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1 21:56:17

조로수호통상조약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개항기 조선 · 대한제국이 타국과 맺은 통상 조약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조일수호조규 조일수호조규부록
조일무역규칙 조일수호조규속약
한국간행이정협정 조일기류지간행이정약조
조미수호통상조약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조영수호통상조약 조독수호통상조약
조일통상장정 조이수호통상조약
조로수호통상조약 조불수호통상조약
조로육로통상조약 조오수호통상조약
한청통상조약 한백수호통상조약
한정수호통상조약
}}}}}}}}}||
조로수호통상조약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107호 108호 109호
태종왕지 윤림분 조아통상조약(한문, 아문) 조영통상조약(영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한러관계 관련 문서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0><colcolor=#fff> 역사 나선정벌 · 조러관계 · 조로수호통상조약 · 거문도 점령 사건 · 제주성 위협사건 · 아관파천 · 주한러시아공사관 · 한소관계
사건사고 거문도 점령 사건 · 제주성 위협사건 · 아관파천 · 6.25 전쟁 · 대한항공 902편 격추 사건 ·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 러시아 한국인 간첩 혐의 체포 사건
외교 한러관계(2020년대) · 주러시아 대한민국 대사관 · 주한러시아대사관
기타 한국군 vs 러시아군 · 한중러관계 · 남북러관계 · 한러일관계 · 한국-사하 공화국 관계 · 한국-만주 관계 · 반러/대한민국 · 불곰사업 · 나로호 · 팔도 도시락 }}}}}}}}}

}}}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08호
조아통상조약(한문, 아문)
朝俄通商條約(漢文, 俄文)
소재지 <colbgcolor=#fff,#191919>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산 60-1
(국립중앙도서관)
분류 기록유산 / 문서류 / 관부문서 / 증빙류
수량 / 면적 2책(冊)
지정연도 1998년 12월 26일
관리자
(관리단체)
국립중앙도서관
파일:조아통상조약.jpg
<colbgcolor=#C00D45> 조로수호통상조약[1]
1. 개요2. 배경3. 체결4. 조로육로통상조약

[clearfix]

1. 개요

파일: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제작 태극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대조선국 러시아 제국
조로수호통상조약 | 朝露修好通商條約
한국어 <colbgcolor=#fff,#191919> 조아통상조약(朝俄通商條約)
러시아어 Российско-корейский договор 1884 года

1884년에 조선러시아 제국이 체결한 통상조약.

2. 배경

1860년의 베이징 조약에 의해 비로소 조선은 러시아 제국과 국경을 마주하게 되었다(연해주 설치). 러시아 역시 새롭게 국경을 접하게된 조선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1864년(고종 1년) 러시아인들이 함경도의 경흥부에 방문해 조선 정부에 통상을 요구하였다. 당시 흥선대원군[2]천주교신자를 통해 영국, 프랑스와 협력해 이들을 몰아내려고 했으나 프랑스인 신부들의 어정쩡한 태도로 거꾸로 병인박해병인양요의 원인이 되었다.

이후 러시아는 조선이 개항할 경우 후발자본주의 국가로서 서구 선진자본주의 국가들과의 경쟁에서 자신이 없었기 때문에 조선의 현상유지를 대조선정책의 기조로 삼았지만, 1876년 일본과의 강화도 조약 체결로 조선이 개항되자 상황이 변하게 되었다.

1882년 5월 22일 조미수호통상조약에 이어 1883년 11월 26일 조독수호통상조약조영수호통상조약이 맺어지자 러시아도 조선과의 국교체결에 적극 나섰다.

당시 러시아는 조선과의 수교를 위해 조선의 종주권을 주장하던 청나라의 이홍장에게 접근하지만, 러시아가 조선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이 못마땅했던 청나라는 이를 거절한다.

조선 정부 역시 1882년 임오군란 이후, 청나라의 간섭에 심해진 것이 크게 불만을 느껴 조선을 보호하기 위해 러시아와의 통상조약 체결을 원했다.

3. 체결

이러한 정세 속에서 주청러시아대사였던 카를 베베르는 당시 조선에서 외무차관과 해관총세사를 맡고 있던 독일인 묄렌도르프의 도움을 받아 1884년 7월 7일 조선측의 전권대신 외무독판 김병시(金炳始)와 '조로수호통상조약'과 '부속통상장정'을 체결했다.

이 조약의 결과, 러시아 역시 청·일본 및 영국, 미국 등 서구열강과 함께 조선의 정치 무대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1884년 통상조약 체결 당시에는 부산, 원산 및 인천 등 해상 교역이 주를 이루었다.

4. 조로육로통상조약

하지만, 당시 연해주 지역에서 상선이 부족했던 러시아에게는 해상무역이 무의미했기에 당연히 육상무역을 원했다. 결국 1888년 연해주와 함경도를 통한 두나라 간의 육상 무역을 하기 위한 조로육로통상조약이 체결되었다.


[1]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2] 이 역시 어느 정도는 천주교 신자인 신료들의 부추김이 있었을 것이라는 심증이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