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활약상에 대한 내용은 최지민/선수 경력/2024년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ea0029> | KIA 타이거즈 2025 시즌 투수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0 곽도규 · 4 유지성 · 10 유승철 · 13 윤영철 17 임기영 · 19 윤중현 · 20 이준영 · 21 김사윤 24 김승현 · 28 김민재 · 31 박준표 · 32 김현수 33 이형범 · 36 강이준 · 39 최지민 · 40 네일 41 황동하 · 43 김건국 · 45 김민주 · 46 장민기 48 이의리 · 51 전상현 · 53 김기훈 · 54 양현종 60 김도현 · 62 정해영 · 63 이송찬 · 65 장재혁 67 조대현 · 69 김대유 · 03 박건우 · 014 이승재 015 이도현 · 021 홍원빈 · 022 오규석 · 033 김태윤 034 강동훈 · 035 최지웅 · 039 성영탁 · # 조상우 # 김태형 · # 이호민 · # 양수호 · # 김정엽 # 최건희 · # 나연우 · # 임다온 · # 이성원 # 올러 | ||
프런트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군 입대 선수 | 등록 선수 | 육성선수 | |||
타 KBO 리그 구단 명단 보기 |
최지민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최지민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 ||||||||||||||||||||
2024 |
KBO 리그 올스타[1] | |
2023 | 2024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야구 종목 금메달 |
2022 |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준우승 |
2023 |
2021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MVP |
KIA 타이거즈 등번호 39번 | ||||
하준영 (2018~2021) | → | <colcolor=#ffffff> 최지민 (2022~) | → | 현역 |
질롱 코리아 등번호 39번 | ||||
장진용 (2018-19) | → | 최지민 (2022-23) | → | 팀 해체 |
A대표팀 참가 경력 | |||||||||||||||||||||||||||||||||||||||||||||||||||||||||||||||||||||||
|
<colbgcolor=#ea0029><colcolor=#ffffff> KIA 타이거즈 No.39 | |||
최지민 崔智旻 | Choi Ji-min | |||
출생 | 2003년 9월 10일 ([age(2003-09-10)]세) | ||
강원도 강릉시 (現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학력 | 강릉율곡초(강릉리틀) - 경포중 - 강릉고 | ||
신체 | 185cm, 100kg | ||
포지션 | 중간 계투[2] | ||
투타 | 좌투좌타 | ||
프로 입단 | 2022년 2차 1라운드 (전체 5번, KIA) | ||
소속팀 | KIA 타이거즈 (2022~) 질롱 코리아 (2022/23) | ||
병역 | 예술체육요원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야구 부문) | ||
연봉 | 2024년 / 1억 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91919;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fff" | ||
등장곡 | Nicky Youre, dazy - 〈Sunroof〉 | ||
정보 더 보기{{{#!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ea0029><colcolor=#ffffff> 가족 | <colcolor=#373a3c,#dddddd>부모님, 형 | |
MBTI | ISFJ[3] | ||
소속사 | 리코스포츠에이전시[4] |
| |
[clearfix]
1. 개요
KIA 타이거즈 소속 좌완 투수.2. 선수 경력
최지민의 선수 경력 | ||
통합 선수 경력: 최지민/선수 경력 |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3년 AG | 2023년 APBC | 2024년 프리미어 12 |
아마추어 시절 |
3. 플레이 스타일
선수 생활 처음으로 150km/h을 던지는 모습 (2023.04.29.)[5] |
평균 140km/h 중반, 최고 152km/h[6]의 강력한 패스트볼이 주무기인 좌완 강속구 투수이다.
왼팔을 바깥쪽으로 크게 빼서 던져 좌타자가 보면 공이 뒤에서 날아오는 듯한 느낌을 선사하는 투구폼은 브룩스 레일리를 떠올리게 한다는 평이 많다. 다리를 올리는 동작이 강릉고 1년 선배 김진욱과 상당히 유사하지만, 김진욱은 팔각도가 완전히 오버핸드인 반면 최지민은 쓰리쿼터 유형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중계화면상으로 뒤에서 보이는 투구폼은 기쿠치 유세이의 모습과 상당히 유사하다.
아마추어 시절부터 제구력으로 인정받은 투수답게, 강점인 제구력은 프로에서도 준수한 수준이라 평가받는다. 2년 차 시즌에 구속이 놀라울 정도로 상승해서 화제가 됐는데, 이것이 화제가 된 이유는 원래부터 괜찮았던 제구력을 그대로 유지한 채로 구속이 상승했기 때문이다.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일이다. 만약 구속이 오른 대신 제구력이 떨어졌다면 절대로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을 것이다.[7] 좋은 제구력 외에 훌륭한 커맨드와 경기 운영 능력 면에서도 고평가를 받는다.
고등학교 시절에는 그렇게 구속이 높지 않았다. 구속은 주로 130km/h 중후반, 최고 143km/h에 그쳐 구위나 구속은 아쉽다는 평이 많았다. 그러나 KIA 타이거즈 스카우트들은 2021년 초 당한 부상 탓에 제 구속이 나오지 않았을 뿐 구위나 구속 상승의 여지가 충분하다고 했다.[8] 그리고 아마야구를 전문으로 취재하는 모 유튜버는 "최지민이 구위가 좋아 존 안으로 공을 적극적으로 밀어 넣기에 볼넷이 적은 것이다" 라고 평하며 최지민을 파워피처로 평했다.[9]
리그 개막 이후로는 좋은 제구와 함께 멀티 이닝까지 몇 번 소화하였다. 2022 시즌에는 최고 146km/h를 찍었고, 2022 시즌 후 질롱 코리아에 합류하여 148km/h까지 구속을 끌어올렸고, 140km/h대 중후반대의 공을 꾸준히 던지는 모습을 보여주며 성공적인 구속 상승을 일구어냈다. 그리고 2023 시즌 4월 29일 LG 트윈스와의 경기에서 기어이 150km/h를 기록했다.
변화구로는 체인지업, 슬라이더를 구사하는데 포심과 함께 변화구의 구속도 올라서 최고 140km/h 정도까지 나온다. 이후에도 최고 150km/h의 직구로 좋은 구위로 타자들을 압도하고 있다.
다만 신인급 선수여서 그런지 위기 상황에 등판할 경우 성적은 그리 좋지 못하며 특히 만루 상황일 시 10타수 5안타로 매우 좋지 않다. 본인이 혼자서 1이닝을 책임져야 하는 상황에서는 준수한 경기력을 선보이지만 다른 투수들의 승계주자를 지워내야 하는 상황에서는 본인의 기량을 완전히 펼치지 못한다. 멘탈 문제인지 확실히 밝혀진 바는 없으나, 소방수 역할을 맡기기에는 아직 이르다는 것이 중론이다.[10]
저점이 떴을 때에는[11] 제구력이 떨어지는 데다 가끔 폭투성 공이 많이 빠진다. 물론 젊은 투수이니 경험이 쌓이면 개선이 가능한 부분이다.
2024년 들어서는 제구력과 멘탈 문제가 예년보다 눈에 띄게 심해졌다. 스스로 이를 의식해서인지는 몰라도, 주자가 나가면 견제에 지나칠 만큼 신경을 쓰는 편이다. 그렇지만 견제로 주자를 잡은 적이 없기도 하거니와, 오히려 주자를 신경쓰다 제구가 더 나빠지며 볼넷을 내주고 실점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4. 연도별 성적
최지민의 역대 KBO 기록 | ||||||||||||||||
<rowcolor=#ffffff>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WHIP | ERA- | sWAR |
2022 | KIA | 6 | 0 | 0 | 0 | 0 | 6 | 13.50 | 12 | 1 | 5 | 1 | 7 | 2.83 | 335.29 | -0.28 |
2023 | 58 | 6 | 3 | 3 | 12 | 59⅓ | 2.12 | 45 | 4 | 26 | 4 | 44 | 1.20 | 52.55 | 0.91 | |
2024 | 56 | 3 | 3 | 3 | 12 | 46 | 5.09 | 44 | 2 | 40 | 4 | 37 | 1.83 | 103.17 | 0.41 | |
KBO 통산 (3시즌) | 120 | 9 | 6 | 6 | 24 | 111⅓ | 3.96 | 101 | 7 | 71 | 9 | 88 | 1.54 | 88.70 | 1.04 |
5. 여담
베이스볼코리아 인터뷰 |
- 삼성 라이온즈의 1차 지명 후보 중 하나였다. 그러나 투수 뎁스는 준수한 반면 센터 내야 뎁스가 약한 삼성 사정상 1차 지명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 수도권 출신이 주축을 이루고 있는 강릉고에서 몇 안 되는 지역 출신 선수였다.
- 야구 기량면에서는 조언할 게 없으나 다소 주눅들어 보이는 표정을 고칠 것을 주문받았다. 내성적이고 정적인 성격이며 예민하다고 한다.
- 강릉고 1년 선배였던 김진욱과 매우 친하다. 질롱에서 룸메이트였고 최지민이 인터뷰로 김진욱과 같이 아시안 게임 가자고 직접 말했다.
- SSG 랜더스 내야수 전의산과 외모가 매우 닮았다. 최지민이 얼굴이 조금 더 슬림한 정도.
- 가수 서인국을 닮았다.
- 2024 신인 드래프트에서 조대현이 1라운드에 지명 받으면서 강릉고 2년 후배를 KIA에서 재회한다. 다만 조대현이 2학년 전학이라 서로 볼 기회는 많지 않았다.
- 극도로 낯을 가리는 성격인지 친분이 없는 사람들 사이에 있게 되면 안절부절하다가 구석에 숨어버린다. 다만 친한 사람이 한 명이라도 있으면 입이 풀리며 가끔은 디스를 한다던가 억울한 루머를 해명하기 위해 속사포 랩을 쏟아내기도 한다.[14]
- 포켓몬스터의 잠만보를 닮았다. 별명도 짐만보.
- 2024 시즌 스프링캠프 당시 인터뷰에서 마무리보단 선발 보직을 희망하고 있으며[15] 향후에 기회가 있으면 선발로도 한번 뛰어보고 싶다고 한다. 다만 현재는 중간 계투 보직에서 잘하는 것을 우선 순위로 두고 있다.
- 인터뷰에 따르면 반민초파라고 한다.
- 동생이 없는데도 의외로 아기 안는 폼이 꽤나 그럴 듯하다. 같은 KIA 선배 박찬호가 딸 새얀이를 데리고 왔을 때 박찬호가 유니폼을 갈아입는 사이 새얀이가 울기 시작하자 처음에는 김도영이 안고 달랬으나 엉성한 폼이었다. 보다 못한 최지민이 안고 달랬는데 매우 능숙한 모습을 보였다. 기본적으로 아기들을 좋아한다고 한다.
6. 관련 문서
[1] 베스트 12 1회.[2] 좌완 셋업맨으로 등판하고 있으며, 마무리 투수 정해영이 등판하지 못할 경우 마무리 투수로도 등판한다.[3] 더그아웃 매거진에서 밝히기론 최근 검사에서 ISTJ가 나왔으나 본인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4] 에이전시 & 선수 매니지먼트.[5] 사진의 오지환과의 승부 결과는 밀어내기 볼넷이었으나 본인 주자는 아니었고 이날 2이닝 2K 무실점으로 데뷔 첫 홀드를 가져갔다.[6] 시속 151.6km/h. 2023년 9월 22일 KT 상대로 기록.[7] 김범수가 딱 이러한 예시. 이쪽도 고교 시절 좋은 제구력에 비해 느린 구속이 약점으로 지적되었으나 프로에서는 구속이 폭발적으로 올라 리그에서 가장 빠른 패스트볼을 던지는 좌완 파이어볼러가 된 대신 고교 시절의 정교한 제구력을 완전히 상실했다.[8] 실제로 단 1년여만에 구속이 10km 이상 증가하며 스카우트진의 안목을 입증하였다.[9] 이는 배리 본즈가 제구와 경기운영의 마술사로 알려진 그렉 매덕스에 대해 "노 볼 투 스트라이크 카운트에서 스트라이크를 잡으려고 들어오는데 그가 파워 피처가 아니면 누가 파워 피처인가"라고 말한 것과 일맥상통한다.[10] 실제로 정해영이 밸런스 이슈로 한달간 이탈했을 때도 언론이나 팬들 사이에서 최지민을 다음 마무리로 꼽은 적이 많으나 김종국 감독은 이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보이기도 했다. 다만 마무리 경험이 있는 전상현이나 장현식의 경기력이 당시에는 그리 좋지 못했던 터라 일단은 최지민을 우선 대체 마무리로 올렸으나 좋았던 경기력이 사라져버리며 일주일만에 마무리 보직을 반납했다. 마무리 보직이 단순히 구속과 구위만 좋아서는 소화하지 못한다는 것을 매우 잘 보여준 케이스. 참고로 이후 전상현-장현식 더블스토퍼까지 시도했다가 이 방법마저 신통치 않자 결국 정해영을 계획보다 일찍 마무리로 복귀시켰다. 현재 최지민이 선발 보직을 희망하고 있기도 하고 정해영이 마무리로 있을 때 KIA 불펜진이 가장 잘 돌아가고 있기 때문에 정해영이 장기간 이탈하지 않는 이상은 최지민이 마무리로 갈 일은 없어보인다.[11] 주로 연투로 인해 체력이 한계에 다다랐을 때나 상술했듯 이전 투수들이 승계주자를 남겨 놓고 내려간 상황 등. 전자의 경우에는 구속까지 덩달아 하락하고, 후자의 경우에는 구속은 평소만큼 찍히지만 존에서 빠진 공이 연달아 나온다.[12] 안타깝게도 엄지민은 프로 지명을 받지 못했고 연세대로 진학했다.[13] 외모도 닮은 탓에 듬직밈이 김유신에서 최지민으로 바뀌었다. 하지만 김유신과 다르게 최지민은 구속이 오르면서 둘이 다른 유형의 투수가 되었다.[14] 한때 누나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차이라며 신인 신고식 당시 김도영과 최지민의 헤어 스타일링을 비교한 사진들이 SNS에 돌아다닌 적이 있는데 그건 누나 형 차이가 아니라 머리 스타일링 차이다, 난 머리를 밀었는데 그걸로 어떻게 스타일링을 하냐 라며 분노한 적이 있다.[15] 임시 마무리로 세이브를 몇 차례 올린 적은 있으나 마무리 특유의 압박감 때문인지 중간 계투로 뛸 때보다 성적이 나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