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8:21:34

전기 변위장

전자기학
Electromagnetism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기초 개념
<colbgcolor=#009><colcolor=#fff> 관련 수학 이론 [math(boldsymbol{nabla})] · 디랙 델타 함수 · 연속 방정식 · 분리 벡터
전기 · 자기 개념 전자기력 · 전자기 유도(패러데이 법칙) · 맥스웰 방정식 · 전자기파 · 포인팅 벡터 · 전자기학의 경계치 문제 · 전자기파 방사
정전기학 전하 · 전기장 · 전기 변위장 · 전기 퍼텐셜 · 가우스 법칙 · 전기 쌍극자 모멘트 · 유전율 · 대전현상 · 정전용량 · 시정수 · 정전기 방전
정자기학 자성 · 자기장 · 자기장 세기 · 자기 퍼텐셜 · 자기 쌍극자 모멘트 · 로런츠 힘 · 홀 효과 · 비오-사바르 법칙 · 앙페르 법칙 · 투자율
구현체 자석(전자석 · 영구 자석) · 발전기 · 전동기
회로이론 · 전자회로 개념 회로 기호도 · 전류 · 전압 · 전기 저항(비저항 · 도전율) · 전력(전력량) · 직류 · 교류 · 키르히호프의 법칙 · 중첩의 원리 · 삼상
소자 수동소자: 직류회로(휘트스톤 브리지) · RLC회로(커패시터 · 인덕터 · 레지스터), 변압기
능동소자: 전원 · 다이오드 · 트랜지스터 · 연산 증폭기
응용 및 심화개념
관련 학문 상대론적 전자기학 · 양자 전기역학 · 응집물질물리학 · 고체물리학 · 전자공학 · 전기공학 · 제어공학 · 물리화학 · 광학 · 컴퓨터 과학(컴퓨터공학)
토픽 이론 광자 · 게이지 장(역장 · 장이론) · 물질파(광전효과) · 다중극 전개 · 맥스웰 변형 텐서
음향 앰프(파워앰프 · 프리앰프 · 인티앰프 · 진공관 앰프) · 데시벨 · 네퍼
반 데르 발스 힘(분산력) · 복사 · 전도(전도체 · 열전 효과) · 초전도체 · 네른스트 식
광학 굴절(굴절률 · 페르마의 원리) · 스넬의 법칙 · 산란 · 회절 · 전반사 · 수차(색수차) · 편광 · 분광학 · 스펙트럼 · 렌즈(얇은 렌즈 방정식) · 프리즘 · 거울(구면 거울 방정식) · (색의 종류 · RGB)
전산 논리 연산 · 논리 회로 · 오토마타(프로그래밍 언어) · 임베디드 · 컴퓨터 그래픽스(랜더링) · 폴리곤 · 헥스코드
생물 생체신호(생체전기 · BCI) · 신경계(막전위 · 활동전위 · 능동수송) · 신호전달 · 자극(생리학)(베버의 법칙 · 역치)
기타 방사선 · 반도체 · 전기음성도 · 와전류 · 방전 · 자극 · 표피효과 · 동축 케이블 · 진폭 변조 · 주파수 변조 · 메타물질
관련 문서
물리학 관련 정보 · 틀:전기전자공학 · 전기·전자 관련 정보 · 틀:이론 컴퓨터 과학 · 틀:컴퓨터공학 }}}}}}}}}

1. 개요2. 상세
2.1. 편극 밀도2.2. 편극성 물질의 전기 퍼텐셜2.3. 물질에서의 가우스 법칙
3. 변위장의 다른 표현4. 변위장의 회전5. 변위장의 경계 조건6. 변위장과 편미분 방정식7. 관련 예제8. 관련 문서

1. 개요

electric displacement field ·

기존 전기장은 진공에 대해서 정의되었다. 유전체 등의 편극성 물질에서는 외부 전기장에 의해 분극이 일어나므로 이 영향을 고려한 새로운 장을 도입하였는데, 해당 장을 전기 변위장이라 한다. 이 문서에서는 '전기 변위장'과 이를 줄인 '변위장'을 혼용하여 작성하였다.

교재에 따라 '전속(電) 밀도(Electric Flux Density)'[1], '대체 전기장' 등의 용어를 사용하나, 이 문서에선 한국물리학회에서 정한 용어를 사용하기로 한다.

기호로는 [math( \mathbf{D} )]로 나타내며, 단위는 [math( \mathrm C/\mathrm m^2 )]이다. 또한 전기장 [math(\bf E)]와 매질의 유전율 [math(\epsilon)]에 대하여 [math(\mathbf{D} = \epsilon\mathbf{E})]라는 관계가 성립한다.

2. 상세

2.1. 편극 밀도

위에서 지적했듯, 편극성 물질의 경우 외부 전기장에 의해 분극이 일어나므로 전기 쌍극자가 내부에 모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조밀한 전하 분포에 대해서 밀도의 개념을 사용했듯, 여기서도 밀도의 개념을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따라서 단위 부피당 전기 쌍극자 [math( \mathbf{p} )]를 편극 밀도(Polarization) [math( \mathbf{P} )]라 한다. 즉,

[math( \displaystyle \mathbf{p}=\mathbf{P}V )]

가 성립한다. 이것을 일반적인 상황에 대해 쓰면,

[math( \displaystyle \mathbf{p}=\iiint \mathbf{P}(\mathbf{r'})\,dV' )]

가 된다.

여기서 인지해야 할 점은 이러한 편극 밀도를 생각 할 수 있는 것은 거시적인 관점(Macroscopic View)에서 어떠한 계(System)를 바라볼 때라는 것이다. 예를 들면, 고전적인 원자핵 또는 전자 하나하나를 관찰할 때는 이러한 편극을 생각 할 수 없을 것이다.

2.2. 편극성 물질의 전기 퍼텐셜

전기 쌍극자 문서에서 전기 쌍극자가 만드는 전기 퍼텐셜은 아래와 같이 주어짐을 보았다.

[math( \displaystyle \Phi(\mathbf{r}) =\frac{\mathbf{p}}{4 \pi \varepsilon_{0}} \frac{\mathbf{r}-\mathbf{r'}}{ \left| \mathbf{r}-\mathbf{r'} \right |^{3}} )]

편극 밀도를 도입하면,

[math( \displaystyle \Phi(\mathbf{r}) =\iiint_{V} \frac{\mathbf{P(r')}}{4 \pi \varepsilon_{0}} \frac{\mathbf{r}-\mathbf{r'}}{ \left| \mathbf{r}-\mathbf{r'} \right |^{3}}\,dV' = \iiint_{V} \frac{\mathbf{P(r')}}{4 \pi \varepsilon_{0}} \boldsymbol{\cdot} \frac{\hat{\boldsymbol{\xi} } }{ \xi^{2}}\,dV' )]

여기서 [math( V )]는 편극성 물질에 해당하는 영역이고, [math( \mathbf{r}-\mathbf{r'} \equiv \boldsymbol{\xi} )]를 이용했다. 이때,

[math( \displaystyle \boldsymbol{\nabla} \left( \frac{1}{\xi} \right) = -\frac{\hat{\boldsymbol{\xi} } }{ \xi^{2}} \qquad \qquad \displaystyle \boldsymbol{\nabla} ' \left( \frac{1}{\xi} \right) = \frac{\hat{\boldsymbol{\xi} } }{ \xi^{2}} )]

를 고려하자. 프라임은 원천 지점([math( \mathbf{r'} )])을 기준으로 연산을 취한다는 뜻에서 붙였다. 따라서

[math( \displaystyle \Phi(\mathbf{r}) = \iiint_{V} \frac{\mathbf{P(r')}}{4 \pi \varepsilon_{0}} \boldsymbol{\cdot} \boldsymbol{\nabla} ' \left( \frac{1}{\xi} \right) \,dV' )]

로 쓸 수 있고, 벡터 항등식에서

[math( \displaystyle \mathbf{P(r')} \boldsymbol{\cdot} \boldsymbol{\nabla} ' \left( \frac{1}{\xi} \right)= \boldsymbol{\nabla} ' \boldsymbol{\cdot} \left[ \frac{\mathbf{P(r')}}{\xi} \right] - \frac{1}{\xi} \left[ \boldsymbol{\nabla} ' \boldsymbol{\cdot} \mathbf{P(r')} \right] )]

이 성립하므로 위에서 구했던 전기 퍼텐셜은

[math( \displaystyle \Phi(\mathbf{r}) = \frac{1}{4 \pi \varepsilon_{0}} \iiint_{V} \boldsymbol{\nabla} ' \boldsymbol{\cdot} \left[ \frac{\mathbf{P(r')}}{\xi} \right] \,dV'-\frac{1}{4 \pi \varepsilon_{0}} \iiint_{V} \frac{1}{\xi} \left[ \boldsymbol{\nabla} ' \boldsymbol{\cdot} \mathbf{P(r')} \right] \,dV' )]

발산 정리를 쓰면,

[math( \displaystyle \Phi(\mathbf{r}) = \frac{1}{4 \pi \varepsilon_{0}} \oiint_{S} \frac{\mathbf{P(r')}}{\xi} \boldsymbol{\cdot} \,d \mathbf{a}'-\frac{1}{4 \pi \varepsilon_{0}} \iiint_{V} \frac{1}{\xi} \left[ \boldsymbol{\nabla} ' \boldsymbol{\cdot} \mathbf{P(r')} \right] \,dV' )]

로 된다. [math( S )]는 편극성 물질을 둘러싸는 폐곡면이다. 이것을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은 형태로 밝혀적으면,

[math( \displaystyle \Phi(\mathbf{r}) = \frac{1}{4 \pi \varepsilon_{0}} \left[ \oiint_{S} \frac{ \left[ \mathbf{P(r')} \boldsymbol{\cdot} \mathbf{\hat{n}} \right] \,da' }{\xi}+ \iiint_{V} \frac{\left[- \boldsymbol{\nabla} ' \boldsymbol{\cdot} \mathbf{P(r')} \right] \,dV'}{\xi} \right] )]

가 된다.

유의해야 할 것은 [math( \mathbf{\hat{n}} )]은 편극성 물질 표면에 대한 법선 벡터임을 인지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추후에 논의할 '전기 변위의 경계 조건' 등에서 경계면의 법선 벡터와 헷갈릴 가능성이 높으니 잘 인지하여야 한다.

위 결과에서

[math( \displaystyle \mathbf{P(r')} \boldsymbol{\cdot} \mathbf{\hat{n}} \equiv \sigma_{P}\qquad \qquad- \boldsymbol{\nabla} ' \boldsymbol{\cdot} \mathbf{P(r')} \equiv \rho_{P} )]

로 정의하고 각각 표면 속박 전하 밀도(Bound surface charge density), 부피 속박 전하 밀도(Bound volumetric charge density)라 한다. 따라서 위 식을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도 있다.

[math( \displaystyle \Phi(\mathbf{r}) = \frac{1}{4 \pi \varepsilon_{0}} \left[ \oiint_{S} \frac{\sigma_{P} \,da' }{\xi}+ \iiint_{V} \frac{\rho_{P} \,dV'}{\xi} \right] )]


위의 논의는 편극성 물질을 분석할 때, 처음 전기 쌍극자를 생각하여 들어갔고, 그 전기 쌍극자를 전하로 취급할 수 있음을 얻는다. 주의할 것은 여기서 나온 '속박 전하'는 분극에 의해 생성되는 전하임을 인지하여야 하여야 한다. 즉, 대전 등으로 생긴 '자유 전하(Free charge)'와는 성질 또한 다르다.[주의]

이상에서 편극된 물질은 본래 중성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총 속박 전하는 [math( 0 )]이 돼야 한다.

[math( \displaystyle \oiint_{S} \sigma_{P} \,da' + \iiint_{V} \rho_{P} \,dV'=0 )]

2.3. 물질에서의 가우스 법칙

윗 문단에서 편극성 물질에서 편극이 일어났을 경우 속박 전하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따라서 편극된 물질에서 가우스 법칙을 적용하면, 엄연히 대전 등으로 생긴 자유 전하뿐만 아니라 이 속박된 전하까지 생각해줘야 하므로 가우스 법칙은 아래와 같이 쓸 수 있다.

[math( \displaystyle \boldsymbol{\nabla} \boldsymbol{\cdot} \mathbf{E} = {\rho_{f}+\rho_{P} \over \varepsilon_0} )]

[math( \rho_{f} )], [math( \rho_{P} )]는 각각 '부피 자유 전하 밀도', '부피 속박 전하 밀도'이다.

그런데 위 문단에서 [math( \rho_{P} \equiv - \boldsymbol{\nabla} \boldsymbol{\cdot} \mathbf{P} )]이었으므로

[math( \displaystyle \boldsymbol{\nabla} \boldsymbol{\cdot} \mathbf{E} =\frac {\rho_{f}}{\varepsilon_0}-\frac{\boldsymbol{\nabla} \boldsymbol{\cdot} \mathbf{P}}{\varepsilon_{0}} )]

따라서

[math( \displaystyle \boldsymbol{\nabla} \boldsymbol{\cdot} \left( \varepsilon_{0}\mathbf{E} + \mathbf{P} \right) = {\rho_{f}} )]

형태로 쓸 수 있고, 이상에서 나온

[math( \displaystyle \varepsilon_{0}\mathbf{E} + \mathbf{P} \equiv \mathbf{D} )]

로 정의하고, 이것을 전기 변위장이라 한다.

따라서 물질에서의 가우스 법칙의 미분형과 적분형을 각각 다음과 같이 쓴다.

[math(\displaystyle \boldsymbol{\nabla} \boldsymbol{\cdot} \mathbf{D} = {\rho_{f}} \qquad \qquad \oiint \mathbf{D} \boldsymbol{\cdot} d \mathbf{a} =\iiint_{V} \rho_{f} \,dV' \equiv Q_{f} )]


3. 변위장의 다른 표현

선형 편극성 물질에 대한 편극 밀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내어 진다.[3]

[math( \displaystyle \mathbf{P} = \varepsilon_{0}\chi_{e}\mathbf{E} )]

여기서 [math( \chi_e )]는 전기장에 대한 '감수율(Electric Susceptibility)'이다. 따라서 변위장은

[math( \displaystyle \mathbf{D} = (1+\chi_{e})\varepsilon_{0}\mathbf{E} )]

으로 나타낼 수 있고,

[math( \displaystyle 1+\chi_{e} \equiv \kappa )]

로, '유전 상수'로 정의하고, 또다시

[math( \displaystyle \kappa \varepsilon_{0} \equiv \varepsilon )]

으로 그 물질에 대한 유전율로 정의하여, 변위장을

[math( \displaystyle \mathbf{D}=\varepsilon \mathbf{E} )]

으로 쓸 수 있다.

유전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유전율 문서를 참고할 것을 권한다.

4. 변위장의 회전

전기장은 비회전장으로서,

[math( \displaystyle \boldsymbol{\nabla} \times \mathbf{E} = 0 )]

가 성립함을 전기장 문서에서 다뤘다. 그렇다면, 변위장 또한 전기장과 유사한 점이 있는데, 과연 회전 또한 같이 [math( 0 )]이 나온다는 생각을 할 수도 있다. 결론부터 말하면, 아니다.

변위장의 회전을 취해보면,

[math( \displaystyle \boldsymbol{\nabla} \times \mathbf{D}=\boldsymbol{\nabla} \times (\varepsilon_{0}\mathbf{E}+\mathbf{P})=\boldsymbol{\nabla} \times \mathbf{P} )]

이고, 일반적으로 [math( \mathbf{P} )]의 회전이 [math( 0 )]이 되지 않기 때문에 변위장은 비회전장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어떤 스칼라 함수의 그레이디언트를 취한 값이 변위장으로 환원되지 않기 때문에 변위장의 퍼텐셜은 존재하지 않는다. 더불어서 같은 이유로 변위장은 쿨롱 법칙과 같은 수법 또한 존재하지 않는다.

5. 변위장의 경계 조건

파일:나무_변위장_경계조건-01.png

위 그림과 같이 물질이 다른 두 매질 I, II를 고려하자. 전기장 문서에서 '전기장의 경계 조건'을 결과를 가져오면,

[math( \displaystyle \mathbf{E_{2}} \boldsymbol{\cdot} \mathbf{\hat{n}}- \mathbf{E_{1}} \boldsymbol{\cdot} \mathbf{\hat{n}}=\frac{ \sigma }{ \varepsilon_{0} } )]

이다. 이때, 경계면의 전하 밀도 [math( \sigma )]는 표면 자유 전하 밀도 [math( \sigma_{f} )] 뿐만 아니라, 표면 속박 전하 밀도 또한 존재한다. 따라서 매질 I, II에서 표면 속박 전하 밀도를 [math( \sigma_{P_{1}} )], [math( \sigma_{P_{2}} )]하면,

[math( \displaystyle \sigma=\sigma_{f}+\sigma_{P_{1}}+\sigma_{P_{2}} )]

이고, 정의에 따라

[math( \displaystyle \sigma_{P_{1}}=\mathbf{P_{1}} \boldsymbol{\cdot} \mathbf{\hat{n}}, \,\,\, \sigma_{P_{2}}=\mathbf{P_{2}} \boldsymbol{\cdot} (-\mathbf{\hat{n}}) )]

이므로

[math( \displaystyle \sigma=\sigma_{f}+ (\mathbf{P_{1}}-\mathbf{P_{2}}) \boldsymbol{\cdot} \mathbf{\hat{n}} )]


이상에서

[math( \displaystyle \mathbf{E_{2}} \boldsymbol{\cdot} \mathbf{\hat{n}}- \mathbf{E_{1}} \boldsymbol{\cdot} \mathbf{\hat{n}}=\frac{ \sigma_{f} }{ \varepsilon_{0} }+\frac{(\mathbf{P_{1}}-\mathbf{P_{2}}) \boldsymbol{\cdot} \mathbf{\hat{n} } }{\varepsilon_{0}} )]

이것을 다시 쓰면,

[math( \displaystyle \left [ \left ( \varepsilon_{0}\mathbf{E_{2}}+\mathbf{P_{2}} \right )-\left ( \varepsilon_{0}\mathbf{E_{1}}+\mathbf{P_{1}} \right ) \right ] \boldsymbol{\cdot} \mathbf{\hat{n}}=\sigma_{f} )]

결론적으로 아래와 같은 보존장의 경계 조건이 도출되게 된다.

[math( \displaystyle \mathbf{D_{2}} \boldsymbol{\cdot} \mathbf{\hat{n}}- \mathbf{D_{1}} \boldsymbol{\cdot} \mathbf{\hat{n}}={ \sigma_{f} } )]

주목해야 할 것은, 경계면에 표면 자유 전하 밀도가 존재하지 않으면,

[math( \displaystyle \mathbf{D_{1}} \boldsymbol{\cdot} \mathbf{\hat{n}}= \mathbf{D_{2}} \boldsymbol{\cdot} \mathbf{\hat{n}} )]

로, 변위장의 수직 성분은 연속이 됨이 알 수 있다.

또한, 매질 [math( i )]에서 유전율을 [math( \varepsilon_{i} )]라 하고, [math( \mathbf{E}_{i}=-\boldsymbol{\nabla} \Phi_{i} )]와 [math( \mathbf{D}_{i}=\varepsilon_{i}\mathbf{E}_{i} )]임을 이용하면,

[math( \displaystyle \varepsilon_{1} \frac{\partial \Phi_{1}}{\partial n}-\varepsilon_{2} \frac{\partial \Phi_{2}}{\partial n}=-\sigma_{f} )]

으로도 쓸 수 있다.

또 하나의 경계 조건은, 전기장 자체는 보존장이므로

[math( \displaystyle \mathbf{E_{1}} \boldsymbol{\cdot} \mathbf{\hat{t}}= \mathbf{E_{2}} \boldsymbol{\cdot} \mathbf{\hat{t}} )]

이 성립한다. [math( \mathbf{\hat{t}} )]은 경계면의 접선 방향의 벡터이다.

6. 변위장과 편미분 방정식

전기 퍼텐셜 문서에서 진공 중의 상황을 다룰 때, 푸아송 방정식을 푸므로써 어떤 정전기학적 상황에 대한 퍼텐셜을 결정할 수 있고, 구한 퍼텐셜에 그레이디언트 연산을 함으로써 장 또한 결정할 수 있음을 논의했다. 이 문단에서는 구하는 영역에 편극성 물질이 있을 때도 유사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지 보고자한다.

위에서 변위장의 발산이

[math(\displaystyle \boldsymbol{\nabla} \boldsymbol{\cdot} \mathbf{D}=\rho_{f} )]

라고 했다. 이때, 물질이 단순하다면, 전기장과 변위장과의 관계는 [math(\mathbf{D}=\varepsilon \mathbf{E})]로 쓸 수 있어,

[math(\displaystyle \boldsymbol{\nabla} \boldsymbol{\cdot} (\varepsilon \mathbf{E})=\rho_{f} )]

가 된다. 그런데, 전기장과 전기 퍼텐셜은 [math(\mathbf{E}=-\boldsymbol{\nabla} \Phi)]의 관계가 있음에 따라

[math(\displaystyle \boldsymbol{\nabla} \boldsymbol{\cdot} (\varepsilon \boldsymbol{\nabla} \Phi)=-\rho_{f} )]

벡터 항등식에 의해

[math(\displaystyle \varepsilon \nabla^{2} \Phi+\boldsymbol{\nabla} \varepsilon \boldsymbol{\cdot} \boldsymbol{\nabla} \Phi =-\rho_{f} )]

가 된다. 이때, 편극성 물질의 유전율이 델 연산과 무관하다면, 좌변의 제 2항은 0이 됨에 따라 다음의 푸아송 방정식을 얻는다:

[math(\displaystyle \nabla^{2} \Phi=-\frac{\rho_{f}}{\varepsilon} )]

다만, 편극성 물질의 유전율이 델 연산에 의존한다면, 좌변의 제 2항은 0이라 할 수 없으므로 방정식

[math(\displaystyle \varepsilon \nabla^{2} \Phi+\boldsymbol{\nabla} \varepsilon \boldsymbol{\cdot} \boldsymbol{\nabla} \Phi =-\rho_{f} )]

을 풀어야 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위의 방정식을 풀고, 구한 퍼텐셜에 그레이디언트 연산을 취하면, 장을 결정할 수 있음을 얻는다.

7. 관련 예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전기 변위장/관련 예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관련 문서


[1] 'Cheng의 전자기학' 교재가 대표적이다.[주의] 해당 '속박 전하'는 수학적 처리 과정에서 나온 트릭 등으로 생각하면 매우 곤란하다. 속박 전하의 물리적 해석에 관한 내용은 이 문서에서 다루는 것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다루지 않으나, 엄연히 '속박 전하'는 물리적으로 의미가 있는 전하임을 인지해야 한다.[3] 선형 편극성 물질이 아니라면, [math( \chi_e )]는 스칼라가 아닌, 텐서가 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3 (이전 역사)
문서의 r2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