개시하면서 청취가 곤란할 수 있다.[6] 이 때문에 성남시에서는 이 방송을 들을 수 없다. 성남시 자체에서 하는 소출력 방송인 성남FM이 이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 자세한 내용은 라디오 주파수 문서를 참조하도록 하자. 다만 경인방송 연혁에 따르면 2010년 1월에 성남FM(당시 분당FM)과 업무협약을 체결한 적이 있긴 하다.[7] 정확히는 성남시 어디냐에 따라 수신 가능 여부가 다르다. 일단 수내동, 서현동과 동판교 일대는 100% 안된다고 보면 되고 일대에서 멀어질수록 수신율이 상승하는 편.[8] 그래서 방송국의 전화번호도 연수구 옥련동에서 쓰는 032-830 국번을 사용한다.[9] 해직된 조합원은 OBS경인TV로 이관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10] 독립운동가 김우전의 사위[11] 이사회에서 해임되었다.[12] EBS 사장을 지낸 권영만과는 동명이인이다.[13] 아파트 분양 사기 의혹으로 검찰에 구속되면서 4개월만에 화장직에서 물러났다.#[14] 2012~2014년까진 보도부장이었으며, 2016년부터 방송본부장이 겸임했다.[15] 현 국회방송 아나운서[16] 전 극동방송 아나듀오[17] 전 TBS교통방송 기자[18] 유일하게 연출과 진행을 겸하고 있다.[19] 2024년 10월부터 홈페이지에 새로 업데이트된 것으로 미루어볼 때, 2024년 10월 전후로 입사한 신입PD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