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01 18:26:29

분리 벡터

전자기학
Electromagnetism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기초 개념
<colbgcolor=#009><colcolor=#fff> 관련 수학 이론 [math(boldsymbol{nabla})] · 디랙 델타 함수 · 연속 방정식 · 분리 벡터
전기 · 자기 개념 전자기력 · 전자기 유도(패러데이 법칙) · 맥스웰 방정식 · 전자기파 · 포인팅 벡터 · 전자기학의 경계치 문제 · 전자기파 방사
정전기학 전하 · 전기장 · 전기 변위장 · 전기 퍼텐셜 · 가우스 법칙 · 전기 쌍극자 모멘트 · 유전율 · 대전현상 · 정전용량 · 시정수 · 정전기 방전
정자기학 자성 · 자기장 · 자기장 세기 · 자기 퍼텐셜 · 자기 쌍극자 모멘트 · 로런츠 힘 · 홀 효과 · 비오-사바르 법칙 · 앙페르 법칙 · 투자율
구현체 자석(전자석 · 영구 자석) · 발전기 · 전동기
회로이론 · 전자회로 개념 회로 기호도 · 전류 · 전압 · 전기 저항(비저항 · 도전율) · 전력(전력량) · 직류 · 교류 · 키르히호프의 법칙 · 중첩의 원리 · 삼상
소자 수동소자: 직류회로(휘트스톤 브리지) · RLC회로(커패시터 · 인덕터 · 레지스터), 변압기
능동소자: 전원 · 다이오드 · 트랜지스터 · 연산 증폭기
응용 및 심화개념
관련 학문 상대론적 전자기학 · 양자 전기역학 · 응집물질물리학 · 고체물리학 · 전자공학 · 전기공학 · 제어공학 · 물리화학 · 광학 · 컴퓨터 과학(컴퓨터공학)
토픽 이론 광자 · 게이지 장(역장 · 장이론) · 물질파(광전효과) · 다중극 전개 · 맥스웰 변형 텐서
음향 앰프(파워앰프 · 프리앰프 · 인티앰프 · 진공관 앰프) · 데시벨 · 네퍼
반 데르 발스 힘(분산력) · 복사 · 전도(전도체 · 열전 효과) · 초전도체 · 네른스트 식
광학 굴절(굴절률 · 페르마의 원리) · 스넬의 법칙 · 산란 · 회절 · 전반사 · 수차(색수차) · 편광 · 분광학 · 스펙트럼 · 렌즈(얇은 렌즈 방정식) · 프리즘 · 거울(구면 거울 방정식) · (색의 종류 · RGB)
전산 논리 연산 · 논리 회로 · 오토마타(프로그래밍 언어) · 임베디드 · 컴퓨터 그래픽스(랜더링) · 폴리곤 · 헥스코드
생물 생체신호(생체전기 · BCI) · 신경계(막전위 · 활동전위 · 능동수송) · 신호전달 · 자극(생리학)(베버의 법칙 · 역치)
기타 방사선 · 반도체 · 전기음성도 · 와전류 · 방전 · 자극 · 표피효과 · 동축 케이블 · 진폭 변조 · 주파수 변조 · 메타물질
관련 문서
물리학 관련 정보 · 틀:전기전자공학 · 전기·전자 관련 정보 · 틀:이론 컴퓨터 과학 · 틀:컴퓨터공학 }}}}}}}}}

1. 개요2. 그레이디언트 연산3. 관련 문서

1. 개요

separation vector ・ 벡터

위치 벡터에서 근원 벡터(source vector)를 뺀 벡터이다.[1]

전자기학에서는 두 가지 위치를 약속하고 내용을 전개한다. 첫째, 전하전류존재하는 지점을 [math(\mathbf{r'})]으로 쓴다. 둘째, 다른 한 지점은 전기장이나 자기장 등을 측정하는 지점으로서 [math(\mathbf{r})]으로 쓴다. 이때, 분리 벡터는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math(\displaystyle \boldsymbol{\xi} \equiv \mathbf{r-r'} )]

분리 벡터를 나타내는 기호로는 [math(\boldsymbol{\Re})], [math(\boldsymbol{\eta})] 등을 사용하기도 하며,[2] 그냥 [math( \mathbf{r-r'} )]로만 쓰기도 한다. 나무위키 전자기학 관련 문서에서는 [math(\boldsymbol{\xi})]가 많이 쓰임에 따라 이것을 채택하였다.

2. 그레이디언트 연산

원천과 관측 지점 두 가지가 있기 때문에 델 연산도 엄밀히 말해서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예를 들어, 직교 좌표계라면,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boldsymbol{\nabla} &= \left({\partial \over \partial x}, \,{\partial \over \partial y}, \,{\partial \over \partial z} \right) \\
\boldsymbol{\nabla'} &= \left({\partial \over \partial x'},\, {\partial \over \partial y'}, \,{\partial \over \partial z'} \right)
\end{aligned} )]

위 두 연산자의 차이는 관측자의 위치가 변하는지, 혹은 원천의 위치가 변하는지를 나타낸다. 관측자의 위치인 [math(x, \, y, \, z)]가 미분 대상이라면 원천의 위치인 [math(x' , \,y' , \,z')]는 상수로 취급된다. 즉, 편미분을 확장한 셈이다.

그렇기 때문에 분리 벡터 크기의 역수에 그레이디언트를 취했을 때, 어디를 기준으로 하여 연산하느냐에 따라 그 결과는 다르게 나온다. 이것의 대표적인 예는 [math(\xi^{-1})]의 그레이디언트를 취했을 때 볼 수 있다. 아래를 참고하자:

[math(\displaystyle \boldsymbol{\nabla} \!\left( \frac{1}{\xi} \right)=-\frac{\hat{\boldsymbol{\xi} }}{\xi^{2}} \qquad \qquad \boldsymbol{\nabla'} \!\left( \frac{1}{\xi} \right)=+\frac{\hat{\boldsymbol{\xi} }}{\xi^{2}} )]

3. 관련 문서



[1] David J. Griffiths, Introduction to Electrodynamics, 4th ed., Pearson, 2013.[2] 특히 데이비드 제프리 그리피스의 전자기학 책에서는 필기체 r을 쓰는데, LaTeX 기본 폰트에 없는 글자라서 입력하기 난감한 걸로 유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