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21 02:49:18

촌구석 아저씨, 검성이 되다(애니메이션 1기)



Prime Video 오리지널
'''{{{+1 촌구석 아저씨,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radial-gradient(ellipse at bottom, #f8bb00 0%, #f8bb00 20%, #734721 80%); background-clip: text; color: transparent" dark-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radial-gradient(ellipse at bottom, #f8bb00 0%, #f8bb00 20%, #a7672f 80%); background-clip: text; color: transparent"
<nopad> 파일:촌구석 아저씨, 검성이 되다 프라임 비디오 한글 비주얼.png
{{{#cca140,#cca140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cca140,#cca140> 장르 판타지
원작 사가자키 시게루(佐賀崎しげる)
나베시마 테츠히로(鍋島 テツヒロ)
감독 카즈미 아키오(鹿住朗生)
부감독 코가 노조미(古我 望)
카와시마 마사루(川島 勝)
시리즈 구성 오카다 쿠니히코(岡田邦彦)
캐릭터 디자인 하야사카 사츠키(早坂皐月)
총 작화감독
아트 디렉터 코가 노조미
컨셉 디자인 시마 스즈메(島すずめ)
유메노 레이(夢野れい)
색채 설계 스즈키 사키에(鈴木咲絵)
미술 감독 야마시타 야스키(山下泰希)
촬영 감독 이케다 켄이치(池田健一)
하야시 코지(林 幸司)
3D 제작 YAMATOWORKS
편집 탄 아야코(丹 彩子)
음향 감독 히라사와 히사요시(ひらさわひさよし)
음악 타카나시 야스하루
기획 쿄 미키토(許 樹人)
오노 히토시(小野 仁)
니시무라 히로아키(西村裕明)
유미야 마사노리(弓矢政法)
미야자키 세이지(宮崎誠司)
타케치 츠네오(武智恒雄)
칸베 무네유키(神部宗之)
쿠제 소헤이(久世壮平)
마츠우라 카츠요시(松浦克義)
나가야마 마사야(永山雅也)
히라사와 히사요시
프로듀서 히노 료(日野 亮)
엔도 카즈키(遠藤一樹)
마츠이 유코(松井優子)
이토 쇼타(伊藤渉太)
타지마 히로유키(田島宏行)
오자와 후미히로(小澤文啓)
콘도 치아키(近藤千昭)
아마노 토모히로(天野知宏)
코마츠 쇼타(小松翔太)
요시타케 신타로(吉武真太郎)
타카하라 히사야(高原久弥)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벳푸 요이치(別府洋一)
애니메이션 제작 팟쇼네 × 하야부사 필름(ハヤブサフィルム)
제작 촌구석 아저씨, 검성이 되다 제작위원회
방영 기간 파일:일본 국기.svg 2025. 04. 05. ~ 2025. 06. 21.
송신 기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5. 04. 06. ~ 2025. 06. 22.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테레비 아사히(IMAnimation)
(토) 23:30[1]
스트리밍
[[프라임 비디오|
prime video
]]
#!if 링크 != null
[[https://www.primevideo.com/detail?gti|▶]]
#!if 주석 != null
^^독점^^
#!if 링크1 != null
[[https://www.primevideo.com/|▶]]
#!if 주석1 != null
^^^^
#!if 링크2 != null
, [[https://www.primevideo.com/|▶]]
#!if 주석2 != null
^^^^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12화
시청 등급 심의 없음[2]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

1. 개요2. 공개 정보
2.1. PV
2.1.1. 본편
2.2. 키 비주얼
3. 줄거리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5. 설정6. 주제가
6.1. OP6.2. ED
7. 회차 목록8. 해외 공개9. 평가
9.1. 방영 전9.2. 방영 후
10. 기타

1. 개요

일본의 라이트 노벨 촌구석 아저씨, 검성이 되다 ~그냥 시골 검술사범이었는데, 대성한 제자들이 나를 내버려두지 않는 건~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제1기. 감독은 카즈미 아키오, 방영 시기는 2025년 4월.

애니메이션화 되면서 원작의 부제 '~그냥 시골 검술사범이었는데, 대성한 제자들이 나를 내버려두지 않는 건~'이 제외되었다.

2. 공개 정보

  • 2024년 8월 1일, 애니화 발표소식을 공개했다. #

2.1. PV

2.1.1. 본편

티저 PV
메이킹 티저 PV ▼
PV 제1탄
PV 제2탄
PV 제3탄
PV 제4탄

====# 캐릭터 #====
베릴 가드넌트

===# CM #===
선전 CM
베릴의 제자들
알류시아 시트러스
스레나 리산드라
쿠르니 크루시엘
피셀 하벨러
Blu-ray 고지 CM

2.2. 키 비주얼

파일:촌구석 아저씨, 검성이 되다 애니티저비주얼.jpg 파일:촌구석 아저씨, 검성이 되다 애니키비주얼.jpg 파일:촌구석 아저씨, 검성이 되다 애니키비주얼2탄.jpg
<rowcolor=#cca140,#cca140> 티저 비주얼 키 비주얼 1탄 키 비주얼 2탄

3. 줄거리

촌구석 마을에서 도장을 운영하는 중년의 검술 사범, 베릴 가드넌트.
한때 검사로서 정상에 오르겠다는 꿈을 꿨지만,
자신의 부족한 실력을 깨닫고 한가롭게 살아가기로 한다.
그런 그에게 왕국의 기사단장으로 출세한
제자 알류시아가 10년 만에 찾아온다.

"선생님을 기사단의 특별 지도 사범으로 추천했고,
무사히 승인받았습니다"

이로 인해 시골에서 한가롭게 살 생각이었던
베릴의 운명이 급격히 바뀌게 된다!
도시에서의 생활, 훌륭하게 성장한 제자들과의
재회, 새로운 동료, 그리고 강적과의 대결.

중년인 자신에게는 이 모든 게 버거운 일이라고 생각하지만,
오랜 세월 갈고닦은 실력 덕분에 '촌구석 검성'이라고 불리게 된다.
프라임 비디오

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촌구석 아저씨\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촌구석 아저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촌구석 아저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rowcolor=#cca140,#cca140> 등장인물 성우
베릴 가드넌트 히라타 히로아키
알류시아 시트러스 토야마 나오
슬레나 리산드라 우에다 히토미
쿠르니 크루시엘 히로세 유우키
피셀 하벨러 야노 히나키
루시 다이아몬드 사이토 치와
헨블리츠 드라우트 이시카와 카이토

5. 설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촌구석 아저씨\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촌구석 아저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촌구석 아저씨\#설정|설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주제가

6.1. OP

OP
HEROES
TV ver.
MV ver.
Full ver.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cca140,#cca140> 노래 니시카와 타카노리
작사
작곡 오키 소지로 (Novelbright)
편곡 카메다 세이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cca140,#cca140> OP 디렉터 시마 타케시(島 猛)
콘티
컴포짓
액션 콘티 모리타 히로유키
시마즈 히로유키
OP 연출 이나다 마사키(稲田正輝)
작화감독 미야시타 유지(宮下雄次)
총 작화감독 하야사카 사츠키(早坂皐月)
}}}}}}}}} ||

6.2. ED

ED
Alright!!!
TV ver.
Lyric Video ver.
MV ver.
Full ver.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cca140,#cca140> 노래 FLOW
작사 KOHSHI ASAKAWA
작곡 TAKESHI ASAKAWA
편곡 FLOW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cca140,#cca140> 콘티 이타다키 신지(頂 真司)
연출 시마즈 히로유키
작화감독 하네다 코지(羽田浩二)
총 작화감독 하야사카 사츠키(早坂皐月)
}}}}}}}}} ||

7. 회차 목록

<rowcolor=#cca140,#cca140> 회차 제목[3]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총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片田舎のおっさん、首都に行く
촌구석 아저씨, 수도에 가다
오카다 쿠니히코
(岡田邦彦)
카즈미 아키오
(鹿住朗生)
모리타 슈헤이
(森田修平)
타케모토 다이키
(式本大樹)
야야마 나츠미
(矢山菜摘)
후쿠시마 이사무
(福島 勇)
콘노 미스미
(紺野みすみ)
아사히 마토이
(朝日まとい)
야마구치 케이코
(山口圭子)
야마네 아오이
(山根あおい)
사사키 마사카츠
하야사카 사츠키
(早坂皐月)
선행: 2025.03.30.
日: 2025.04.05.
韓: 2025.04.06.
제2화 片田舎のおっさん、魔術師に驚愕する
촌구석 아저씨, 마법사를 보고 놀라다
카즈미 아키오 카와시마 마사루
(川島 勝)
Nguyen Thi Lan Ngoc
Phung Yen Phuong
김희영
(金禧英)
정영희
(鄭英姫)
阮玥瑾
潘景皓
柯司昴
하야사카 사츠키
야마네 아오이
야야마 나츠미
하네다 코지
(羽田浩二)
선행: 2025.03.30.
日: 2025.04.12.
韓: 2025.04.13.
제3화 片田舎のおっさん、猛攻を凌ぐ
촌구석 아저씨, 공격을 막아내다
이타다키 신지
(頂 真司)
타카다 유타
(貴田祐太)
츠루타 아이
(鶴田 愛)
카세 하루나
(加瀬遥奈)
야야마 나츠미
Nguyen Thi Lan Ngoc
Phung Yen Phuong
신형우
(愼亨祐)
조은경
(趙殷卿)
신금섭
(申今燮)
정영희
(鄭英姬)
윤정인
(尹貞仁)
송세현
(宋世賢)
阮玥瑾
韩卉
育松アニメーション制作有限会社
하시모토 타카시[E]
하야사카 사츠키
콘노 미스미
후쿠시마 이사무
日: 2025.04.19.
韓: 2025.04.20.
제4화 片田舎のおっさん、モンスターと空を飛ぶ
촌구석 아저씨, 몬스터와 하늘을 날다
오자키 사토시
(尾崎悟史)
이치이 잇페이
(一居一平)
아사히 마토이
타카나
(高菜)
노미치 카요
(野道佳代)
츠루타 아이
趙殷卿
任逸悠
潘景皓v江晨昱
오자와 카즈노리[E]
야마네 아오이
후쿠시마 이사무
日: 2025.04.26.
韓: 2025.04.27.
제5화 片田舎のおっさん、悪党に憤る
촌구석 아저씨, 악당에 분개하다
오카다 쿠니히코 요시카와 히로아키
(吉川博明)
모리토모 히로키
(森友宏樹)
카세 하루나
윤정인
신금섭
정영희
柯司昴
彭丽颖
江晨昱
하시모토 타카시[E]
하야카와 사츠키
야야마 나츠미
야마구치 케이코
야마네 아오이
콘노 미스미
日: 2025.05.03.
韓: 2025.05.04.
제6화 片田舎のおっさん、死者と対峙する
촌구석 아저씨, 죽음과 마주하다
오자키 사토시 이치이 잇페이 아베 카나코
(阿部加奈子)
ECHO Animation
柯司昂
秦诗雨
韩卉
阮玥瑾
彭丽颖
潘景皓
孔恺阔
신수섭
(申秀孌)
여진영
(呂眞映)
火鳥動画制作集団
오자와 카즈노리[E]
하야사카 사츠키
후쿠시마 이사무
야야마 나츠미
야마구치 케이코
야마네 아오이
콘노 미스미
日: 2025.05.10.
韓: 2025.05.11.
제7화 片田舎のおっさん、親の苦労を知る
촌구석 아저씨, 부모의 고충을 알게 되다
오카다 쿠니히코 치오카 마사토시
나카야마 마사에
(中山正恵)
카즈미 아키오
모리토모 히로키 카세 하루나
아다치 유우
(安達 佑)
潘景皓
秦诗雨
彭丽颖
韩卉
윤정인
신금섭
정영희
하야사카 사츠키
야야마 나츠미
야마구치 케이코
야마네 아오이
콘노 미스미
日: 2025.05.17.
韓: 2025.05.18.
제8화 片田舎のおっさん、神速の剣を食らう
촌구석 아저씨, 초고속 검에 맞다
이타다키 신지 타카다 유타 야야마 나츠미
아사히 마토이
츠루타 아이
高源
徐鵬
Nguyen Thi Lan Ngoc
Phung Yen Phuong
ECHO Animation
柯司昂
阮玥瑾
潘景皓
韩卉
火鳥動画制作集団
하야사카 사츠키
후쿠시마 이사무
야야마 나츠미
야마네 아오이
야마구치 케이코
콘노 미스미
日: 2025.05.24.
韓: 2025.05.25.
제9화 片田舎のおっさん、ひさしぶりに狩りに行く
촌구석 아저씨, 오랜만에 사냥하러 가다
카메이 타카시
(亀井 隆)
카와시마 마사루 노미치 카요
아베 카나코
아사히 마토이
윤정인
조은경
정영희
Nguyen Thi Lan Ngoc
Phung Yen Phuong
신수섭
여진영
张金浩
郑钰容
林若轩
야마네 아오이
야야마 나츠미
콘노 미스미
야마구치 케이코
Nguyen Thi Lan Ngoc
Phung Yen Phuong
김민정
(金珉廷)
汤强
高源
日: 2025.05.31.
韓: 2025.06.01.
제10화 片田舎のおっさん、王女の護衛に着く
촌구석 아저씨, 왕녀를 호위하다
오자키 사토시 카키타 코타로
(柿田小太郎)
모리타 슈헤이
(森田修平)
요코시마 토시히사
(横嶋俊久)
카즈미 아키오
아베 카나코
윤정인
정영희
潘景皓
秦诗雨
郑钰容
林若轩
张金浩
徐超
야마네 아오이
야야마 나츠미
콘노 미스미
야마구치 케이코
Nguyen Thi Lan Ngoc
Phung Yen Phuong
김민정
汤强
日: 2025.06.07.
韓: 2025.06.08.
제11화 片田舎のおっさん、死闘に身を投じる
촌구석 아저씨, 사투에 뛰어들다
오카다 쿠니히코 카키타 코타로
카즈미 아키오
타카다 유타 노미치 카요
高菜
츠루타 아이
아베 카나코
오가사와라 마미
(小笠原麻美)
야야마 나츠미
徐鵬
高源
呂眞映
신수섭
반경호
(潘景皓)
秦诗雨
韩卉
孔恺阔
彭丽颖
정영희
윤정인
火鳥動画制作集団
ECHO Animation
야마네 아오이
콘노 미스미
야마구치 케이코
Nguyen Thi Lan Ngoc
Phung Yen Phuong
김민정
汤强
日: 2025.06.14.
韓: 2025.06.15.
제12화 片田舎のおっさん、剣聖と呼ばれる
촌구석 아저씨, 검성이라 불리다
이타다키 신지 이치이 잇페이 츠루타 아이
노미치 카요
高菜
아베 카나코
오가사와라 마미
윤정인
정영희
신수섭
呂眞映
郑钰容
张金浩
孔恺阔
潘景皓
徐鵬
야야마 나츠미
야마네 아오이
야마구치 케이코
콘노 미스미
Nguyen Thi Lan Ngoc
Phung Yen Phuong
汤强
김민정
日: 2025.06.21.
韓: 2025.06.22.

8. 해외 공개

프라임 비디오에서 일본을 포함한 전세계 독점 송신으로 일본 현지 TV 방영 후 바로 스트리밍을 개시한다.

한글 자막도 함께 제공하며 번역은 이민지가 담당한다.

9. 평가

9.1. 방영 전

짧게 공개된 티저 PV에서 보인 원작과 코믹스에 비해 상당히 젊고 환해진 주인공의 캐릭터 디자인과 전투씬을 숨기려 하는 듯한 부자연스러운 화면 편집 때문에 우려하는 목소리가 많다. 원작이 인기가 많은 이유들 중 하나가 디테일한 검술 액션인데 제작사인 팟쇼네는 에로 수위가 높은 애니메이션에선 작화, 연출 면에서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는 회사지만 전투씬 작화와 연출에서 호평이 많았던 이수라를 제외하면 액션 작화와 연출에서 좋은 평가를 받지는 못하는 제작사다. 여기에 감독을 맡은 카즈미 아키오는 초기 포켓몬스터 극장판 제작에 참가해온 베테랑이지만 2010년대 이후로는 CG 디자이너로써 애니메이션 제작에 참가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본인이 감독, CG 양쪽을 담당한 창천의 권 REGENESIS는 액션면에서 혹평을 받았고 본작 바로 직전에 감독을 맡은 외톨이의 이세계 공략도 주로 스토리 전개에서 문제가 많아 걱정하는 반응이 많다.[8][9]

9.2. 방영 후

전체적으로 작화의 수준이 높은 편이다.색감 역시 촌스럽지 않게 잘 잡은 편. 우려했던 3D CG를 활용한 전투신은 우려를 불식하는 퀄리티로 나왔는데, 거의 2D 작화와 구분되지 않는 수준으로 구현되었다. 원작을 따라간 스토리 역시 만화판과 비교하지 않았을 경우 크게 거슬리는 부분은 없다.

그러나 만화판으로 접한 독자 측에서는 혹평이 많다. 1화부터 원작의 스토리가 상당 부분 편집되었고, 만화판 초반에도 중요한 분량인 핸블리츠와의 대련을 많이 자른 부분이 지적되었다.[10] 그렇게 만화판으로 유입된 층은 결국 4화 제노그레이블 연출과 슈푸르 일전을 통해 그야말로 대폭발하면서 해당 애니메이션은 금기어가 되어버렸다.

특히 가장 지적을 많이 받는 부분은 검술 모션과 연출. 제작진이 나름 리얼한 검술을 재현해 보겠다고 원작과 다르게 현실 서양 검술(특히 리히테나워 검술)을 반영해서 넣어놨는데, 이게 맥아리 없이 휘적거리는 식으로 연출되어 큰 악평을 듣고 있다. 이러한 악평의 원인에는 속도감과 이펙트도 한몫하고 있는데, 모션의 속도 자체가 다른 애니와 다르게 끊김없이 느릿느릿한 템포로 이어지는 데다가, 만화적 이펙트도 잘 넣지 않다보니 타격감이 너무 부족하다는 것. 만화판의 경우 정지 화상으로만 이어지다보니 자연히 독자들이 알아서 빠른 템포로 받아들이게 되는데, 재생 속도가 일정한 이어지는 애니에서는 이렇게 느릿느릿한 연출로 제대로 된 속도감을 줄 수 없다.

4화의 하이라이트인 제노그레이블전은 개연성을 무시한 오리지널 장면[11], 가뜩이나 핸블리츠를 시작으로 스레나/제노글레이블/슈푸르 등 강자들과의 전투임에도 전혀 긴박감 1도 없는 전투신으로 큰 혹평을 받으면서 추후 전개에 대한 기대감을 완전히 박살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종합하자면, 만화판을 접하지 않고 보거나 원작만 본 사람들에게는 전체적으로 무난하게 볼 수 있겠지만, 만화판을 먼저 접한 사람들에게는 전투 중 심리 묘사의 생략과 스토리의 각색으로 인해 재밌게 보기 힘들게 되었다. 또한 이 애니메이션은 만화판이 아닌 원작 소설을 기반으로 제작되는 것이 공언되었는데, 이럴 경우 만화판에서 중요한 악역으로 나온 인물이 원작에서는 지나가는 엑스트라 정도로 나오므로 만화판의 전개를 기대하는 팬들에게는 앞으로의 전개에 호평 받기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의식했는지, 감독 카즈미 아키오가 갈수록 퀄리티가 더 좋아진다. 특히 최종화는 놀랄 만한 퀄리티로 나올 것이라고 인터뷰했지만, "이미 초반에 퀄리티 이슈로 유입을 많이 잃어 치명타를 입었는데 무슨 후반전이냐"는 냉담한 반응만 이어졌다.[12] 이런 감독의 '최종화는 기억해달라'는 식의 인터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검복동이라는 별명으로 부르기도 한다.

액션과 연출에 관한 낮은 평가와 별개로 일본에선 프라임 비디오 독점작이고 방영 전 주목도는 높았던 작품이기 때문에 조회수 1위의 성적을 올리고 있다.[13] 애니메이션 팬들의 혹평과 달리 최종화 방영 시점 아마존 프라임 일본 1위는 물론 미국에서 전 TV쇼(각종 드라마 포함) 4위, 그 외 36개국에서 탑 10에 랭크될 정도로 높은 인기를 누렸다.# 프라임 비디오의 화제성과 달리 평점은 2점대인 수준.

애니메이션 효과 덕분인지 만화판의 판매량도 급증해 아마존 판매순위 1~5위를 독점할 정도가 되었다. 다만 만화판의 판매량이 증가한 것은 혹평을 받고 있는 애니메이션에 대한 반발 아니냐는 의견도 있는 편이다.[14]

종합적으로 봤을 때 안 좋은 소리란 안 좋은 소리를 다 듣는 여론이 워낙 안 좋았던 터라서 기껏 성우진 잘 캐스팅 해놓고 요즘 흔한 양산형 애니들처럼 1기로 막을 내리게 될 거라고 예상되었으나 놀랍게도 6월 22일 2기 제작을 발표했다. 이렇게 바로 발표된 것을 보면 2기의 제작은 인기를 보고 결정된 것이 아닌 진작부터 예정되었던 것일 가능성이 높다.

10. 기타

  • 1화 방영 후 코믹스 작가인 사토 카즈키는 만화판과 다르다는 의견들에게 애니메이션은 만화판이 아닌 원작에 의거하여 만든 작품임을 밝혔다.#

[1] 최종화 한정, (일) 00:00[2] 프라임 비디오는 공식적으로 한국에 진출하진 않았기 때문에 심의 없이 작품을 배급한다.[3]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스트리밍사인 프라임 비디오 송신판을 기준으로 한다.[E] 이펙트[E] [E] [E] [8] 특히 체인소 맨 이후로 CG 액션에 대한 반감이 더욱 높아진 상황이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위화감이 느껴질 경우 시청자가 대거 이탈하는 등 작품 흥행에도 큰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9] 이미 PV부터 연출 미스 지적이 나오고 있는데, 베릴과 헨블리츠의 대련에서 헨블리츠가 회전베기를 사용할 때 베릴이 양 발을 땅에 디디고 있어서 이 점이 문제가 되고 있다. 헨블리츠는 상대가 백스텝으로 피하는 걸 방지하기 위해 회전베기를 하기 전에 하단베기로 상대가 발을 들어올리게 만들며 베릴과의 대련에서도 같은 방법을 사용했는데 PV처럼 베릴의 자세가 무너지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하면 그냥 뒤로 뛰어서 피하면 그만인 기술에 불과하다.[10] 만화판의 액션이 호평받은 건 단순히 액션 퀄리티가 높아서가 아니라 수싸움 등의 심리 묘사가 뛰어났기 때문이다. 핸블리츠와의 대련 에피소드의 경우, 만화판에서는 베릴한테 압도적인 검술 실력 차를 느낀 핸블리츠가 '이게 실전이었다면 나는 몇 번이나 죽은 거지?'라고 베릴의 칼질에 여러 번 썰려 죽은 자신을 상상하며 조급해져서 비장의 필살기를 선보였으나, 애니에서는 이 중간 심리 묘사가 사라져 다짜고짜 필살기 선보이고 깨지는, 깊이가 얕은 전개가 되어버렸다.[11] 제노그레이블이 베릴을 등 뒤에 태운채로 공중날기를 시도하는데 전투신 하나없이 그냥 날아다니다 착륙만하고 끝난다. 제노그레이블의 용암공격에 동굴이 녹아내리는 모습을 보고 비명을 지르는 모험가의 모습을 보여줬는데 연출상 누가봐도 죽었다고 생각했지만 상처 하나없이 웃으면서 동굴에서 나오는 등 쓸데없는 오리지널 연출로 평가를 더욱 깎아내리고 말았다.[12] 웃기게도 아무래도 좋은 7화의 쥐 퇴치 씬은 쓸데없이 공들여 연출해서 연출력을 이런 데 쓰지 말고 전투 씬에나 좀 쓰라는 볼멘소리가 나왔다.[13] 일본은 프라임 비디오의 가입자가 넷플릭스보다 많다. 의외로 한국에서 분기 탑이라고 알려진 작품보다 이 작품의 순위가 높다. 그 이유로는 아마존이 진출한 국가에서 진행되는 프라임 서비스가 너무나도 편리하기 때문이다. 프라임 서비스가 일본에서 단 600엔이면 가입 가능한 데다가 쿠팡처럼 로켓 배송이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하니 실생활에 연결되기 때문이다. 물론 적용 안되는 일부 상품도 있으나 극소수이고 대부분은 프라임 서비스가 적용되서 주문하면 바로 내일 급행편으로 배송이 가능하여서 무조건 가입해야 한다. 물론 프라임 서비스를 구독하면 한국 넷플릭스 중 가장 저렴한 서비스와 같이 쿨타임 돌면 광고를 봐야하는 시스템이지만 여기서 150엔정도만 더 추가하면 광고 없이 볼 수 있다.[14] 원작 혹은 코믹스의 세세한 검술 묘사가 이 작품의 핵심인데 그런 부분은 물론 4화 제노그레이블과의 전투라는 하이라이트신을 대차게 말아먹으면서 원작을 아는 팬들의 화가 상당했고 그 여파로 원작을 보는 사람이 늘었다는 것 아니냐는 추측이 지배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