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22 16:04:01

김운식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00AA7B><tablebgcolor=#00AA7B> 파일:김대중 투명.svg김대중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AA7B> 일생 일생
발언 행동하는 양심 · 앙망하옵니다
논란 논란
가족 고조부 김익조 · 증조부 김태현 · 조부 김제호 · 아버지 김운식 · 아내 이희호 · 아들 김홍일 · 아들 김홍업 · 아들 김홍걸
정책 한일안보협력 · 일본 대중문화 개방 · 햇볕정책 · 대중경제론 · 국민PC · 국립대학구조조정계획 · 2000 남북정상회담
역대 선거 제7대 대통령 선거 · 제13대 대통령 선거 · 제14대 대통령 선거 · 제15대 대통령 선거
사건사고 1964년 국회 필리버스터 · 김대중 납치 사건 · 전두환의 김대중 내란음모 조작 사건 · 김대중 직선제 반대발언 모함사건 · DJP연합 · 불법 대북송금 사건
기타 동교동계/DJ키즈 · 아크로 닷컴 · DJ로드 · 남프라이즈 · 삼김시대/양김 · 대중경제론 · 김대중컨벤션센터 · 김대중컨벤션센터역 · 김대중평화센터 · 김대중도서관 · 김대중대교 · 청년김대중 · 별명 · 슨상님 · 김대중 마이너 갤러리 · 자네가 다 먹어부렀어? · 길위에 김대중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 참고
국민의 정부와 관련된 문서는 틀:국민의 정부 참고
}}}}}}}}} ||

<colbgcolor=#000><colcolor=#fff> 김운식
金雲植
파일:김운식_lkj637.png
언론에 공개된 김운식의 유일한 사진.[1]
출생 1894년 12월 11일
전라남도 하의도
(現 전라남도 신안군 하의면)
사망 1974년 2월 10일 (향년 79세)
전라남도 신안군 하의면
본관 김해 김씨[2]
부모 아버지 김제호(金濟浩)
어머니 장대학
배우자 전처 광산 김씨 김순례
후처 장수금(張守錦)
자녀 장녀 김매월(1917년~1980년)
차녀 김용례(1918년생 또는 1919년생~?)
장남 김대봉(1920년~1971년)
삼녀 김안례(1921년~2012년)
차남 김대중(1924년~2009년)
삼남 김대의(1927년~1997년)
사남 김대현(1933년생)
사녀 김진찬(1935년~1976년)

1. 개요2. 생애3. 가족
3.1. 직계존속3.2. 직계비속
4. 참고 항목

[clearfix]

1. 개요

일제강점기 시기의 하의도 부자이자 김제호의 아들로 장수금과 재혼하였으며 본관은 김해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김대중의 부친이다.

2. 생애

이하 내용은 아래의 기사에 따라 작성된 내용이다.

일제강점기 시기, 전라남도 신안군 하의도의 이장을 지냈으나, 주민들의 편에 서서 하의도에서 배를 타고 목포, 광주, 서울을 오가며 소작쟁의운동을 주도했다.

김운식은 자신의 신념 때문에 일제강점기 당시에도 일부러 일본어를 배우지 않았다. 집에 조선총독부의 기관지인 매일신보가 우편으로 배달되긴 했으나 이는 구장(이장) 집인 까닭에 의무적으로 수령해야 하는 것이었을 뿐 그는 아예 거들떠도 보지 않았다.
오히려 그는 당시로서는 불온문건에 해당하는 조선 왕조의 계보도를 집안에 숨겨놓고 아들 김대중에게만 보여주며 설명하는 등 남몰래 조선사를 가르쳤다. 이 외에도 판소리에 조예가 깊어 <쑥대머리>를 즐겨 불렀다고 하며, 1930년대 당시 구하기 힘든 축음기를 하의도에서 최초로 구매하였다.

이후 아들 김대중의 교육 문제 해결을 위해 목포로 이주했다. 목포시 향동 목포대 1번지에 위치한 영신여관을 매입해 여관 주인이 되었다.

말년에는 정치인이 된 아들 김대중의 경제적 도움을 받으며 여생을 보냈다. 1974년 눈을 감았고 전남 신안군 하의면 선영에 안장되었다가, 1997년 대통령에 당선이 된 아들 김대중에 의해 하의면 선영에서 경기도 용인시 공원묘지로 이장이 되었다 전해진다.

3. 가족

3.1. 직계존속

  • 고조부: 김정희(金挺熙, 1776 ~ 1854)
    • 증조부: 김익조(金益祚, 1802 ~ 1840) - 가선대부(嘉善大夫)를 지냈다.

3.2. 직계비속

김운식은 생전 광산 김씨 출신의 본처와 장수금과 혼인하였다. 장수금과의 사이에서 김대중을 비롯한 3남 1녀를 얻었으며 광산 김씨와 이혼한 후 김대중을 비롯한 장수금 소생의 자녀들은 적자가 되었다.
  • 전처: 광산 김씨 김순례(1894 ~ 1960 이후)
    • 장녀: 김매월(1917 ~ 1980)
    • 사위: 김만기(1915 ~ 1983)
      • 이복손자: 김수용[3](1961 ~ )
    • 장남: 김대봉(1920 ~ 1971)
    • 자부: 박공심(1919 ~ 2001 이후)
      • 손자: 김만선(1948 ~ )
      • 손녀: 김맹임(1952 ~ )
      • 손자: 김관선(1957 ~ )
      • 손자: 김홍선(1964 ~ )
    • 차녀: 김용례
  • 아내: 장수금(1892 ~ 1972)
    • 삼녀: 김안례(1921 ~ 2012)
    • 차남: 김대중(1924 ~ 2009)
    • 자부: 차용애(1927 ~ 1959)
    • 자부: 이희호(1922 ~ 2019)
    • 삼남: 김대의(1927 ~ 1997)
    • 자부: 민병숙(1931 ~ )
      • 손자: 김홍준(1956 ~ )
      • 손녀: 김혜영(1963 ~ )
      • 손자: 김홍훈(1966 ~ )
    • 사남: 김대현(1933 ~ )
    • 자부: 이숙자(1940 ~ )
      • 손자: 김홍석(1963 ~ )
      • 손자: 김홍민(1966 ~ )
      • 손녀: 김연학(1971 ~ )
    • 사녀: 김진찬(1935 ~ 1976)

4. 참고 항목



[1] 김대중을 비방하는 내용이라 저런 캡션이 달려있다. 당연히 김운식은 김대중의 친아버지가 맞다.[2] 안경공파 13세손, 경파 19세손, 수로 69세손 ○식(○植) 항렬.[3] 정치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