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4 16:20:07

김석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김석환(동명이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김석환(동명이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김석환(동명이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동명이인: }}}[[김석환(동명이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김석환(동명이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김석환(동명이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ea0029>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KIA 타이거즈
2025 시즌 외야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군
'''15 박정우 · 16 최원준 · 25 이우성 · 34 최형우
36 박재현 · 47 나성범 [[주장|
C
]]'''
2군
8 이창진 · 27 김호령 · 35 김석환 · 57 고종욱
04 김민수 · 08 예진원 · 09 이영재 · 016 정해원
· 036 박헌
최종 편집: 2025년 3월 21일
프런트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등록 선수육성선수
타 KBO 리그 구단 명단 보기 }}}}}}}}}
KIA 타이거즈 등번호 35번
한승혁
(2021.8.11.~2021)
김석환
(2022~)
현역
<nopad>파일:김석환 2025 정면 프로필.png
<colbgcolor=#ea0029><colcolor=#fff> KIA 타이거즈 No.35
김석환
金夕煥 | Kim Seok-hwan
출생 1999년 2월 28일 ([age(1999-02-28)]세)
광주광역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광주서석초 - 광주동성중 - 광주동성고
신체 187cm[1] , 97kg
포지션 좌익수, 우익수, 1루수
투타 좌투좌타
프로 입단 2017년 2차 3라운드 (전체 24번, KIA)
소속팀 KIA 타이거즈 (2017~)
질롱 코리아 (2022/23)
병역 대한민국 육군 제6군단 병장 만기전역
(2019년 10월 29일 ~ 2021년 5월 15일)
연봉 2025년 / 4,000만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등장곡 박재범 - 〈All I Wanna Do〉 (Feat. Hoody, Loco)
응원가 구단 자작곡#[2][3]
정보 더 보기{{{#!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a0029><colcolor=#fff> 가족 <colcolor=#373a3c,#ddd>아내 노혜진(2024년 12월 8일 결혼)[4]
MBTI ENTJ | ESTP[5]
소속사 스포네이션
}}}}}}}}} ||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여담5. 관련 문서6. 둘러보기

1. 개요

KIA 타이거즈 소속 좌투좌타 외야수이자 1루수.

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김석환/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17년 2018년 2019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아마추어 시절

3. 플레이 스타일

파일:깊숙한 홈런.gif

KIA의 야수 유망주들 중에서 가장 좋은 하드웨어를 지니고 있다. 컨택 능력이 조금 떨어지지만 본인만의 타격 존이 있어서 그 곳에 들어오는 공은 놓치지 않고 매서운 타구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거포 유망주이다. 비슷한 유형의 완성형은 나성범으로 삼진이 많지만 일단 맞추면 좋은 타구질을 만들어내는 선수이다. 선구안은 데뷔 초반에는 좋지 않았지만 2021년부터는 굉장히 많이 개선된 모습을 보였다.

발은 빠르지 않지만 그 대신 적극적인 주루 플레이를 하는 편이다.

현재 비슷한 유형으로 또 다른 거포 유망주 오선우가 있지만 오선우보다 나이도 어리고 선구안, 컨택능력 등은 김석환이 더 낫다. 다만 아직 타격폼을 정립하는 과정인지라 한 번 잘 쳐도 그 흐름이 오래가지 못한다는 아쉬운 면이 있다. 게다가 좌타자임에도 불구하고 경험 부족 탓인지 사이드암, 언더핸드 유형에게 약한 모습을 보이는 것 또한 보완해야 할 점.

4. 여담

  • 17세 11개월 3일의 나이로 입단, 아주 어린 나이로 입단하였다.[6]
  • 생일이 15일 더 빠른 한준수의 동성고 1년 선배이다. 한준수는 다른 1999년생들과 같은 2006년에 입학한 것에 비해 김석환은 빠른 년생을 적용해 2005년에 입학했기 때문.
  • KIA 내에서도 많은 기대를 받고 있는 선수다. 박흥식 KIA 타이거즈 2군 감독이 찍어둔 유망주 중 한 명이다.[7] 최형우이대호의 유튜브에 출연해서 기아에서 가장 안타까운 선수로 김석환을 뽑았다. 스윙도 좋고 파워도 좋은데 1군만 오면 못하는게 아쉽다고. 기술적으로 부족한게 아니라 마인드 문제라며 스스로가 이겨내야 하는 부분이라고 언급했다.[8]
  • 오재일과 등번호 사용 순서가 같은 부분이 있다.[9] 순서는 다르지만 2022년 김석환이 사용 중인 35번도 오재일이 넥센 시절 사용했다.[10] 더불어 두 선수 모두 투타 유형이 좌투좌타로 같으며, 주포지션도 1루수라는 점이 같고, 타격할 때 옆모습과 타격 스타일도 상당히 유사하다. 차이점이라면 오재일은 이 번호들을 넥센 히어로즈, 두산 베어스, 삼성 라이온즈의 여러 팀을 거쳐 사용했지만, 김석환은 KIA 타이거즈에서만 사용한다는 점이 있고, 오재일은 현대 유니콘스 시절에만 잠시 외야수를 보았을 뿐인데, 김석환은 외야수로도 언제든 출장할 수 있다는 점이 있다.[11][12]
  • 타 구단 팬들이 김석환의 응원가를 '최강기아의 깊숙한 안타' 라고 들었다는 짤이 퍼지면서 "깊숙한"이라는 별명이 생겼다. 그리고 2022시즌 1군에서 정말로 외야 깊숙히 보내는 장타를 잘 때려내면서 쏠쏠히 활약중이다. 비슷한 사례로 '안~~타! 우리가 있잖니' 가 있다.
  • 2022 시즌 호랑이 가족 한마당 행사의 복면가왕에서 영탁의 찐이야를 부르며 1등을 차지했다.
  • MBTI는 ENTJ. 가끔 ESTP가 나올 때도 있다고 한다.
  • 야구인물사전에 소개됐다.[14]
  • 성과 소속 구단은 다르지만 두산 베어스 1루수 양석환과 포지션과 이름이 같다.[15] 다만 한자가 다르다.
  • 2023 호랑이 가족 한마당 행사에서 하이파이브 행사를 하는 도중 팬들에게 "장모님 나오신다", "아버님 나오신다"라고 말하며 웃어대는 모습이 찍히며 기분이 나쁘다는 반응과 실망이라는 반응이 나왔다. 이후 본인의 인스타그램에 사과문을 올렸는데 장모님 관련 발언은 다른 선수와의 대화 중에 본인이 내년에 결혼을 하게 되어 다음 행사 때는 본인의 장모님도 오신다라고 대답을 하는 상황이었다고 해명을 덧붙였다. 논란의 영상을 본 사람들 중에는 그런 대화였다기에는 맥락과 맞지 않는다는 의견도 있긴 하나 사실일 수도 있기에 뭐가 맞다고 확정지을 수는 없어 보인다. 물론 그 외에 다른 부적절한 언행들이 있었다면 당연히 비판 받아 마땅하다. 해명 이후 결혼이 사실로 밝혀졌고, 그동안 구설수 없이 선수 생활을 한 점과 행사 중에 저 말 말고는[16] 별 다른 부적절한 언행이 있었다는 목격담과 증거도 없어 일단락되었다.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01164d> 파일:질롱 코리아 엠블럼.svg질롱 코리아
2022-23 시즌 엔트리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1164d><colcolor=#fff> 투수 4 이승관# · 7 김진욱 · 11 정윤환# · 15 김태현
17 이수민# · 18 오윤성 · 19 김재영# · 20 이가미
21 박윤철 · 24 이태규 · 29 유지성 · 31 최정욱
39 최지민 · 40 한선태# · 41 이근혁 · ~43 서준원~
44 양경모 · 45 백동운 · 54 오세훈 · 55 김효준
62 하준수# · 67 정이황# · 99 김승현# · # 구대성
포수 10 허관회 · 22 김기연 · 25 곽지민 · 26 김시앙#
32 조형우 · 42 박상언#
내야수 1 송찬의 · 2 신준우 · 3 김민석
5 김주성 · 14 김규성 · 23 서호철
36 김서진 · 52 김태연 · 56 박정현#
외야수 '''13 하재훈# [[틀:질롱 코리아 주장|
C
]] · 27 박찬혁 · 28 이진영
35 김석환# · 38 유상빈# · 47 오장한 · 50 이원석#
51 장진혁# [[틀:질롱 코리아 주장|
C
]] · 57 박주홍 · 97 권광민'''
투타겸업 16 장재영#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병규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손정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진호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수강'''
# 중도 귀국 선수 }}}}}}}}}
김석환의 수상 경력 / 이전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로고(가로형,유색배경).svgKBO 퓨처스리그
남부리그 홈런왕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rowcolor=#373a3c,#dddddd> 문승훈
해태 / 6개
이종옥
롯데 / 6개
이민호
1명(A)
5개
이동수
삼성 / 5개
김재덕
해태 / 7개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rowcolor=#373a3c,#dddddd> 최희창 외
1명(B)
5개
최희창
해태 / 8개
김광현
삼성 / 9개
김무성 외
2명(C)
8개
조효상
1명(D)
11개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rowcolor=#373a3c,#dddddd> 김상현
KIA / 13개
이재주
KIA / 9개
김승관
롯데 / 13개
곽용섭
삼성 / 13개
김승관
롯데 / 8개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rowcolor=#373a3c,#dddddd> 권희석
KIA / 12개
김승관
롯데 / 12개
모상기
삼성 / 12개
오장훈
롯데 / 14개
김강
한화 / 14개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rowcolor=#373a3c,#dddddd> 모상기
삼성 / 21개
나성범
NC / 16개
안태영
넥센 / 14개
박노민
1명(E)
11개
한동민
상무 / 21개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rowcolor=#373a3c,#dddddd> 한동민
상무 / 22개
문상철
상무 / 36개
문상철
상무 / 22개
양석환
상무 / 13개
강민성
kt / 12개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rowcolor=#373a3c,#dddddd> 이태훈
삼성 / 12개
오장한
NC / 17개
김석환
KIA / 18개
박정현
상무 / 16개
A: 이민호(해태), 김정수(쌍방울)
B: 최희창(해태), 이지환(롯데)
C: 김무성, 이동욱(롯데), 김승관(삼성)
D: 조효상, 이상현(한화)
E: 박노민(한화), 조평호(NC)
}}}}}}}}} ||

파일:KBO 퓨처스리그 엠블럼.svg
2023 KBO 퓨처스 남부리그 타점왕

파일:리얼글러브 어워드 로고.png 2023 마구마구 리얼글러브 어워드 리얼글러브 퓨처스리그(KIA)

KIA 타이거즈 등번호 10번
박진두
(2016)
<colbgcolor=#1e376d><colcolor=#fff> 김석환
(2017~2018)
황대인
(2019)
KIA 타이거즈 등번호 36번
박정수
(2018)
김석환
(2019)
브룩스
(2020~2021.8.10.)
KIA 타이거즈 등번호 44번
한준수
(2019~2020)
김석환
(2021)
권혁경
(2022)
질롱 코리아 등번호 35번
결번 김석환
(2022-23)
팀 해체
}}} ||

[1] 프로필상 187이지만 실제로는 더 크다.[2] 최강 KIA의 김석환 안타 최강 KIA의 김석환 안타~ 오~오~ 오오오오오오 최강 KIA 김석환 안타 ×2[3] 원주 DB 프로미 팀 응원가 이기도 하다.[4] 아래 후술한 사건을 읽어 보면 된다.[5] 검사를 할 때마다 다르게 나온다고 한다.[6] 1990년 해태 타이거즈에 입단한 홍현우가 가장 최연소로 등록되었다. 입단시기를 90년 2~3월으로만 잡더라도 만 17세 5~6개월이며, 8월인 만 17세 11개월에 홈런을 쳤다.[7] 한준수, 류승현, 황대인, 신범수, 오정환, 김석환. 출처. 특히 김석환을 두곤 신인 시절 이승엽을 닮았다고 평했다.[8] 이대호롯데 자이언츠한동희, 김민수를 예로 들면서 기술은 이미 완성된 타자이지만, 성적이 떨어지는 건 멘탈 문제라며 성공한 선배가 그 선수들의 자신감을 케어해줘야 한다고 언급했다.[9] 44-36-10[10] 현재까지 오재일과 겹치지 않은 번호는 오재일이 현대 유니콘스 시절 사용했던 34번과 kt wiz에서 잠시 사용한 40번으로 각각 현재 KIA 타이거즈의 간판 타자인 최형우와 외국인 에이스 제임스 네일의 번호이다.[11] 김석환이 본격적으로 1군에서 기회를 받고 있는 2022년 거의 좌익수로 출전하고 있다.[12] 또한 이 둘은 이승엽과도 관련이 있는 것이, 오재일은 롤모델이 이승엽이고 김석환은 제2의 이승엽이라는 별명이 있다.[13] 이대호의 유튜브에 출연한 최형우가 실력은 있지만 아직 1군에서 꽃을 피우지 못해 아쉬워하는 모습을 보이며 가장 마음이 가는 후배라고 언급하였다.[14] #[15] 다만 양석환은 과거 포지션이 3루수와 유격수였던 거만큼 우투고 김석환은 좌투라 1루와 외야수로 포지션이 한정됐다.[16] 이것도 해명된 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