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6 19:46:41

젤다의 전설 지혜의 투영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362c2b><tablebgcolor=#362c2b> 파일:Royal_Crest_TP.png젤다의 전설
메인 시리즈 일람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2D
파일:TLoZ_Japanese_Logo.png 파일:TAoL_Japanese_Logo.png 파일:무제3_20220409050821.png 파일:젤다의 전설 꿈꾸는 섬 로고 한글 녹색.png
젤다의 전설 링크의 모험 신들의 트라이포스 · 4개의 검 꿈꾸는 섬 · DX · 2019
파일:0409043451427300-removebg-preview.png 파일:무제6_20220409035804.png 파일:FSA_Japanese_Logo.png 파일:TMC_Japanese_Logo.webp
이상한 나무열매 4개의 검 · 25주년 기념 에디션 4개의 검+ 이상한 모자
파일:PH_Korean_Logo2.png 파일:ST_Japanese_Logo.webp 파일:젤다의 전설 신들의 트라이포스 2 로고.webp 파일:main_ti.png
몽환의 모래시계 대지의 기적 신들의 트라이포스 2 트라이포스 삼총사
파일:젤다의 전설 지혜의 투영 임시 방편 로고.png
지혜의 투영
3D
파일:시오3d.png 파일:무쥬라3d.png 파일:TWW_Japanese_Logo.webp 파일:TP_English_Logo.png
시간의 오카리나 · GC · 3D 무쥬라의 가면 · 3D 바람의 지휘봉 · HD 황혼의 공주 · HD
파일:SS_English_Logo.webp 파일:젤다 야숨 로고.png 파일:티어즈 오브 더 킹덤 한국 로고.png
스카이워드 소드 · HD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 티어스 오브 더 킹덤
기타
파일:CE_Japanese_Logo.webp
컬렉션 }}}}}}}}}
외전 · 등장인물 · 관련 문서 · 타임라인
젤다의 전설 지혜의 투영
ゼルダの伝説 知恵のかりもの
The Legend of Zelda: Echoes of Wisdom
<nopad>파일:game_nintendo-20240619-021248-000.webp
<colbgcolor=#b69c65> 개발 닌텐도 | GREZZO
유통 닌텐도
플랫폼 Nintendo Switch
ESD 닌텐도 e숍
장르 퍼즐, 어드벤처
발매일 파일:세계 지도.svg 2024년 9월 26일
한국어 지원 자막 지원
심의 등급 파일:CERO A.svg CERO A
판매량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파일:일본 국기.svg
상점 페이지

1. 개요2. 발매 전 정보3. 특징
3.1. 투영
4. 등장인물5. 평가6. 관련 상품7. 기타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젤다의 전설 시리즈의 21번째 작품이자 젤다의 전설 트라이포스 삼총사 이후 약 9년 만에[1] 발매되는 2D 탑뷰 시리즈의 타이틀이다.

2. 발매 전 정보

2024.6.18. 닌텐도 다이렉트 첫 공개 트레일러 (영문판)
  • 2024년 6월 18일 닌텐도 다이렉트에서 최초 공개되었다. 젤다가 주인공으로 등장하기는 하지만 '젤다가 칼을 휘두르는 액션 게임'은 아니며, 적재적소에 투영물[2]을 카피하고 지형을 창조하여 맵을 돌파하는 퍼즐 형식의 게임이 될 것임을 예고했다.
  • 하이랄 곳곳에 생겨난 보랏빛 균열의 모습으로 나타나는 '증발'[3]이라는 현상이 중요하게 다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트레일러 초반부터 링크와 가논이 결전을 벌이다가 해당 현상에 휘말려 사라지는 모습이 나왔으며, 이에 따라 본작의 내용 또한 젤다가 역으로 링크를 구출하고 균열 현상을 막기 위해 모험하는 내용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

3. 특징

  • 젤다의 전설 메인 시리즈 최초로 젤다플레이어블 캐릭터로 등장한다. 스핀오프 작품을 포함해 닌텐도 콘솔이 아닌 쪽까지 따지면 젤다의 전설 CD-i 시리즈가 있지만, 해당 시리즈는 닌텐도 제작도 아닐뿐더러 심각하게 하자가 많은 게임이기에 공식적으로 언급조차 되지 않는다. 이를 포함하더라도 젤다가 주인공인 작품은 무려 31년 만이다.[4] 검과 다양한 도구를 주로 사용하는 링크와 달리 본작의 젤다는 주로 트리의 마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존의 젤다의 전설 시리즈와 플레이 방식이 완전히 다르다.
  • 젤다의 전설 신들의 트라이포스와 유사하나 새로운 지역들이 추가되었다. 특히 헤브라 산과 미로숲의 서쪽에 데스 마운틴으로 추정되는 활화산이 등장하고, 조라, 겔드 마을의 등장도 확인되었기 때문에 맵이 크게 확장되었다는 추정도 있다.
  • 젤다의 전설 꿈꾸는 섬 리메이크에서는 이동 방향이 8방향으로 제한되었지만 본작에서는 360°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며, 상시 60프레임을 지원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작격인 꿈섬 리메이크의 단점이 프레임 드랍이었던만큼, 본작에서는 보다 더 최적화에 신경쓴듯.

3.1. 투영

본작의 핵심 기믹. 젤다는 요정 트리로부터 받은 아이템인 '트리 로드'를 사용해 사물을 등록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 복제품을 생성할 수 있다.

젤다가 복제할 수 있는 사물은 평범한 물건부터 '물 블록' 같은 특이한 오브젝트도 있으며 몬스터를 쓰러뜨린 후 복제해 아군으로 소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군으로 소환한 몬스터는 단순히 대신 싸워주는 것에 그치지 않고 비행형 몬스터를 붙잡고 활공을 하거나 불을 내뿜는 몬스터로 초목을 불태우는 등 활용도가 무궁무진하다. 또, 침대 같은 물건을 쌓거나 물 블록을 중첩시켜 벽을 넘거나, 먹이를 만들어 몬스터를 유인한 다음 다른 몬스터를 소환해 처치하는 등 야숨, 왕눈처럼 폭넓은 창발적 플레이의 가능성을 품고 있다.

투영물들의 생성에는 트리의 힘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트리의 꼬리의 삼각형 장식을 일종의 코스트로 사용한다. 투영물에 따라 소비 코스트가 다르다.[6] 시간이 지나면 투영물이 점멸하는것을 보면 시간 제한도 있는 모양. 이후 게임을 진행하면서 코스트나 시간 제한을 늘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부제인 지혜의 투영처럼 다양한 사물이나 몬스터들을 지혜롭게[7] 잘 활용하는 것이 본작의 기본 공략방식이 된다.

4. 등장인물

파일:zd_젤다와트리.webp
젤다와 트리
  • 젤다
    본작의 주인공. 가논에게 납치당했다가 링크의 활약으로 풀려난다. 하지만 가논이 쓰러진 자리에서 수수께끼의 균열이 발생, 하이랄 전역 곳곳에 퍼지고, 링크를 비롯해 수많은 사람과 물건이 휘말려 '증발'되자 이를 해결하기 위해 트리와 함께 나선다.
    초반 가논에게 잡혀있을 때엔 공주 의상을 입고 있지만, 모험을 시작하면서 좀 더 모험가스러운 복장이 된다. 특히 링크가 벗어두었던 후드를 써서 얼굴을 가리고 다니는데 아마 자신의 신분을 감추기 위해서인 것으로 추정된다. 또, 공식 홈페이지의 메인 비주얼 오른쪽 끝을 잘 보면 마치 젤다를 수배하는듯한 전단지가 붙어있기도 하다.
  • 트리
    젤다 앞에 나타난 신비한 요정. 물건을 복제할 수 있는 아이템 「트리 로드」를 주고 젤다의 모험에 동행한다. 머리의 삼각형 장식과 'Tri'라는 이름으로 미루어보아 트라이포스, 그 중에서도 젤다의 지혜의 트라이포스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트레일러에서는 뒤에 따라다니는 삼각형 모양의 물체 갯수가 다르고, 무언가를 사용할 때마다 이것이 날아가는 것으로 보아 이 삼각형이 투영할 수 있는 물체의 갯수에 영향을 주는 것 같다.
  • 링크
    하이랄의 용사. 젤다를 납치한 가논을 쓰러뜨리지만, 이상한 균열에 빨려 들어가고 만다. 균열에 증발되기 직전 화살을 날려 젤다의 봉인을 깬다.
  • 가논
    늘 그렇듯 젤다를 납치했다가 링크에게 쓰러지지만, 들고있던 창이 이상한 균열을 일으켜 링크가 빠져버리고 만다.
  • 조라족
    이상한 나무열매 이후로 오랜만에 강 조라와 바다 조라가 함께 등장한다.
  • 겔드족
    2D 젤다에서는 4개의 검 + 이후 20년 만에 등장한다.[8]
  • 데크넛츠

5. 평가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rowcolor=#ffffff,#dddddd> 플랫폼 메타스코어 유저 평점


[[https://www.metacritic.com/game/the-legend-of-zelda-echoes-of-wisdom/critic-reviews/?platform|
-
]]


[[https://www.metacritic.com/game/the-legend-of-zelda-echoes-of-wisdom/user-reviews/?platform|
-
]]


||<-3><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333,#555><table bgcolor=#fff,#1c1d1f><bgcolor=#333>
기준일:
2024-09-26
파일:오픈크리틱 로고.svg ||
[[https://opencritic.com/game/16869/the-legend-of-zelda-echoes-of-wisdom| '''평론가 평점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https://opencritic.com/game/16869/the-legend-of-zelda-echoes-of-wisdom| '''평론가 추천도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6. 관련 상품

  • Nintendo Switch Lite 하이랄 에디션
    파일:Nintendo Switch Lite 하이랄 에디션.webp

    게임 발매와 동시 발매된다. 전체가 황금색이며, 앞면에는 작은 트라이포스가, 뒷면에는 커다란 하이랄 상징이 그려져 있다.

7. 기타

  • 공개 이후 폭발적인 반응을 일으키며 '진짜 젤다의 전설'이라며 드디어 이름값을 하게 됐다거나 혹은 링크의 전설이라 부르거나 보라 드레스 입은 애가 링크죠?라는 말이 나오는 등 여러 우스갯소리가 나오는 중이다. 이는 미국과 유럽권 유튜버들의 반응에서도 똑같아서, 유튜버들이 말했던 'actual Zelda game(진짜 젤다 게임)'이나 'literal Zelda game(문자 그대로 젤다 게임)' 등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 이 게임의 발표 이후 한국에서는 과거 한국닌텐도 공식 채널에서 업로드했던 닌텐도 3DS의 친구모아 아파트의 기능을 이용해 만든 링크의 노래[9] 영상이 재조명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위 문서 참고. #
  • 원제 '知恵のかりもの'는 '지혜의 대여물(빌린 물건)'이라는 뜻이다. 본작에서 젤다가 마법으로 만들어 내는 복제물들은 '투영'[10]이라고 표현된다.
  • 시열대가 복잡한 젤다의 전설 시리즈 중에서도 본작이 어느 시열대에 위치할지 추측이 많은 작품이다. 소개 영상에서 링크가 하일리아의 후드, 골렘의 활과 유사한 장비들을 사용하고, 겔드 마을의 건축 양식과 바다 조라의 외형으로 보아 최신작인 야숨과 왕눈이 연관된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야숨 이후 기존 시열대로부터의 타파를 시도한 만큼 완전히 별개의 새로운 세계관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 다만 야숨 이후엔 등장하지 않는 데크넛츠들이 나오는 것을 보면 용사 승리 7년 전 시열대일 수도 있다는 의견, 꿈꾸는 섬 리메이크의 아트 스타일을 차용했고 하이랄의 지형이 신들의 트라이포스의 하이랄과 거의 일치하며 초반부 젤다의 디자인이 이상한 나무열매와 동일하고 가논이 겔드의 형태가 없는 돼지의 형상으로 등장하는 것을 보아 용사 패배 시열대일 수도 있다는 의견도 제시되었다.
  • 디자인적으로 보았을 때 이상한 나무열매와 비슷하게 꿈꾸는 섬의 디자인을 기반으로 다른 작품들의 디자인이 많이 섞여 있는 것이 특징이다. 대표적으로 하이랄 병사들과 바다 조라의 경우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의 디자인으로 등장하며, 링크가 후드를 착용한 모습은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의 요소이며 사용하는 활은 티어스 오브 더 킹덤에 등장하는 골렘의 활 계열 디자인과 흡사하다. 몬스터들의 경우 옥타록, 모리블린, 터틀너크, 비해트, 짜리 등은 전통 디자인을 따르지만 리잘포스, 리데드, 데크넛츠 등은 시간의 오카리나, 데크바바는 스카이워드 소드의 디자인으로 등장한다. 잠수할 때 뜨는 산소 게이지 UI 또한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의 스태미나 게이지 디자인과 흡사한 편.
  • 최종보스에 대한 의견이 많다. 왜냐하면 가논은 이미 링크가 처치했기 때문. 여러 가지 의견이 있는데 "가논이 사실 살아있을지 모른다."부터 "잠식된 링크와 직접 싸워 구해야 할지도 모른다."[12] 의견까지 다양하다. 아니면 다크 링크의 등장도 배제할 수 없다.
  • 이번 작품의 젤다는 링크가 그랬듯이 과묵한 주인공이 될 가능성이 높다. 전작들의 젤다 역시 컷신이나 이벤트 장면 정도에서나 말을 했었지만,[13] 이번 작품의 젤다는 플레이어블인 만큼 특히나 조용한 모습을 보일 것으로 보인다.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362c2b> 파일:Royal_Crest_TP.png젤다의 전설
타임라인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스카이워드 소드
이상한 모자
4개의 검
시간의 오카리나
<rowcolor=#362c2b,#b69c65> 용사 패배 용사 승리
<rowcolor=#362c2b,#b69c65> 7년 전 7년 후
신들의 트라이포스 무쥬라의 가면 바람의 지휘봉
꿈꾸는 섬
이상한 나무열매
대지의 장
이상한 나무열매
시공의 장
황혼의 공주 몽환의 모래시계
신들의 트라이포스 2
트라이포스 삼총사 4개의 검+ 대지의 기적
젤다의 전설
링크의 모험
<rowcolor=#362c2b,#b69c65> 먼 미래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
티어스 오브 더 킹덤
}}}}}}}}} ||
메인 시리즈 일람


[1] 리메이크까지 포함한다면 젤다의 전설 꿈꾸는 섬(2019) 이후 약 5년 만이다.[2] 테이블, 침대, 바위 같은 단순한 사물에서부터, 모리블린 등 적으로 등장하는 몬스터들까지도 복사하는 모습이 나온다.[3] '카미카쿠시'(일본어판)/'Stolen Away(빼앗김)'(영어판). 카미카쿠시는 한국어로 대체할 수 있는 단어가 없으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의 예시처럼 일반적으로는 행방불명으로 번역된다. 카미(신)라는 단어에서 볼 수 있듯 단순한 실종보다는 신성함, 자연재해스러운 어감이 있는 단어이기 때문이다.[4] 물론 젤다는 원래부터 플레이어블 캐릭터만 아닐 뿐 또 다른 주인공이긴 하다. 특히 대지의 기적에서는 링크와 함께 모험하며 팬텀에 빙의해 협동하기도 하고,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 티어스 오브 더 킹덤은 젤다의 행적과 심리 묘사가 중심이 되어 링크보다도 입체적인 주인공이라고 평가받는다.[5] 이러한 이유로 꿈꾸는 섬의 시퀄이라는 추측이 있지만, 정확한 시열대는 밝혀지지 않았다.[6] 트레일러상으로는 일반적인 사물은 1개, 모리블린 같은 몬스터는 2개지만, 리데드는 3개를 코스트로 지불해야 하는 것으로 추정한다.[7] 젤다를 상징하는 가치인 지혜를 반영한 듯 하다.[8] 외전 콜라보 게임을 포함하면 케이던스 오브 하이랄: 크립트 오브 더 네크로댄서 feat. 젤다의 전설 이후 5년 만이다.[9] 노래 만들기 기능을 활용한 것으로, 작사도 가능했었는데, 제4의 벽을 뚫고 나온 듯한 링크의 설움을 잘 담아낸 가사로 특히 젤다 유저들에게 웃음을 자아냈다.[10] '빌린 것(かりもの)'(일본어판), '모방(Echoes)'(영어판)[11] 리메이크나 이식을 제외한 완전 신작 기준으로 보면 젤다의 전설 트라이포스 삼총사 이후 9년 만이다.[12] 위 포스터에 악의 기운에 잠식된 듯한 링크가 보이기 때문에 가능성이 있다.[13] 예외적으로 테트라, 대지의 기적의 젤다, 스카이워드 소드의 젤다는 성격이 활발하거나 친근하기에 말이 많은 편이고,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 티어스 오브 더 킹덤의 젤다는 젤다의 심리에 대한 묘사가 많은만큼 말을 많이 하는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