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8 22:01:24

문동주/플레이 스타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문동주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bordercolor=#F60> 파일:문동주2024.png 관련 문서
문동주
Moon Dongju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마추어 경력
광주진흥고등학교 야구부
프로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한화 이글스
Hanwha Eagles
2022년 · 2023년 · 2024년
국가대표 경력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 2.svg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Korea Republic National Baseball Team
<rowcolor=#fff>
기타
플레이 스타일 · 여담 · 문김대전
}}}}}}}}} ||


[clearfix]

1. 개요

한화 이글스 소속 우완 투수 문동주의 플레이 스타일을 서술한 문서.

2. 플레이 스타일

KBO 리그 역대 최초로 공식 구속 160km/h를 돌파한 토종 한국인 투수이다. 선발 투수로써 150km/h 이상의 위력적인 패스트볼을 한계 투구 수까지 지속적으로 던질 수 있는 우완 정통파 강속구 투수로 평균 구속 151.6km/h[1], 최고 구속 160.1km/h[2]의 패스트볼이 주무기[3]이다. 또한 표본이 적기는 하나 2022시즌의 기록을 보면 1이닝당 약 0.5개의 볼넷을 내주는, 구속을 생각하면 나쁘지 않은 제구력을 갖추고 있으며 2스트라이크 이후 곧바로 강력한 포심으로 삼진을 잡아낼 수 있을 정도로 공격적인 피칭을 선보인다.

강점이자 주무기는 패스트볼이지만 결정구는 커브볼이다. 커브볼의 구사율은 약 25% 정도로 상당히 높으며, 보통 스트라이크 존 하반부에 넣어 카운트를 잡거나 존 아래로 빼 유인구로 써먹는 모습을 종종 보인다.

이렇게 패스트볼 구속이 매우 빠른데도 불구하고 피안타율이 상당히 높은데 원인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우선 첫 번째로는 문동주의 패스트볼은 구속 대비 회전수가 높지 않다는 점이 꼽힌다.[4] 구속은 빨라 제대로 맞추기는 어려운 데 비해 일단 한 번 제대로 맞으면 쭉 뻗어나가기 쉬운, 일명 작대기 직구라는 것. 두 번째로는 패스트볼의 의존도가 너무 높다.[5] 비슷하게 패스트볼 구속에 비해 구위가 떨어진다[6]는 이야기가 있는 안우진의 경우 이런 문제에도 불구하고 KBO에서 엄청난 성적을 냈는데, 이는 안우진이 기본적인 제구력을 갖춤과 더불어 평균 구속도 문동주보다 조금 더 빠르고, 결정적으로 150km/h에 달하는 고속 슬라이더를 결정구로 갖추어서 이를 중심으로 피칭 레퍼토리를 짤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했듯 문동주의 결정구도 커브볼로 이미 존재하지만 패스트볼에 비하면 완성도가 미흡하다.

상술한 문제들은 모두 문동주가 투수로 전향한 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로 최원호 감독의 말에 따르면 고등학교 2학년부터 투수로 본격적으로 전향했기 때문에 고교 시절까지는 던질 줄 아는 변화구가 그리 많지 않았고, 그로 인해 손에 맞는 변화구만 집어서 마운드에 올라갔다고 한다. 그럼에도 2군에서 배운 지 얼마 되지 않은 130km/h대 중후반의 슬라이더나 120km/h 후반의 커브, 평균 구속 140km/h대 초중반, 최고 구속 149km/h의 체인지업 등 구종 네 개를 1군 무대에서 적절히 활용하는 것을 보면 변화구 습득 능력 자체는 매우 좋은 것으로 보인다. 이 점은 팀 선배인 류현진을 연상케 하는 부분이기도 하다.[7] 그러나 문동주는 아직 2003년생으로, 나이가 상당히 어리기에 강력한 패스트볼을 바탕으로 피칭 디자인을 어떻게 가져가는지는 그의 선택에 달려 있을 것이다.

또한 190cm를 넘지 않는 상대적인 단신의[8] 강속구 투수이다 보니 필연적으로 부상을 겪을 수밖에 없는데 데뷔 시즌 2번이나 복사근 손상으로 이탈한 점으로 보아 이닝 제한 등 적절한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9] 이를 한화 구단도 알다 보니 2년 차에도 130이닝[10] 제한을 두고 투구 수 관리까지 철저하게 하는 등 상당히 심혈을 기울여 관리하고 있다.

3. 구종

3.1. 포심 패스트볼

최고 160.1km/h, 평균 150km/h대 초반의 매우 위력적인 포심 패스트볼을 구사한다. 이를 바탕으로 2023년에 신인왕을 수상했으나, 2024 시즌에는 KBO 리그 타자들에게 공략 당하는 모습을 보였다.
<colcolor=#FFF>
파일:문동주 161km/h 직구.gif
2023년 4월 12일 광주 KIA박찬호 상대로 던진

3.2. 커브볼

문동주의 주무기이자 결정구이다. 구사율은 약 25% 정도로 상당히 높으며, 보통 스트라이크 존 하반부에 넣어 카운트를 잡거나 존 아래로 빼 유인구로 써먹는 모습을 종종 보인다.
<colbgcolor=#ff6600><colcolor=#FFFFFF>
파일:문동주커브.gif

3.3. 슬라이더

평균 130km/h대 중후반의 슬라이더를 구사한다.
<colbgcolor=#ff6600><colcolor=#FFFFFF>
파일:문동주슬라이더.gif

3.4. 체인지업

평균 구속 140km/h대 초중반, 최고 구속 149km/h의 고속 체인지업을 구사한다.
<colbgcolor=#ff6600><colcolor=#FFFFFF>
파일:문동주체인지업.gif

3.5. 스플리터

구사할 때마다 손톱이 깨지는 등의 이슈가 있었고, 프로에 데뷔한 이후로는 봉인된 구종이다.
<colbgcolor=#ff6600><colcolor=#FFFFFF>
파일:문동주스플.gif


[1] 약 94mph.[2] 약 100mph. 2023년 4월 12일 KIA전에서 기록. 스포츠투아이 기준 160.1km/h., 전광판에는 159km/h가 찍혔고 트랙맨 및 방송 화면에서는 무려 161km/h가 찍혔다. 현재까지 KBO에서 공식적으로 집계한 기록 중에서는 160.1km/h로 국내 선수 구속 최고 기록이다. 160km/h를 넘긴 투수는 앤더슨 프랑코, 레다메스 리즈, 파비오 카스티요 등 모두 외국인 선수임을 감안할 때 놀라운 수치. 과거 엄정욱이 163km/h를 찍은 게 영상으로 남아있지만 이는 2군에서 기록한 것이라 비공식 기록이다.[3] 보통 포심 패스트볼을 던지지만 투심 패스트볼도 간간히 던진다.[4] 기사참고[5] 전체 구종 구사율의 50% 이상이 패스트볼이다. 데뷔 시즌엔 70%를 넘기기도 했다.[6] 사실 안우진도 익스텐션이 그리 길지 않아 체감 구속은 생각보다 빠르지 않은데다 회전수도 많은 편은 아니다. 그러나 이쪽은 평균 구속이 거의 매 경기 153km/h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컨디션이 좋을 땐 한 경기의 평균 구속이 154km/h를 넘기기도 할 정도로 빠르다.[7] 다만 류현진은 그 천재성으로 보름 만에 익힌 서클 체인지업을 결정구로 써먹었지만, 문동주는 체인지업이 너무 빨라서 오히려 자주 공략 당한다는 차이가 있다. 체인지업 같은 오프스피드 피치의 경우 구속이 너무 빠르면 오히려 적당히 느린 패스트볼처럼 날아가기 때문에 타자들이 노리고 치면 족족 맞아나갈 수밖에 없다. 결국 5월 중반부터 그립을 바꿔서 체인지업 구속을 약간 낮추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8] 문동주의 키는 188cm로 국내에서는 투수들 중에서도 나름 큰 편이지만 MLB에서는 언더사이즈 투수로 분류된다. KBO와 MLB의 리그 평균 구속 차이를 감안하면 MLB의 평균 구속에 가까운 강력한 패스트볼을 던지는 문동주는 구속에 비하면 많이 작은 체구의 소유자인 것이다.[9] 투수의 건강에 가장 좋지 않은 구종은 어디까지나 변화구가 아니라 패스트볼이며 아무리 좋은 투구폼을 가졌다 한들 프로 무대에서의 투수는 팔꿈치나 허리, 복사근 등 어딘가는 무조건 부상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애초에 정지 상태에서 시속 130km 이상의 공을 던지는 것 자체가 신체에 엄청난 부하가 걸리는 행위이다.[10]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국가대표 소화 이닝 포함.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5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5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