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6 23:58:30

iTV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이 문서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에 소재했던 지상파 종합 방송국에 대한 문서입니다. 다른 주제에 대해서는 아래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 일본의 방송국: ITV
  • 영국의 방송국: ITV(영국)
  • iTV의 후신인 경인지역의 지상파 종합 방송국: OBS경인TV
  • iTV의 모태이자 경인지역의 라디오 방송국: 경인방송
  • 출시 전 가칭으로 "iTV"로 불렸던 Apple의 TV 셋톱박스 브랜드: Apple TV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 파일:iTV 로고.svgiTV 경인방송
株式會社 京仁放送
Kyung-in Broadcasting Television limited
}}}
<colbgcolor=#43a047> 젊은방송 푸른방송[1]
<colcolor=#ffffff> 이전
명칭
<colbgcolor=#43a047><colcolor=#ffffff> 국문 <colbgcolor=#fff,#1f2023>iTV 인천방송
한문 株式會社 仁川放送
영문 incheon Broadcasting Television limited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후신 OBS경인TV[2]
개국 1997년 10월 11일
폐국 2004년 12월 31일
채널 구분 지상파 방송
운영 유형 민영방송
장르 종합편성채널
방송 분야 뉴스, 드라마, 예능, 교양, 스포츠
방송망 독립 민영방송국
채널
파일:iTV 로고.svg
파일:iTV iFM 로고.jpg
(R)
호출
부호
ATV HLDO-TV
DTV HLDO-DTV[DTV]
FM HLDO-FM[4]
채널번호 21 '''
인천
'''|4 '''
수원
'''[아날로그][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43a047,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케이블)]
주파수 90.7㎒ '''
수도권 서부
'''
방송
품질
화질 ----
----[DTV]
음향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43a047,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FM-FM 투 캐리어 스테레오)]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43a047,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돌비 디지털 스테레오)][DTV]
라디오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43a047,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FM-AM 파일럿 톤 스테레오)]
언어 한국어
가시청권역 인천광역시, 경기도[8]
당시
방송
책임자
편성 임강호 (편성제작국장)
광고 김인원 (경영부국장)
링크 공식 홈페이지 (웨이백머신)
본사 소재지

파일:iTV 로고.svg 경인방송
인천광역시 남구 학익동 587-31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43a047> 당시 대표자 이문양
법인형태 주식회사
업종명 방송사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기업규모 중견기업
소재지 인천광역시 남구 학익동
모기업 동양제철화학
}}}}}}}}} ||

1. 개요2. 역사3. 상징
3.1. 로고
4. 경영철학
4.1. 기업정신4.2. 연중캠페인
5. 프로그램
5.1. iTV (TV)5.2. iFM (라디오)
6. 마케팅
6.1. ID6.2. 로고송
7. 역대 임원 및 간부
7.1. 회장7.2. 사장
8. 직원
8.1. 보도국
8.1.1. 역대 보도수장
8.1.1.1. 보도국장
8.1.2. 기자
8.2. 아나운서8.3. 스포츠국
8.3.1. 캐스터8.3.2. 해설위원
8.3.2.1. 프로농구8.3.2.2. 프로야구8.3.2.3. 메이저리그8.3.2.4. 프로축구/해외축구
8.4. 전문MC8.5. 개그 탤런트

[clearfix]

1. 개요

우리함께 사는 세상, iTV 경인방송[9]
젊은방송, 푸른느낌~ iTV 경인방송~

iTV는 1997년 10월 11일부터 2004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경인방송에서 운영했던 수도권 지역[10]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TV채널로, 인천광역시와 경기 서남부 지역(부천시, 김포시, 광명시, 시흥시, 안산시, 안양시, 성남시, 수원시, 용인시, 화성시 등)과 서울 서남부 지역(강서구, 양천구, 구로구, 영등포구 등)을 송출구역으로 설정하였다. 본사는 인천광역시 남구 학익동에 있었다.

채널은 UHF 21번, 그리고 경기 남부 지역에서 VHF 4번을 사용했고, 호출부호는 HLDO-TV였다.

2.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iTV/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상징

3.1. 로고

파일:iTV 로고.svg 파일:iTV iFM 로고.jpg
iTV 로고 (1997년 10월 11일 ~ 2004년 12월 31일) iTV iFM 로고 (2003년 6월 30일 ~ 2004년 12월 31일)

4. 경영철학

4.1. 기업정신

1997
  • 방송지표
시청자와 함께하는 방송
정보사회를 주도하는 방송
언론 문화를 개척하는 방송
21세기를 선도하는 방송

1998
  • 방송지표
경제난 극복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앞장서는 방송
건국 50주년을 맞아 국가중흥에 기여하는 방송
지역민의 삶의 질 재고와 문화창달을 선도하는 방송
21세기 동북아시대의 미래를 준비하는 방송

1999~2000
  • 방송지표
국난 극복과 지식강국으로의 도약을 선도하는 방송
새로운 천년의 주역으로 21세기 동북아시대를 이끄는 방송
지역발전과 환경 살리기에 앞장서는 방송
시청자 주권의 완성과 통일 시대를 앞당기는 방송

2001~2002
  • 방송지표
꿈과 미래를 가꾸는 방송
시청자 주권을 존중하는 방송
환경 친화적인 방송
지역문화와 지역경제에 기여하는 방송
가족이 함께 보는 건전한 방송
건전하고 효율적인 생활문화를 선도하는 방송

2003~2004
  • 방송지표
시청자 주권을 존중하는 방송
지역문화와 경제에 기여하는 방송
창조적 지식사회에 기여하는 방송
소외된 이웃에 관심을 갖는 방송
시대의 변화를 함께 호흡하는 방송

4.2. 연중캠페인

연도 문구
1999년 신지식인이 세상을 바꾼다
2000년 제2의 건국 바른사람 밝은사회
2001년
2002년 희망 2002 사랑으로 하나되는 사회
2003~2004년 상식이 통하는 사회, 국민이 참여하는 방송

5. 프로그램

5.1. iTV (TV)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iTV/프로그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 iFM (라디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iTV iFM/프로그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마케팅

6.1. ID

ID 변천사
개국초기 ID[11] 1999년경 ID (로고송 동일)
2000년 ID #1[A] 2000년 ID #2[A] 2003년경 ID [14]

6.2. 로고송

기간 문구
1 1997.10.11 ~ 2000.3.19 우리 함께 사는 세상 iTV 인천방송
2 2000.3.20 ~ 2004.12.31 우리 함께 사는 세상 iTV 경인방송
젊은 방송 푸른 느낌 iTV 경인방송

7. 역대 임원 및 간부

7.1. 회장

  • 이수영 (1997~2001): 송암 이회림 동양화학공업 창업주의 아들로 당시 동양제철공업 회장을 겸직하고 있었다. 2017년 10월 작고.
  • 황규환 (2001~2002)
  • 박상은 (2002~2004): 인천시 부시장과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정치자금 수수 혐의로 의원직이 박탈됐다. 정작 iTV 회장으로 지낼 때는 방송을 자신의 정치적 이익 수단으로 사유화하려 한다는 논란에 휘말렸고[15] 결국 박상은의 비리 논란은 노사 분규로 이어졌으며, 2004년 2월에 스스로 물러났다. 사실상 iTV를 폐국으로 몰고간 결정적인 인물이라고 볼 수 있다.

7.2. 사장

  • 김옥조 (1997~1998)
  • 이주혁 (1998~2000)
  • 표완수[16] (2000)
  • 김주철 (2000~2004)
  • 이문양[17] (2004)
  • 박광순 사장대행 (2004~2005)

8. 직원

8.1. 보도국

  • 당시 뉴스멘트: iTV 뉴스 ○ ○ ○ 입니다

8.1.1. 역대 보도수장

8.1.1.1. 보도국장
  • 최정웅 (1997~1998)
  • 표완수[18] (1998~2000)
  • 김종욱[19] (2000~2003)
  • 안석복[20] (2003~2004)
  • 김재덕 (2004)

8.1.2. 기자[21]

  • 이남석 (前 iTV 홍보부장)
  • 이진환[22] (現 캐나다 테슬라 근무.)
  • 김민석[23] (초대 iTV 메인뉴스 앵커, 現 나노필리아 대표.)
  • 장우식[24] (現 인천테크노파크 콘텐츠지원센터 부장)
  • 송채수[25] (現 가천대학교 인권센터장)
  • 최준묵[26] (iTV 뉴스10 앵커, 現 건설부품기계연구원 책임연구원)
  • 김병길[27] (iTV 뉴스8 앵커[28] , 現 SBS Biz 기자)
  • 김학균[29] (전 OBS경인TV 대표이사 전무)
  • 배해수 (마지막 iTV 뉴스10 앵커, 現 OBS경인TV 기자)
  • 이윤택 (現 OBS경인TV 해설위원)
  • 김용주 (現 OBS경인TV 보도국장)
  • 김미애 (現 OBS경인TV 기자)
  • 김성수 (現 뉴스타파 기자)
  • 최형식[30] (現 효성그룹 상무)
  • 이정민[31](現 MBC 아나운서국 아나운서 1팀 소속 팀장급 아나운서)
  • 이훈기 (前 OBS경인TV 인천총국장[32], 現 더불어민주당 인천 남동구 을 국회의원 )
  • 노중일 (前 OBS경인TV 기자, 現 비상교육 Global Company 대표)
  • 강남구 (前 OBS경인TV 기자)
  • 송태희 (前 JTBC, 現 SBS BIZ 기자)

8.2. 아나운서

입사년도 남성 여성
<colbgcolor=#43a047> 1997년
[33]
임동석[34] 문영민[35]
이상우[36] 박근혜[37], 선우경[38], 이상희[39]
1998년 전용준[40] 조진영[41]
2000년 유형서[42]
2001년 이승준[43]
2002년
[44]
홍원기[45]
신완수[46]

8.3. 스포츠국

8.3.1. 캐스터

입사년도 명단
<colbgcolor=#43a047> 1997년 원창호[프리][KBL] · 한선교[49][프리][KBL]
1998년
[52]
정지원[53][MLB][KBL]
김재영[프리][KBO] · 정도영[프리][KBO] · 서기원[프리][K리그]
2000년 한명재[62][WWF][NBA]
2001년 김동연[65][WWE][NBA][KBL][KBO]
2002년 김준우[70][WWE][축][KBL][KBO]
2004년 박찬[프리][축]

8.3.2. 해설위원

8.3.2.1. 프로농구
8.3.2.2. 프로야구
8.3.2.3. 메이저리그
참고로 2000년에 이광환 전 감독도 객원 해설을 했었다.
8.3.2.4. 프로축구/해외축구

8.4. 전문MC

입사년도 명단
<colbgcolor=#43a047> 1999년 황순유 · 최은지 · 백선유
2002년 최유미 · 문용현 · 이후정 · 김정원 · 윤수정

8.5. 개그 탤런트

기수 입사연도 명단
<colbgcolor=#43a047> 1기 <colbgcolor=#43a047> 2001년 김봉진 · 유기정 · 추대엽 · 김인숙
2기 2002년 한지애 · 인용식 · 김응태 · 박종승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4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4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본 슬로건은 2004년 7월 4일까지 스크롤 자막에도 표기되었으며, 2004년 7월 5일부터 폐국직전까지는 "제작 iTV"로만 표기되었다.[2] JTBCTBC의 후신격으로 세워진 것과 달리 OBS와 iTV는 그런 관계는 아니고, iTV 폐국 후폭풍으로 인한 방통위의 후속조치를 통해 "경인지역 TV 방송국" 슬롯을 계승한 관계이다. 그래서 방송국의 모기업도 iTV 시절과 아예 다르다. 물론 iTV의 인력 일부는 후속으로 개국한 OBS의 개국멤버로 가기는 했으나 iTV 폐국 이후 시간이 꽤 지나 OBS가 출범한 터에 과거 iTV 인력들이 딱히 혜택을 본 것은 없었다. iTV 인력들 역시 폐국이후 공백기동안 다른 방송활동을 하면서 경력을 쌓아 OBS로 입사한 것이다. 김준우 아나운서만 해도 그 공백 기간 동안 Xports 채널의 캐스터로 활동을 지속하다 OBS에 들어왔다.[DTV] 준비했으나, TV방송 폐국 때문에 개국하지 못함.[4] 이후 이듬해 3월부터 방송 재개.[아날로그] 이상 아날로그 채널번호[DTV] [DTV] [8] 이상은 공식적으로 iTV에 가허가되었던 시청권역 기준으로 비공식적으로는 서울특별시 일부에서도 전파를 잡을 수 있었다. 한편 1998년 1월부터 2003년 1월 21일까지는 케이블TV SO 및 중계유선방송 (RO)를 통해 인천 경기지역 이외의 전국에서도 iTV를 시청할 수 있었으며, 한때 부산일보 등 지방 일간지에서도 TV편성표에 iTV 편성표를 실었던 적이 있었다. 이후 2004년 8월부터 스카이라이프 (당시 무궁화 3호)를 통해 전국 송출을 재개해 2004년 12월 31일까지 이어졌다.[9] 개국 당시에는 iTV 인천방송이었다.[10] 다른 지역은 케이블 TV를 통해서 시청할 수 있었다.[11] 이 로고송에 쓰였던 ID 영상이 심히 기괴하다. 특히 마지막에 눈이 순간적으로 툭 튀어나오는게 가장 괴이하다.[A] 위의 인천방송 시절 로고송을 경인방송만 바꿔 부른 버전이다.[A] [14] 마지막으로 썼던 로고송이다.[15] 파일:re_150320_1[1].jpg이 당시 메인 뉴스인 iTV 뉴스 10에서 기자들이 대놓고 박상은의 행각을 까발렸을 정도였다. 8.15 광복 이후 대한민국 언론사에서 자사 CEO의 비리를 기자들이 폭로한 사실상 유일한 사례다. 2024년까지도 이 보도를 능가하는 수준의 내부고발 폭로성 보도는 그 어떤 언론사에서도 없었다. 박정희 정권 당시 조갑제 기자가 박정희 정권을 비판한 기사(예: 포항 유전설 반박보도) 정도가 여기 비벼볼 만한 거리라도 되는 정도면 얼마나 큰 일인지 알 수 있다.[16] 퇴임 후 YTN 사장, 참언론(시사인 발간사) 사장,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사장 역임.[17] KBS 프로듀서로 활동하여 ㈜제일기획 매체국장 및 광고국장, ㈜예음기획 대표이사 사장, 한국광고업협회 이사 및 감사 등을 거쳐 본사 경영본부 광고부장을 역임하였으나, 재허가 추천 거부로 사임했다.[18] 前 경향신문 기자.[19] 前 KBS, SBS 기자.[20] 前 PSB 기자.[21] 보도국장은 상위자료에 있으므로 제외[22] KBS과학부 기상캐스터 출신.[23] PSB 출신.[24] TJB 출신.[25] 스포츠조선, 경향신문 출신.[26] 원주MBC 출신.[27] 충주MBC 출신.[28] 2004년 파업중 노조를 탈퇴해 뉴스10을 임시 진행했으나, 이마저도 TV방송 재허가 추천이 거부되며 하차했다.[29] 경기일보 출신.[30] NHK 서울지국, PSB 출신.[31] 부산MBC 아나운서에서 근무하다가 1991년 편성부국장을 끝으로 정년 퇴임한 아버지 이귀영씨가 그의 딸이며, 사회부 기자로 활동했다.[32] iTV 시절을 포함하여 노조위원장을 무려 6차례나 역임했다.[33] 윗줄은 1997년 4월 입사, 아랫줄은 1997년 9월 입사.[34]PSB 아나운서 출신, 2005년 프리랜서 선언과 함께 퇴사, 2008년 서울경제TV 앵커로 이직.[35] 1973년 출생으로 학창시절 여의도 초, 중, 여고와 연세대 생물학과(생명공학부)(1992학번)를 졸업했다. 폐국후 라디오로 넘어갔고 2006년 퇴사했다. 이후로는 방송계를 떠난것으로 보인다.[36]TJB 아나운서 출신, 2002년 퇴사 후 캐나다로 이민을 떠났다. 2012년 전 직장인 TJB 신사옥 이전 특집때 출연한 바로는 경기도 한 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친다고 소개했다.[37]KBS 기상 캐스터 출신, 2005년 라디오 방송이 재개됨에 따라서 DJ 겸 아나운서로 활동하다가 2014년 퇴사.[38] 태원 선우씨의 성씨를 가진 아나운서. 前 KBS부산 아나운서 출신, 2006년 퇴사.[39]KBS제주총국 소속이었던 호남제주권 공채 20기 아나운서 출신, 근무하다가, iTV 이직 후 폐국과 함께 2005년 프리랜서 활동을 위해 퇴사, 2007년 OBS 개국과 함께 아나운서로 이직.[40] 유명한 게임캐스터 그 전용준 맞다. 당시 스타1 인기에 힘입어 아나운서로는 최초로 게임캐스터로 활동했고, 2000년 퇴사와 동시에 온게임넷 캐스터로 이직.[41] itv의 마지막 여성 공채 아나운서이다. 2005년 프리랜서 활동을 위해 퇴사.[42] OBS 개국 후, 아나운서로 이직[43] 2002년 퇴사 후 매일경제TV로 아나운서로 이직.[44] 윗줄은 2002년 3월 입사. 아랫줄은 2002년 12월 입사.[45]GTB 강원민방 아나운서로 근무하다가 얼마안돼 이직하여 경력공채로 옮겨 입사했다, 2005년 퇴사 후 Xports 캐스터로 이직. OBS 개국 후, 아나운서로 이직. 변호사 출신 정치인 홍성우의 아들이며, 1973년 출생의 야구인으로 활동한 홍원기와 동명이인이다. 현재 OBS의 아나운서 팀장을 맡고 있다.[46] 동양방송 프로듀서 출신 신완수와 동명이인. iTV의 막내이자 사실상의 마지막 공채 아나운서. 그나마 근황이 검색되는 다른 아나운서들과 달리 근황 자체가 나오지 않는 것으로 보면 폐국 후 프리렌서 활동도 없이, 방송계 자체를 떠나 일반인으로 돌아갔거나 해외로 이민을 간 것으로 보인다. itv의 폐국이 2004년 12월임을 감안하면 수습기간 등을 감안했을 때 실질적으로 아나운서로서는 1년 조금 넘게 활동한 것이 된다. 거기에 2003년 후반기부터 노사갈등이 본격화되면서 하락세를 걷고 있었기에 이를 따지면 아나운서로서의 활동기간은 더 줄어든다. 첫 방송국 생활을 itv부터 시작한 것으로 보이며 이 때문에 경력을 살리기도 쉽지 않았을 것으로 추측된다. 실제 2005년경 itv 관련 촛불집회에 참여한 것을 마지막으로 이렇다할 공개행보가 보이지 않는다. @[프리] 프리랜서 캐스터.[KBL] 프로농구 담당.[49] KBS제주방송총국 아나운서를 거쳐 MBC 아나운서 출신이자 국회의원을 지냈던 그 한선교가 맞다. 자타가 공인하는 농구팬으로 인지도 높은 프리랜서 방송인이었음에도 1997년 프로농구 원년 장내아나운서를 자처했고, 1997년 개국한 인천방송에서 1997-98시즌 프로농구를 중계했다.[프리] [KBL] [52] 윗 줄은 신입사원. 아랫줄은 프리랜서 캐스터.[53] 2000년 스포츠국 기자로 전직, 2005년 퇴사 후, Xports 캐스터로 이적.[MLB] 메이저리그 담당.[KBL] [프리] [KBO] 프로야구 담당.[프리] [KBO] [프리] [K리그] 프로축구 담당.[62] 2001년 퇴사 후, MBC SPORTS 캐스터로 이적[WWF] 프로레슬링 담당.[NBA] NBA 담당.[65] 2005년 퇴사 후, 프리랜서 캐스터로 활약.[WWE] 프로레슬링 담당.[NBA] [KBL] [KBO] [70] 2005년 퇴사 후, Xports 캐스터로 이적. 2007년 OBS 개국 후, 아나운서로 이직.[WWE] [축] 유럽축구 담당.[KBL] [KBO] [프리] [축] [77]인성여자고등학교 감독이자 유영주 선수의 은사, 국민은행 여자농구단 기술고문직을 역임. 2001년 6월 5일에 췌장암으로 작고했다. 당시 스포츠뉴스인 스포츠 투나잇을 통해 부고 소식을 전했는데 리포트를 했던 기자는 고인과 함께 콤비를 이루었던 정지원이었다.[78] 이후 지역 여자농구팀 금호생명 팰컨스 감독으로 영전함.[79] 배명고 시절 늑막염으로 인하여 선수의 꿈을 접은 후, OB 베어스의 매니저로 근무했다. 1군 매니저로 시작해 운영차장, 홍보팀장, 스카우트팀장 등 OB 베어스 프런트 각 분야를 거친후. 1997년 OB에서 퇴사했다. 대한야구협회 홍보이사, KBO 상벌위원 등을 역임했으며, 2007년부터 2013년까지 OBS야구해설위원을 역임했다. Xports, IB SPORTS에서 황금사자기, 봉황대기 등 고교야구 대회 해설을 맡았다.[80] 고려대 경영학과(1982학번), 선린상고 시절 1981년 봉황대기 결승전에서 부상을 당한 다음날 입원한 병원 앞에는 그의 부상을 안타까워하여 악몽을 딛다. 94년 골든글러브 수상(외야수 부문) 前 우석대학교 체육과학대학 체육지도학과 교수, 메이저리그 중계권이 MBC TV에 넘어간 후 SBS TV로 이적했다. 2021년 현재 안양대학교 총장을 역임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