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5 21:22:45

충정로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8b4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8b4f>
파일:서대문구 CI_White.svg
}}}
{{{#!wiki style="color: #008b4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colbgcolor=#008b4f> 고속화도로 <colbgcolor=#ffffff,#191919> 내부순환로
대로 통일로
성산로 · 수색로 · 신촌로 · 충정로 · 가재울로 · 가좌로 · 간호대로 · 거북골로 · 경기대로 · 독립문로 · 동교로 · 모래내로 · 북아현로 · 서소문로 · 세검정로 · 신촌역로 · 연세로 · 연희로 · 연희맛로 · 응암로 · 증가로 · 홍은중앙로 · 홍제천로
독립문공원길 · 명물길 · 명지대길 · 문화촌길 · 백련사길 · 불광천길 · 세무서길 · 이화여대길 · 포방터길
서울특별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

충정로
忠正路 | Chungjeong-ro
{{{#!wiki style="margin: -16px -11px"← 신촌로 (서) 새문안로 (동) →}}}
인천 방면
신촌로
파일:국도 제6호선 표지.png 6번
국도
강릉 방면
새문안로
노선 번호
6번 국도
51번 서울특별시도 (관리용)
간체자 · 가타카나 표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간체자 忠正路
가타카나 チュンジョンロ }}}}}}}}}
기점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3가 충정로사거리
종점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2가 서대문역
연장
800m
개통
미상
관리
서울특별시 서부도로사업소
왕복 차로 수
8차로
주요 경유지
충정로역서대문역
1. 서울특별시의 도로
1.1. 개요
2. 구간3. 서울특별시의 법정동
3.1. 충정로1가3.2. 충정로2가3.3. 충정로3가

[clearfix]

1. 서울특별시의 도로

1.1. 개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사거리에서 서대문역을 잇는 길이 1.2km, 폭 40m(왕복 8차로)도로. 전구간 6번 국도로 지정되어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다케조에초(竹添町, 죽첨정)'이었는데, 갑신정변 당시 주(駐)조선 일본공사였던 다케조에 신이치로(竹添進一郞, 죽첨진일랑)의 성을 딴 것이다. 다케조에 신이치로는 갑신정변 직후 한성에서 인천으로 빠져나가 다음 해 정월에 다시 한성으로 돌아왔으나 교동에 있었던 공사관은 이미 정변 때 소실되고 없었기 때문에 한동안 이 충정로 부근의 청수관에 거주한 일이 있었는데, 이를 기념하는 뜻으로 일제가 경술국치 이후에 이 일대를 다케조에초으로 명명했다. 해방 이후 김형민 초대 서울시장이 일본식 도로명을 바꾸면서 을사조약에 항거하여 자결한 민영환의 시호 '충정(忠正)'에서 따와 충정로로 바뀌었다.[1]

원래 서대문역을 지나 새문안로 정동사거리까지 충정로였으나(충정로1가가 있는 곳), 1984년 서대문역~정동사거리 구간을 새문안길로 편입하였다. 이로써 충정로1가는 이름과는 달리 충정로에 걸치지 않게 되었다.

간혹 '로'로 잘못 표기되는 경우가 있으나 '충로'가 올바른 표기이다.

2. 구간

서쪽 기점 (신촌로와 직결)
소재지 교차로명 번호 교차하는 도로 국도/지방도



충정로3가 충정로역사거리 0번 서소문로
신촌로
경기대로
6번 국도
충정2교 (경의선)
(과선교) 42번 충정로6길
충정로2가 경기대입구
삼거리
59번 충정로9길
서대문역사거리 80번 통일로
동쪽 종점 (통일로 121, 새문안로와 직결)

2.1. 상세

대로변은 대체로 고층의 오피스 건물로 개발되었다. 종근당 본사, 동아일보 충정로 사옥, 농협금융지주 본사, 舊 피어리스 건물(현 골든브릿지투자증권 사옥), 풍산그룹 본사, 구세군한국선교 100주년기념빌딩 등이 랜드마크 노릇을 하고 있다.

2.2. 중앙버스전용차로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tablewidth=100%> ▲ 신촌로 / 마포대로
충정로역
13045
충정로역
13046
▼ 새문안로
}}}}}}}}} ||

3. 서울특별시의 법정동

3.1. 충정로1가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dc0d15>
파일:중구(서울특별시) CI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ffd900> 소공동 소공동 | 북창동 | 태평로2가 | 의주로1가 | 충정로1가 | 서소문동 | 정동 | 남대문로2가 | 남대문로3가 | 남대문로4가 | 순화동 | 봉래동1가
회현동 회현동1가 | 회현동2가 | 봉래동1가 | 봉래동2가 | 남창동 | 순화동 | 정동 | 남대문로3가 | 남대문로4가 | 남대문로5가 | 충무로1가
명동 명동1가 | 명동2가 | 장교동 | 무교동 | 다동 | 삼각동 | 정동 | 남대문로3가 | 남대문로4가 | 남대문로5가 | 충무로1가 | 충무로2가 | 태평로1가 | 남산동1가 | 남산동2가 | 남산동3가 | 회현동1가 | 회현동2가 | 회현동3가 | 예장동
필동 필동1가 | 필동2가 | 필동3가 | 주자동 | 남학동 | 충무로3가 | 충무로4가 | 충무로5가 | 예장동 | 장충동2가 | 묵정동
장충동 장충동1가 | 장충동2가 | 묵정동
광희동 광희동1가 | 광희동2가 | 인현동2가 |
구청
예관동 | 쌍림동 | 오장동 | 을지로6가 | 을지로7가 | 충무로4가 | 충무로5가
을지로동 을지로3가 | 을지로4가 | 을지로5가 | 주교동 | 방산동 | 입정동 | 산림동 | 초동 | 저동2가 | 인현동1가
신당동 신당동 | 무학동 | 흥인동
다산동 신당동
약수동
청구동
신당5동
동화동
황학동 황학동
중림동 중림동 | 의주로2가 | 만리동1가 | 만리동2가 }}}}}}}}}
서울특별시 중구법정동
충정로1가
忠正路一街 | Chungjeongno 1(il)-ga[영문표기]
<colbgcolor=#e41d25><colcolor=#fff> 면적 0.04㎢
소속 행정동 소공동
인구 0명
인구밀도 0명/㎢
법정동코드 1114017000
조선 시대에는 한성부 성저십리에 소속되어 있었고, 1751년(영조 27년)에 간행된 <도성삼군문분계지도>(都城三軍門分界地圖)에서는 이 일대를 서부 반송방(盤松坊) 지하계, 경영고계, 균장리계가 각각 맡아 관할하였다고 나와 있다. 갑오개혁 뒤에 확인되는 관할 행정구역은 서서(西署) 반송방 지하계 평동, 경구계 경교・신문외, 균장리계 고마동이다.

1914년 4월 1일 경성부 구역 획정에 따라 경기도고시 제7호에 의해 서부 평동・강구・고마동・경교의 각 일부와 신문외를 병합하여 죽첨정1정목(竹添町1丁目)이 되었으며, 1940년 7월 1일에 경성부 서부출장소에서 행정을 담당하게 되었고, 1943년 6월 10일, 조선총독부령 제163호에 의해 구제 실시에 따라 서대문구에 속하게 되었다. 1946년 10월 1일 일본식 지명을 갈아엎을 때 비로소 충정로1가(忠正路一街)라는 이름이 붙게 된 것이다.

1947년 6월 서울특별시령 제2호로 동회제도를 시행하면서 충정로1가동회(忠正路一街洞會)가 설치되었다. 1953년 3월에는 충정로2가와 함께 충정로1・2가동회로 통합되었다가, 1955년 4월 18일 서울특별시조례 제66호로 행정동 제도가 시행되면서 충정로1・2가동이 이를 계승하게 된다. 1970년 5월 5일, 서울특별시조례 제613호에 의해 충정로동이 설치되면서 충정로1・2가동과 충정로3가동이 통합되었다. 1975년 10월 1일, 서울특별시조례 제979호에 의해 중구로 편입되면서 법정동 충정로1가의 영역은 종로구 평동중구 정동에 일부 편입되었다. 행정동은 구가 갈려 더 이상 서대문구 충정로동이 관할하지 못 하게 되었으므로 서소문동에 편입되었다가, 1977년 9월 1일에 서소문동이 소공동에 편입되면서 지금에 이른다.

국토통계지도에 따르면, 충정로1가를 주소지로 두고 있는 사람은 0명이다. NH농협은행 본사 부지가 거의 동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주거지역이 없다.

3.2. 충정로2가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8b4f>
파일:서대문구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008b4f> 충현동 북아현동 합동 미근동 충정로2가 충정로3가
천연동 천연동 현저동 영천동 옥천동 냉천동
북아현동 북아현동
신촌동 신촌동 봉원동 창천동 대신동 대현동
연희동
구청
연희동
홍은1, 2동 홍은동
홍제1~3동 홍제동
북가좌1, 2동 북가좌동
남가좌1, 2동 남가좌동
}}}}}}}}}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법정동
충정로2가
忠正路二街 | Chungjeongno 2(i)-ga[영문표기]
<colbgcolor=#008b4f><colcolor=#fff> 면적 0.13㎢
소속 행정동 충현동
인구 1,214명
인구밀도 9,338명/㎢
법정동코드 1141010100
조선 시대에는 한성부 성저십리에 소속되어 있었고, 1867년(고종 4년)에 편찬된 <육전조례>를 보면 서부 반송방(盤松坊) 노첨정계・조판부사계・수근답계・지하계가 이 지역을 관할했던 것으로 나온다. 갑오개혁으로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1895년 5월 26일 칙령 제98호에 의해 서서(西署) 반송방 노첨정계, 조판부사계 유동・팔각정, 수근답계 근동, 지하계 냉동이 이 지역을 관할하게 되었고, 1911년 4월 1일 경기도령 제3호에 의해 경성부 서부 유동・팔각동・미동・근동・냉동으로 소속 구역이 개편되었다.

1914년 4월 1일, 경기도고시 제7호에 의해 방(坊)・계(契)・동(洞) 제도를 없애고 일본식 행정구역 제도를 들여와 정(町)・정목(丁目)・통(通)으로 바꾸면서 죽첨정2정목(竹添町二丁目)이 되었다. 1940년 7월 1일에 경성부 서부출장소에서 행정을 담당하게 되었고, 1943년 6월 10일, 조선총독부령 제163호에 의해 구제 실시에 따라 서대문구에 속하게 되었다. 광복 후인 1946년 10월 1일 서울시헌장과 미군정법령 제106호에 의해 일제식 동명을 우리 동명으로 바꿀 때 충정로2가(忠正路二街)로 개명되었다,

1947년 6월 서울특별시령 제2호로 동회제도를 시행하면서 충정로2가동회(忠正路二街洞會)가 설치되었다. 1953년 3월에는 충정로1가와 함께 충정로1・2가동회로 통합되었다가, 1955년 4월 18일 서울특별시조례 제66호로 행정동 제도가 시행되면서 충정로1・2가동이 이를 계승하게 된다. 1970년 5월 5일, 서울특별시조례 제613호에 의해 충정로동이 설치되면서 충정로1・2가동과 충정로3가동이 통합되었다. 1975년 10월 1일, 서울특별시조례 제979호에 의해 충정로1가는 중구로 편입되었고, 충정로2가와 충정로3가는 서대문구 충정로동에 잔류했다. 이와 동시에, 인근의 합동미근동을 충정로동에 편입했다. 2008년 5월에 충정로동과 북아현3동이 통합하여 충현동이 이 지역을 관할하게 되었다.

관내에는 경기대학교 서울 캠퍼스와 인창고등학교가 있다. 경기대학교 서울 캠퍼스 재학생의 거주 비율이 상당수이고, 캠퍼스 주변에 소규모의 상권이 형성되어 있으나, 이들 상점은 경기대 재학생뿐만이 아니라 인근 주민과 근처 오피스 건물로 통근하는 직장인도 대상으로 하여 영업한다. 학과 10개 미만, 재학생 수 2000명 이하의 경기대 재학생만으로는 수요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수도권 전철 5호선 서대문역도 충정로2가에 있다.

3.3. 충정로3가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8b4f>
파일:서대문구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008b4f> 충현동 북아현동 합동 미근동 충정로2가 충정로3가
천연동 천연동 현저동 영천동 옥천동 냉천동
북아현동 북아현동
신촌동 신촌동 봉원동 창천동 대신동 대현동
연희동
구청
연희동
홍은1, 2동 홍은동
홍제1~3동 홍제동
북가좌1, 2동 북가좌동
남가좌1, 2동 남가좌동
}}}}}}}}}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법정동
충정로3가
忠正路三街 | Chungjeongno 3(sam)-ga[영문표기]
<colbgcolor=#008b4f><colcolor=#fff> 면적 0.26㎢
소속 행정동 충현동
인구 5,185명
인구밀도 19,942명/㎢
법정동코드 1141010200
조선 시대에는 한성부 성저십리에 소속되어 있었고, 1867년(고종 4년)에 편찬된 <육전조례>를 보면 서부 반송방(盤松坊) 수근답계, 차자리계가 이 지역을 관할했던 것으로 나온다. 갑오개혁으로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1895년 5월 26일 칙령 제98호에 의해 서서(西署) 반송방 노첨정계, 조판부사계 수근답계 근동, 차자리계 아현・형제정이 이 지역을 관할하게 되었고, 1911년 4월 1일 경기도령 제3호에 의해 경성부 서부 형제정・근동・아현으로 소속 구역이 개편되었다.

1914년 4월 1일, 경기도고시 제7호에 의해 방(坊)・계(契)・동(洞) 제도를 없애고 일본식 행정구역 제도를 들여와 정(町)・정목(丁目)・통(通)으로 바꾸면서 죽첨정3정목(竹添町三丁目)이 되었다. 1940년 7월 1일에 경성부 서부출장소에서 행정을 담당하게 되었고, 1943년 6월 10일, 조선총독부령 제163호에 의해 구제 실시에 따라 서대문구에 속하게 되었다. 광복 후인 1946년 10월 1일 서울시헌장과 미군정법령 제106호에 의해 일제식 동명을 우리 동명으로 바꿀 때 충정로3가(忠正路三街)로 개명되었다,

1947년 6월 서울특별시령 제2호로 동회제도를 시행하면서 충정로3가동회(忠正路三街洞會)가 설치되었다. 1950년 10월 4일에는 충정로3가1동회와 충정로3가2동회로 분리되었다가, 1955년 4월 18일 서울특별시조례 제66호로 행정동 제도가 시행되면서 충정로3가동으로 통합, 개편된다. 1970년 5월 5일, 서울특별시조례 제613호에 의해 충정로동이 설치되면서 충정로1・2가동과 충정로3가동이 통합되었다. 1975년 10월 1일, 서울특별시조례 제979호에 의해 충정로1가는 중구로 편입되었고, 충정로2가와 충정로3가는 서대문구 충정로동에 잔류했다. 이와 동시에, 인근의 합동미근동을 충정로동에 편입했다. 2008년 5월에 충정로동과 북아현3동이 통합하여 충현동이 이 지역을 관할하게 되었다.

서울 지하철 2호선수도권 전철 5호선 환승역인 충정로역종근당 본사, 그리고 화재 사고가 발생하여 통신 장애를 일으킨 걸로 유명한 KT 아현지사가 충정로3가에 있다.

동아일보 사옥 서쪽의 충정로3가 일대에는 아직도 개발되지 않은 달동네 주택가가 조금 남아 있다. 재개발 대상 지역으로 지정되었으나 아직도 개발이 진행되지 않고 있다. 이 지역에 재개발에 반대한다는 뜻으로 빨간 깃발을 내건 건물이 많다. 그 밖에는 빌라 등의 중규모 주택 위주로 주거지가 조성되어 있다.


[1] 민영환의 묘가 있는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마북동-언남동 일대의 도로를 도로명주소 개편 직후에 '충정로'로 명명했으나, 이 도로와 혼동이 될 수 있어 '구성로'로 개칭되었다.[영문표기] 길 이름일 때는 Chungjeong-ro로 쓰지만, 법정동명으로 쓸 때는 Chungjeongno가 된다.[영문표기] [영문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