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3 19:32:09

고속버스 서울호남-광주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문서가 존재하는 서울특별시 출발 고속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8f8f8f,#555555> 서울경부 ↔ 강릉 ↔ 경주 ↔ 공주 ↔ 구미
↔ 금산 ↔ 김천 ↔ 김해 ↔ 대전복합
↔ 대전청사 ↔ 동대구 ↔ 부산 ↔ 부산사상
↔ 삼척 ↔ 세종 ↔ 울산 ↔ 원주
↔ 제천 ↔ 진주 ↔ 청주고속 ↔ 마산
↔ 창원 ↔ 밀양 ↔ 상주 ↔ 영월
↔ 통영 ↔ 포항 ↔ 영천 ↔ 점촌
↔ 원주혁신도시
서울호남 ↔ 광주 ↔ 군산 ↔ 목포 ↔ 순천
↔ 연무대 ↔ 여수 ↔ 완도 ↔ 유성
↔ 충주 ↔ 당진 ↔ 청양 ↔ 남원
↔ 서산 ↔ 익산 ↔ 정읍 ↔ 전주
↔ 영광 ↔ 동광양 ↔ 녹동 ↔ 태안
↔ 안면도 ↔ 홍성 ↔ 예산 ↔ 보령
서울남부 ↔ 고현 ↔ 세종
동서울 ↔ 강릉 ↔ 삼척 ↔ 충주 ↔ 청주고속
↔ 대전복합 ↔ 광주 ↔ 전주 ↔ 동대구
↔ 부산 ↔ 부산사상 ↔ 마산 ↔ 진해
↔ 창원 ↔ 진주 ↔ 구미
}}}}}}}}} ||

파일:광주광역시 휘장.svg 문서가 존재하는 광주광역시 고속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ef4123><colcolor=#fff> 수도권 ↔서울호남 ↔동서울 ↔인천
↔성남 ↔수원 ↔의정부
호남 ↔전주
강원 ↔원주 ↔춘천
대전/충청 ↔대전복합 ↔유성 ↔천안
↔청주
대구/경북 ↔동대구 ↔포항
부산/울산/경남 ↔부산 ↔부산서부 ↔울산
↔진주
}}}}}}}}} ||
파일:20171130091159629mlnm.jpg
파일:segjeb-ngs.png
금호고속 소속 프리미엄 버스 중앙고속 소속 차량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시각표4.2. 운임표
5. 연계 철도역6. 기타

1. 노선 정보

고속버스 서울호남 - 광주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호남_광주종합.png
기점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센트럴시티) 종점 광주광역시 서구 광천동(광주종합버스터미널)
광주행 첫차 05:30 서울행 첫차 04:00[월]
막차 01:00(화~금)
02:00(토~월)
막차 00:45(화~금)
01:00(토)
02:00(일~월)
배차간격 5~10분[2][3]
운수사명 금호고속, 중앙고속 인가대수 166대[4]
상세 노선 센트럴시티 - 잠원IC/반포IC- 경부고속도로 - 천안JC - 정안알밤휴게소[5] - 논산천안고속도로 - 논산JC - 호남고속도로 - 비아[6] - 동림IC - 빛고을대로 - 무진대로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2. 개요

서울특별시광주광역시를 잇는 고속버스 노선. 금호고속중앙고속에서 운행하고 있다.

소요시간은 휴게소 15분 휴식을 포함하여 약 3시간 30분[7], 거리는 터미널에서 터미널 기준 약 291km. 주로 상행선은 이인휴게소, 하행선 탄천휴게소에서 쉬며, 심야시간대는 상행 천안삼거리휴게소, 하행 이서휴게소에서 쉬거나 무정차로 운행할 때도 있다. 매 시간대에 30분에 출발한 우등고속버스는 정안알밤휴게소로 들어간다.

3. 역사

  • 1967년에 금호고속이 '광주여객[8]'의 사명으로 광주-서울 직행버스 운행을 시작한 것이 이 노선의 시초이며, 동시에 금호고속의 시초이기도 하다. 지금도 금호고속의 최고 주력 노선이다. 금호고속 홈페이지[9]
  • 1992년부터 우등고속버스를 도입, 운행을 개시하였다.
  • 같은 해에 광주측 터미널이 현재의 유스퀘어로 변경했다.
  • 프리미엄 버스 도입 당시 서울 ↔ 부산 노선과 함께 프리미엄 버스 시범운행 노선으로 지정되었고, 이에 따라 2016년 11월 25일부터 프리미엄 버스를 투입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4. 특징

운행계통 서울호남 정안알밤[11] 비아(광주행) 광주
고속
  • 금호고속과 중앙고속의 대표 노선으로, 전국 고속버스 노선 중에서 인가대수가 제일 많은 노선이다. 한편 전국 시내버스 중에서 인가대수가 제일 많은 노선은 부천 버스 88이다. 한 마디로 이 노선은 고속버스계의 부천 88번, 서울 9401번, 옛 19번, 옛 1005-1번[12] 같은 존재.
  • 센트럴시티의 4번 플랫폼을 광주행 버스가 독점적으로 쓰고 있다.
  • 상술한 것처럼 많은 운행 횟수로 인한 혼잡 발생 및 차량 오인승차 우려로, 일부 시간대만 정안알밤휴게소를 경유한다. 정안알밤휴게소를 경유하지 않는 차량은 이인휴게소(서울행), 탄천휴게소(광주행), 이 두 휴게소에서 주로 쉬었다 간다.
  • 한때 비아정류소에서 중간 하차하였으나, 지금은 명목상으로 모든 차량이 비아에 정차한다. 비아행으로 발권이 따로 되는 것은 아니고, 똑같이 광주행을 발권하고 타야 한다. 일부 차량만 경유했을 때에는 정안알밤휴게소와 마찬가지로 전부 다 경유하면 혼잡해지기 때문에 이렇게 하였으나, 지금은 출발 전에 비아 하차 승객을 확인하고 해당 인원이 없으면 무정차 통과하기 때문에 굳이 그렇게 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 예나 지금이나 고속/시외버스를 통틀어 엄청난 수요로 유명한 노선이지만 2015년 호남고속선 개통 이후 조금 시들해져서 1분 배차는 명절때가 아니면 옛말이 되었고[15] 현재 이용객 1위는 시외버스 서울 ↔️ 천안 노선에 1위 자리를 내주고 말았다. 하지만 3시간이 넘는 장거리 노선 중에서는 여전히 독보적이며, 특히 논산천안고속도로가 개통되었지만 KTX호남고속선 1단계가 개통하기 전인 2003년 ~ 2015년 3월 말까지가 이 노선의 최대 전성기였다. 호남고속선 1단계 개통 전까지의 호남선 KTX는 가격 대비 시간 단축 효과가 너무 떨어져 큰 인기를 끌지 못했다.
  • 총 거리는 291km[16]이고, 호남선 고속버스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노선이다. 수요가 전국 고속버스 가운데 압도적 1위인 장거리 노선인 만큼 앞으로도 전국 고속/시외버스 매출 1위 노선 자리는 확고하게 지킬 것이다.
  • 배차가 많은데다 광주터미널이 호남 지역 전체의 교통 허브 역할도 하다 보니 목적지가 광주가 아닌 다른 목적지로 환승하는 데 쓰이기도 한다. 대표적인 데가 장성, 담양, 나주, 화순, 장흥, 강진, 해남, 완도에서 많이 이용하고 있다.
  • 처음에는 금호, 중앙, 한진, 동양 4개사가 공동으로 운행했으나.. 81년 동양의 서울-목포와 금호 운행분을 맞바꾸면서, 이후 금호 서울-포항과 한진 운행분을 맞바꾸면서 금호 운행횟수가 늘어난것이다... 그 사이에 중앙은 변동없이 운행중이다.

4.1. 시각표

코버스 상으로는 3시간 20분[19]으로 되어있는데 이 소요시간은 단 한번도 안 막히고 신호도 한번도 안막히고 완전 논스톱으로 주행 시 기준이고, 사실상 3시간 30분 ~ 4시간이라고 보면 된다.[20](정체구간 발생 시 최소 4시간 이상 소요) 이는 상행선도 마찬가지다.[21]

정체가 심한 시간대(특히 금요일 광주발 2시 ~ 3시 출발)에는 심하면 5시간 가까이 걸리기도 한다. 안성IC가 가장 막히는 시간과 겹친다..

4.2. 운임표

일반 우등 프리미엄 심야일반 심야우등 심야프리미엄 할증일반 할증우등 할증프리미엄
성인 19,000원 28,100원 36,500원 20,900원 30,900원 40,100원 22,800원 33,700원 43,800원
아동 9,500원 14,100원 18,300원 10,500원 15,500원 20,100원 11,400원 16,900원 21,900원

5. 연계 철도역

6. 기타


[월] 월요일은 03:00 심야(할증)프리미엄 차량이 거의 고정적으로 임시편성 된다. 이때문에 일요일에서 월요일로 넘어가는 서울행은 사실상 24시간 운행이다. 만약 월요일이 공휴일이라면 공휴일 다음 평일로 넘어가는 새벽에 편성.[2] 명절 등 수요 폭등 시에는 사람 다 차는 대로 출발. 2020년도부터 2022년 상반기까지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거리두기 여파로 평일에는 일 50 ~ 60회 주말에는 일 100 ~ 110회 가량만 운행하였다. 2023년 현재는 단계적 일상회복 시대로 도래함에 따라 배차간격이 코로나 이전 시절로 다시 좁혀졌다.[3] 이에 견줄만한 노선은 줄서서 탑승하는 시외버스 서울경부-천안이라던가 시외버스 부산서부-창원·마산시외버스 부산서부-김해장유 정도 뿐이다. 이들 노선도 승객들이 붐비는 피크시간대에는 배차간격이 5분 이내로 좁혀진다.[4] 금호 133대중앙 33대로 구성된다. 금호고속의 제1노선인 만큼 자사 인가차량이 압도적으로 많을 수 밖에 없는데, 놀랍게도 중앙고속 역시 자사 인가차량이 제일 많은 노선이다.[5] 매 시간 30분에 출발한 우등/일반고속버스만 이 휴게소로 들어오고 나머지 시간대 차량들은 주로 이인휴게소(서울행), 탄천휴게소(광주행)에서 들어간다. 심야시간대는 여산휴게소이서휴게소에서 쉴 때도 있다.[6] 광주행은 희망시 정차. 하차만 가능. 상행선 일부 차량 정차.[7] 코버스에는 3시간 20분으로 나와있다.[8] 광주고속으로 바뀐것은 대한민국에 고속버스라는 개념이 처음 생긴 1970년부터다.[9] 처음부터 금호고속 독점인줄아는데... 처음부터는 아니였고, 중앙,한진,동양,금호 4개사 공배였다... 접차 금호가 인수하면서 금호/중앙 2개사 공배체제로 바뀐것이다. 즉, 중앙시간분은 그대로 다니고 금호시간대는 기존 동양,한진 인수분이여서 횟수가 많아진것뿐이다.[10] #[11] 호남지선 경유 시 옥산(하행)/신탄진(상행)휴게소 정차. 심야시간대에는 여산휴게소에 정차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이서휴게소에 정차하기도 하였다. 사실상 기사 마음인 듯.[12] 다만 이 노선은 신흥 강자 등장의 영향으로 20대 가량으로 감차당했다.[13] 서울 ↔️ 부산 고속버스 노선의 인가대수도 40여대 정도밖에 안된다. 이는 부산 거리가 광주보다 더 멀어서(광주 291km, 소요시간 3시간 30분 ~ 4시간. 부산 380km, 소요시간 4시간 10분 ~ 4시간 40분.) 경부고속철도김포국제공항항공기 이용 비중이 버스에 비해 압도적이기 때문이며, 버스 자체적으로도 서부산행 고속버스나 시외버스 등의 대체재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부산역김해국제공항,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의 접근성이 부산종합버스터미널에 비해 좋기 때문이기도 하다. 경부고속선은 선형이 전세계에서 수준급에 들어갈 정도로 일직선 구간이 대부분이고, 경부선 철도도 선형이 중부내륙고속도로경부고속도로와 차이가 없을 정도로 비교적 우회 코스가 적어 이용객이 많다. 반면 광주의 경우 서대전을 거쳐 가는 호남선 철도는 논산천안고속도로 - 호남고속도로에 비해 돌아가며, 호남고속철도경부고속철도에 비하면 선형이 좋은 편이 아니고, 광주공항에서 김포로 오가는 항공편은 편도 기준 아시아나항공 하나만으로 1일 2회 밖에 안된다. 게다가 유스퀘어(광주종합버스터미널)의 접근성이 광주송정역광주공항에 비해 나은 편이며, 호남권은 여객열차 편수가 영남권보다 적다. 소요시간과 거리를 생각해본다면, KTX 개통 이전의 서울 ↔️ 동대구 노선이 5분 배차였던 관계로 광주, 대구와 함께 장기군림하긴 했다.[14] 금호고속의 배차가 압도적이어서 잘 알지 못하는 사실 인데 중앙고속에서도 제일 많이 배차 되어 있는 노선이 서울 - 광주 노선이다. 서울 - 부산 배차 대수의 2배 이상 배차되어 있다.[15] 물론 명절이 아니더라도 휴가철만 되면 1분까지 줄어들기도 한다.[16] 호남지선 경유 시 300 ~ 320km. 산악지형+동고서저 지형을 지닌 우리나라 특성상 서쪽인 서울에서 동쪽인 경상도/강원도로 가는 경부, 영동선은 소백산맥을 비롯하여 내륙의 험준한 산지를 뚫고 가야 하다 보니 대부분의 노선들이 구불구불한 루트로 되어 있다. 반면 호남선은 지형이 비교적 험하지 않은 경로로 남쪽으로만 쭉 내리꽂는 일직선에 가까운 구간이라 경부선보단 낫다.[17] 주로 명절연휴 시에 이와 같은 루트 이용. 심지어 명절연휴 아니어도 천안 분기점 정체 시 회덕 분기점 에서 빠지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호남지선 유성 나들목까지 서울 ↔ 유성 고속버스와 운행 구간이 완전히 겹친다.[18] 심야 시간대나 일부 프리미엄 버스는 여산을 아직도 경유한다. 예전만큼은 아니지만 여전히 호남선 장거리 노선의 중간 휴게소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는 중.[19] 루트가 경부 - 논산천안 - 호남 가는 경우만 해당. 호남지선으로 간다면 최소 3시간 40 ~ 50분, 거리는 300 ~ 320km이며 이것도 한번도 막히지 않고 최고전속력으로 주행 시 얘기고 호남지선 경유 시 평소에는 3시간 50 ~ 4시간이다.[20] 단, 심야 시간대에는 최소 2시간 50분 ~ 3시간 20분 소요(휴게소 정차 시간이 10분 미만일때와 신호도 한번도 빨간불이 아닐때와 최고전속력으로 주행 시 기준)[21] 심야시간에는 휴게소 정차 시간이 3분 미만일때 2시간 50분 ~ 3시간 10분만에 도착할 때도 있다. 왜냐하면 새벽시간대에는 정체구간이 하나도 없고 최고전속력으로 달리기 때문.[22] 계속된 증편으로 배차 간격이 2분까지 줄어드는 일까지 생겼다.[23] 사진은 3차전 경기일 캡처인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