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fff> 구분 | 명칭 | |
프로 | 1군 | KBO 리그 | |
2군 | KBO 퓨처스리그 | ||
윈터 리그 | KBO 퓨처스 교육리그 | ||
국제 |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U-24 대표팀)|아시아 윈터 베이스볼 리그 (2군 대표팀) | ||
독립 | |||
실업 | 한국실업야구 | ||
아마추어 | KBO 챌린저스|KBSA 리그|권역별 지역 대회 | ||
여자 | 한국여자야구대회 (챔프리그 | 퓨처리그) | ||
학생 · 유소년 | 대학 | KUSF 대학야구 U-리그 및 왕중왕전|대학야구선수권|대통령기|전국체전 | |
고교 | 고교야구 주말리그 대통령배|봉황대기|청룡기|황금사자기| 신세계 이마트배|명문고 야구열전|전국체전 | ||
중학 | 전국소년체육대회|대통령기 중학야구대회|전국중학야구선수권대회| 백호기전국중학야구대회|U-15 전국유소년야구대회 | ||
초교 | 박찬호기 전국초등학교야구대회 외 3개 대회 | ||
리틀야구 주니어부|리틀야구 리틀부 | |||
<colbgcolor=#444444><colcolor=#ffffff> 폐지 | <colbgcolor=#444444><colcolor=#ffffff> 프로 윈터 | 낙동강 교육 리그 | |
독립 | KIBA 드림 리그 | ||
실업 | 전국종합야구선수권대회 | ||
대학 | 회장기 춘계리그|회장기 하계리그 | ||
고교 | 야구대제전|대붕기|무등기|화랑대기|미추홀기 | ||
국제 | 한일 슈퍼게임|아시아 시리즈|한일 클럽 챔피언십|한대 클럽 챔피언십 |
고교야구 토너먼트 대회 | |||
황금사자기 | 청룡기 | 대통령배 | 봉황대기 |
전국 명문고 야구열전 | 신세계 이마트배 | 전국체전 | |
{{{#!folding [ 폐지한 대회 ] |
<colbgcolor=#ffd700><colcolor=#373a3c>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 |
정식 명칭 | 黃金獅子旗 全國高校野球大會™ |
창설 | 1947년 |
주관 단체 | 동아일보, 스포츠동아,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
참가 자격 | 고교야구 주말리그 전반기 각 권역 1위. 서울A 2·4·6위, 서울B 3·5·7위, 서울C 2·4·6위, 서울·인천 3·5위, 경상A 2·4·6·8위, 경상B 2·4·6·8위, 경상 C 2·4·6·8위 경기A 2·4·6·8위, 경기B 3·5·7위, 경기C 3·5·7위, 경기·강원 3·5·7위, 충청 3·5위, 광주·전남 3·5위, 대전·전북 3·5·7위, 전년도 우승 팀 |
최근 우승 | 덕수고등학교 (2024) |
최다 우승 | 신일고등학교 (8회) |
최다 MVP | 박준태(광주일고), 양창섭(덕수고) |
웹사이트 | 홈페이지 |
[clearfix]
1. 개요
황금사자기 우승기 |
우승 트로피 |
1947년에 창설한 대한민국의 고교야구 대회. 현재 동아일보에서 주최하고 있다. 1년 먼저 시작된 청룡기 전국고교야구 선수권대회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고교야구대회이며 단일 언론사가 주최한 대회로는 황금사자기가 가장 오랜 역사를 갖고 있다.[1]
1990년대 후반까지는 그 해 성적이 우수한 팀을 매년 9월에 초청해서 여는[2] 지역별 최강전[3] 성격의 대회였고 2000년부터 대회 시점을 매년 5~6월로 옮겨 치렀다. 2008년부터는 대회 시점을 3월로 앞당겨 시즌 첫 대회로 열리게 됐고 봉황대기와 같이 전국 모든 고교야구 팀이 참가하는 대회로 변경되었었다.
2011년부터 청룡기, 대통령배, 봉황대기, 화랑대기, 대붕기, 무등기, 미추홀기와 더불어 고교야구 주말리그로 통합되면서 폐지될 예정이었으나 전반기 왕중왕전으로 변경되어 남게 되었으며 2015년 주말리그 일정이 축소되면서 유일한 왕중왕전이 되었다가 2016년 주말리그가 종전의 전후반기로 환원되면서 다시 전반기 왕중왕전이 되었다. 2011년부터 2013년까지는 주말리그의 취지에 맞춰 주말과 공휴일에만 경기를 치렀으나 일정이 과도하게 늘어나는 부작용이 발생하면서 다시 종전대로 돌아갔다.
72회째를 맞는 2018년 대회는 투구 수 제한 강화가 적용되는 첫 전국 대회로, 고교야구 문서의 혹사 문단에서 언급했듯이 선수 층이 두텁고 일정을 먼저 치러 휴식일이 넉넉한 팀이 유리하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아울러 자동 고의사구도 도입되었다.
2019년부터 출전 팀 결정 방식이 바뀌면서 왕중왕전의 이미지가 상대적으로 희석되었다. 2019년 대진표 및 결과
2021년부터 비디오 판독을 도입하였다. 다만, TV중계가 있는 8강전부터 시행된다.
2. 역사
자세한 내용은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역사 문서 참고하십시오.3. 역대 대회 결과
<rowcolor=#373a3c> 회수 | 연도 | 우승 | 스코어 | 준우승 | 최우수선수 |
1회 | 1947 | 부산 경남중 | 9-3 | 서울 경기중 | - |
2회 | 1948 | 부산 경남중 | 4-1 | 서울 경기중 | - |
3회 | 1949 | 부산 경남중 | 7-3 | 부산 동래중 | 어우홍(동래) |
4회 | 1950 | 6.25 전쟁으로 중단[4] | |||
5회 | 1951 | ||||
6회 | 1952 | ||||
7회 | 1953 | ||||
8회 | 1954 | 인천고 | 10-2 | 부산 경남고 | 정병섭(경남고) |
9회 | 1955 | 부산 경남고 | 3-2 | 인천고 | 김수갑(경남고) |
10회 | 1956 | 서울 운동장 확장 공사로 중단 | |||
11회 | 1957 | 인천 동산고 | 3-2 | 대구 경북고 | 김창영(경북고) |
12회 | 1958 | 서울 경기공고[5] | 5-0 | 부산 경남고 | 박노희(경기공고) |
13회 | 1959 | 서울 경동고 | 4-0 | 서울 경기공고 | 이재환(경동고) |
14회 | 1960 | 서울 경동고 | 3-2 | 부산상고 | 주성현(경동고) |
15회 | 1961 | 서울 성동고 | 2-0(12회) | 서울 중앙고 | 백수웅(성동고) |
16회 | 1962 | 서울 경기공고 | 2-1 | 서울 중앙고 | 김태영(경기공고) |
17회 | 1963 | 서울 선린상고 | 4-1 | 부산 경남고 | 박동수(선린상고) |
18회 | 1964 | 성남고 | 2-1 | 마산상고 | 김윤겸(성남고) |
19회 | 1965 | 서울 중앙고 | 7-0 | 부산고 | 이원국(중앙고) |
20회 | 1966 | 서울 선린상고 | 4-0 | 부산고 | 윤효상(선린상고) |
21회 | 1967 | 부산 경남고 | 3-2 | 대구 경북고 | 조홍기(경남고) |
22회 | 1968 | 대구 경북고 | 7-2 | 인천 동산고 | 임신근(경북고) |
23회 | 1969 | 서울 선린상고 | 12-5 | 대구 경북고 | 박준영(선린상고) |
24회 | 1970 | 서울 성남고 | 4-2 | 대구상고 | 노길상(성남고) |
25회 | 1971 | 대구 경북고 | 6-0 | 서울 중앙고 | 정현발(경북고) |
26회 | 1972 | 군산상고 | 5-4[6] | 부산고 | 양종수(군산상고) |
27회 | 1973 | 대구상고 | 4-3(10회) | 서울 배명고 | 김한근(대구상고) |
28회 | 1974 | 부산 경남고 | 3-1(10회) | 대구상고 | 차동열(경남고) |
29회 | 1975 | 부산상고 | 1-0 | 서울 중앙고 | 김영만(부산상고) |
30회 | 1976 | 서울 신일고 | 2-0 | 서울 선린상고 | 김남수(신일고) |
31회 | 1977 | 광주상고 | 3-2 | 인천고 | 박상진(광주상고) |
32회 | 1978 | 서울 신일고 | 6-0 | 서울고 | 김경표(신일고) |
33회 | 1979 | 대구 경북고 | 1-0 | 인천고 | 김성래(경북고) |
34회 | 1980 | 서울 선린상고 | 5-3 | 광주제일고 | 유지홍(선린상고) |
35회 | 1981 | 대구 경북고 | 6-0 | 광주 진흥고 | 홍순호(경북고) |
36회 | 1982 | 청주 세광고 | 4-3 | 부산 경남고 | 박희종(세광고) |
37회 | 1983 | 광주제일고 | 3-2 | 대구고 | 박준태(광주제일고) |
38회 | 1984 | 광주제일고 | 4-0 | 부산 경남고 | 박준태(광주제일고) |
39회 | 1985 | 전주고 | 9-2 | 광주 진흥고 | 임기정(전주고) |
40회 | 1986 | 군산상고 | 2-1 | 광주 진흥고 | 권순구(군산상고) |
41회 | 1987 | 서울 신일고 | 4-3(10회) | 부산 경남고 | 권오성(신일고) |
42회 | 1988 | 인천 동산고 | 6-0 | 수원 유신고 | 박기복(동산고) |
43회 | 1989 | 인천고 | 4-2 | 서울 선린상고 | 박종일(인천고) |
44회 | 1990 | 서울 충암고 | 13-0 | 서울 배재고 | 심재학(충암고) |
45회 | 1991 | 서울 신일고 | 14-2 | 광주제일고 | 설종진(신일고) |
46회 | 1992 | 서울 배명고 | 2-0 | 부산고 | 이경필(배명고) |
47회 | 1993 | 서울 신일고 | 7-2 | 서울 덕수상고 | 조현(신일고) |
48회 | 1994 | 서울 덕수상고 | 7-1 | 부산 경남고 | 한규식(덕수상고) |
49회 | 1995 | 서울 덕수상고 | 3-1 | 마산고 | 김민기(덕수상고) |
50회 | 1996 | 서울 신일고 | 6-2 | 서울 덕수상고 | 안치용(신일고) |
51회 | 1997 | 서울 신일고 | 8-7 | 광주제일고 | 김광삼(신일고) |
52회 | 1998 | 대구상고 | 13-0 | 순천 효천고 | 권도영(대구상고) |
53회 | 1999 | 군산상고 | 11-3 | 부산상고 | 한동희(군산상고) |
54회 | 2000 | 서울 경기고 | 10-7 | 서울 신일고 | 이동현(경기고)[7] |
55회 | 2001 | 서울 휘문고 | 6-4 | 인천 동산고 | 지석훈(휘문고)[8] |
56회 | 2002 | 천안 북일고 | 12-3 | 인천 동산고 | 남상준(북일고)[9] |
57회 | 2003 | 서울 신일고 | 9-5 | 천안 북일고 | 최진택(신일고)[10] |
58회[11] | 2004 | 서울 덕수정보고 | 7-0 | 성남 야탑고 | 김문호(덕수정보고) |
59회[12] | 2005 | 광주제일고 | 10-0 | 성남서고 | 나승현(광주제일고) |
60회[13] | 2006 | 서울 장충고 | 2-1 | 수원 유신고 | 전진호(장충고) |
61회[14] | 2007 | 서울 장충고 | 3-0 | 천안 북일고 | 최원제(장충고) |
62회[15] | 2008 | 광주제일고 | 3-0 | 서울 덕수고 | 정성철(광주제일고) |
63회[16] | 2009 | 서울 충암고 | 3-0 | 천안 북일고 | 문성현(충암고) |
64회[17] | 2010 | 광주제일고 | 1-0 | 서울 장충고 | 유창식(광주제일고) |
고교야구 주말리그 전반기 왕중왕전 | |||||
65회[18] | 2011 | 서울 충암고 | 6-1 | 광주제일고 | 변진수(충암고) |
66회[19] | 2012 | 천안 북일고 | 4-2 | 서울 장충고 | 윤형배(북일고) |
67회 | 2013 | 서울 덕수고 | 4-1 | 마산고 | 한주성(덕수고) |
68회[20] | 2014 | 서울고 | 11-3 | 마산 용마고 | 남경호(서울고) |
69회 | 2015 | 서울 선린인터넷고 | 7-2 | 대구 상원고 | 김대현(선린인고) |
70회 | 2016 | 서울 덕수고 | 4-2 | 마산 용마고 | 양창섭(덕수고) |
71회 | 2017 | 서울 덕수고 | 7-3 | 마산 용마고 | 양창섭(덕수고)[21] |
72회 | 2018 | 광주제일고 | 10-2 | 대구고 | 조준혁(광주제일고) |
73회 | 2019 | 수원 유신고 | 10-4 | 마산 용마고 | 소형준(유신고) |
74회 | 2020 | 김해고 | 4-3 | 강릉고 | 김준수(김해고) |
75회 | 2021 | 강릉고 | 13-4 | 대구고 | 최지민(강릉고) |
76회 | 2022 | 부산 경남고 | 7-2 | 평택 청담고 | 나윤호(경남고) |
77회 | 2023 | 부산고 | 12-3 | 서울 선린인터넷고 | 안지원(부산고)[22] |
78회 | 2024 | 서울 덕수고 | 4-0 | 대구 상원고 | 박준순(덕수고)[23] |
4. 학교별 우승 횟수
신일고등학교가 이 대회에 유독 강하다. 마산용마고등학교는 2010년대에 들어 결승전에 자주 진출했음에도 매번 우승 문턱에서 넘어졌다. 부산고등학교는 준우승만 4번 기록하다가 2023년에 드디어 우승을 맛보았다.<rowcolor=#373a3c> 학교 | 횟수 | 연도 |
서울 신일고등학교 | 8회 | '76, '78, '87, '91, '93, '96~'97, '03 |
부산 경남고등학교 | 7회 | '47~'49, '55, '67, '74, '22 |
서울 덕수고등학교 | 7회 | '94~'95, '04, '13, '16~'17, '24 |
광주제일고등학교 | 6회 | '83~'84, '05, '08, '10, '18 |
서울 선린인터넷고등학교 | 5회 | '63, '66, '69, '80, '15 |
대구 경북고등학교 | 4회 | '68, '71, '79, '81 |
군산상업고등학교 | 3회 | '72, '86, '99 |
서울 충암고등학교 | 3회 | '90, '09, '11 |
서울 경동고등학교 | 2회 | '59~'60 |
서울 경기공업고등학교[24] | 2회 | '58, '62 |
서울 성남고등학교 | 2회 | '64, '70 |
인천 동산고등학교 | 2회 | '57, '88 |
인천고등학교 | 2회 | '54, '89 |
대구 상원고등학교 | 2회 | '73, '98 |
서울 장충고등학교 | 2회 | '06~'07 |
천안 북일고등학교 | 2회 | '02, '12 |
서울 성동고등학교 | 1회 | '61 |
서울 중앙고등학교 | 1회 | '65 |
부산 개성고등학교 | 1회 | '75 |
광주 동성고등학교 | 1회 | '77 |
청주 세광고등학교 | 1회 | '82 |
전주고등학교 | 1회 | '85 |
서울 배명고등학교 | 1회 | '92 |
서울 경기고등학교 | 1회 | '00 |
서울 휘문고등학교 | 1회 | '01 |
서울고등학교 | 1회 | '14 |
수원 유신고등학교 | 1회 | '19 |
김해고등학교 | 1회 | '20 |
강릉고등학교 | 1회 | '21 |
부산고등학교 | 1회 | '23 |
5. 70주년 기념 올스타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70주년 기념 OB All-Star in 2016. 동아일보 | ||||
OF 상원고 | OF 상원고 | OF 광주일고 | ||
SS 경북고 | 2B 경북고 | |||
3B 배명고 | RHP 경북고 LHP 세광고 | 1B 선린상고 | ||
C 경동고 |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70주년 기념 현역 All-Star in 2016 동아일보 | ||||
OF / 휘문고 | OF / 덕수고 | OF / 부산고 | ||
SS / 휘문고 | 2B / 북일고 | |||
3B / 유신고 | RHP / 야탑고 LHP / 안산공고 | 1B / 선린상고 | ||
C / 성남고 |
2016년 주최측인 동아일보가 70주년을 기념해 OB 올스타와 현역 올스타를 뽑았다. 온라인 팬투표를 진행했으며 팬투표 70%, 전문가 30%의 비율로 반영해 선정했다고 밝혔다.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 |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역대 우승 고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순서 | 우승 구단 | 우승 연도 | 우승 횟수 | |
1 | <colbgcolor=#eeeeef,#191919> | <colbgcolor=#ffd700,#000> 경남고등학교 | 1947년, 1948년, 1949년, 1955년 1967년, 1974년, 2022년 | ★★★★★★★ 7회 | |
2 | 인천고등학교 | 1954년, 1989년 | ★★ 2회 | ||
3 | 동산고등학교 | 1957년, 1988년 | ★★ 2회 | ||
4 | - | 경기공업고등학교[*] | 1958년, 1962년 | ★★ 2회 | |
5 | 경동고등학교 | 1959년, 1960년 | ★★ 2회 | ||
6 | 성동고등학교(해단) | 1961년 | ★ 1회 | ||
7 | 선린인터넷고등학교 | 1963년, 1966년, 1969년 1980년, 2015년 | ★★★★★ 5회 | ||
8 | 성남고등학교 | 1964년, 1970년 | ★★ 2회 | ||
9 | 중앙고등학교 | 1965년 | ★ 1회 | ||
10 | 경북고등학교 | 1968년, 1971년, 1979년, 1981년 | ★★★★ 4회 | ||
11 | 군산상일고등학교 | 1972년, 1986년, 1999년 | ★★★ 3회 | ||
12 | 대구상원고등학교 | 1973년, 1998년 | ★★ 2회 | ||
13 | 개성고등학교 | 1975년 | ★ 1회 | ||
14 | 신일고등학교 | 1976년, 1978년, 1987년, 1991년 1993년, 1996년, 1997년, 2003년 | ★★★★★★★★ 8회 | ||
15 | 광주동성고등학교 | 1977년 | ★ 1회 | ||
16 | 세광고등학교 | 1982년 | ★ 1회 | ||
17 | 광주제일고등학교 | 1983년, 1984년, 2005년 2008년, 2010년, 2018년 | ★★★★★★ 6회 | ||
18 | 전주고등학교 | 1985년 | ★ 1회 | ||
19 | 충암고등학교 | 1990년, 2009년, 2011년 | ★★★ 3회 | ||
20 | 배명고등학교 | 1992년 | ★ 1회 | ||
21 | 덕수고등학교 | 1994년, 1995년, 2004년 2013년, 2016년, 2017년 | ★★★★★★ 6회 | ||
22 | 경기고등학교 | 2000년 | ★ 1회 | ||
23 | 휘문고등학교 | 2001년 | ★ 1회 | ||
24 | 북일고등학교 | 2002년, 2012년 | ★★ 2회 | ||
25 | 장충고등학교 | 2006년, 2007년 | ★★ 2회 | ||
26 | 서울고등학교 | 2014년 | ★ 1회 | ||
27 | 유신고등학교 | 2019년 | ★ 1회 | ||
28 | 김해고등학교 | 2020년 | ★ 1회 | ||
29 | 강릉고등학교 | 2021년 | ★ 1회 | ||
30 | 부산고등학교 | 2023년 | ★ 1회 |
}}}}}}}}}}}} ||
[1] 황금사자기는 동아일보가 1회 때부터 줄곧 주최했지만 청룡기는 원래부터 조선일보 주최 대회가 아니었다. 1회부터 5회 대회까지는 자유신문사에서 주최했으나 6.25 전쟁을 거쳐 조선일보가 이 대회를 인수했고 현재까지 대회를 운영하고 있다.[2] 이 당시 서울 개최 메이저 대회를 보면 대통령배가 3~4월, 청룡기가 5~6월, 봉황대기가 8월에 열렸기 때문에 시즌을 정리하는 왕중왕전의 성격이 강했다.[3] 위에 나온 우승기가 그 증거. 이 당시 황금사자기의 정식 명칭은 황금사자기쟁탈 전국 지구별 초청 고교야구 쟁패전이었다.[4] 이후에는 학제 체계의 변경 등으로 참가대상 학교들이 고등학교로 바뀐다.[5] 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6] 군산상고에게 '역전의 명수'라는 별칭을 안겨준 고교야구 역사상 레전드급 결승전이 나온 대회다. 1회말 군산상고가 1점을 선취했지만 3회초 부산고가 동점을 만들었고 8회초에서 3점을 더 뽑아 9회까지 부산고가 4-1로 앞서고 있었다. 그러나 9회말 기적적인 연속 적시타가 연달아 터졌고 결국 김준환의 끝내기 안타로 5-4로 뒤집기 승리를 거뒀다. 이때 김준환과 더불어 같은 팀에서 활약한 유명 선수로는 김봉연, 김일권이 있다. 김봉연은 나이로 김준환보다 많지만 어린 시절 몸이 아파서 학교를 늦게 들어가는 바람에 김준환과 동기가 됐다.[7] 경기고는 이 해 개교 100주년을 맞아 우승에 목말라하고 있었으며, 대통령배에서는 추신수-김백만-정근우가 버틴 부산고에 패퇴하였으나, 황금사자기에서 감격의 첫 우승을 차지한다. 참고로, 고교야구대회 중 가장 늦게 열리던(9월)대회가 이 해부터 6월에 열렸다.[8] 휘문고의 에이스는 성질 우규민, 동산고의 에이스는 풍류 송은범이다.이 둘은 1학년때부터 주축 투수로 활약 하였다.[9] 천안북일고는 황금사자기 우승을 시작으로 부산 화랑대기,봉황대기,전국체전을 제패하며 4관왕에 등극한다.[10] 당시 신일고에는 나지완, 임훈 등이 있었다.[11] 야탑고의 투수는 윤석민이었다.[12] 광주일고의 유격수는 김성현(SK), 넥센의 강정호는 포수!!로 활약하였다. 때에 따라 투수로 투입되기도 하였다.[13] 9회말 1-1 상황에서 김원태의 끝내기 안타로 우승한다.[14] 동대문야구장에서 열린 마지막 황금사자기 대회다.[15] 이 해부터 목동야구장에서 개최된다.[16] 이 해 야탑고-충훈고 경기 후, 참가 선수들 간 폭행사고가 발생했다. 배민관 항목 참고.[17] 결승전을 잠실야구장에서 개최하였다.[18] 결승전을 잠실야구장에서 개최하였다. 주말리그가 열리는 매주 토/일요일마다 충암고는 변진수가 완투하며, 혹사 논란을 일으킨다.[19] 66회와 67회 대회는 마산야구장에서 개최되었다.[20] 결승전을 잠실 야구장에서 개최하였다. 도무지 우승운이 없었던 서울고는 이 해에 시즌 2관왕을 차지했다.[21] 5경기 등판하여 5승 달성[22] 1학년임에도 불구하고 최우수선수상, 타격상(타율 .556), 최다안타상(18타수 10안타), 최다타점상(9타점) 등 4관왕을 휩쓸었다.[23] 타격상 포함. 신세계 이마트배에 이어 두 대회 연속 MVP.[24] 현 서울과학기술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