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1-26 20:23:34

존 찰스

존 찰스의 수상 이력
{{{#!folding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파일:세리에 A 로고.svg
베스트팀

1959 Ballond'or
수상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2위
레몽 코파
3위
존 찰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000,#e5e5e5
바실리스
하치파나기스

파일:그리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요한
크루이프

파일: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루네
브라체트

파일: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미카엘
라우드루프

파일:덴마크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프리츠
발터

파일: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알렉산드르스
스타르코우스

파일:1200px-Latvian_Football_Federation_logo.svg.png
레프
야신

파일:러시아 축구 연합 로고.svg
게오르게
하지

파일:Federatia_Romana_de_Fotbal_logo.png
루이
필로

파일:Luxembourg FLF.png
아르미나스
나르베코바스

파일:리투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라이너
하슬러

파일:리히텐슈타인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다르코
판체프

파일:북마케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A]
파벨
체바누

파일:몰도바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카르멜
부수틸

파일:몰타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울
판힘스트

파일: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세르게이
알레이니코프

파일:벨라루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사페트
수시치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조지
베스트

파일:북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흐리스토
스토이치코프

파일:불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마시모
보니니

파일:San Marino FSGC 2021.png
드라간
자이치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1px-SiCGFSLogo.png
[A]
스테판
샤퓌자

파일: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헨리크
라르손

파일: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데니스

파일: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알프레도
디스테파노

파일: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포플루하르

파일: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브란코
오블라크

파일:슬로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호렌
오가네샨

파일:아르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아스게이르
시구르빈손

파일:Iceland KSÍ.png
조니
자일스

파일: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구형).svg
아나톨리
바니솁스키

파일:아제르바이잔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콜도
알바레즈

파일:안도라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나요트
파노

파일:알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마트

파일:에스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헤르베르트
프로하스카

파일: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올레흐
블로힌

파일: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찰스

파일:웨일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모르데하이
슈피글레르

파일:이스라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디노
조프

파일: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바비
무어

파일: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무르타즈
후르칠라바

파일:조지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요제프
마소푸스트

파일:체코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세르게이
크보치킨

파일:카자흐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다보르
슈케르

파일: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소티리스
카이아파스

파일:Cyprus CFA.png
하칸
쉬퀴르

파일: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아브라함
뢰킨

파일:페로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에우제비우
파일: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브워지미에시
루반스키

파일:폴란드 국장.svg
쥐스트
퐁텐

파일: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원정).svg
야리
리트마넨

파일:핀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푸슈카시
페렌츠

파일: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A] 2003년 수상 당시 국명[A]

}}}}}}}}}}}}}}} ||

}}} ||
웨일즈의 축구감독
파일:John_Charles.jpg
이름 존 찰스
John Charles, CBE
본명 윌리엄 존 찰스
William John Charles
출생 1931년 12월 27일
영국 웨일스 스완지
사망 2004년 2월 21일 (향년 72세)
영국 잉글랜드 웨스트요크셔 주 웨이크필드
국적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신체 188cm|체중 89kg
직업 축구선수(센터 포워드, 센터백[1][2] / 은퇴)
축구 감독
소속 <colbgcolor=#eeeeee,#191919> 선수 스완지 타운 AFC (1946~1948 / 유스)
리즈 유나이티드 FC (1948~1949 / 유스)
리즈 유나이티드 FC (1949~1957)
유벤투스 FC (1957~1962)
리즈 유나이티드 FC (1962)
AS 로마 (1962~1963)
카디프 시티 FC (1963~1966)
헤리퍼드 유나이티드 FC (1966~1971)
머티르 티드필 FC (1972~1974)
감독 헤리퍼드 유나이티드 FC (1967~1971 / 선수 겸 감독)
머티르 티드필 FC (1972~1974 / 선수 겸 감독)
해밀턴 스틸러스 (1987)
기타 웨일스 축구 협회 부회장 (2002~2004)
국가대표 38경기 15골 (웨일스 / 1950~1965)

1. 소개2. 선수경력3. 국가대표4. 은퇴 이후5. 기록
5.1. 대회 기록5.2. 개인 수상 기록

[clearfix]

1. 소개

웨일스의 前 축구선수로, 웨일스 축구 역사상 최고의 선수 중 한명[3]이며, 50년대 후반~60년대 초 세계 최고의 선수 중 하나였던 전설적인 축구선수이다. 포지션은 스트라이커부터 센터백까지 골키퍼를 제외한 모든 포지션을 소화할 수 있었던 올-라운드 플레이어였다. 또한 유벤투스에서 잠피에로 보니페르티, 오마르 시보리와 함께 당대 최고의 공격진, 트리오 마지코(마법의 삼각편대)를 구축한 유벤투스의 레전드이다.

찰스는 선수생활을 하면서 상대방에게 반칙을 저지르지 않은 그의 철학 때문에 경기 도중 옐로, 레드카드를 단 1번도 받은 적이 없다. 그리하여 그의 별명은 188cm의 큰 키에서 영감을 받은 신사 거인(Il Gigante Buono)이었다.

2. 선수경력

존 찰스는 1931년 12월 27일 웨일스 스완지에서 태어났다. 찰스는 어렸을 때부터 후에 웨일스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호흡을 맞추게되는 동생 멜 찰스와 축구를 했다.

그가 학교생활을 하는 동안, 그는 스완지 시티 AFC의 전신인 스완지 타운의 유소년클럽에 들어갔다. 14살때 학교를 그만 둔 후 베치 필드의 경기장 정비원으로 들어갔다. 그가 너무 어렸기때문에 스완지 타운은 그에게 1군 출전 기회를 주지 않았고, 웨일스 풋볼 리그의 비주전 팀에서 경기를 하였다.

2.1. 리즈 유나이티드 FC

1948년 9월 찰스는 리즈 유나이티드 AFC에서 입단 테스트를 받았고, 17살의 나이에 정식으로 계약을 맺었다. 리즈 유나이티드의 감독 프랭크 버클리는 그를 오른쪽 풀백과 센터하프, 레프트하프 자리에서 시험했다.

찰스는 1949년 4월 19일 퀸오브더사우스 FC전에서 센터백으로 데뷔를 했다. 같은 달에 블랙번 로버스 FC를 상대로 센터하프로 뛰며 리그 데뷔를 했다. 두시즌 후 몇몇 경기에서 센터포워드로 뛰면서 두 골을 연달아 넣자, 찰스의 포지션 배치에 대해 논쟁이 일었으나 1952-53 시즌까지 센터하프로 남았다. 찰스는 리즈 유나이티드에서 8년동안 뛰며 150득점을 기록하였다.

찰스는 또한 1950년부터 1952년까지 의무 병역으로 군에서 뛰었다. 그 시기에 찰스는 권투와 크리켓, 육상, 농구에 잠깐 손을 댔다. 이때 연골에 심각한 부상을 입어서 1951-52시즌 경기의 대부분을 놓쳤다. 그래도 1955-56 시즌 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며 승격 한 후, 그 다음 시즌인 1956-57 시즌에 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 득점왕을 차지하는 위업을 달성하기도 했다.

2.2. 유벤투스 FC

1957년 유벤투스 FC는 찰스를 영국 이적료 신기록 65,000파운드의 이적료로 영입했다. 찰스는 1948년 존 폭스 왓슨이 풀럼 FC에서 레알 마드리드 CF로 팀을 옮긴 후 해외로 이적한 최초의 영국 선수가 되었다.
파일:트리오마지코.jpg
트리오 마지코

이적한 후 잠피에로 보니페르티, 오마르 시보리와 함께 당대 최고의 공격진, 트리오 마지코(마법의 삼각편대)를 구축하여 60년대 유벤투스의 전성기를 이끌며 유벤투스의 10번째 스쿠데토 획득에 기여했다. 또한 이적한 첫 시즌인 1957-58 시즌에 28골을 득점하며 2시즌 연속 득점왕을 달성했다.

그는 유벤투스에서 5년동안 뛰며 총 155경기에 나와 93골을 넣었고, 3번의 리그 우승과 2번의 코파 이탈리아 우승을 이끌었다.

유벤투스 FC의 팬들은 1997년 클럽 100주년 기념해에 그를 클럽 역사상 최고의 외국인 선수로 선정하며 그에 대한 존경을 나타냈다.

3. 국가대표

찰스는 18번째 생일을 맞이한 후 웨일스 축구 국가대표팀에서도 활약했다. 그는 웨일스의 유일한 출전 월드컵인 1958 FIFA 월드컵 스웨덴에서 웨일스를 이끌었고, 조별예선에서 1954년 월드컵 준우승에 빛나는 헝가리 대표팀을 꺾는 파란을 일으켰다. 그러나 8강전에서 부상으로 결장해 펠레의 브라질에게 1-0으로 졌다.

찰스는 38경기에 나와 15골을 넣었다.

4. 은퇴 이후

찰스는 2001년 대영 제국 훈장 3등급(CBE)을 받았고, 사망하기 전까지 리즈 유나이티드의 모든 홈경기를 관람했다. 2002년 웨일스 축구협회의 부회장이 되었다. 2002년 영국 축구 명예의 전당에 헌약됐고, 리즈 유나이티드의 홈구장 엘런드 로드의 서쪽 관람석과 경기장 근처의 길 이름이 그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다.

2004년 1월, 이탈리아 방송국과의 인터뷰를 앞두고 심장마비를 느꼈고, 혈액 순환의 문제로 한쪽 발의 일부를 절단했다. 2004년 2월 21일 웨이크필드에서 사망하였다.

2003년 11월 2일 UEFA 창립 50주년 기념상을 수상했고, 2004년 '100인의 웨일스 영웅' 설문조사에서 19번째에 뽑혔다.

5. 기록

5.1. 대회 기록

5.2. 개인 수상 기록



[1] 찰스가 가장 잘 뛰었던 포지션을 말하자면 센터 포워드였지만 센터백에도 엄청난 활약을 보여줬다.[2] 찰스는 골키퍼를 제외한 모든 포지션이 소화 가능한 유틸리티 플레이어이다.[3] 21세기의 라이언 긱스가레스 베일이 그에 비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