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7 09:53:01

클랜시(브롤스타즈)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브롤스타즈 로고.webp브롤스타즈
브롤러
}}}
{{{#!wiki style="margin: -5px -10px; min-height: calc(1.5em +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argin-top: 5px; min-width: 2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이름순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colbgcolor=#017dda><colcolor=#fff>
숫자 ~ ㄹ
[[8비트(브롤스타즈)|
파일:8비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8비트
]][[R-T|
파일:R-T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R-T
]][[거스(브롤스타즈)|
파일: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거스
]][[게일(브롤스타즈)|
파일:게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게일
]][[그레이(브롤스타즈)|
파일:그레이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그레이
]][[그롬(브롤스타즈)|
파일:그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그롬
]][[그리프(브롤스타즈)|
파일:그리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그리프
]][[나니(브롤스타즈)|
파일:나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나니
]][[니타|
파일:니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니타
]][[다이너마이크|
파일:다이너마이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다이너마이크
]][[대릴|
파일:대릴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대릴
]][[더그(브롤스타즈)|
파일:더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더그
]][[드라코(브롤스타즈)|
파일:드라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드라코
]][[래리 & 로리|
파일:래리 & 로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래리 & 로리
]][[러프스|
파일:러프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러프스
]][[레온(브롤스타즈)|
파일:레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레온
]][[로사(브롤스타즈)|
파일:로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로사
]][[롤라(브롤스타즈)|
파일:롤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롤라
]][[루(브롤스타즈)|
파일: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루미(브롤스타즈)|
파일:루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루미
]][[리코(브롤스타즈)|
파일:리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리코
]][[릴리(브롤스타즈)|
파일:릴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릴리
]]
ㅁ ~ ㅂ
[[맥스(브롤스타즈)|
파일:맥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맥스
]][[맨디(브롤스타즈)|
파일:맨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맨디
]][[메그|
파일:메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메그
]][[메이지(브롤스타즈)|
파일:메이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메이지
]][[멜로디(브롤스타즈)|
파일:멜로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멜로디
]][[모(브롤스타즈)|
파일: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모티스|
파일:모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모티스
]][[미나(브롤스타즈)|
파일:미나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미나
]][[미스터 P|
파일:미스터 P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미스터 P
]][[미코(브롤스타즈)|
파일:미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미코
]][[미플(브롤스타즈)|
파일:미플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미플
]][[바이런(브롤스타즈)|
파일:바이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바이런
]][[발리(브롤스타즈)|
파일:발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발리
]][[버스터(브롤스타즈)|
파일:버스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버스터
]][[버즈(브롤스타즈)|
파일:버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버즈
]][[베리(브롤스타즈)|
파일:베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베리
]][[벨(브롤스타즈)|
파일: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보(브롤스타즈)|
파일:보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보니(브롤스타즈)|
파일:보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보니
]][[불(브롤스타즈)|
파일: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브록(브롤스타즈)|
파일:브록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브록
]][[비(브롤스타즈)|
파일: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비비(브롤스타즈)|
파일:비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비비
]]
ㅅ ~ ㅈ
[[샌디(브롤스타즈)|
파일:샌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샌디
]][[샘(브롤스타즈)|
파일:샘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서지(브롤스타즈)|
파일:서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서지
]][[셰이드(브롤스타즈)|
파일:셰이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셰이드
]][[쉘리|
파일:쉘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쉘리
]][[스퀴크|
파일:스퀴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스퀴크
]][[스튜(브롤스타즈)|
파일:스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스튜
]][[스파이크(브롤스타즈)|
파일:스파이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스파이크
]][[스프라우트(브롤스타즈)|
파일:스프라우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스프라우트
]][[안젤로(브롤스타즈)|
파일:안젤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안젤로
]][[알리(브롤스타즈)|
파일:알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알리
]][[애쉬(브롤스타즈)|
파일:애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애쉬
]][[앰버(브롤스타즈)|
파일:앰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앰버
]][[에드거(브롤스타즈)|
파일:에드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에드거
]][[엘 프리모|
파일:엘 프리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엘 프리모
]][[엠즈|
파일:엠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엠즈
]][[오티스(브롤스타즈)|
파일:오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오티스
]][[올리(브롤스타즈)|
파일:올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올리
]][[윌로우(브롤스타즈)|
파일:윌로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윌로우
]][[이브(브롤스타즈)|
파일:이브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이브
]][[자넷(브롤스타즈)|
파일:자넷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자넷
]][[재용|
파일:재용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재용
]][[재키(브롤스타즈)|
파일:재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재키
]][[제시(브롤스타즈)|
파일:제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제시
]][[주주(브롤스타즈)|
파일:주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주주
]][[지기(브롤스타즈)|
파일:지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지기
]][[진(브롤스타즈)|
파일: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
ㅊ ~ ㅎ
[[찰리(브롤스타즈)|
파일:찰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찰리
]][[척(브롤스타즈)|
파일:척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체스터(브롤스타즈)|
파일:체스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체스터
]][[카제(브롤스타즈)|
파일:울트라 전설_204x126.gif
파일:카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카제
]][[칼(브롤스타즈)|
파일: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켄지(브롤스타즈)|
파일:켄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켄지
]][[코델리우스|
파일:코델리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코델리우스
]][[콜레트(브롤스타즈)|
파일:콜레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콜레트
]][[콜트(브롤스타즈)|
파일:콜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콜트
]][[크로우(브롤스타즈)|
파일:크로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크로우
]][[클랜시(브롤스타즈)|
파일:클랜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클랜시
]][[키트(브롤스타즈)|
파일:키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키트
]][[타라(브롤스타즈)|
파일:타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타라
]][[트렁크(브롤스타즈)|
파일:트렁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트렁크
]][[틱(브롤스타즈)|
파일:틱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파이퍼(브롤스타즈)|
파일:파이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파이퍼
]][[팸(브롤스타즈)|
파일: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팽(브롤스타즈)|
파일:팽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펄(브롤스타즈)|
파일: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페니(브롤스타즈)|
파일:페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페니
]][[포코(브롤스타즈)|
파일:포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포코
]][[프랭크(브롤스타즈)|
파일:프랭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프랭크
]][[핑크스|
파일:핑크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핑크스
]][[행크(브롤스타즈)|
파일:행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행크
]]
}}}}}}}}}
⠀[ 희귀도순 ]⠀
## 희귀도순 나열 시작
<colcolor=#fff><nopad>
기본
브롤러
[[쉘리|
파일:쉘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쉘리
]]
<nopad> 희귀
[[니타|
파일:니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니타
]][[콜트(브롤스타즈)|
파일:콜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콜트
]][[불(브롤스타즈)|
파일: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브록(브롤스타즈)|
파일:브록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브록
]][[엘 프리모|
파일:엘 프리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엘 프리모
]][[발리(브롤스타즈)|
파일:발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발리
]][[포코(브롤스타즈)|
파일:포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포코
]][[로사(브롤스타즈)|
파일:로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로사
]]
<nopad> 초희귀
[[제시(브롤스타즈)|
파일:제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제시
]][[다이너마이크|
파일:다이너마이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다이너마이크
]][[틱(브롤스타즈)|
파일:틱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8비트(브롤스타즈)|
파일:8비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8비트
]][[리코(브롤스타즈)|
파일:리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리코
]][[대릴|
파일:대릴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대릴
]][[페니(브롤스타즈)|
파일:페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페니
]][[칼(브롤스타즈)|
파일: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재키(브롤스타즈)|
파일:재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재키
]][[거스(브롤스타즈)|
파일: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거스
]]
<nopad> 영웅
[[보(브롤스타즈)|
파일:보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엠즈|
파일:엠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엠즈
]][[스튜(브롤스타즈)|
파일:스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스튜
]][[파이퍼(브롤스타즈)|
파일:파이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파이퍼
]][[팸(브롤스타즈)|
파일: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프랭크(브롤스타즈)|
파일:프랭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프랭크
]][[비비(브롤스타즈)|
파일:비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비비
]][[비(브롤스타즈)|
파일: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나니(브롤스타즈)|
파일:나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나니
]][[에드거(브롤스타즈)|
파일:에드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에드거
]][[그리프(브롤스타즈)|
파일:그리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그리프
]][[그롬(브롤스타즈)|
파일:그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그롬
]][[보니(브롤스타즈)|
파일:보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보니
]][[게일(브롤스타즈)|
파일:게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게일
]][[콜레트(브롤스타즈)|
파일:콜레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콜레트
]][[벨(브롤스타즈)|
파일: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애쉬(브롤스타즈)|
파일:애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애쉬
]][[롤라(브롤스타즈)|
파일:롤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롤라
]][[샘(브롤스타즈)|
파일:샘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맨디(브롤스타즈)|
파일:맨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맨디
]][[메이지(브롤스타즈)|
파일:메이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메이지
]][[행크(브롤스타즈)|
파일:행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행크
]][[펄(브롤스타즈)|
파일: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래리 & 로리|
파일:래리 & 로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래리 & 로리
]][[안젤로(브롤스타즈)|
파일:안젤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안젤로
]][[베리(브롤스타즈)|
파일:베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베리
]][[셰이드(브롤스타즈)|
파일:셰이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셰이드
]][[미플(브롤스타즈)|
파일:미플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미플
]][[트렁크(브롤스타즈)|
파일:트렁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트렁크
]]
<nopad> 신화
[[모티스|
파일:모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모티스
]][[타라(브롤스타즈)|
파일:타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타라
]][[진(브롤스타즈)|
파일: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맥스(브롤스타즈)|
파일:맥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맥스
]][[미스터 P|
파일:미스터 P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미스터 P
]][[스프라우트(브롤스타즈)|
파일:스프라우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스프라우트
]][[바이런(브롤스타즈)|
파일:바이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바이런
]][[스퀴크|
파일:스퀴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스퀴크
]][[루(브롤스타즈)|
파일: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러프스|
파일:러프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러프스
]][[버즈(브롤스타즈)|
파일:버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버즈
]][[팽(브롤스타즈)|
파일:팽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이브(브롤스타즈)|
파일:이브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이브
]][[자넷(브롤스타즈)|
파일:자넷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자넷
]][[오티스(브롤스타즈)|
파일:오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오티스
]][[버스터(브롤스타즈)|
파일:버스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버스터
]][[그레이(브롤스타즈)|
파일:그레이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그레이
]][[R-T|
파일:R-T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R-T
]][[윌로우(브롤스타즈)|
파일:윌로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윌로우
]][[더그(브롤스타즈)|
파일:더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더그
]][[척(브롤스타즈)|
파일:척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찰리(브롤스타즈)|
파일:찰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찰리
]][[미코(브롤스타즈)|
파일:미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미코
]][[멜로디(브롤스타즈)|
파일:멜로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멜로디
]][[릴리(브롤스타즈)|
파일:릴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릴리
]][[클랜시(브롤스타즈)|
파일:클랜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클랜시
]][[모(브롤스타즈)|
파일: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주주(브롤스타즈)|
파일:주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주주
]][[올리(브롤스타즈)|
파일:올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올리
]][[핑크스|
파일:핑크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핑크스
]][[루미(브롤스타즈)|
파일:루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루미
]][[재용|
파일:재용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재용
]][[알리(브롤스타즈)|
파일:알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알리
]][[미나(브롤스타즈)|
파일:미나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미나
]][[지기(브롤스타즈)|
파일:지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지기
]]
<nopad> 전설
[[스파이크(브롤스타즈)|
파일:스파이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스파이크
]][[크로우(브롤스타즈)|
파일:크로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크로우
]][[레온(브롤스타즈)|
파일:레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레온
]][[샌디(브롤스타즈)|
파일:샌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샌디
]][[앰버(브롤스타즈)|
파일:앰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앰버
]][[메그|
파일:메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메그
]][[서지(브롤스타즈)|
파일:서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서지
]][[체스터(브롤스타즈)|
파일:체스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체스터
]][[코델리우스|
파일:코델리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코델리우스
]][[키트(브롤스타즈)|
파일:키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키트
]][[드라코(브롤스타즈)|
파일:드라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드라코
]][[켄지(브롤스타즈)|
파일:켄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켄지
]]
울트라
전설
[[카제(브롤스타즈)|
파일:울트라 전설_204x126.gif
파일:카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카제
]]
<nopad> 기간
한정
[[버즈 라이트이어(브롤스타즈)|
파일:버즈 라이트이어_204x126.png
파일:토이 스토리 시리즈 로고.svg
버즈 라이트이어
]]
⠀[ 역할군별 ]⠀
## 역할군별 나열 시작
<colbgcolor=#017dda><colcolor=#fff>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탱커
[[불(브롤스타즈)|
파일: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엘 프리모|
파일:엘 프리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엘 프리모
]][[로사(브롤스타즈)|
파일:로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로사
]][[대릴|
파일:대릴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대릴
]][[재키(브롤스타즈)|
파일:재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재키
]][[프랭크(브롤스타즈)|
파일:프랭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프랭크
]][[비비(브롤스타즈)|
파일:비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비비
]][[애쉬(브롤스타즈)|
파일:애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애쉬
]][[행크(브롤스타즈)|
파일:행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행크
]][[트렁크(브롤스타즈)|
파일:트렁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트렁크
]][[버스터(브롤스타즈)|
파일:버스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버스터
]][[올리(브롤스타즈)|
파일:올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올리
]][[메그|
파일:메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메그
]][[드라코(브롤스타즈)|
파일:드라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드라코
]]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어쌔신
[[스튜(브롤스타즈)|
파일:스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스튜
]][[에드거(브롤스타즈)|
파일:에드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에드거
]][[샘(브롤스타즈)|
파일:샘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셰이드(브롤스타즈)|
파일:셰이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셰이드
]][[모티스|
파일:모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모티스
]][[버즈(브롤스타즈)|
파일:버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버즈
]][[팽(브롤스타즈)|
파일:팽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미코(브롤스타즈)|
파일:미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미코
]][[멜로디(브롤스타즈)|
파일:멜로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멜로디
]][[릴리(브롤스타즈)|
파일:릴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릴리
]][[알리(브롤스타즈)|
파일:알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알리
]][[크로우(브롤스타즈)|
파일:크로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크로우
]][[레온(브롤스타즈)|
파일:레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레온
]][[코델리우스|
파일:코델리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코델리우스
]][[켄지(브롤스타즈)|
파일:켄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켄지
]][[카제(브롤스타즈)|
파일:울트라 전설_204x126.gif
파일:카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카제
]]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서포터
[[포코(브롤스타즈)|
파일:포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포코
]][[거스(브롤스타즈)|
파일: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거스
]][[팸(브롤스타즈)|
파일: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베리(브롤스타즈)|
파일:베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베리
]][[맥스(브롤스타즈)|
파일:맥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맥스
]][[바이런(브롤스타즈)|
파일:바이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바이런
]][[러프스|
파일:러프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러프스
]][[그레이(브롤스타즈)|
파일:그레이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그레이
]][[더그(브롤스타즈)|
파일:더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더그
]][[재용|
파일:재용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재용
]][[키트(브롤스타즈)|
파일:키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키트
]]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컨트롤러
[[제시(브롤스타즈)|
파일:제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제시
]][[페니(브롤스타즈)|
파일:페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페니
]][[보(브롤스타즈)|
파일:보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엠즈|
파일:엠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엠즈
]][[그리프(브롤스타즈)|
파일:그리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그리프
]][[게일(브롤스타즈)|
파일:게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게일
]][[미플(브롤스타즈)|
파일:미플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미플
]][[진(브롤스타즈)|
파일: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미스터 P|
파일:미스터 P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미스터 P
]][[스퀴크|
파일:스퀴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스퀴크
]][[루(브롤스타즈)|
파일: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오티스(브롤스타즈)|
파일:오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오티스
]][[윌로우(브롤스타즈)|
파일:윌로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윌로우
]][[척(브롤스타즈)|
파일:척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찰리(브롤스타즈)|
파일:찰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찰리
]][[핑크스|
파일:핑크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핑크스
]][[지기(브롤스타즈)|
파일:지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지기
]][[샌디(브롤스타즈)|
파일:샌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샌디
]][[앰버(브롤스타즈)|
파일:앰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앰버
]]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대미지
딜러
[[쉘리|
파일:쉘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쉘리
]][[니타|
파일:니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니타
]][[콜트(브롤스타즈)|
파일:콜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콜트
]][[8비트(브롤스타즈)|
파일:8비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8비트
]][[리코(브롤스타즈)|
파일:리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리코
]][[칼(브롤스타즈)|
파일: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콜레트(브롤스타즈)|
파일:콜레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콜레트
]][[롤라(브롤스타즈)|
파일:롤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롤라
]][[펄(브롤스타즈)|
파일: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타라(브롤스타즈)|
파일:타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타라
]][[이브(브롤스타즈)|
파일:이브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이브
]][[R-T|
파일:R-T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R-T
]][[클랜시(브롤스타즈)|
파일:클랜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클랜시
]][[모(브롤스타즈)|
파일: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루미(브롤스타즈)|
파일:루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루미
]][[미나(브롤스타즈)|
파일:미나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미나
]][[스파이크(브롤스타즈)|
파일:스파이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스파이크
]][[서지(브롤스타즈)|
파일:서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서지
]][[체스터(브롤스타즈)|
파일:체스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체스터
]]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저격수
[[브록(브롤스타즈)|
파일:브록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브록
]][[파이퍼(브롤스타즈)|
파일:파이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파이퍼
]][[비(브롤스타즈)|
파일: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나니(브롤스타즈)|
파일:나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나니
]][[보니(브롤스타즈)|
파일:보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보니
]][[벨(브롤스타즈)|
파일: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맨디(브롤스타즈)|
파일:맨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맨디
]][[메이지(브롤스타즈)|
파일:메이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메이지
]][[안젤로(브롤스타즈)|
파일:안젤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안젤로
]][[자넷(브롤스타즈)|
파일:자넷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자넷
]]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투척수
[[발리(브롤스타즈)|
파일:발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발리
]][[다이너마이크|
파일:다이너마이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다이너마이크
]][[틱(브롤스타즈)|
파일:틱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그롬(브롤스타즈)|
파일:그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그롬
]][[래리 & 로리|
파일:래리 & 로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래리 & 로리
]][[스프라우트(브롤스타즈)|
파일:스프라우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스프라우트
]][[주주(브롤스타즈)|
파일:주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주주
]]

}}} ||
관련 문서
세부사항 · 기어 · 트리오 · 레코드 (구 마스터리) · 스킨 · 칭호메타 및 성능 · 템플릿

파일:브롤스타즈 로고.webp 브롤스타즈의 82번째 브롤러
<rowcolor=#000,#fff> 베리
#!if d1_2 != null
, [[|]]
클랜시
#!if d2_2 != null
, [[|]]
#!if d3_2 != null
, [[|]]


클랜시
CLANCY
파일:Clancy_Portrait.png
<colbgcolor=#ff0000><colcolor=white> 등급 신화
역할군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대미지 딜러(DAMAGE DEALER)
코드 네임 Crab
출시일 얼리 액세스
2024년 7월 25일[1]
정식 출시
2024년 8월 1일
성우 오스카 콘론모리[2]
플레이어 칭호 셸 쇼크[3]


1. 개요2. 대사 목록3. 핀4. 스프레이5. 스탯6. 스킬
6.1. 특성 - 파워 토큰(POWER TOKEN)6.2. 일반 공격 - 강력한 물대포(POWER WASH)6.3. 특수 공격 - 물벼락(TORRENT)6.4. 가젯
6.4.1. 황금빛 사격(SNAPPY SHOOTING)6.4.2. 작전상 후퇴(TACTICAL RETREAT)
6.5. 스타 파워
6.5.1. 정찰(RECON)6.5.2. 활력 증강(PUMPING UP)
6.6. 하이퍼차지 - 리콜 오브 듀티(RECALL OF DUTY)
7. 성능
7.1. 장단점7.2. 변천사7.3. 모드별 평가
8. 상성9. 세팅10. 추천하는 브롤러 조합11. 팁12. 스킨
12.1. 기본 스킨12.2. 획득 / 구매 가능한 스킨
12.2.1. 승부사 클랜시(HIGH STAKES CLANCY)12.2.2. 트루 실버 클랜시(TRUE SILVER CLANCY)12.2.3. 트루 골드 클랜시(TRUE GOLD CLANCY)12.2.4. 괴수 클랜시(KAIJU CLANCY)
13. 업데이트 내역14. 기타


1. 개요

파일:Clancy.png
Clancy is the name, going full lobster is the game.
클랜시는 내 이름, 특기라면 랍스터를 채우는 것.
There's no turning back with Clancy (unless Hank orders him to). He's fully embraced his fake crustacean life and will do anything for his comrades.
행크의 명령이 없는 이상 클랜시의 사전에 후퇴란 없습니다. 갑각류의 모습으로 살아가는 현재 삶을 받아들인 듯하지만 진짜 정체는 베일에 싸여 있죠. 전우애가 남달라 동료를 위해서라면 물불을 가리지 않습니다.

2. 대사 목록

목소리는 병사인 걸 감안해서인지 상당히 충성스러운 대사가 많으나 피격이나 죽을 때는 알아들을 수 없는 괴성이나 괴물같은 울음소리가 포함되어있다.
Armored and ready for carnage.
무장됐고, 학살할 준비됐어.
snap to it!
서둘러라!
Clancy Claws[4] is coming to town.
클랜시클로스가 마을에 왔도다.
Pinch them into submission.
저들을 복종시켜야겠군.
Leave them shellshocked.
충격에 빠뜨리겠다.
I'll claw my way to victory, one pinch at a time!
난 꼬집으면서 승리를 향해 걸어갈거다.
This isn't just a battle, it's a crustacean crusade.
이건 단순한 전투가 아니야, 갑각류 성전이지.
Scuttle into the fray.
이 전투에 뛰어들어보자.
Clancy is the name, going full lobster is the game.
클랜시는 내 이름, 특기라면 랍스터를 채우는 것.
Shell yeah, let's do this!
물론이지, 한번 해보자고!
Pinch pinch pinch pinch pinch pinch pinch pinch pinch!
꼬집고 꼬집고 꼬집고 꼬집고 꼬집고 꼬집고 꼬집고 꼬집고 꼬집는다!
리스폰 시 대사
Living the lobster life!
랍스터의 삶을 살아가는 중!
Lobsters rock!
락스터!
From the depth of the sea, to the height of victory!
심해에서부터 승리의 절정까지!
Fancy Clancy![5]
멋쟁이 클랜시!
I don't break character, I break Brawlers!
난 설정을 깨지 않아, 브롤러들을 깨버리지!
I'm the terror of the tides![6]
난 공포의 물결이다!
I'm on a lobster roll.[7]
랍스터가 승승장구하고 있다고!
인게임 진행 중/승리 시 대사
Cribbity crab sticks!
크리비티 크랩 작대기 같으니!
Salty sea biscuit.
바닷소금 비스킷 같으니라고.
Time to improvise.
즉흥적으로 대처할 시간이군.
Ooh!
오우!
*신음 소리*
*알 수 없는 괴성*
피격 시 대사
Hahahahaha! A pinch pinch pinch.
하하하하하! 꼬집기 꼬집기 꼬집기.
Claws of fury!
분노의 발톱!
Get in the sea.[8]
바다에 들어가라.
Humans are overrated.
인간은 과대평가 됐다니까.
Pinch pinch pinch!
꼬집기 꼬집기 꼬집기!
*웃음 소리*
적 처치 시 대사
Boiled and buttered!
삶아지고 버터에 발린다!
Lethargic langoustine.
무기력한 아기새우.
Feeling crabby!
괴상한 느낌이군!
Crustaceous calamity!
갑각류의 재앙이야!
Neptune awaits.
넵툰이 기다리고 있어.
Son of a clambake!
망할 조개구이 같으니!
*비명 소리*
*알 수 없는 괴성*[9]
사망 시 대사
Saline salvo.[10]
식염수 일제 사격.
Pinch and prevail![11]
꼬집고 승리한다!
Lobster of valor.
용맹한 랍스터.
Comvat crayfish.[12]
가재랑 싸워보시지.
A pinch.
꼬집기.
일반 공격 사용 시 대사
I am lobster!
난 랍스터다!
I am the red warrior.[13]
나는 붉은 전사다.
Crusty commando!
딱딱한 특공대!
Shell shockwave!
껍게기 충격파!
Marine mayhem!
해양의 대혼란!
Crusty carnage!
거친 대학살이다!
Lobssstttter![14]
랍스터어어어!
특수 공격 사용 시 대사

3.

<rowcolor=#fff>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상태 희귀도 대사
파일:클랜시핀1.webp Neutral
일반
Armored and ready for carnage.
파일:클랜시핀2.webp Happy
일반
웃음소리
파일:클랜시핀3.webp Sad
일반
알 수 없는 괴성
파일:클랜시핀4.webp Angry
일반
Time to inprovise.
파일:클랜시핀5.webp GG
희귀
Lobsters rock.
파일:클랜시핀6.webp Clap
희귀
박수 소리
파일:클랜시핀7.webp Thanks
영웅
I'm on a lobster roll.
파일:클랜시핀8.webp Phew
영웅
Ooh!
파일:클랜시핀9.webp Special
영웅
I don't break character, I break Brawlers.
파일:클랜시핀10.webp Facepalm
컬렉터
- }}}}}}}}}}}}
  • 버그로 클랜시의 happy핀을 제외한 나머지 핀들은 모두 수염이 잘린 모습으로 나온다.

4. 스프레이

<rowcolor=#fff> 스프레이
파일:클랜시스프레이.webp
  • 클랜시의 얼굴이 그려져 있다.[15]
==# 마스터리 #==
||<|2><tablewidth=96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212529,#e0e0e0><rowcolor=#fff><bgcolor=#ad4d37><height=70>
파일:mastery_empty_wood.png
우드
파일:mastery_empty_bronze.png
브론즈
파일:mastery_empty_silver.png
실버
파일:mastery_empty_gold.png
골드
<rowcolor=#fff>IIIIIIIIIIIIIIIIII
-
파일:coin.png
1000 코인
파일:PP.png
150 PP
파일:Credits_Icon.png
100 크레딧
파일:PP.png
300 PP
파일:coin.png
2000 코인
파일:Credits_Icon.png
200 크레딧
파일:클랜시핀10.webp
Facepalm 핀
파일:클랜시플레이어아이콘.webp
플레이어 아이콘
파일:icon_mastery_title.png
칭호:
셸 쇼크


300
800
1500
2600
4000
5800
10300
16800
24800

파일:icon_mastery_point.png

5. 스탯

||<tablebordercolor=#017dda><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000,#ddd><rowbgcolor=#017dda><tablewidth=400px><width=13%> 파워
레벨
||<width=43.5%> 파일:Icon_health.png HP || 이동 속도 ||
<colbgcolor=#005090><colcolor=#fff> 1 3300 보통
(720 = 2.4타일/초)[16]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5090><colcolor=#fff> 2 3630
3 3960
4 4290
5 4620
6 4950
7 5280
8 5610
9 5940
10 6270
}}}}}}}}} ||
11 6600

에드거, 그레이, 맥스와 체력이 같다. 짧은 사거리와 느린 재장전 속도를 감안하면 체력이 많이 낮은 편이다. 말도 안 되는 깡딜을 얻은 대신 그 페널티로써 체력과 (2단계 이하에서의) 이동 속도가 다소 낮게 잡힌 듯하다.

6. 스킬

6.1. 특성 - 파워 토큰(POWER TOKEN)

파일:Icon_Ability.png 특성
파일:Traits-Power_Token.png 능력을 사용해 적 브롤러에게 피해를 주면 토큰을 획득합니다!

1단계에서는 일반공격 7대, 2단계에서는 일반공격 14대를 맞히면 변신이 된다. 서지와 달리 사망 후 부활해도 단계가 초기화되지 않기 때문에 초반부터 최대한 빠르게 3단계로 올려야 효율이 좋다.

단계가 오를 때마다 특유의 효과음이 나오는데, 2단계부터는 평상시에도 덤불에 숨은 게 아니라면 시야에 들어올 때마다 효과음이 꽤 시끄럽게 들려서 굉장히 요란스럽다.

또한, 경쟁전의 가시 돋친 탄환 모드에서는 도트딜이 들어갈때마다 토큰도 계속 획득한다.

6.2. 일반 공격 - 강력한 물대포(POWER WASH)

파일:skill-attack_new.png <colcolor=#000,#ddd> Clancy's attacks upgrade each stage.
STAGE 1: Clancy fires one bullet.
STAGE 2: Clancy fires a second bullet each attack!
STAGE 3: Clancy fires 2 additional bullets diagonally each attack!
일반 공격이 단계별로 업그레이드됩니다.
1단계: 페인트볼을 한 번 발사합니다.
2단계: 공격 시마다 페인트볼을 두 번 발사합니다!
3단계: 공격 시마다 추가 페인트볼 2발을 대각선 방향으로 발사합니다!
||<tablebordercolor=#017dda><rowbgcolor=#45436c><rowcolor=#fff><tablewidth=100%><width=25%>피해량
600 ||<width=25%>사정거리
장거리(7.67타일) ||<width=25%>재장전 속도
느림(2초) ||<width=25%> ||
특수 공격 충전량(단계별): 12.75% / 14.875% / 18%
투사체 속도: 3500(11.67타일/초)
투사체 폭: 1타일
공격 각도(탄퍼짐): 125°
{{{#!folding [레벨 별 스탯]
{{{#!wiki style="word-break: keep_all; margin: -5px 0px"
파워 레벨 피해량
<colbgcolor=#005090> 1 600 700 8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5090> 2 660 770 880
3 720 840 960
4 780 910 1040
5 840 980 1120
6 900 1050 1200
7 960 1120 1280
8 1020 1190 1360
9 1080 1260 1440
10 1140 1330 1520
}}}}}}}}} ||
11 1200 1400 1600 }}}}}}

손에 있는 집게발 총에서 탄환을 발사하여 피해를 준다. 공격하여 모은 토큰을 활용하여 총 3단계로 진화할 수 있다.
  • 1단계는 600대미지의 탄환을 한 발만 쏘며, 일반공격 기준으로 총 7개의 토큰을 모아야 2단계로 돌입한다. 워낙 열세인 단계라서 빠르게 벗어나기 위해 공격을 명중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
  • 2단계부터는 피해량이 700대미지로 늘어난 탄환을 연달아 2번씩 쏘며, 이때부턴 본격적인 대미지 딜러로 거듭난다. 보통은 이 단계에서 고착되며 14개의 토큰을 모아야 3단계로 진화하기에 특수 공격과 잘 병행해서 토큰을 채워야 한다.
  • 3단계부터는 탄환의 피해량이 800으로 증가하고 이동속도가 약 14% 증가해 매우 빠름(820)이 되며 양갈래로 2개의 탄환이 추가로 나간다. 때문에 초근접에서는 탄환을 3~4발을 맞힐 수 있어 에모 하나만으로 최대 6400의 화력을 선사할 수 있지만, 퍼지는 각도가 워낙 넓다보니 보통 상황에서는 초근접이 아닌 이상 어쩌다 맞는 경우 외에는 화력이 눈에 띄게 바뀌진 않는다. 탄환보다는 이속 상승과 후술한 특수 공격이 엄청난 메리트.

6.3. 특수 공격 - 물벼락(TORRENT)

파일:Super_image1.png <colcolor=#000,#ddd> Clancy's Super upgrades each stage.
STAGE 1: Clancy fires a torrent of bullets in a cone in front of him.
STAGE 2: Bullets travel further.
STAGE 3: Bullets deal 16% additional damage!
클랜시의 특수 공격은 단계별로 업그레이드됩니다.
1단계: 전방에 부채꼴 범위로 엄청난 양의 페인트볼을 발사합니다.
2단계: 페인트볼이 더 멀리 날아갑니다.
3단계: 페인트볼이 16%의 추가 피해를 줍니다!
||<tablebordercolor=#017dda><rowbgcolor=#45436c><rowcolor=#fff><tablewidth=100%><width=25%>피해량
600×16[17] ||<width=25%>사정거리
중거리(5.67타일)[18] ||<width=25%> ||<width=25%> ||
특수 공격 충전량: 9.75% (1, 2단계) / 11.375% (3단계)
{{{#!folding [레벨 별 스탯]
{{{#!wiki style="word-break: keep_all; margin: -5px 0px"
파워 레벨 피해량
<colbgcolor=#005090> 1 600×16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5090> 2 660×16
3 720×16
4 780×16
5 840×16
6 900×16
7 960×16
8 1020×16
9 1080×16
10 1140×16
}}}}}}}}} ||
11 1200×16 }}}}}}

클랜시의 밥줄 능력으로, 방사형으로 탄환을 흩뿌린다[19][20]. 해당 공격으로도 토큰이 채워지고, 일반 공격에 비하면 살짝 낮은 편이지만 양이 무식하게 많아 많이 맞추면 순식간에 3단계에 도달할 수도 있다.
  • 1단계에선 사거리가 근거리 정도에 불과해서 근접 대응으로 쓰는게 일반적이지만, 가젯이나 스타파워가 없다면 토큰이 제대로 쌓이지 않았기에 어떻게든 접근해서 뿌려버리려고 노력하게 될 것이다.[21]
  • 2단계부턴 사거리가 중근거리 정도로 늘어나서 견제기나 마무리용도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토큰이 애매하거나 탄창이 다 떨어진 상황에서 적절하게 활약할 수 있다.
  • 3단계부턴 자체 대미지가 뻥튀기 된다. 이때부터 클랜시의 자체 화력이 어마무시하게 높아서 일반 공격이 특수 공격을 채우는 용도에 불과할 수준으로 의존도가 굉장히 높아진다.

팸, 펄과 똑같은 방식으로 탄환을 방사하기에 11레벨 기준 최대 대미지를 욱여넣으면 19200, 3단계면 무려 22400의 압도적인 화력을 쏟아부을 수 있어 근접하는 브롤러에게 특히나 강력하다. 하지만 이 특수 공격의 가장 큰 장점은 특수 공격 자체 충전량도 상당히 높아서, 근접하질 않아도 특수 공격 순환도 매우 쉽다.[22] 대신 집탄률이 워낙에 심각한데다 방향 전환도 불가능하단 단점이 있다.[23]

6.4. 가젯

6.4.1. 황금빛 사격(SNAPPY SHOOTING)

파일:clancy_gadget1.png <colcolor=#000,#ddd> Clancy gains double tokens for 5 seconds.
5초동안 토큰 획득량이 두 배로 증가합니다.
재사용 대기 시간: 15초

5초간 토큰 획득량을 2배로 늘린다. 1스파를 착용한 상태라면 3탄창만으로 즉시 2단계를 채울 수 있기에 초반의 토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처음 가젯은 1단계에서 2단계로 올라갈 때, 두 번째 가젯은 최초 특수 공격을 채울 때, 마지막 세 번째 가젯은 2단계에서 특수 공격을 사용할 때 켜주면 웬만해선 3단계로 꽤 쉽게 올라갈 수 있다.

유일한 단점으로는 3단계까지 올린 이후에는 아무 쓸모도 없다는 것이다. 그러니 괜히 쿨타임 때문에 아끼지 말고 바로바로 써서 최대한 빠르게 3단계로 올라가는게 좋다.

6.4.2. 작전상 후퇴(TACTICAL RETREAT)

파일:clancy_gadget2.png <colcolor=#000,#ddd> Clancy dashes and reloads 1 ammo
돌진하며 탄환 1개를 재장전합니다.
재사용 대기 시간: 16초

앞으로 돌진하면서 탄창을 하나 장전한다. 적에게 닿으면 1초간 기절시키는 부가 효과가 있었으나, 버그였던 것인지 잠수함 패치로 사라졌다.

특수공격 충전량이 조금 부족할 경우 2가젯을 이용하여 애모를 충전해 특수공격을 채워 폭딜을 넣는 콤보도 있다.

다만 위의 1가젯이 없다면 토큰을 채우기 매우 어려워져 평타 명중률이 점점 낮아지는 상위권으로 갈수록 1가젯에 압도적으로 밀린다. 아예 1가젯이 없는 클랜시는 게임이 끝날 때까지 3단계를 찍지 못할 때도 있다 보니 아군에게 트롤로 낙인찍히는 일이 많다.

6.5. 스타 파워

6.5.1. 정찰(RECON)

파일:클랜시1스파.png <colcolor=#000,#ddd> Clancy starts the match with 2 tokens.
토큰을 2개 보유한 상태로 매치를 시작합니다.
게임 시작 시 토큰 2개를 가지고 시작한다.

1단계의 매우 약한 체급을 커버하고 빠르게 2단계로 돌입하게 해주는 스타파워다. 앞서 서술하듯이 1가젯을 발동시킨다면 3탄창만으로 바로 2단계에 돌입하기에 1가젯과의 궁합이 매우 좋고, 대부분의 유저들이 선호하는 빌드이다.

6.5.2. 활력 증강(PUMPING UP)

파일:클랜시2스파(1).png <colcolor=#000,#ddd> Clancy reloads all of his ammo on every enemy takedown.
적을 처치할 때마다 모든 탄환을 재장전합니다.

적 제압 시 탄환이 모두 재충전된다.

조건부로 탄창을 즉시 채워주는 덕분에 클랜시의 느린 재장전 속도를 커버해 주는 데다, 클랜시가 보통 일반 공격을 다 쓰고 특수 공격으로 마무리하는 경향이 잦아서 준수한 시너지를 발휘한다.

그러나 2가젯이 버려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자체 성능이 뛰어남에도 상위권으로 갈수록 레벨업에 큰 도움을 주는 1스파에 비해 픽률은 밀린다. 그나마 자체 부가 효과가 뛰어나 토큰을 상대적으로 채우기 쉬워보이는 근접 매치업에서는 이 스타파워를 들기도 한다. 클랜시를 충챔으로 굴리고 싶다면 추천한다.

이 스타파워의 효과를 제대로 사용하고 싶다면 1단계를 벗어나자. 1600딜로 상대를 죽이긴커녕 내가 죽을 수도 있다.

6.6. 하이퍼차지 - 리콜 오브 듀티(RECALL OF DUTY)

파일:Clancy_Hypercharge.png <colcolor=#000000,#ddd> 클랜시의 특수 공격인 페인트볼이 적을 관통한 후 빠르게 클랜시에게 되돌아와 다시 피해를 입힙니다.
Clancy's Super paintballs pierce enemies then quickly return to him, dealing damage again.
파일:brawler_speed_icon.png
속도
+25%
파일:skill-attack_new.png
피해량
+15%
파일:brawler_shield_icon.png
보호막
+15%

클랜시의 특수 공격이 그리프의 특수 공격처럼 최대 사거리에 도달하거나 적을 관통한 뒤 다시 클랜시에게 돌아온다. 다만 그리프와 다르게 벽은 여전히 관통이 불가능하다.

단순 계산으로도 3단계 기준으로 전탄 22400의 피해량이 2.3배[24]가 되어 전부 맞히면 51520의 피해량이 꽂힌다. 조건만 맞으면 순간 폭딜로 브롤스타즈 최강을 자랑하던 크로우의 하이퍼차지 특수 공격마저 뛰어넘는다.[25] 게다가 이쪽은 전면에 방사형으로 쏘기 때문에 크로우보다 적중시키기도 쉽다. 물론 실전에서는 조금씩 삐끗하여 5만이 넘는 풀대미지를 전부 넣기는 쉽지 않지만 그래도 잘 들어갔다면 최소 4만의 피해량이 보장된다. 원래 적 관통이 아니던 탄들이 적을 관통할 수 있게 되어서 뭉친 적을 보다 손쉽게 지워버릴 수 있으며 모티스의 하이퍼차지처럼 되돌아오는 탄으로도 특수 공격이 충전돼서 안 그래도 높은 순환률이 한층 더 상승한다. 사거리가 줄고 순차적으로 딜을 넣는 대신 딜량이 크게 늘어난 그리프의 특수 공격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다만 클랜시는 원래 하이퍼차지의 필요성보다도 빠른 3단계 달성이 더 중요한 브롤러였고, 특수 공격과는 반대로 하이퍼차지의 순환률은 상당히 좋지 않은 편이라[26] 실전에서 제대로 써먹기는 어렵다. 그리프의 하이퍼차지처럼 적뿐만 아니라 벽까지 관통됐다면 더 좋았으리라는 여론이 많다. 실전에서 클랜시의 티어 상승을 기대하기보다 원래부터 클랜시의 주무대였던 보스전이나 로보 럼블에서의 활약상을 극대화시켜 줄 듯.

이름의 유래는 바로 콜 오브 듀티. 콜 오브 듀티 시리즈를 하는 유저거나 이를 안다면 이름의 유래가 어디서 되었는지 단번에 알수있다.

7. 성능

서지와 비슷한 단계를 높여야 활약해주는 왕귀형 대미지 딜러로, 중원거리 전투가 중심인 서지와 달리 클랜시는 근~중거리 전투가 중심이다. 서지가 긴 사거리와 특수 공격의 넉백으로 근접 브롤러의 접근을 허용하지 않는 수비적인 안티 탱커라면, 클랜시는 쉘리, 그리프, 체스터처럼 직접 근접에 붙어서 압도적인 화력으로 삭제시키는 공격적인 안티 탱커이다.

기본 사거리가 나쁘지 않고, 3단계를 찍었을 때의 일반 공격의 화력도 강력하기 때문에 특별히 안티 탱커 목적으로 채용하지 않아도 밥값이 가능한 범용형 브롤러이다. 다만 단계를 유지된다는 점에서 예견할 수 있듯 단계를 채우는 과정이 까다로운데, 3단계가 유별나게 뛰어난 대신 1, 2단계는 크게 차이가 나지 않을 정도로 스탯이 좀 저조한 편이다. 게다가 단계를 높이더라도 사거리가 늘어나질 못하는데다 스피드도 최종 단계에서만 증가되기에 본격적인 원거리 싸움에서 특히나 취약한 편이다.

보통 일반공격으로 어떻게든 맞혀서 특수 공격을 채우고, 접근해서 한방을 노려보는 식으로 단계를 채워가는 운영이 대부분으로, 1가젯을 적절한 타이밍에 발동해서 단계를 최대한 빠르게 채우는게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일단 특수 공격이나 1가젯 상태의 평타만 확실히 맞힌다면 토큰이 팍팍 쌓이므로 근접전에서 특히 활약하기가 좋지만, 3단계를 포함해서 공격 방식이 죄다 부채꼴인데다 특수 공격은 방향 전환도 안되기 때문에 초근접전에서는 삐끗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7.1. 장단점

장점
  • 초월적인 근거리 전투력
    클랜시의 아이덴티티인 특수 공격은 겉으로만 보았을 땐 여타 근거리 딜러들이 흔히 가지고 있는 산탄형 공격기일 뿐이지만, 초근접에서 전부 맞았을 시 만렙 기준 2단계 이하에서는 19200[27], 3단계에서는 무려 22400[28]의 피해량이 들어오며, 하이퍼차지를 켰을때는 51520[29]의 피해량이 들어온다.[30]초근접이 이정도면 근접~중근거리에서 맞춰도 어지간한 브롤러들은 다 녹는다.[31] 비슷하게 근거리 화력이 압도적인 특수 공격을 지닌 쉘리, 그리프는 적어도 평타를 섞는 콤보가 필요하지만, 클랜시는 특수 공격 자체가 콜트, 리코의 특수 공격처럼 독립적인 딜링기로 설계되어 있어 평타를 섞을 필요가 없다. 상대가 근접이 아닌 중거리더라도 워낙 넓은 범위에 많이 발사하면서도 판정까지 좋아 최소 두 세발 정도는 맞는 수준이고 이 역시 원딜에게 아픈 수준이다.

  • 3단계 달성 시 비약적으로 상승하는 기동력과 전투력
    1단계의 전투력은 정말 별 볼일 없지만, 고난과 역경을 딛고 3단계를 달성하면 이동 속도가 820으로 어쌔신과 같은 이속을 영구적으로 얻으면서도 일반 공격이 초근접 피해량이 2단계 대비 약 2.3배, 1단계 대비 약 5.3배나 강해진다. 같은 왕귀형 캐릭터인 서지보다 강화가 더욱 어려운 대신 능력치 상승폭이 극대화되었다고 보면 된다.

  • 영구적으로 유지되는 업그레이드
    죽으면 스택이 초기화되는 서지와 달리 이쪽은 스택 요구량이 많아 업그레이드가 힘든 대신 사망 시 토큰도, 업그레이드도 영구적으로 지속된다. 심지어 브롤 볼, 녹아웃 같이 라운드 자체가 수시로 바뀌어도 유지된다. 따라서 토큰만 착실히 쌓을 수 있으면 도중에 죽는다고 해도 매우 높은 특수 공격과 3단계의 밸류로 결국 게임을 장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 상술한 장점들로 인한 매우 강력한 왕귀력과 후반 캐리력
    종합적으로 3단계를 달성한 클랜시는 중장거리 브롤러인데도 암살자 이상의 스피드에, 원거리에서도 아픈데 초근접에서는 샷거너 이상의 피해를 입히는 일반 공격, 안 그래도 살인적인데 위력이 더욱 높아진 특수 공격까지 갖추게 된 괴물이 된다. 게다가 죽어서 강화된 스택이 없어지지도 않아 어떻게든 3단계만 만들 수만 있다면 그 이후로 별다른 페널티 없이 고점을 게임 내내 유지할 수 있어 그 서지보다도 왕귀력이 훨씬 더 높다.
단점
  • 초반 단계의 매우 허약한 성능
    서지와 같은 왕귀형 캐릭터들의 고질적인 단점. 특히 단계를 올리지 않은 클랜시는 과장 좀 보태서 그냥 트롤이나 마찬가지다. 단계를 올려서 활용하라고 설계되었기 때문에 아무런 강화가 되지 않은 일반 공격의 딜은 정말 심각할 정도로 낮고, 특수 공격도 딜량은 살인적이어도 막상 사거리가 짧아 초근접에서 요행으로 맞혀야 하기에 활용이 제한된다. 2단계로 올라가면 그나마 평타 딜량이 나아지지만 여전히 짧은 사거리에 비해 낮은 이속과 체력, 느린 재장전 속도로 인해 본격적으로 팀을 위해 활약하기엔 유틸이 일절 없는 단순 대미지 딜러의 체급으로서는 한참 부족하다. 따라서 상술한 장점들은 3단계가 되기 전까지의 초반 단계에서는 거의 없는 수준이라는 것이고 오로지 특수 공격 원툴에 각종 단점들만 크게 강조될 수밖에 없다.

  • 까다로운 3단계 달성으로 인한 험난한 왕귀
    상술했듯 업그레이드 시 보상이 상당히 후하면서도 사망 시에도 토큰이 유지되어 불이익이 일절 없는 대신, 토큰을 쌓아서 단계를 올려가는 과정이 그야말로 고난의 행군이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이다. 상술한 저열한 스탯으로 가뜩이나 평타를 맞혀서 특수 공격을 쌓기도 고역인데 업그레이드 시 토큰 요구량도 1단계에서 스타파워 미장착시 무려 9개, 2단계에서 15개인데다 재장전 속도까지 매우 느리다. 보통 1단계를 최대한 빠르게 탈출하고 특수 공격을 잘 맞혀서 3단계까지 빠르게 스노우볼을 굴려야 하지만, 수준이 높아질수록 클랜시가 토큰을 쌓을 각 자체를 주지 않고 상대에게 주도권을 그대로 내줘야 한다.

  • 부족한 원거리 대응력
    쉘리, 그리프, 체스터와 비슷하게 근~중거리 화력이 매우 강력한 대신 원거리 브롤러에게 대항할 수단이 없다. 이 중에서도 쉘리는 집중 사격, 체스터는 박하사탕과 젤리빈의 추가 힐/속도 증가를 통해 조금이라도 원거리에게 대응할 수 있는 반면 클랜시는 원거리에 대항할 수단이 일절 없다. 그나마 3단계 달성 시 빨라지는 이속으로 대응할 수 있지만 이마저도 1, 2단계에서는 없어 사실상 장거리 저격수나 스로어를 상대로 토큰을 쌓는 것은 포기해야 한다.

  • 극심하게 타는 상대 조합과 높은 환경 의존도
    상술한 단점들이 시너지를 내는 클랜시의 종합적인 단점. 1, 2단계를 벗어나면 별 다른 능력 없이 깡스탯으로 적을 압도할 수 있지만 반대급부로 정말 많은 것을 포기해야 하고 이 과정에서 팀원의 케어와 1스파 1가젯, 지속적으로 생존해 딜을 넣어야 하기 때문에 맵에도 의존해야 한다. 또 클랜시는 상성이 원거리냐, 근접이냐로 갈리기 때문에 자신보다 팔이 짧은 브롤러가 많으면 특수 공격과 토큰을 빠르게 쌓아 유리하지만 원거리나 스로어 브롤러가 포진된 조합에서는 정말 압도적으로 무력하다. 그나마 서지는 낮은 단계에서도 벽을 넘을 수 있는 체공기 + 탄속이 빠른 기본 공격으로 지형지물만 있다면 반등이라도 노릴 수 있지만 클랜시는 정말 눈물난다.

  • 빠른 템포의 게임에서의 불리함
    교전이 단발적이고 게임 자체가 빠르게 끝나는 녹아웃, 듀얼 등의 모드에서는 부활 시 강화 유지라는 장점도 사실상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고 극도로 느린 3단계 달성과 원거리 브롤러를 마주쳐야하는 특성상 짧은 사거리와 저열한 스탯이 더더욱 부각되기에 사실상 봉인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7.2. 변천사

유저들의 평가는 좋은 편이지만 하필 같이 공개되고 먼저 출시된 베리가 벨붕캐로 평가받아 크게 주목받진 못했다. 또한 미리보기가 공개되고 나서 토큰이 낮을때 단점들과, 일반공격의 탄환 개수, 사거리 문제로 인해 처음에는 애매한 평가를 받았다.

출시된 이후로는 서술한 단점을 감안하더라도 3단계일 때의 화력이 말도 안되게 사기적이라서 좋은 평가를 받는다. 다름 아닌 특수 공격이 화력이 말도 안되게 강한데 단순히 깡대미지도 심각하게 높은 것도 모자라 특수 공격 순환률까지 어마무시하게 뛰어나서 브롤러를 한두 명 잡고 나면 70%는 채워져 있어 곧바로 다시 특수 공격을 사용할 수 있다. 때문에 3단계를 채우는 게 무조건 필수라서 1가젯 1스타파워가 무조건 요구될 정도.[32]

이런 우수한 특수 공격 덕분에 출시 전 애매한 성능으로 평가받던 클랜시의 평가가 베리, 발리 등만큼은 아니지만 상당히 올랐다. 특수 공격의 성능도 진화할수록 높아지며 근접에서 맞히면 거의 무조건 1킬을 할 수 있고 3단계에서는 대미지도 증가하기 때문에 3연킬도 가능할 정도다. 또 클랜시의 느린 재장전 속도를 보완한 2스파 때문에 1스파는 그냥 쓰레기 취급을 받았으나 재평가된 이후 1단계의 저조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으며 1가젯과 함께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이것으로 가젯과 스타파워의 픽률이 매우 비슷한데 변신을 더 쉽게 하려면 1가젯 1스파, 적들을 더 쉽게 잡기 위해선 2가젯 2스파로 조합을 짤 수 있다. 물론 투척수들과 저격수들에게 쉽게 카운터당한다는 것은 흠.

시즌 30 패치로 너프를 받게 되었다. 특수 공격을 채우는데 필요한 일반 공격 명중 횟수가 5회에서 6회로 증가하고 3단계 업그레이드로 획득하는 특수 공격의 추가 피해량이 50%에서 26%로 감소하고[33] 특수 공격으로 얻는 특수 공격 충전량이 100에서 65로 대폭 감소한다. 이 너프가 상당히 체감이 되겠지만 클랜시의 특수 공격을 초근접에서 맞출 시 엄청난 대미지와 모든 브롤러들을 처치할 수 있다는 것은 변함없다. 여전히 3단계 업그레이드 시에 엄청난 성능은 너프당하지 않았기에, 여전히 좋은 브롤러로 활약할듯 하다.

그러나 초반이 너무나 약하다는 단점이 부각되며 프로씬 기준으로는 2티어 수준의 평가를 받게 되었다. 아무리 후반이 강하더라도, 맞아주지 않으면 그만이기 때문. 사거리 차이로 패는 플레이에 매우 능숙한 상위권으로 갈수록 평가가 다소 낮아지는 모습이다.

물론 일반적인 점수대에서는 그런 거 없이 미친듯이 날뛰고 있다. 클랜시를 상대하기 위해서는 팀원 모두가 클랜시와 거리를 벌리거나 서로 라인을 교체하며 강한 타이밍을 최대한 가져가지 못하도록 해야 하는데, 상위권이 아닌 이상 팀에 한 명씩은 필연적으로 나사가 빠져있기 때문이다. 대릴, 모티스, 켄지의 영향으로 투척수와 저격수들이 힘을 쓰지 못하고 있음을 감안해도, 최상위권과 그 아래의 구간대에서 성능 편차가 유독 극심하게 드러나는 브롤러라는 평이 우세하다.

시즌 32에서는 1단계에서의 일반 공격 피해량이 800에서 600으로, 2단계에서의 일반 공격 피해량이 800×2에서 700×2로, 3단계에서의 특수 공격 피해량이 760×16에서 700×16으로 감소하는 매우 큰 너프를 받았다. 이 패치 이후로 3단계 의존도가 상당히 높아졌다. 대신 하향 되었다곤 해도 3단계의 성능이 어디가는건 아니기에 OP만 아닐뿐 여전히 2티어 초반 정도로 꽤나 강력하다.

결국 시즌 33에서 그 동안 건드리지 않았던 이동속도를 건드려, 3단계 클랜시의 이동속도가 무려 70이나 깎여나갔다. 이제 이동속도가 "매우 빠름"에 속하는 브롤러들의 이동속도와 동일해졌다. 3단계 강화의 의의가 사실상 이동속도 증가에 있었음을 감안하면 매우 치명적인 너프로 티어가 크게 내려갔다. 그래도 자체 성능은 좋은 편이기 때문에 현재 기준으로는 여전히 3티어 상위권 정도로 평가받는다.

시즌 34에서는 카운터 브롤러들이 죄다 메타에 진출하면서 수 차례 너프를 통한 클랜시의 특유의 단점이 부각되었기 때문에 4티어, 심하면은 4티어 중하위권까지 뚝 떨어지고 말았다. 뒤에 나온 모와 거의 똑같은 처지.[34] 올 6월 업데이트 때까지 하이퍼차지를 못 받을 경우 그때까지 관짝 신세를 지게 될 수밖에 없다.

결국 2025년 봄 개편 업데이트로 하이퍼차지를 받지 못하고 아무런 패치도 받지 않게 된데다 가젯 패치로 1가젯의 쿨타임이 15초나 달리는 바람에 5티어급으로 완전히 성능이 구려져서 브롤 유저들에게 잊힌 브롤러가 되고 말았다. 다른 브롤러는 쿨마다 계속 가젯을 써대지만 클랜시의 1가젯은 토큰을 다 모으면 끝이기 때문에 쿨타임만 늘어난 격이기 때문. 카운터인 미스터 P가 하이퍼차지를 받고 떡상해서 사용하기 더 어려워 진것은 덤. 모와 비슷한 상황이다.

3월 말 밸런스 패치에서 같이 관짝에 있는 모는 버프를 받았지만 클랜시는 아무런 버프도 받지 못해 이제는 압도적인 최악의 브롤러 신세를 지게 되고 말았다. 경쟁에서는 완전한 트롤픽이고 트로피 모드에서도 자취를 감추어 특별 이벤트 전용 브롤러가 되어버렸다. 하이퍼차지나 큰 버프 없이는 입지를 회복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사실 클랜시가 5티어로 쳐박힌 이유는 과잉 너프와 메타도 있었지만 클랜시보다 쉽고 더 좋은 브롤러들이 많기 때문이다.[35]

그렇게 최악의 브롤러로써 뒤에서 1등이라는 암울한 입지를 가지고 있던 도중 하이퍼차지를 받게되면서 뒤에서 1등 자리에서는 벗어날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안심할 수는 없는게 경쟁자인 그리프와 카운터인 거스와 앰버도 하이퍼차지를 받을 전망이기에 입지는 지켜봐야하는 상황이다.[36] 38시즌에 하이퍼차지가 나왔는게 부가 효과는 괜찮지만 약한 초반이라는 단점을 전혀 해결해주지 못해서 충전도 어렵고, 3단계 클랜시도 현재는 그닥 강하지 않기에 여전히 5티어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와 별개로 시즌 38이 시작되면서 나온 사무라이 스매시에서 숨은 브롤러로 활약 중이다. 사무라이 로봇을 공격해도 토큰이 차올라 그만큼 편하게 왕귀를 할 수 있고, 클랜시의 아이덴티티인 초월적인 화력도 보스를 녹이는 데에도 안성맞춤인 데다, 무엇보다 달마 인형을 모으는 데 좋은 어쌔신 브롤러들과 상대의 공격을 맞아도 쉽게 죽지 않는 탱커들도 많이 나오기에 가끔씩 나오는 원거리 브롤러들만 제외하면 무서울 게 없는 상황이라 고추냉이 파워를 받지 못했음에도 클랜시에게 있어서는 새로운 놀이터가 생겼다고 할 수 있다. 다만 과잉 너프로 인한 성능 저하 때문에 픽률이 뒤에서 1등을 찍고 있는 중이라, 숨은 브롤러로 활약하고 있다.

그리고 6월 나온 브롤 아레나에서 좋은 평가를 받는다. 잡몹으로도 토큰이 그대로 충전되서 1가젯 없이도 3단계가 되기쉽고 하이퍼차지 특수 공격도 공격과 수비 양면으로 좋다. 특히 다른 PVE 모드들처럼 베리가 있다면, 클랜시의 성능은 더더욱 강해진다.[37]

하지만 이후 추가 패치로 로봇에서는 토큰을 얻을수 없게 바뀌면서 쓰이지 않게 되었다. 때문에 다시 5티어로 입지가 다시 처박아 버렸다...

6월 패치로 더그와 불이 리워크되면서, 상성상 유리한 클랜시가 간접 버프를 받았다. 입지가 소폭 늘어났지만 이동 속도 너프로 인해 낮아진 체급과 매우 허약한 초반 성능이 개선되지 않아 여전히 4티어로 평가받고 있다. 안티탱커로 쓰자니 훨씬 좋은 브롤러인 도 아직 1티어라는 평가를 받는 중이기에 굳이 클랜시를 쓸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40시즌 현재는 평가가 더욱 낮아져 아예 전 브롤러 꼴찌를 달리고 있다. 때문에 버프나 리워크가 필요하다는 평가를 받는중이다.[38][39]

2025년 8월 트렁크가 출시된 현재까지도 쓰일곳 없이 관짝에 들어가 있던 와중 2단계로 올라갈때 필요한 탄환 수가 9발에서 7발, 3단계로 올라갈때 필요한 탄환 수가 8발에서 7발로 줄어들 예정이다. 왕귀가 서지 이상으로 어려운 클랜시 특성상 왕귀를 좀 더 쉽게해서 티어를 올리려는 목적으로 보인다. 다만 정찰 스타파워의 시작 토큰 갯수가 3개에서 2개로 줄어들었지만, 최종적으로 5발만 맞춰도 바로 2단계가 되기에 버프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카운터인 타라, 미스터 P, 보니, 보, R-T가 너프를 받을 예정이여서 숨통이 트일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현재 메타가 클랜시의 밥이라 할 수 있는 탱커 브롤러들이 돌진 메타를 이루고 있는지라 이들을 쉽게 상대할 수 있는 클랜시가 부활할 것으로 보인다.

버프를 받은 이후로 확실히 왕귀가 빨라졌다는 평가를 받고 확실히 고인을 탈출하였다. 무엇보다 서브웨이 서퍼 콜라보로 나온 '제트팩'을 1가젯과 연계하면 잠깐동안 무적이 능력과 함께 바로 3단계를 찍을 수 있는 꼼수가 발견되면서 서브웨이 서퍼 콜라보로 수혜를 입게 되었다. 버프 덕분에 이전보다 난이도가 한결 쉬워지고 3단계도 빨리 찍을 수 있어서 안정적인 3티어에 위치한 상황이다.

7.3. 모드별 평가

모드에 따라 사용하기 매우 적합, 적합, 약간 적합, 약간 부적합, 부적합, 매우 부적합, 편차 심함[40][41]으로 분류하였다.
  • 파일:SHOWDOWN.png 솔로 쇼다운
    3단계가 되고 큐브 파밍을 많이하면 서지 이상으로 압도적으로 강해질 수 있지만 그 이상으로 초반 단점이 너무 뼈아프다. 1단계 딜량이 워낙 저열해서 상자 파밍이 매우 느리고, 원거리 브롤러들에게는 과녁이 될 확률이 매우 높으며 특수 공격을 채우기 전까지는 근접 브롤러들의 기습으로부터도 자유롭지 못하다.
  • 파일:DUOSHOWDOWN.png 듀오 쇼다운
    솔로 쇼다운보단 훨씬 좋다. 왜냐하면 대신 교전해줄 팀원이 있기 때문에 초반 성능 문제가 꽤 나아지며, 특수 공격의 범위가 매우 넓기 때문에 잘만하면 한 팀을 특수 공격으로 모조리 쓸어버릴 수 있다. 다만 이 조건은 모두 팀원이 잘한다는 전제 하에 할 수 있는데, 이 말은 팀원이 못하거나 트롤이라면 클랜시는 그냥 딜 좀 센 랍스터가 된다는 소리이다. 결과적으로 클랜시는 듀오 쇼다운에선 팀원의 역량에 따라 편차가 갈린다.
  • 파일:GEMGRAB.png 젬 그랩
    등장하는 브롤러의 폭이 다양하면서도 맵에 따라 게임 양상이 매우 달라지는 모드인지라 클랜시 자체가 조합과 맵을 극심하게 탄다. 상대 조합을 미리 확인할 수 있는 경쟁전에서는 3단계에서의 매우 높은 고점을 보고 후픽으로 충분히 채용할 만 하다.
  • 파일:BRAWLBALL.png 브롤 볼 (벽이 많은 맵)
    중근거리 브롤러가 많이 나오는 모드 특성상 클랜시가 가장 쉽고 강력하게 활약할 수 있는 모드이다. 템포가 빠른 모드지만 상대 조합에 하나쯤 껴있는 탱커 브롤러를 샌드백 삼아 토큰을 빠르게 채워 3단계의 밸류를 누릴 수 있고 특수 공격의 압도적인 화력으로 적들을 갈아버릴 수 있다. 하지만 클랜시의 천적인 투척수들이 자주 나오는 벽이 많은 맵들은 살짝 까다로울 수 있다.
  • 파일:HEIST.png 하이스트
    이론상으로의 클랜시는 특수공격으로 금고를 많이 깎을 수 있으나 개활지에서는 애초에 초반에 사정거리도 짧고 기동성이 낮고 데미지가 처참해서 원거리 브롤러에게 얻어맞다가 토큰을 채우기 못하고 죽는 경우가 많으며 클랜시의 실질적인 딜을 넣으려면 초근접을 해야 하는 상황인데 클랜시는 3단계가 되기 전까지는 금고 앞에 까지 붙기 어려우며 그 전에 원거리 브롤러한테 맞다가 금고 앞까지 못가고 죽는다. 물론 벽과 부쉬가 있는 맵이면 할만하지만 투척수 브롤러들이 있다면 투척수에게 표적이 되기 쉽다. 보호막 패치가 이뤄진 후엔 순간 폭딜을 넣기 불가능해져서 평가가 더 안 좋아졌다.
  • 파일:BOUNTY.png 바운티
    사정거리가 긴 저격수 브롤러와 투척수 브롤러들이 자주 등장해서 이들 상대로 특수 공격과 토큰을 채우는 것 자체가 매우 힘들다. 아무리 부활하면 토큰이 유지된다곤 하지만 템포가 빠른 모드 특성상 3단계에 돌입하면 이미 게임이 가있을 확률이 높다. 특히 개활지맵에서는 쓰레기에 가까운 픽.
  • 파일:Hot_Zone.png 핫 존
    기본적으로 거점 간의 힘싸움이 주로 일어나는 모드 특성상 토큰을 채우기 쉬우며 특수 공격으로 뭉쳐있는 적들에게 상당한 위협을 주면서 거점 밖으로 쫓아내기 쉽다.
  • 파일:Knockout.png 녹아웃
    바운티보다도 단점이 더욱 부각되는 모드. 마찬가지로 클랜시의 카운터인 저격수, 투척수들이 자주 등장하고 녹아웃은 한번 죽으면 끝인, 교전 자체가 단발성으로 끝나는데다 길이 자체도 짧은 모드이다. 이러한 환경에서 토큰을 채워서 3단계의 밸류를 누리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쉘리나 체스터와 다르게 탱커나 암살자를 카운터 치기도 애매하다.
  • 파일:Duels_icon.png 듀얼
    오로지 왕귀에 목매는 클랜시 특성상 1대1에 단판으로 끝나는 듀얼은 최악의 모드에 가깝다. 상대가 근접이어도 토큰과 특수 공격을 안주면서 독구름이 다가올 때까지 지형타고 기다려서 말려죽이면 그만이다. 잘 쓰면 빠른 특수 공격 충전 속도를 활용해 암살자나 탱커 카운터로 그런대로 써먹을 순 있는 서지의 하위호환이다.
  • 파일:BIGGAME.png 빅 게임[빅 브롤러]
    클랜시의 주 무대 1. 클랜시의 발목을 잡는 느린 재장전 속도와 2단계 이하의 느린 이동 속도는 빅 브롤러 버프로 해소되고, 장점인 초월적인 화력은 빅 브롤러 버프로 더더욱 올라간다. 상대는 5명이 자신 한 명을 잡으러 오기 때문에 일반 공격과 특수 공격을 대충 쏴갈기기만 해도 토큰을 모으기 매우 쉬우며, 3단계까지 도달하면 특수 공격을 흩뿌리기만 해도 적들이 무서워서 다가오지 못하거나 다가오다가 그대로 소멸해 버린다. 참고로 아래를 보면 알겠지만 클랜시는 세 개의 특별 이벤트 모드(빅 게임, 로보 럼블, 보스전) 모두에서 매우 좋은 성능을 보이는 유일한 브롤러다.
  • 파일:BIGGAME.png 빅 게임[5인]
    클랜시의 주 무대 2. 초반에 토큰을 모으기 다소 어려울 수 있지만 어떻게든 토큰을 모아 단계를 올리고 특수 공격을 채우고 나면 빠른 특수 공격 순환과 괴랄한 피해량으로 빅 브롤러에게 대미지를 누적시키기 쉽다. 단순히 말해 쉘리콜레트는 2만~4만의 피해를 주기 위해 하이퍼차지가 필수불가결한데, 클랜시는 그런 것도 필요없이 특수 공격만으로 2만이 넘는 딜을 쏟아낼 수 있다.
  • 파일:ROBORUMBLE.png 로보 럼블
    클랜시의 주 무대 3. 추천 세팅은 작전상 후퇴 + 정찰. 추천하는 브롤러 조합은 8비트/셰이드 + 팸/베리. 초반부 성능이 저열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어떻게든 토큰 3단계를 만들고 특수 공격을 채우면 게임이 끝난다. 후반부에 격분한 노란색 로보들이 떼거리로 몰려올 때 로보들에게 초근접 특수 공격을 박으면 로보들이 아이스크림처럼 야무지게 녹아내리며, 일반 공격으로도 로보를 해치울 수 있다. 몇번 반복하다 보면 탄창과 특수 공격이 리필되기에 격분한 노란색 로보들을 완전히 쓸어버릴 수 있다.
  • 파일:보스전.png 보스전
    클랜시의 주 무대 4. 추천 세팅은 황금빛 사격 + 활력 증강. 추천하는 브롤러 조합은 보 + 팸/베리. 깡딜의 원동력인 특수 공격 충전 속도가 감소하지만 애초에 특수 공격 충전률이 워낙에 높아 크게 문제되지 않고[42], 잡몹과 보스 로보들은 무식하게 쫓아오기에 토큰 획득은 매우 쉬워진다. 근중거리에서 엄청난 화력을 쏟아부을 수 있는 딜러지만 생존력이 좀 애매한게 문제. 하지만, 조합을 잘 짠다면 단점이 완벽히 커버되고 장점이 극대화되는데, 보와 조합 시 보의 1가젯을 통해 특수 공격 충전량을 크게 상승시킬 수 있고, 러프스/벨/8비트와 조합 시 안그래도 높은 깡딜이 극대화되며, 힐러와 조합 시 부족한 생존력이 보완되어 굉장한 사기픽이 된다. 특히 하이퍼차지 출시 이후로는 탄환이 돌아온다는 점까지 더해져서 깡딜만큼은 어떤 딜러로 못 따라오는 브롤러다.[43] 그 결과, 크레이지 16을 화난 보스가 되기 전에 클리어 할 수 있다.#[44]

8. 상성

모든 상성은 1대1 기준이며, 가장 일반적인 전투 상황을 기준으로 하였다.[45]

9. 세팅

<rowcolor=#ffffff> 주요 빌드
파일:clancy_gadget1.png파일:클랜시1스파.png 파일:clancy_gadget2.png파일:클랜시1스파.png
<rowcolor=#ffffff> 차선 빌드
파일:clancy_gadget1.png파일:클랜시2스파(1).png 파일:clancy_gadget2.png파일:클랜시2스파(1).png
추천 기어
파일:Gear-Speed_Level1.png파일:Gear-Shield_Level1.png파일:Gear-Speed_Level1.png파일:Gear-Damage_Level1.png파일:Gear-Damage_Level1.png파일:Gear-Shield_Level1.png파일:Gear-Speed_Level1.png파일:Gear-Vision_Level1.png
  • 황금빛 사격 - 정찰(주요 빌드)
    토큰 획득에 초점을 둔 조합. 상대의 조합이 상성이 불리한 원거리 위주이거나 빠른 업그레이드로 게임을 휘어잡을 필요가 있을 때 채용한다. 둘 다 3단계에 도달하는 순간 쓸모가 없어지고 토큰 획득 말고는 아무런 부가능력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충분히 강력한 조합이다. 서지와 마찬가지로 최종 단계에 빠르게 도달할 수록 게임 초반부터 스노우볼을 굴리기 쉽기 때문.
  • 작전상 후퇴 - 정찰(주요 빌드)
    상대방에 탱커 브롤러가 적거나 없고 원거리 브롤러 위주 조합일 경우 사용하기 좋은 빌드. 사거리 차이를 '작전상 후퇴' 가젯의 돌진으로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어 원거리 브롤러 상대로도 토큰 수급이 가능해진다. 단, 첫 번째 조합과는 조금 달라 토큰 수집량의 차이가 생길 수 있다.
  • 황금빛 사격 - 활력 증강(차선 빌드)
    황금빛 사격으로 토큰을 모으고 활력증강으로 탄창을 채우는 밸런스형 조합. 상대방에 근접 브롤러가 2명 이상일때 가끔 쓰이며, 보스전과 로보럼블같은 PVE 모드에서는 이 조합을 고정으로 사용한다.
  • 작전상 후퇴 - 활력 증강(차선 빌드)
    클랜시의 탄창을 관리할 때 쓰는 조합. 고점은 모든 조합들 중 가장 높지만 그 고점을 뽑아내는 게 정말 끔찍하게 어렵기 때문에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다만 클랜시가 왕귀 관련 버프를 받았기에 이 조합을 쓰는 유저들이 늘었다.

  • 기어는 3단계 이전까지 부족한 기동성을 보완해 줄 속도 기어를 거의 고정적으로 사용한다. 부쉬가 적어서 속도 기어를 쓰기 어렵다면 피해 기어+보호막 기어, 부쉬가 적절히 있는 맵이라면 속도 기어+피해 기어 혹은 보호막 기어, 부쉬가 매우 많은 맵이라면 속도 기어+시야 기어를 사용한다. 황금빛 사격 가젯의 의존도가 높다고는 하지만 어차피 레벨 업 다 하면 남은 가젯은 쓸모 없어지기 때문에 가젯 쿨감 기어는 비추천된다.

10. 추천하는 브롤러 조합

  • 클랜시의 진급을 도울 수 있는 브롤러: 클랜시의 이동 속도를 증가시켜주거나, 적을 기절시키고 클랜시가 그 적을 처치하게 하는 등의 행동으로 클랜시의 진급을 도와줄 수 있는 브롤러들이다.
  • 클랜시의 근접전 안정성을 키울 수 있는 브롤러: 클랜시는 근접 브롤러임에도 체력이 다소 낮은 편이고[117] 2단계 이하에서는 이동 속도도 느리다. 이 브롤러들은 클랜시가 아직 3단계에 도달하지 못했거나 특수 공격이 없을 때 다소 불안정한 클랜시의 근접전을 보조할 수 있다.

11.

  • 특수 공격을 잘 활용하자
    클랜시의 특수 공격은 한 번으로 엄청난 대미지를 입힐 수 있기 때문에 뭉쳐있는 적들에게 특수 공격을 잘 활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특수 공격으로도 스택은 쌓이기 때문에 1~2단계에서는 특수 공격을 최대한 적극적으로 사용해 3단계까지 빠르게 발전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 3단계를 빨리 완성하자
    클랜시는 1, 2단계에서는 좋지 않은 성능이지만 3단계로 가면 높은 기동성, 높은 대미지, 넓은 특수 공격 범위 등으로 인해 엄청나게 사기적인 성능을 보이기 때문에 3단계를 가젯과 스타파워 등으로 빨리 달성하는 것이 좋다.
  • 1가젯과 함께 특수공격을 쓰자
    클랜스의 특수공격은 탄환을 무자비하게 흩뿌리는데, 이 흩뿌리는 탄환이 모두 토큰을 동일하게 채워준다. 때문에 1가젯과 같이 쓰면 순식간에 한 단계를 건너뛸 수 있다.

12. 스킨

12.1. 기본 스킨

파일:Clancy.png
  • 얼굴에 검은색 페인트를 칠했고 가죽 자켓을 입고 있으며 모티브인 가재와 비슷하다.
  • 승리 시 3단계의 외형으로 변신하며 총을 난사한 뒤 자세를 잡는다. 패배 시 팔짱을 끼고 표정을 찡그린다.
  • 외형이 집게사장과 비슷하다는 의견이 많다.[122][123]

12.2. 획득 / 구매 가능한 스킨

12.2.1. 승부사 클랜시(HIGH STAKES CLANCY)

파일:Rare_SkinBS.png
파일:HighStakesClancy.png
희귀도
희귀
비용 파일:brawlgemicon.png 29
파일:icon_bling.png 1000
  • 출시와 함께 나온 스킨. 외형은 노란색으로 변했으며 토큰은 트럼프 카드로 바뀌었다. 또한 뱃지대신 포커칩을 달고있다.
  • 왜인지 카테고리에 뜨지 않는 버그가 있다. 현재는 수정되었다.

12.2.2. 트루 실버 클랜시(TRUE SILVER CLANCY)

파일:Skin_Icon_True_Silver.png
파일:TSClancy.png
희귀도
없음
비용 파일:coin.png 10000

12.2.3. 트루 골드 클랜시(TRUE GOLD CLANCY)

파일:Skin_Icon_True_Gold.png
파일:TGClancy.png
희귀도
없음
비용 파일:coin.png 25000

12.2.4. 괴수 클랜시(KAIJU CLANCY)

파일:SuperRare_SkinBS.png
파일:Kaijuclancy.png
희귀도
초희귀
비용 파일:brawlgemicon.png 79
파일:icon_bling.png 2750
[ 전용 핀 ]
파일:Kaijuclancy_Pin.png
  • 거의 1년 만에 출시된 클랜시의 첫 초희귀 등급의 스킨이다.
  • 일반공격과 특수공격으로 자신의 손날에서 나온 칼날을 발사한다. 이때 괴수라는 점을 감안했는지 일반 공격을 사용할 때 심하게 부들대며 베어 가르는 듯한 모션이 추가된다.
  • 1단계는 평범한 괴수, 2단계는 날개가 생기고, 3단계는 꼬리에 가시가 돋는다.
  • 승리시 손날을 땅에 박은뒤 눈으로 주변을 응시하고 가르며 날개가 돋아난다. 패배시 손날이 떨어지자 그걸 쳐다본다.
  • 스킨 판매 기간이 끝났는데도 카탈로그탭에 뜨지 않아 버그로 추정된다.[124]

13. 업데이트 내역

  • 2024년 8월 1일
    파일:Arrows-switch-big.png 신화 브롤러로 신규 출시
  • 2024년 8월 27일
    파일:Arrow-down-big.png 특수 공격 충전량이 100 에서 65로 감소
    파일:Arrow-down-big.png 특수 공격 충전에 필요한 일반 공격 명중 횟수가 5회에서 6회로 증가
    파일:Arrow-down-big.png 3단계의 특수 공격 추가 피해량이 50% 에서 26%로 감소
  • 잠수함 패치
    파일:Arrow-down-big.png 2가젯으로 돌진하면서 1초간 기절시키는 효과 삭제 [125]
  • 2024년 11월 14일
    파일:Arrow-down-big.png 1단계의 일반공격 피해량이 800에서 600으로 감소
    파일:Arrow-down-big.png 2단계의 일반공격 피해량이 800×2에서 700×2로 감소
    파일:Arrow-down-big.png 3단계 특수공격 추가 피해량이 26%에서 16%로 감소
    파일:Arrow-down-big.png 3단계 특수공격의 자체 충전량이 감소 [126]
  • 2024년 12월 10일
    파일:Arrow-down-big.png 3단계의 추가 이동속도가 170에서 100으로 감소[127]
  • 2025년 5월 5일
    파일:Arrows-switch-big.png 하이퍼차지 추가

14. 기타

  • 심해 트리오의 마지막 멤버로, 오티스와 행크의 특징이 모두 섞여있다. 갑각류이면서 군인이라는 설정은 행크와 유사하나 페인트볼을 발사하는 원거리 딜러라는 인게임 디자인은 오티스와 유사하다. 같은 트리오지만 컨셉이 따로 노는 두 브롤러 사이의 절충안으로 디자인 된 셈이다.
  • 목 뒤에 공기 주입구가 있는 더그처럼, 클랜시도 꼬리 부분에 공기 주입구가 존재한다. 즉 진짜 가재가 아니라 인형탈을 쓴 사람.[128][129]
  • 캐릭터의 외형이 애니메이션 스폰지밥에 등장하는 집게사장과 흡사하다는 의견이 있다. 재밌게도 집게사장의 성우는 클랜시 브라운이다. 더 재밌는건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스폰지밥과 브롤스타즈가 콜라보했다.
  • 행크의 명령이 없는한 후퇴하지 않는다는 걸로 보아 행크의 후임일 가능성이 높다.
  • 가재에 남성 캐릭터라는 특성 때문에 한때 유저들에게 붙여진 별명은 가재맨. 이 드립을 유튜버 일루가 사용하다 가재맨 시청자들의 댓글 테러를 당하기도 하였다.
  • 적 클랜시가 시야에 들어올 때마다 클랜시가 레벨업을 하지 않았음에도 같은 게임에 있는 모든 유저들에게 효과음이 계속 출력되는 버그가 있다. 부쉬에 들어갔다 나오거나 도트딜을 입은 상태에서 부쉬에 들어가있거나 라인전을 할 때 시야 가장자리에 있으면 계속 출력되는데 시끄러워서 매우 거슬린다.[130]
  • 프로필 아이콘에 한가지 오류가 있는데 클랜시의 프로필 아이콘에서 내민 무기는 1단계일때의 외형이지만 클랜시는 3단계로 레벨업 했을때의 외형을 하고 있다.[131]

[1] 한국 기준 30000원으로 판매했다.[2] 담당 성우가 이전에는 그리프 역을 맡은 로저 애디스로 잘못 알려져 있었다. 실제 성우는 유튜버 Lex - Brawl Stars가 브롤스타즈의 모든 성우진을 공개하며 제대로 알려지게 되었다.[3] 한국어 버전은 약간 다르지만 영문 버전은 쉘리의 1스파와 이름이 완벽히 똑같다.[4] 클랜시+산타클로스 혹은 띄어서 클랜시의 집게발로도 해석할 수 있다. 중의적인 말장난인 셈.[5] 톤만 다른 대사가 2개 있다.[6] 톤만 다른 대사가 2개 있다.[7] on a roll은 승승장구하다, 기세가 붙다 정도의 뜻.[8] 톤만 다른 대사가 2개 있다.[9] 마치 익사하는 듯한 소리이다! 클랜시의 진짜 정체가 해산물이 아니라는 것을 생각하면 의미심장한 대사이다.[10] 톤만 다른 대사가 2개 있다.[11] 톤만 다른 대사가 2개 있다.[12] 톤만 다른 대사가 2개 있다.[13] 톤만 다른 대사가 2개 있다.[14] 톤만 다른 대사가 2개 있다.[15] 원래 수염은 진하지만 스프레이에서는 진하지 않게 나왔다.[16] 3단계가 되면 속도가 약 14%가량 증가해 820이 된다.[17] 3단계부터는 700×16[18] 2단계부터는 8.33타일[19] 탄환은 처음에는 중앙부터 양 끝쪽까지 발사하다가, 다시 중앙으로 모이게 공격을 한다.[20] 탄환 판정이 상당하여 한 칸짜리 벽을 끼고 특수 공격을 쓰면 벽 너머에 있는 적에게 대미지를 넣을 수도 있다.[21] 하지만 최근에 클랜시가 버프를 받으면서 1단계에서 특수 공격을 쓰는 일은 사실상 없어졌다고 봐도 무방하다. 클랜시의 특수 공격은 일반 공격 8대를 맞춰야 충전되는데 7대만 맞춰도 클랜시는 2단계로 올라가버리기 때문이다.[22] 어느 정도냐면, 너프 전에는 특수 공격 충전 속도가 3배 느려지는 PVE 모드(특히 보스전)에서 보스 로보에게 특수 공격 전탄을 명중시키면 다시 특수 공격이 충전됐었다. 공격형 특수 공격 중에 이게 가능한 브롤러는 클랜시가 유일했으나 대미지와 충전량 너프 이후 불가능해졌다.[23] 특히 바라보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릴리의 특수 공격에 취약하다.[24] 탄들이 되돌아오면서 한 번 더 피해를 입히니 기존의 2배, 거기다 하이퍼차지 자체의 피해량 증가 버프 1.15배가 함께 적용된 수치.[25] 이 하이퍼차지의 출시로 클랜시는 브롤스타즈에서 유일하게 버튼을 세 번만 눌러서(하이퍼차지 - 특수 공격 - 특수 공격) 훈련장의 풀피 거대 로보(10만 HP)를 없앨 수 있게 되었다.[26] 특수 공격 충전량의 30%로, 특수 공격 3.333…개에 하이퍼차지 하나가 충전된다. 일반 공격을 20대 맞혀야 충전되는 수준. 3단계에서는 나름 충전이 아주 어렵다고 느껴지는 정도는 아니지만 성능이 저열한 1/2단계에서는 정말로 채우기 어렵고, 클랜시가 3단계라면 이미 게임은 중반~중후반을 지나고 있다는 뜻이므로 여전히 좋다고 말할 수는 없다.[27] [math(1200\times16)][28] [math(1400\times16)][29] [math(1400\times32)][30] 이 피해량은 R-T의 분리모드 피해량보다 더 높은 피해량하이퍼차지를 켠 크로우를 뛰어넘는 데미지다. 심지어 이쪽은 전방으로 전탄을 발사하기에 크로우보다 정확도도 크로우보다 높다.[31] 브롤러 중에 3단계 특수 공격 전탄을 맞고도 생존할 수 있는 건 하이퍼차지 특수 공격을 사용한 , 단련된 강철 스타 파워로 특수 공격을 사용한 나니, 특수 공격을 사용한 로사뿐이다. 하지만 불은 넉백 기능이 달린 돌진 때문에 애초에 전탄을 맞히기 쉽지 않거니와 굳이 특수 공격을 가까이서 맞힐 필요 없이 멀리서 견제만 해줘도 크게 위축되며, 나니는 특수 공격 사용 중 가만히 있어야 하고 끝나자마자 스타 파워 효과가 사라져 그대로 클랜시에게 증발하고, 그나마 가장 효용성 있는 로사마저 특수 공격 지속 시간이 짧기 때문에 이후의 일반 공격으로도 쉽게 정리가 된다. 그리고 하이퍼차지 특수 공격을 모두 맞고 살아남을 수 있은 브롤러는 단 한 명도 없다.[32] 이 때문에 안 그래도 메타가 근접 브롤러를 쓰기 어려웠는데 이 브롤러의 출시 때문에 근접 브롤러들을 더욱 쓰기 힘들어졌다고 토로하는 유저들이 매우 많았다.[33] 11렙 기준 1800에서 1520로 감소[34] 게다가 둘이 희귀도도, 그것도 모자라 역할군도 똑같다. 그래서 2차 창작에서는 아예 둘이 과잉 너프를 먹고 성능이 구려진 캐로서 서로 많이 엮인다.[35] 대표적으로 그리프. 벽이 오픈된다는 조건하에 클랜시보다 강력한 성능을 낼수 있으며 초반에 약한 클랜시와 다르게 초반에도 높은 근중거리 화력을 낼 수 있으며 후반부에서도 클랜시보다 좋은 모습을 보인다.[36] 그리프한테는 확실히 입지가 밀릴것이다. 벽관통이 되는 그리프와 다르게 클랜시는 벽통이 안되기 때문.[37] 브롤 아레나는 리그 오브 레전드처럼 레벨업을 하면 강해지는 시스템이 있는데, 능력치는 당연하고 탄창 재장전 속도와 이동속도도 증가하기에 이동속도가 느리거나 재장전이 느린 브롤러들도 레벨만 올라가면 정말 강해졌었는데, 클랜시는 그 효과를 정말 톡톡하게 받았었기에 클랜시가 정말 어이가 없을 정도로 강해지는 상황을 볼 수 있었다.[38] 다만 아무리 클랜시가 5티어에 쳐박혀있다고 막무가내로 버프를 했다가는 큰일이 날 수 있다. 이유는 클랜시가 갈수록 강해지는 '왕귀형 캐릭터'라는 점에서 알 수 있다. 왕귀형 캐릭터들 특성상 밸런스 패치와 메타의 영향을 크게 받아서 조금만 버프해주거나 메타가 유리해지면 메타 픽이 되고, 반대로 조금만 너프를 하거나 메타가 불리해지면 금방 버려질 정도로 밸런스 패치와 메타의 영향을 크게 받을정도로 심한 영향을 받는 왕귀형 캐릭터를 막무가내로 버프했다가는 메타고 뭐고 산산조각 내버리기 때문이다.[39] 이는 같은 왕귀형 브롤러인 서지한테 보였던 양상으로, 서지도 출시 당시에는 매우 막강한 성능을 보여줬지만 계속된 너프로 체급이 낮아지고, 메타도 원거리 메타로 바뀌면서 점차 자취를 감췄다. 이후 2가젯의 출시와 1가젯의 리워크로 성능이 매우 좋아졌으며, 이때의 서지는 다른 메타 브롤러들과는 비교가 안되는 성능과 동시에 암살자와 탱커들에게 있어서는 절대 극상성을 넘어서 재앙과도 같은 존재였다. 하지만 사거리가 긴 브롤러들의 출시와 수많은 밸런스 패치, 메타의 변화로 또 다시 자취를 감췄다가, 하이퍼차지 출시 이후로도 한동안 1티어를 차지했을 정도로 서지는 메타와 밸런스 패치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서지와 같은 선례가 있기에 밸런스 조정을 꺼리는 걸로 보인다.[40] 조건에 따라 극과 극으로 오고가는 경우[41] 단, 스타파워, 극히 일부 맵(2개 이내, 특별 이벤트 제외) 등으로 편차가 심한 경우는 제외. 이 경우는 모드 뒤에 따로 평가할 것. 극히 일부 맵이 아닌 다양한 맵으로 편차가 심하거나, 특별 이벤트 모드에서 맵으로 편차가 심한 경우는 "편차 심함"으로 평가할 것.[42] 근거리에서 특수 공격을 다 맞히고 탄창 한 개만 써주면 특수 공격이 다시 생기기 때문에 한번 특수 공격을 채우면 쉽게 사이클을 돌릴 수 있다.[43] 그외에도 이론상으론 키트와 조합할 수도 있으나 이쪽은 이론과 실전의 괴리감이 있어 보이진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탱커, 에드거, 곰과 나 스타파워를 쓰는 니타 등과 조합해 탱커 역할을 하는 브롤러가 큐브를 나눠먹고 몸빵을 해주는 동안 클랜시가 특수 공격 사이클을 돌리는 전략도 있으나 시간은 좀 더 오래 걸린다.[44] 참고로 예전에는 무한 특수 공격을 쓸 수 있었는데 특수 공격 충전량 너프로 지금은 불가능하다.[45] 클랜시는 왕귀형 브롤러지만 같은 왕귀형인 서지에 비해 왕귀가 어려운 대신 업그레이드가 영구적이라는 대가로 초반과 후반의 전투력 차이가 매우 크게 난다. 아래에 서술된 클랜시에게 불리한 브롤러라도 3단계에서는 무빙과 센스로 어느 정도 격차를 줄일 수 있고, 반대로 클랜시에게 유리한 브롤러라도 1단계에서는 특수 공격 없이는 이기는 게 불가능에 가까우므로, 아래 상성은 대부분 클랜시가 2단계 이상 및 특수 공격을 보유 중이거나 금방 채울 수 있는 상황을 기준으로 작성되었다.[46] 클랜시는 대부분의 원거리 브롤러와 소환수, 투척수에게 약하다. 하지만 클랜시가 불리한 브롤러들 대부분은 베리가 유리하게 싸울수 있는 브롤러거나 상성이 갈리며, 반대로 베리가 불리하거나 편차가 갈리는 상대들은 모두 클랜시가 유리하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3대3에서는 이 둘을 같이 쓰거나 베리와 클랜시 앞에 행크나 프랭크같은 탱커들을 넣는 조합이 가끔 보인다.[47] 대미지도 강하고 2스파로 사정거리를 늘릴 수 있으며 1가젯으로 탄창을 채워 폭딜을 날리면 녹아버리기 쉽다. 그나마 직사형 연발 공격이라 명중률이 저조해서 토큰 3단계를 달성하면 무빙을 잘 치면서 어느 정도 극복하기 쉬워지는 편이다.[48] 3단계를 달성한다면 브록의 느린 탄속을 이용해 매우 빨라진 이동속도로 거리를 좁혀 잡을 수 있다. 하지만 1가젯으로 점프해서 도망가버리면 거리는 또 벌려진다.[49] 콜트랑 비슷하다. 이쪽은 도탄 특성이 있어 벽이 많으면 이리저리 튕기는 통통탄에 농락당하기 쉽다. 그리고 리코의 1가젯과 특수 공격도 위협적이다.[50] 초반에는 사정거리 차이로 얻어맞으며 제시에게 3방컷 난다. 게다가 포탑을 깔게 되면 클랜시의 토큰을 모으는 것을 방해할 수 있고 클랜시의 특수 공격을 막을 수 있다.[51] 우선 체급 차이가 매우 심하게 나서 교전 자체가 불가능하며 8비트의 터렛을 깔게 된다면 무시무시한 화력이 클랜시가 녹아버린다.[52] 사정거리는 서로 동일하지만 스튜는 한대만 때리면 채워지는 특수 공격으로 돌진을 통한 높은 기동성을 통해 클랜시를 농락할 수 있고 초반에는 탄속이 판정이 좋고 데미지가 더 강한 스튜가 유리하다. 3단계를 달성해도 스튜의 기동성을 따라잡는 것은 쉽지 않으며 특수 공격으로 딜을 넣으려 접근해도 스튜는 특수 공격으로 거리를 벌리거나 대쉬 무빙으로 피해버린다.[53] 사정거리는 말할 것도 없고 탄속이 매우 빨라서 피하기 어렵고 대미지도 막강해서 뚜벅이인 클랜시는 그냥 샌드백처럼 얻어맞는다. 어찌어찌 근접해도 파이퍼도 1가젯으로 넉백을 먹이거나 특수 공격으로 저 멀리 도주하면 그만이다.[54] 명중률은 낮으나 사정거리가 11.67 타일로 크게 차이나며 전탄 명중 대미지가 강해서 클랜시가 근접전에 지는 경우도 있기에 까다롭다.[55] 1단계의 경우 사정거리가 그리프가 더 길고 데미지가 극심히 차이가 나서 사정거리 내에서 교전할 경우 그리프의 직격탄에 순식간에 녹아버리고 근접전일 경우 클랜시가 특수 공격이 있어도 그리프가 맞 특수공격을 사용해도 선빵을 때려도 1방에 즉사한다. 그리프가 특수공격이 있다면 원거리에서도 클랜시의 체력을 너덜너덜해지기에 그리프가 매우 유리하다. 그나마 3단계에서는 매우 빠른 이속으로 그리프의 동전을 피해 그나마 할만하지만 그전까지는 업그레이드 하는데 시간문제이다.[56] 일반 공격의 데미지가 강하고 특히 분신을 깔게 된다면 무시무시한 화력에 클랜시가 녹아내린다.[57] 저격모드를 키면 사정거리가 12타일이 되기에 원거리 전은 맨디가 압도적으로 유리하며 맨디의 특수공격을 맞는 순간 클랜시를 순식간에 빈사 상태로 만들어버린다.[58] 파이퍼랑 비슷하게 멀리서 클랜시를 때릴 수 있고 저격수임에도 이속이 매우 빠름이라 3단계를 달성해도 따라잡기 어렵다. 게다가 접근하더라도 안젤로는 1가젯으로 도망가버리며 물 위를 이동할 수 있어서 저격수 중에서 상대하기 가장 까다롭다.[59] 타라의 원거리 대미지는 낮지만 그림자 분신을 3명이나 소환하는 2가젯이 굉장히 까다롭다. 클랜시는 그림자 분신을 처리하는데 탄창 3개를 다 써야 하며 토큰을 채울 각이 안나온다. 근접 대응력도 상당한 편이고 타라의 특수 공격에 끌려가면 끔살당하기 쉽다. 어찌어찌 3단계를 달성하면 클랜시가 조금 더 유리하지만 타라가 멍청하게 클랜시에게 토큰을 채워줄 리가 없다.[60] 초반에는 기동성 차이로 압도당하는데다가 일반 공격 사정거리가 밀리고 데미지가 맥스가 더 높기에 원거리 전은 맥스가 우위를 점하며 1가젯 위상 이동가젯은 무적이 되기에 클랜시의 토콘을 채우는 것을 방해할 수 있고 클랜시의 특수공격의 기습도 대응하기 좋다.[61] 사정거리도 크로우가 약간 더 길고 도트 대미지로 지속적인 불리함을 강요한다. 게다가 이속도 빨라서 3단계를 달성해도 따라잡기 어렵다. 2가젯도 클랜시의 기동성을 낮추고 어찌어찌 접근에 성공해도 크로우 측에서 특수 공격으로 도주하거나 역관광 보낼 수도 있다.[62] 사정거리도 밀리고 앰버는 8초 동안 공격이 가능하기에 상대하기 힘들다. 거기다가 특수 공격 콤보를 맞게 되면 클랜시는 가재구이가 되어버린다.[63] 초반에 가젯을 소환에 클랜시의 일반 공격과 토콘을 채우는 것을 방해할 수 있고 고치에 갇히면 그대로 죽는다.[64] 이쪽은 3초간 이동 외에 행동불능으로 만드는 침묵이라는 cc기를 가지고 있어 근접전에서도 불가사리를 먼저 맞으면 아무것도 못하고 그냥 죽어버린다.[65] 이쪽은 1가젯으로 클랜시의 평타를 막을 수 있고 일반 공격에 하자는 있어도 총 데미지가 높기에 전탄을 다 맞으면 체력이 너덜너덜해지며 보의 지뢰를 밣는 순간 그대로 끔살 확정이다.[66] 합체 모드에서는 긴 사정거리로 클랜시를 일반적으로 견재하며 표식딜은 데미지를 증폭시키기에 클랜시의 활동을 제한하기 만든다.[67] 3단계를 찍기 전까진 불리하나 3단계를 찍은 이후부터는 그레이의 처참한 명중률 때문에 어느 정도 할만 하다.[68] 루가 빙판을 깔게 된다면 클랜시의 이동을 방해할 수 있고 2가젯으로 바로 얼어 클랜시를 죽이기 쉽다.[69] 연발형이지만 탄환 판정이 넓어 피하기 어려우며 해츨링 물량공세도 매우 거슬린다. 안젤로처럼 물 위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어서 접근하기도 어렵고 기껏 접근해도 1가젯으로 해츨링 하나 남기고 도주해버린다.[70] 일반 공격에는 결점이 있지만 메이지의 일반 공격 데미지가 무려 3000에 달하는 데다가 메이지의 특수공격은 전방위 공격이라 피하는게 불가능하고 맞는 순간 2스파 슬로우에 걸려 그대로 사망 확정이다. 게다가 메이지가 피해기어까지 있다면 클랜시를 2방컷 낸다.[71] 팸과 비슷하다. 우선 펄은 체력이 높고 열기게이지를 통한 데미지가 강하기에 교전을 하는 순간 클랜시를 강력한 화력에 구워버리며 근접전도 클랜시가 특수공격을 맞추면 이길 수 있으나 펄이 특수공격이 있다면 클랜시의 특수공격을 끊고 역관광 당할 수 있다.[72] 2차 공격을 포함하면 사정거리가 월등히 차이나는 것은 물론, 거점을 깔면 지속적인 짐꾼 공습에 비관통형에 재장전 속도가 느린 클랜시의 탄창을 빼먹기 쉬워서 굉장히 짜증난다. 물론, 중거리 이내로 거리를 좁히거나 기습을 하면 이길 수 있지만 이마저 특수 공격 몸빵으로 막아버리면 소용없다. 게다가 미스터 P가 하이퍼차지 포탑을 깔게 되면 절대 못이긴다.[73] 사정거리가 자넷이 약간 더 길고 1가젯으로 클랜시의 일반공격과 토큰을 채우는 것을 막을 수 있고 클랜시가 특수공격으로 기습해도 자넷이 특수공격으로 대응하면 잡는 것을 놓치게 된다.[74] 사정거리가 길고 또한 체급차이로 인해 원거리 전은 보니가 유리하며 1가젯을 키게 되면 이속과 재장전 속도가 빨라져 이기기 힘들다. 그리고 보니가 특수공격이 차 있다면 클랜시에게 날아와 보니 모드의 폭딜로 갈아버린다.[75] 벽을 튕겨 공격할 수 있으며, 스타 파워로 벽을 제거할 수도 있다. 또한 러프스의 엄폐물을 모두 제거하려면 에모 3개를 전부 써야 하기 때문에 불리하다.[76] 근접 브롤러임에도 사정거리가 길어 멀리서 짤딜로 특수 공격을 채우면서 견제할 수 있고 초근접에서 딜을 넣는 브롤러도 아니어서 특수 공격 풀딜을 맞히기 힘들다. 레온의 가젯들도 클랜시의 공격을 막기에도 충분하다.[77] 게임 시작 기준으로 스파이크가 선인장 토템을 끼고 싸우면 클랜시는 못해도 2발을 토템을 치우는 데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클랜시의 성장이 매우 더뎌진다. 여차하면 뒤로 빠지면서 커브볼로 상대할 수 있고 클랜시가 무리해서 붙으면 원조 정통 폭딜러인 스파이크가 녹여버릴 수 있다. 물론 스파이크도 토큰을 다 쌓은 클랜시는 까다롭다.[78] 사정거리가 체스터가 더 길며, 중거리전으로 유도해도 클랜시의 일반공격은 폭이 좁은 특성상 이속이 빠른 체스터를 맞추기 어렵다. 무엇보다 체스터는 근접전이 매우 흉악한지라 근접에서 체스터의 3-4에 그냥 녹아버린다. 특히 체스터가 왕사탕까지 있으면 절대 못 이긴다.[79] 그나마 버그로 서로 벽에 딱 붙은 상태에서 특수공격을 사용하면 대미지가 들어가는 버그가 있긴 하지만 벽에 붙기도 전에 맞아 죽을것이다.[80] 터지는데 딜레이가 있어 3단계를 달성하면 빠른 이속으로 추격을 노려볼 수 있지만 대미지 하나만큼은 강하고 다이너도 바보는 아니라서 이동 경로에 2가젯 평타를 깔아 스턴을 걸면 끔살 확정이고 이동기도 없어서 접근을 보장할 수 없다.[81] 발리의 근접 즉발형 평타는 클랜시에게 여러모로 불리함을 야기할 수 있다. 우선 발리의 높은 대미지가 있고, 또 발리가 일반 공격과 특수 공격을 사용해 지역 장악을 해버리면 뚜벅이인 클랜시는 뚫을 길이 없다. 어찌저찌 특수 공격을 채워 접근해도 발리가 1가젯을 사용해 느려지면 클랜시는 발리에게 녹아버린다.[82] 윌로우의 일반 공격은 근접 즉발에 도트 대미지를 갖추고 있어 지속적인 불안함을 주고 윌로우의 특수 공격에 맞을 경우 클랜시의 일반 공격은 대미지가 강하기에 말 그대로 아군들이 페인트볼 맞고 촉촉해질 수 있다. 또한 만약 쇼다운이라면 접근했다간 그대로 특수 공격을 맞고 독구름으로 가게 만들수도 있어서 특수 공격이 있는경우 웬만해서는 접근을 하지 않는게 좋다.[83] 클랜시가 상대하기 가장 힘든 브롤러. 래리 & 로리를 만난 클랜시는 아무것도 못하는 바보가 된다. 발리, 윌로우랑 비슷하게 일반 공격이 근접 즉발형이고 폭발 범위도 넓어서 회피가 빡세며 근접한다 해도 래리의 특수 공격이 채워져 있으면 역관광 당한다. 게다가 래리는 클랜시의 아이덴티티라 할 수 있는 클랜시의 특수 공격을 특수 공격과 2가젯으로 완벽히 파훼해 버릴 수 있는 것은 물론, 2스파로 탄창을 채워 폭딜로 녹이거나 2가젯으로 거리를 벌릴 수 있어서 투척수 중 가장 까다롭다. 오히려 다른 투척수들은 특수 공격이 없을 때 기습해서 클랜시의 특수 공격으로 녹일 수 있지만, 래리는 다른 투척수들보다 기동성이 훨씬 좋은 데다가, 로리라는 완벽한 고기방패가 있기 때문에 이마저도 통하지 않는다. 상황이 클랜시에게 완전히 유리한 것이 아닌 이상 일대일 교전 자체를 피하자.[84] 베리는 투척수인데다 이동기를 보유하고 있어 클랜시가 불리하다. 거기다가 베리의 장판은 6초동안 남아있기에 클랜시가 3단계라고 해도 베리 측에서는 아이스크림 장판을 깔아 회복하면 그만이고, 기습해도 특수 공격으로 도망가면 그만이다.[85] 래리 & 로리와 비슷하다. 우선 투척수라 벽 뒤에서 클랜시를 일방적으로 때릴 수 있으며 지형지물에 따라 다양한 공격 유형을 가지고 있고 특수 공격으로 그리그리를 소환하면 탄창을 6개를 사용해야 제거되기에 클랜시가 싫어하는 조건은 전부 다 갖추고 있다.[86] 클랜시는 왕귀를 하지 않으면 무척 허약한 성능을 보여줘서 쉽게 상대할 수 있는 브롤러들이 탱커 브롤러와 근접 어쌔신 브롤러를 빼면 별로 없다. 그래도 왕귀를 끝냈다면 이들을 상대로는 빠른 이동속도와 초월적인 화력으로 탱커 브롤러와 어쌔신 브롤러들에게는 적수가 없을 정도로 막강한 모습을 보여준다.[87] 사정거리는 비슷하지만 원거리에서는 대미지가 적게 들어가기에 중원거리 교전에서는 클랜시가 유리하다. 다만, 근접전은 반반인데 쉘리는 특수 공격을 동반한 근접전 능력은 근접 브롤러 중에서 최상위권이라서 초근접에서 특수 공격 있는 쉘리와 마주치면 특수 공격 폭딜과 넉백을 맞고 그냥 뻗는 수가 있다. 그리고 1스파 특수 공격 + 2가젯 콤보에 당하면 중원거리에서도 삭제될 수 있다. 하지만 클랜시의 특수 공격 역시 최상위권의 폭딜을 가지고 있기에 근접전에서 이길 수 있어서 서로의 반응 속도에 따라 갈린다. 그리고 쉘리가 특수 공격이 없다면 압승.[88] 처음에는 농락이 가능하지만 엘 프리모가 맞으면서 특수 공격을 채우고 기습하면 클랜시가 패배할 수 있으니 주의.[89] 이동기가 없어서 거리를 벌리며 토큰과 특수 공격을 채우다가 초근접해서 특수 공격을 갈기면 로사가 특수 공격이 있든 없든 그냥 녹는다. 물론 특수 공격이 있는 로사와 어중간한 근접전을 하면 로사가 버텨서 역으로 당할 수 있으니 주의.[90] 유리하게 상대할 수 있지만 다른 탱커들과 비교하면 상대하기 까다로운 편이다. 특수 공격의 넉백으로 클랜시의 특수 공격을 끊어버릴 수 있기 때문. 그래도 3단계를 달성하면 일반 공격도 강력해져서 매우 빠른 이속으로 거리를 벌리면서 녹일 수 있어 유리한 상대임은 변함이 없다.[91] 유리한 탱커 치고는 상대하기 까다롭다. 프랭크는 공격에 선딜레이가 있어 토큰을 모으기 쉽고 초근접에서 특수 공격을 맞추면 이아무리 체력이 괴랄한 프랭크여도 순식간에 녹아서 기본적으로 클랜시가 유리하지만 사정거리가 중거리로 탱커 중에서는 길고 체력이 낮아질수록 공격 속도가 빨라져서 체력을 애매하게 깎은 상태에서 중거리전을 하면 엄청난 공격 속도에 망치질 3방에 끔살당한다. 그리고 프랭크의 특수 공격에 실수로 맞으면 스턴이 걸려 아무것도 못하고 죽는다. 그것만 조심하면 어렵지 않게 상대할 수 있다.[92] 다만, 홈런 게이지가 채워져 있으면 클랜시의 특수 공격을 넉백으로 밀어서 끊을 수 있다는 점은 주의하자.[93] 에드거, 모티스와 동급으로 쉬운 상대다. 샘은 애초에 쉘리와 근접전을 해도 못이길 정도로 약한데다 뚜벅이여서 토큰을 모으기 쉬우니 먹잇감.[94] 일반 공격이 이동기여서 불어서 때려야 하는 모티스 특성상 매우 쉽다. 특수 공격만 있어도 모티스는 그냥 찢겨나간다.[95] 사거리도 클랜시보다 훨씬 짧고 가젯, 특수공격, 하이퍼차지의 의존도가 매우 높은 에드거는 클랜시의 한끼 식사거리에 불과하다. 왕귀전에는 사거리 차이로 패줘서 왕귀와 동시에 특수공격을 채우고 에드거가 특수 공격으로 접근을 한다면 특수공격 버튼만 딸깍해주면 에드거의 피흡과 하드코어 가젯이 클랜시의 딜량을 감당하지 못해서 에드거는 클랜시가 난사한 총알만 맞고 벌집이 되어버린다. 에드거가 하이퍼차지를 키고 덤벼들어도 특수 공격만 있으면 그냥 이길수 있고, 하이퍼차지가 있다면 더 쉽게 상대할 수 있다. 특수 공격이 없어도 3단계까지 왕귀를 끝냈다면, 에드거와 근접전을 펼쳐서 맞딜로 찍어누를수 있다.[96] 다만, 초반에는 팽의 특수 공격 + 2가젯 + 일반 공격 콤보에 당하지만 결국은 근접 브롤러이기에 토큰을 빨리 쌓기 쉬워서 매우 유리하다.[97] 정거장을 다 깔면 이리저리 돌진할 수 있지만 특정 구역 내에서만 이동할 수 있기에 정거장 밖에서 토큰을 모으면 되며 척의 일반 공격은 결점이 많아서 중거리 교전도 클랜시가 척을 압살한다.[98] 그림자 영역에 끌려와도 일반 공격 성능이 강력하고 3단계를 달성하면 이동 속도가 빨라져서 코델리우스가 이기는 게 매우 어려워진다. 2가젯 침묵 정도만 조심하자.[99] 탱커임에도 이동기가 전혀 없으며 더그가 부활을 하더라도 초근접에서 특수 공격을 과감하게 쏴버리면 된다. 2가젯 폭딜 콤보만 피하면 더그를 문자 그대로 산산조각 내버리는게 가능하다.[100] 사정거리는 멜로디가 더 길긴 하나 일반 공격 데미지가 낮고 주변에 돌아다니는 음표에 딜링을 의존해서 실질적으로 데미지를 넣으려면 접근을 해야 하는데 이러면 클랜시가 특수 공격을 박아 멜로디를 손쉽게 산산조각 내버린다. 하지만 초반에는 기동성이 좋은 멜로디가 유리한 편.[101] 다만, 니타의 곰은 조금 거슬린다. 탱킹력이 어마무시한 것은 물론, 인조 모피 가젯과 하이퍼차지로 곰의 스펙을 올릴 수 있으며 클랜시의 공격은 비관통형이라서 곰을 앞세워 공격하면 라인이 밀리게 된다. 그래도 니타의 특수 공격이 없는 초반이나 클랜시의 토큰 3단계 상태에서는 상대하기 쉽다.[102] 니타랑 비슷하게 사정거리에서 클랜시가 우위여서 최대 사정거리에서 상대하면 유리하다. 다만, 중거리에서는 대미지가 강해지기에 중거리 기습은 조심하자. 엠즈는 근접전에 약해서 기습을 해도 나쁘지 않지만 1가젯 넉백으로 대응할 수 있으니 조심.[103] 대미지가 너무 낮아서 딜교에서 클랜시가 훨씬 우위이다. 포코가 특수 공격이나 가젯으로 힐을 해도 클랜시의 특수 공격 폭딜은 버텨내기 힘들다.[104] 메카 모드의 체력이 크게 너프를 먹은 뒤로는 클랜시가 조금 유리해졌다. 사정거리는 클랜시가 조금 더 길어서 토큰을 쌓기 수월하며 특수 공격이 있을 경우에는 메카와 메그를 동시에 터트릴 수 있다. 토큰 3단계를 달성하면 클랜시가 매우 유리해진다. 다만, 데미지는 여전히 강하기에 애매한 거리에서 교전하면 메카 모드의 폭딜과 특수 공격에 털리니 거리조절에 신경쓰도록 하자.[105] 역대급으로 심하게 갈리는 상성 중 하나. 서지와 클랜시는 서로 변신하는 단계에 따라서 상성이 갈린다. 둘다 강화시 이동속도가 매우 빨라지게 되고 사거리도 길어진다. 다만 강화는 클랜시는 초기화가 되지 않아도 서지는 초기화가 되기에 클랜시가 우위라고 볼수는 있지만, 서지가 업그레이드 백업 스타파워를 착용할시 이속이 매우 빠름으로 시작 하기에 서지가 우위이다. 결론적으로 둘은 단계에 따라 서로 상성이 갈린다.[106] 과거엔 상성이 크게 유리했으나 불이 파격적인 리워크를 받은 지금은 편차가 갈린다. 또한, 2가젯 기습으로 스턴을 걸면 아무리 3단계라도 그 자리에서 죽으니 조심.[107] 원거리 특수 공격만 조심하자. 클랜시는 버즈의 특수 공격을 무효화 시킬 수단이 없어서 원거리에서 버즈의 튜브에 맞으면 스턴 시간이 길어져서 아무것도 못하다가 죽을 가능성이 높다. 물론, 버즈가 특수 공격이 없는 초반이나 토큰 3단계 상태에서는 쉽다.[108] 사정거리가 중거리로 탱커 중에서도 긴 편이고 초근접에서 딜을 넣는 브롤러가 아니라서 클랜시의 애매한 중원거리 대미지는 애쉬의 분노 게이지를 채워주는 수단이 된다. 분노 게이지가 채워지면 기동성이 올라가고 데미지가 강해지기에 거리조절을 하면서 강력한 중거리 전투력으로 대등하게 싸울 수 있는 것은 덤. 그리고 애쉬의 특수 공격은 쥐 5마리를 소환해서 클랜시의 공격을 막아 토큰 쌓는 것을 방해하기 쉬워 탱커 중에서 까다로운 편이다.[109] 프랭크, 애쉬와 비슷하게 탱커 중에서 사정거리가 길고 특수 공격의 스크린 보호막을 통해 클랜시의 페인트볼 공격을 전부 막아내고 반사시킬 수 있어 까다로운 축에 속한다. 순간화력도 강해서 2가젯에 끌려가는 것도 생각보다 많이 위험하며 체력도 낮아 최대 피해량에 3방컷 나는 것은 덤.[110] 처음에는 대미지도 낮고 체력도 애매해 미코에게 일방적으로 얻어맞기 쉽지만 토큰 단계가 높아질수록 클랜시가 유리해진다. 특히 특수 공격에 잘못 맞으면 미코는 그대로 삭제당하며, 3단계라면 평타만으로도 미코에게 치명타를 줄 수 있다. 다만 3단계라 해도 미코가 점프 타이밍을 잘 노리거나 클랜시의 탄환을 피하고 죽일 수 있으며 특수 공격으로 접근해서 선빵을 때린 뒤 1스파로 탄창 하나를 뺏어가면서 점프로 농락하고 죽일 수 있기 때문에 만만히 보면 안되는 상대다.[111] 이쪽은 에드거랑 비슷하게 사정거리가 짧아 토큰을 모으기 쉬우나 키트 입장에선 순순히 클랜시의 토큰을 채워줄리는 없고 키트는 주로 부쉬나 벽이 많은 맵에서 있기에 초반에 1가젯으로 은신 기습에 성공하면 키트의 평타3대 + 특수공격 콤보에 그대로 클랜시를 잡는다. 게다가 키트의 특수 공격은 체공기에 밀착 매커니즘에 스턴 기능도 있으며 클랜시의 특수공격을 회피함과 동시에 클랜시의 특수공격을 끊어버릴수 있어서 까다로운 편이다. 그래도 클랜시가 3단계라면 근접딜이 흉악해져서 키트가 선 특수 공격으로 기습하는 건 자살행위며 클랜시가 특수공격이 있다면 키트 입장에선 접근도 못한다. 그러나 이마저 키트가 하이퍼차지가 생길 경우 기습하면 클랜시가 3단계이고 특수공격이 있어도 스턴에 걸려 특수공격을 쓰지도 못하고 역으로 클랜시가 죽는다.[112] 근접 브롤러가 다른 브롤러와 마찬가지로 쉽게 녹일 수 있을 것 같으나 릴리 입장에선 클랜시의 토큰을 순순히 채우지 않을 것이고 릴리의 범위 내에 있으면 특수공격을 충전할 수 있으며 릴리가 특수공격으로 기습하면 오히려 체력이 낮은 클랜시가 위험해 지는데 클랜시의 체력이 6300이하일 경우 릴리의 1스파 특수 공격 + 일반 공격 2방 콤보에 맞으면 아니면 바로 즉사해버린다. 1단계 초반에는 데미지가 약하고 이속이 릴리보다 느려서 따라잡힐 위험이 있으며 특수공격이 없다면 기습에 취약한 편이라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그래도 3단계이고 클랜시가 특수공격이 있다면 근접 능력이 막강해지기에 확실이 녹여버릴 수 있지만 한번이라도 클랜시의 특수공격 일격이 빗나갈 경우 역관광 당할 가능성이 높고, 릴리가 하이퍼차지를 키고 특수공격을 맞추면 그림자 세계에서는 가젯과 특수공격을 쓰지도 못하기에 적중당하는 순간 그대로 죽는다. 개다가 릴리의 1가젯은 위험한 상황일때 피할 수 있고, 클랜시에게 접근하기도 용이하다.[113] 드라코가 가까이 붙거나 토큰이 1단계면 클랜시가 일방적으로 불리하지만 토큰이 3단계거나 특수 공격을 제대로 맞으면 상황이 바뀐다. 3단계는 웬만한 근접 브롤러들도 녹일 정도로 강한데다가 특히 클랜시의 특수 공격은 클랜시가 토큰이 1단계여도 드래곤에 탑승한 드라코가 깡딜로 녹아버린다. 즉,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드라코가, 특수한 상황에서는 클랜시가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114] 탱커임에도 사정거리가 길고 무엇보다 일반 공격이 벽을 넘어서 공격할 수 있어 까다롭다. 행크가 작정하고 벽 뒤에 숨어서 농성하면 클랜시는 뭘 해볼 수가 없다. 그래도 벽이 없거나 어떻게든 행크를 벽에서 끄집어내서 접근하면 클랜시가 유리하지만 행크가 가젯이나 특수 공격으로 버티면 꽤 난감해진다.[115] 중거리 탱커 중에서도 기동성이 좋은 편이며, 1가젯으로 점프해서 클랜시의 특수 공격을 피할 수 있어 쉽지 않다. 그래도 올리가 진입 각을 잘못 잰다면 그대로 특수 공격을 박아서 올리를 산산조각 낼 수 있다.[116] 적이 클랜시의 사거리와 가깝지만 약간 멀리 있을 때 키트가 적을 기절시키면 클랜시가 그 적을 처치하며 쉽게 토큰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피해량이 워낙 강력하기에 키트에게 기절한 적은 클랜시에 의해 무조건 죽게 된다. 클랜시가 상대하기 힘든 브롤러들도 키트가 잡아줄 수 있다.[117] 같은 근접 브롤러 중에는 에드거와 체력이 같다. 다만 에드거는 이동 속도도 매우 빠름이고 이동기로써 매우 뛰어난 특수 공격이 있으며 무엇보다 일반 공격에 붙은 흡혈 덕분에 실질 체력이나 안정성은 클랜시보다 위다.[118] 11레벨 기준 거스의 5200 보호막은 상당히 도움이 된다. 클랜시의 순간 체력을 짧게나마 11200까지 올려주는데, 이 수치는 무려 행크와 같은 수치다. 적 입장에서는 행크 수준의 체력으로 회당 최대 28800의 폭딜을 쏟아붓는 클랜시를 막을 방법이 마땅히 없다.[119] 11레벨 3탄창 기준 6840이라는 힐량은 클랜시뿐 아니라 대부분의 브롤러에게 매력적이며, 바이런은 클랜시보다 사거리가 길기 때문에 클랜시의 폭딜에서 애매하게 살아남은 적을 마무리해줄 수도 있다.[120] 2단계 이하에서는 느려터진 클랜시의 이동 속도를 대폭 끌어올려 원활한 토큰 획득을 도울 수 있고, 3단계에서는 그렇잖아도 빨라진 클랜시가 더욱 빨라져 말 그대로 날아다니면서 적진을 지워버리는 기행을 벌일 수 있다.[121] 서로가 서로에게 정말 많은 도움을 주는 조합으로 베리의 애매한 근접전 능력을 클랜시가 더더욱 향상시켜주고, 베리의 힐 능력이 체력이 낮은 클랜시에게 있어서 매우 큰 도움으로 다가오기에 둘의 시너지는 실로 엄청나다고 할 수 있다. 동시에 베리와 클랜시 둘 모두 서로 불리한 상성들도 커버쳐줄수 있는 브롤러들이기에 어떠한 상황에서도 둘을 조합하는 것은 매우 좋은 성능을 보여준다.[122] 심지어 집게사장 성우의 이름이 클랜시이다.[123] 허나 실제 스폰지밥 콜라보에서의 집게사장 스킨은 이 가져갔는데, 왜 싱크로울이 높은 클랜시를 배제하고 틱을 선택했는지에 대해 의문을 표하는 유저들이 꽤 있었다.[124] 기간 한정이면 애초에 하단에 기간 한정 표시가 뜨기 때문에 버그인 것은 거의 확실해보인다.이정도면 클랜시를 싫어하는거다[125] 근데 이건 잠수함 패치라기 보단 버그 수정에 가깝다.[126] 특수 공격의 피해량이 감소하면서 자체 충전량도 자연스레 줄었다. 보통 피해량이 증가하면 피해량이 증가함에 따라 특수공격 충전량이 늘어나고 감소하면 특수공격 충전량도 감소한다. 그래서 밸런스 패치에 피해량 관련 패치가 있다면 특수공격 충전 상수를 따로 조정한다. 특수공격 충전 상수는 1레벨 일반공격 피해량/특수공격 피해량과 일반/특수공격 충전 상수를 곱하고 400000을 나누는 것이 특수공격 충전량인데, 이는 하이퍼차지 충전량에도 영향을 준다. 클랜시는 따로 충전 상수를 조정을 못 받았기에 충전 상수와 피해량의 값이 감소함에 따라 특수공격 충전량이 감소하게 되었다. 대표적인 예로 프랭크가 최근에 일반공격 피해량이 만렙기준 2480에서 2320으로 감소했는데, 이로 하이퍼차지 완충에 필요한 일반/특수공격 명중 횟수가 7회에서 8회르 증가하였다.[127] 890>820[128] 공식 애니메이션에서도 클랜시가 가재가 아니라는 것이 들어나는데, 쌍안경으로 주위를 살피는 장면에서, 쌍안경을 눈이 아닌 목 주변에(?) 대고 보고 있다. 구도 때문이라고 생각할수도 있지만, 쌍안경으로 보고있는 눈과 클랜시의 겉으로 들어나는 눈의 모습이 다른걸로 보아 실제 정체는 따로있는 듯하다.파일:Screenshot_20241020_191254_Samsung Internet.jpg[129] 공식 애니메이션에서 인간 사진이 나오는데, 물감으로 얼굴이 가려져있다.파일:20250920_235924_1.png[130] 5vs5 녹아웃에서 업그레이드된 적이 나왔을때 나는 가젯소리와 비슷.[131] 정확히 말하면 클랜시의 승리 모션은 처음엔 1단계의 모습을 하고 있으나 도중에 3단계로 모습을 바꾼다. 클랜시의 핀 또한 happy, angry, special 핀을 제외하면 모두 1단계의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