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fc4e00> | 관련 문서 장종훈 Chang Jong-Hoon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마추어 경력 | ||
세광고등학교 야구부 | |||
프로 경력 | |||
| |||
| 빙그레 이글스 Binggrae Eagles | ||
1986년 · 1987년 · 1988년 · 1989년 · 1990년 · 1991년 · 1992년 · 1993년 | |||
| 한화 이글스 Hanwha Eagles | ||
1994년 · 1995년 · 1996년 · 1997년 · 1998년 · 1999년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
기록 | |||
연도별 성적 ·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 |||
기타 | |||
지도자 경력 · 플레이 스타일 · 여담 · 분류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FC4E00><tablebgcolor=#FC4E00> | 한화 이글스 선수 플레이 스타일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color:#181818" | 투수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류현진 (2006~) | 장시환 (2007~) | 이태양 (2010~) | 한승혁 (2011~) | 문동주 (2022~) |
김서현 (2023~) |
내야수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장종훈 (1986 ~2005) | 김태균 (2001 ~2021) | 안치홍 (2009~) | 채은성 (2009~) |
하주석 (2012~) | 심우준 (2014~) | 정은원 (2018~) | 노시환 (2019~) |
포수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이재원 (2006~) | 최재훈 (2008~) |
}}}}}}}}} ||
[clearfix]
1. 개요
장종훈의 플레이 스타일에 대해 다룬 문서.2. 플레이 스타일
2.1. 타격
<colcolor=#FFF> |
장종훈의 타격 |
2.2. 수비
다만 야수로서의 가치엔 물음표가 있는 선수였다. 선수 경력 초기에는 유격수로 대부분의 경기를 출전하며 평균, 또는 그 이하의 수비 실력을 보여주다가 1989년 한국시리즈 2차전에서 동점을 허용하는 치명적인 실책[2]을 기록한 뒤로는 지명타자로 밀려나게 되었다. 그후 1루 수비를 시작하여 지명타자와 1루수를 병행하다가, 2000년대에 김태균이 1루수를 맡게된 이후부턴 완전히 지명타자로만 출전했다.실제로 통산 RAA(수비 관련 득점 기여도) -28.65[3]를 기록하여 역대 KBO 야수 중 뒤에서 10위를 차지하고 있다.
[1] 반대되는 선수가 바로 해태의 김봉연. 김봉연이 홈런을 치면 그 누구도 잡을 수 없을 만큼 높은 포물선을 그리며 오랜 시간동안 날아갔다고 한다.[2] 3회초 1사 만루, 4:2로 리드하던 상황에서 백인호의 병살성 타구를 그대로 흘려버리며 동점을 허용했고, 이후 희생플라이로 역전까지 내주게 되었다.[3] 스탯티즈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