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20 02:36:02

장수금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00AA7B><tablebgcolor=#00AA7B> 파일:김대중 투명.svg김대중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AA7B> 일생 일생
발언 행동하는 양심 · 앙망하옵니다
논란 논란
가족 아버지 김운식 · 아내 이희호 · 아들 김홍일 · 아들 김홍업 · 아들 김홍걸
정책 한일안보협력 · 일본 대중문화 개방 · 햇볕정책 · 대중경제론 · 국민PC · 국립대학구조조정계획 · 2000 남북정상회담
역대 선거 제7대 대통령 선거 · 제13대 대통령 선거 · 제14대 대통령 선거 · 제15대 대통령 선거
사건사고 1964년 국회 필리버스터 · 김대중 납치 사건 · 김대중 내란음모 조작 사건 · 김대중 직선제 반대발언 모함사건 · DJP연합 · 불법 대북송금 사건
기타 동교동계 · 아크로 닷컴 · DJ로드 · 삼김시대/양김 · 대중경제론 · 김대중컨벤션센터 · 김대중컨벤션센터역 · 김대중평화센터 · 김대중도서관 · 김대중대교 · 청년김대중 · 별명 · 슨상님 · 앙망하옵니다 · 김대중 마이너 갤러리 · 자네가 다 먹어부렀어? · 길위에 김대중 · 대통령 김대중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 참고
국민의 정부와 관련된 문서는 틀:국민의 정부 참고
}}}}}}}}} ||

<colbgcolor=#000><colcolor=#fff> 장수금
張守錦
파일:김대중대통령 어머니.jpg
출생 1892년 7월 29일
조선
사망 1972년 5월 10일 (향년 80세)
서울특별시 마포구
본관 인동 장씨
부모 아버지 장지숙, 어머니 주귀심
형제자매 3녀 중 장녀
여동생 장도산
여동생 장필화
배우자 제갈성조(사별)
윤창언(사별)
김운식(사별)
자녀 장녀 제갈○○(요절)
차녀 제갈○○[1]
아들 윤대만[2]
장녀 김매월
차녀 김용례
장남 김대봉
삼녀 김안례[3]
차남 김대중
차남 김대의
삼남 김대현
사녀 김진현[4]
친인척 시아버지 김제호
시어머니 장대학
며느리 이희호
손녀 김소희(요절)
손자 김홍일
손부 윤혜라
증손녀 3명
1. 개요2. 생애3. 가계

[clearfix]

1. 개요

마을 구장을 지낸 김운식의 두번째 아내이자 제갈성조의 부인, 본관은 인동이며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김대중의 어머니이다.

2. 생애

1892년 7월 29일 당시 아버지 장지숙(張之淑)과 어머니 주귀심(朱貴心)의 사이에서 3녀 중 장녀로 태어났으며 형제로는 여동생으로 장도산[5]과 장필화[6]가 있었고 개명전 이름은 장노도(張盧島) 또는 장치도(張齒島)였다.

장수금은 성장 후 처음엔 1911년 제갈영범(諸葛英範)의 차남인 제갈성조(諸葛成祚)와 결혼하여 두 딸을 두었는데 1920년 사별하였고 그시기엔 첫째 딸이 갓난 아기였는데 얼마 못가 첫째 딸이 요절하게 되면서 둘째 딸은 1923년 제갈성조와 사별한 상태에서 때어났지만 아직까지는 생사불명으로 제갈성조와 사별하기 전엔 아주버님인 제갈성복(諸葛成福)이 장수금의 사업을 도와주기도 했다.

그후 장수금은 1920년 두번째 남편인 윤창언(尹昌彦)과 재혼하여 외아들인 윤대만(尹大萬)을 두었으며 역시나 1927년 또 사별하게 되었고 얼마후 1960년 김운식이 본처인 김순례와 이혼하자마자 그때 장수금이 들어가여 재혼했다.

장수금은 이후 김운식과 함께 이복자식들과 살았으며 얼마가 지나도록 3남 2녀를 두었는데 그중 차남이 김대중이었다.

장수금은 어린 김대중을 위해 1938년 8월 김대중을 목포북교공립심상소학교 (현재 목포북교초등학교)의 전학했고 교육열이 남달랐던 장수금이 하의도 집과 농토를 모두 다 팔면서 까지 김대중목포로 유학시켰다.

얼마후 장수금은 1972년 5월 10일 서울특별시 마포구 동포동에 있는 김대중의 의원에서 지병으로 인하여 김운식과 사별하게 되면서 향년 80세 나이로 사망하였다.

3. 가계

  • 아버지 장지숙(1862 ~ 1934)
  • 어머니 주귀심(1869 ~ 1954)
  • 여동생 장도산(1902 ~ 1984)
  • 여동생 장필화(1906 ~ 1994)
  • 시아버지: 제갈영범
  • 아주버님 제갈성복(? ~ 1999 이후)
  • 전남편 제갈성조(1870 이후 ~ 1920)
  • 장녀 제갈씨(1920 ~ 요절)[7]
  • 차녀 제갈씨(1923 ~ ?)[8]
  • 첩 윤창언(1872 ~ 1927)
  • 아들 윤대만
  • 시아버지 김제호(1861 ~ 1938)
  • 시어머니 장대학(1865 ~ 1916)
  • 남편 김운식(1894 ~ 1974)
  • 장녀 김매월(1917 ~ 1980)
  • 사위 김만기(1915 ~ 1983)
  • 외손자 김수용(1961 ~)
  • 차녀 김용례
  • 장남 김대봉(1920 ~ 1971)
  • 며느리 박공심(1919 ~ 2001 이후)
  • 삼녀 김안례(1921 ~)
  • 장남 김대중(1924 ~ 2009)
  • 며느리 차용애(1927 ~ 1959)
  • 손녀 김소희(1946 ~ 1947) - 요절
  • 손자 김홍일(1948 ~ 2019)
  • 손자 김홍업(1950 ~)
  • 며느리 이희호(1922 ~ 2019)
  • 손자 김홍걸(1963 ~)
  • 차남 김대의(1927 ~ 1997)
  • 삼남 김대현(1931 ~)
  • 사녀 김진찬(1935 ~ 1976)

[1] 두 딸은 전남편인 제갈성조와 둔 소생.[2] 첩인 윤창언과 사이에서 둔 아들.[3] 본 자식들은 김운식과 그의 본처인 김순례의 소생.[4] 김운식과 사이에서 둔 소생.[5] 1902 ~ 1984[6] 1906 ~ 1994[7] 이름 불명[8] 이름 불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