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24694> | }}}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군산시 | 김제시 | 남원시 | ||||
군산고속 · 군산시외 · 대야 · 군산대 · 군산공항 · 군산시청 | 김제 · 만경 · 원평 | 남원 · 인월지리산 · 뱀사골 | |||||
익산시 | 전주시 | 정읍시 | |||||
익산 · 금마 · 여산 · 함열 · 익산역 · 원광대 | 전주시외 · 전주고속 · 덕진 · 완산 · 노송 · 전동 · 전주대 · 호남제일문· 서부시외 · 인후 | 정읍 · 내장산 · 산외 · 신태인 · 칠보 · 태인 |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 고창군 | 무주군 | 부안군 | 순창군 |
고창 · 흥덕 · 대산 · 무장 · 해리 · 상하 · 구시포 · 선운산 | 무주 · 설천 · 안성 | 부안 · 격포 · 변산 · 줄포 · 곰서(진서) | 순창 · 금과 · 적성 · 동계 | ||||
완주군 | 임실군 | 장수군 | 진안군 | ||||
삼례 · 대둔산 · 고산 · 익산IC · 우석대 · 장신대 · 혁신도시 | 임실 · 강진 · 관촌 · 오수 · 삼계 · 성수 · 청웅 | 장수 · 계남 · 번암 · 산서 · 장계 · 천천 | 진안 · 백운 · 안천 · 우화 · 주천 | }}}}}}}}} |
고속터미널. | 공용(시외, 시내)터미널. |
1. 개요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연지동 312-13에 있는 버스 터미널.원래 1972년에 '정읍시외버스공용정류장'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지어졌으며, 이후 그 건물을 무려 2010년대 초까지 자그마치 40년 동안이나 그대로 쓰고 있었다. 이 때문에 엄청난 노후화에 시달리고 있었다가[1][2] 결국 2013년 4월부터 드디어 염원하던 새 터미널 시설을 건축하기 시작하여 같은 해 11월에 건물 현대화 사업이 완료되었다.
위에 있는 사진은 지붕 때문에 보이지 않지만 고속버스터미널 입구 바로 위에 중앙고속 간판이 있는걸 볼 수 있는데, 이 터미널은 중앙고속 소속 터미널인 것으로 추정된다. 내부 또한 중앙고속의 느낌이 많이 느낄 수 있다. 광주나 여수가 금호고속 소속 터미널이면, 이 터미널은 중앙고속 소속 터미널이라고 보면 된다.
건물은 두 채가 2층과 3층의 통로로 연결되어 있는데, 큰 도로에서 봤을 때 왼쪽 건물에서는 서울행 표를 끊을 수 있게 되어 있고 오른쪽 건물에서는 다른 지역으로 가는 표를 끊을 수 있게 되어 있다. 고속버스와 나머지가 대합실과 타는 곳이 나눠져서 그렇지, 사실상 종합터미널인 셈이다. 정읍역과 걸어서 불과 5분 거리로 멀지 않다.
참고로 기존 건물에서 장사하던 구멍가게 업주들은 새 건물이 완공이 되었을 때 공간을 하나씩 배정 받아 가게를 이전했다고 한다. 사전에 미리 합의된 사항이었다고, 하지만 자리 위치나 공간 크기가 마음에 들지 않다는 의견도 있다.
2024년 1월 1일부로 고속버스터미널 매표 창구가 폐쇄되면서 이제 고속버스 차표는 옆의 시외버스 매표 창구로 가서 끊어야 한다.
2. 노선
시간표(11.12.2023 기준)
(방산,쌍치,순창행 14:30,18:20)
2024년 12월 현재 광주행 10:45 출발편이 신설되었고, 부안행 14:45 출발 시간이 1시간 앞당겨져 13:45로 조정되었으며 인천공항행 노선 시간도 00:30, 10:30으로 변경되는 동시에 운행사도 금호고속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전주행 17:00 출발편이 폐지되었고 태인, 원평 경유 전주 완행도 4회로 감편되었으며 11:10, 19:00 출발편의 출발 시간이 20분 늦춰졌다.
요금표 (11.12.2023 기준)
(순창 임순여객은 교통카드 사용자 한정 전노선 전구간 950원 단일요금)
승차장은 아래와 같다.
- 1번: 익산, 대야, 군산
- 2번: 줄포, 곰소, 내소사
- 3번: 신태인, 부안, 변산, 격포
- 4번: 태인, 원평
- 5번: 전주
- 6번: 흥덕, 고창, 선운사, 심원, 영광, 무장, 해리, 상하, 목포, 대산
- 7번: 복흥, 방산, 쌍치, 순창
- 8번: 내장산
- 9번: 사거리(백양사), 장성, 광주
10번: 인천, 성남11번: 안양, 부천, 일산12번: 안산, 광양, 동광양, 부산- 13번: 서울(센트럴시티),
동서울 - 14번: 하차장
2.1. 전환시외
수도권 | |||||
행선지 | 운행횟수 | 운수회사 | |||
정안알밤휴게소 서울 | 일 7회 | 중앙고속 | |||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담양발 서울호남행 | ||||
경유지 | 소요시간 | 운임 | |||
정안알밤휴게소 | 1:20 | ₩ 8,900 ₩ 12,200 (우등) | |||
서울(호남) | 2:55 | ₩ 17,200 ₩ 24,300 (우등) | |||
운행시각표 | 07:00, 09:20, 12:10, 13:50, 15:50, 17:50, 20:00 | ||||
시외버스 서울호남-담양 참조. 전 시간대 정안알밤휴게소 발권이 가능하다. 일반은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일반고속이 태인을 경유했으나 코로나19 사태로 태인 정차가 폐지되었다. 호남선 철도의 존재로 운행 횟수가 많지 않고 막차도 이르다. 따라서 막차시간 이후에는 정읍역으로 가야 한다. 2023년 9월 1일부터 같은 중앙고속 단독 배차 노선인 서울호남-담양 노선과 통합하면서 일부 편이 담양으로 연장되었다. 2024년 12월 1일부터 모든 날이 일 7회로 감회한 대신 전회 담양으로 연장되었다. |
호남권 | |||||
행선지 | 운행횟수 | 운수회사 | |||
담양 | 일 7회 | 중앙고속 | |||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서울호남발 담양행 | ||||
경유지 | 소요시간 | 운임 | |||
담양 | 0:50 | ₩ 5,200 ₩ 6,800 (우등) | |||
운행시각표 | 10:00, 12:00, 14:00, 16:00, 19:00, 21:00, 23:00 | ||||
시외버스 서울호남-담양 참조. 23:00 차량편은 서울호남에서 20:00에 출발하기 때문에 심야할증 없이 우등고속 요금으로 계산한다. 전회 서울호남에서 출발하기 때문에 첫차가 상당히 늦고, 도로사정에 따라 출발시간이 지연될 수도 있다. |
본래 금호고속과 중앙고속이 서울 ↔ 정읍 노선을 공동 배차했으나, 2013년에 서울 ↔ 익산 노선과 맞트레이드하여 호남권임에도 금호고속이 아닌 중앙고속이 단독 운행한다. 동서울 ↔ 정읍은 본래부터 중앙고속 단독 배차였다가 2021년 10월 1일부로 폐선되었다.
중앙고속이 유로6 뉴 그랜버드 이노베이션 실크로드 우등 차량 2대를 서울행 노선에 고정으로 투입한다.[3]
2.2. 시외버스
- 호남권 : 광주광역시[4], 군산[5], 전주[6][7], 부안[8], 고창[9][10], 영광[11], 장성[12], 목포[13]
- 수도권 :
인천, 성남, 안산,부천[14], 고양[15], 인천공항[16]
이전에는 태인-신태인-김제 경유 익산, 군산[17]행 노선도 있었으나, 이 노선이 폐지되면서 한때 정읍과 김제를 연결하는 시외버스 노선은 없었다. 때문에 정읍에서 김제를 오가려면 무궁화호나 ITX-새마을 열차를 이용해야 했다.[18]
한편 정읍공용에서 복흥, 쌍치, 순창방면으로 가는 임순여객 농어촌 버스가 운행된다. 임순여객은 교통카드 사용자 한정 전노선 전구간 950원 단일요금제이다. (기사에게 행선지 및 교통카드 사용 의사 표명후 기사의 지시에 따라 카드 태그) 지금은 없어졌지만 이전에는 남원이나 광양, 서부산으로 운행되는 시외버스도 있었다. 현제 남원으로 가려면 전술한 임순여객 버스로 순창에 가거나 중앙고속 버스로 담양에서 남원행 시외버스를 타고 가야 한다.
흥덕 경유 선운사 노선과 줄포, 곰소 경유 격포행 노선이 폐지되면서 선운사나 격포로 가려면 흥덕이나 줄포로 가서 해당 지역 농어촌버스로 환승해야 한다.
안전여객의 시외버스 철수로 부안 및 익산, 군산행 노선도 크게 감회되었다. 특히 부안행 노선은 7시 첫차 이후 다음 차까지 무려 7시간 45분의 공백이 있으므로 이 시간대에 부안으로 가려면 정읍역 정류소에서 고부, 영원, 평교행 215번 시내버스를 타고 영원이나 평교에서 하차, 부안읍내로 들어가는 농어촌버스를 이용해야 한다.[20] 익산, 군산행 역시 막차와 직전차의 운행 간격이 무려 8시간이나 되는 공백이 있어 이 시간대에는 정읍역으로 가서 기차를 이용해야 한다. 익산행의 경우 버스가 기차보다 운행 편수도 적고 시간도 더 걸릴 뿐더러 운임도 무궁화호는 물론 ITX-새마을보다 비싼 데다 익산터미널의 접근성이 익산역보다 낫다고 하기 어렵기에 설령 시간이 맞더라도 시외버스를 통한 이동은 별로 추천할 게 못된다. 군산행 역시 기차로 익산역으로 가서 익산역복합환승센터에서 군산행 시외버스로 갈아타거나 장항선 열차로 갈아타는 편이 차라리 낫다.
2024년 12월 1일부로 서울호남발 중앙고속 정읍-담양 구간 승차가 개시되면서 담양 방면 직통 노선이 개설될 예정이다.[21]
3. 일평균 이용객
3.1. 고속버스
정읍공용버스터미널을 이용하는 고속버스 이용인원 일일 승객 수이다.정읍공용버스터미널 고속버스 이용인원 |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342명 | 259명 | 누락됨 | 272명 |
- 2017년 자료는 누락되었다.
- 출처: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 지역간 대중교통 이용지표
3.2. 시외버스
4. 정읍시 관내 버스 정류소
4.1. 신태인터미널
- 하행 노선
- 광주
- 부안 - 상행 노선
- 감곡, 전주
기존에는 건물이 심하게 노후화된 채 방치되어 있어서 리모델링 전 정읍터미널이 훨씬 양호해 보일 정도였다. 5분 이내 거리의 신태인역과 비교하면 거의 하늘과 땅 차이였으나, 이 곳도 깔끔하게 리모델링이 이루어졌다.
이전에는 김제, 익산, 만경, 대야, 군산 노선도 있었지만, 철도에 밀려 노선이 폐지되었다.
2020년 7월 기존의 낡은 터미널 건물을 철거하고 새 터미널 신축에 들어갔다. 2020년 11월 초 경에 완공되었다
4.2. 태인 터미널
처음 가면 매표소를 몰라 우왕좌왕할 수 있지만, 좌측에 있는 카페가 매표소이다. 중앙에 항상 계신 관리인 분에게 얘기하면 표를 뽑을 수 있다.
전주터미널이 아닌 원평이나 도교육청, 현대아파트 및 완산동에서 내린다면 현금 승차를 해야 한다.
종전에는 시내버스도 터미널에서 승하차할 수 있었지만 2019년 시내버스 노선 개편 이후 정읍, 신태인 방면 노선은 터미널 맞은편 약국 앞 정류장으로, 옹동, 원평, 칠보 방면 노선은 피향정 입구 옆 정류장으로 승차장이 변경되었다.[23] 2020년부터는 다시 종전대로 전 노선 터미널에서 승하차한다.
북면, 정읍 방면이나 신태인 방면이 아닌 원평, 옹동, 상기 방면 시내버스는 피향정 입구 옆 정류장에서 승하차한다.
4.3. 칠보 터미널
- 하행 노선
- 능교, 쌍치 - 상행 노선
- 산외, 전주[24]
여기도 처음 가면 매표소를 몰라 우왕좌왕할 수 있지만, 진출로 방향 우측에 있는 터미널 농약사가 매표소이다. 농약사에 들어가서 행선지를 말하면 표를 뽑을 수 있다.
목적지가 전주 터미널이 아닌 평화동이나 남문(전동)이라면 남문(전동)으로 끊기 바란다.
2019년 시내버스 노선 개편 이후 산외, 산내 방면으로 가는 노선들은 칠보면 사무소 앞 도로를 경유하지 않고 시외버스 진출입로를 통해 외곽도로로 빠져나간다.[25]
임실군 강진터미널에서 종성, 능교를 경유하여 칠보터미널까지 운행되던 임순여객 농어촌버스는 2023년 3월부로 평일 종점이 산내면 황토리로 변경되었고 첫차와 막차가 주말에 한해 칠보터미널까지 연장 운행된다.
4.4. 내장산공용터미널
항목 참조.4.5. 장명동 간이정류소
정읍발 태인, 원평 경유 전주행 시외버스와 복흥, 쌍치, 순창행 농어촌버스가 정차한다. 다만 전주행 시외버스는 승하차 지점이 다른데, 승차는 관통로 만복슈퍼 앞 정류장에서 승차하며[26] 하차는 충정로 정읍향교 앞 정류장에서 하차한다.4.6. 농소동 간이정류소
농소동 주공아파트 앞에 있으며, 전주에서 정읍으로 들어오는 시외버스들이 정차한다. 승차는 불가하며 하차만 가능하다.4.7. 감곡 정류소
4.8. 산외 정류소(구 산외 터미널)
산외우체국 앞에 있다. 옛 터미널 부지에는 현재 식당이 들어와 있고 승차는 산외우체국 앞 정류소에서 이루어진다. 표는 길 건너 정성수퍼에서 끊거나 현금 승차한다.4.9. 능교(산내) 정류소
4.10. 화죽 정류소
산외면 화죽리 사가동 화죽가든 앞 정류장에서 승하차한다. 발권하는 곳이 없으므로 현금으로 승차해야 한다.5. 둘러보기
정읍시 교통체계 | ||
<colbgcolor=#E42F2A> 철도 | 호남선 | 정읍역, 신태인역 |
도로 | 고속도로 | 호남고속도로(내장산IC, 정읍IC, 태인IC) |
국도 | 1번 국도, 21번 국도, 22번 국도, 29번 국도, 30번 국도 | |
지방도 | 49번 지방도, 55번 지방도, 701번 지방도, 705번 지방도, 708번 지방도 710번 지방도, 714번 지방도, 715번 지방도, 729번 지방도, 736번 지방도, 747번 지방도, 749번 지방도 | |
버스 | 시내버스, 고속(시외)버스 | 정읍시 시내버스, 정읍공용버스터미널, 내장산공용터미널 |
전북특별자치도의 교통 |
[1] 리모델링 이전의 정읍버스터미널의 모습을 담은 사진자료 사이트.[2] 정읍버스터미널의 노후화가 심각함을 지적하는 2004년도 전북일보 인터넷 기사. 이후로도 10년 가까이 더 지나서야 리모델링이 이루어졌다.[3] 중앙고속에 실크로드 우등은 총 7대가 있는데, 2013년식 1대는 예비차량, 나머지 1대는 자가용 면허로 전환 후 직원 통근버스로 운용중이며, 2014년식 2대는 서울 ↔ 청주 노선에 고정 투입되고, 2015년식 1대는 서울 ↔ 정읍 노선에서 운행하다가 용인 ↔ 진주 노선으로 이동했고 나머지 2015년식 2대가 서울 ↔ 정읍 노선에 투입된다. 그 대신 2019년 9월에 2017년식 뉴프리 노블 2대가 서울 ↔ 광주 노선에서 격하되어 들어왔다.[4] 무정차와 직행이 있다.[5] 익산 경유[6] 직행과 1번 국도 경유 완행으로 나뉜다.[7] 태인, 원평을 경유하는 완행노선은 장명동 시외버스정류소(만복슈퍼앞)를 거쳐서 간다. 슈퍼에서 표를 살 수 있지만 터미널에서 끊고 여기서 탑승하는 것도 가능하다.[8] 줄포를 경유하여 곰소, 내소사, 격포로 운행되는 노선이 있으니 확인하여야 한다.[9] 고창 직통 및 흥덕 경유 노선, 흥덕을 경유하여 선운사, 해리, 심원으로 운행되는 노선이 있다.[10] 약국 앞 시내버스 정류장에서 시내버스를 탑승할 수도 있다. 101(흥덕), 102(성내), 261(고창) 단 261번은 주말에는 1일 4회로 감편된다.[11] 고창 경유[12] 사거리(백양사) 경유[13] 고창-영광-함평-무안 경유 완행.[14] 안양 경유[15] 안양-부천 경유 1회 부안, 안산 경유 2회[16] 김제 경유 1일 7회 2020년 1월 23일 운행 재개[17] 만경, 대야 경유[18] 원평이나 화호, 평교에서 김제시 시내버스로 갈아타는 방법도 있다.[19] 다만 2020년 3월 이후로 인천국제공항행 버스 운행이 전국적으로 중지되면서 다시 철도를 이용하는 수밖에 없어졌다. 공항노선은 구간 승차가 불가능하다. 버스로 이동하려면 터미널에서 20m 정도 떨어진 약국 앞에서 원평으로 가는 버스를 타거나 화호행 버스를 타고 김제시 시내버스로 갈아타야 한다.[20] 평교 종점보다는 0.5km를 더 가서 평교사거리에서 기다리는 편이 낫다.[21] 서울호남-정읍 구간은 고속, 정읍-담양 구간은 시외로 운영된다.[22] 07:15, 09:15, 15:15 외의 시간은 정읍공용버스터미널에서 이용해야 한다. 현재 정읍행 일반고속 3회만 태인을 경유하고, 서울호남 방향은 전편 모두 태인을 경유하지 않는다. 2023.04.16에 중앙고속에 직접 전화로 문의함.[23] 이렇게 된 것은 태인터미널 현 부지에 사유지 일부가 편입되어 있어 소유권 분쟁에 휘말려 있기 때문이다.[24] 08:00, 10:00, 12:50, 14:50, 17:10, 18:40[25] 단, 산외, 산내 방면에서 오는 노선들은 기존 노선과 동일하게 칠보면 사무소 앞을 경유한다.[26] 발권은 만복슈퍼에서 할 수 있지만 슈퍼가 문을 닫았을 경우에는 현금 승차하는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