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군대 (지역별 가나다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시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colbgcolor=#eee,#000>동아시아 | 대만 · 대한민국 · 몽골 · 북한 · 일본 (준군사조직) · 중국 | ||
동남아시아 | 동티모르 · 라오스 · 말레이시아 (조호르군) · 미얀마 · 베트남 · 브루나이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캄보디아 · 태국 · 필리핀 | |||
남아시아 | 네팔 · 몰디브 · 방글라데시 · 부탄 · 스리랑카 · 인도 · 파키스탄 | |||
서아시아 | 레바논 · 바레인 · 사우디아라비아 · 시리아 · 아랍에미리트 · 아프가니스탄 · 오만 · 요르단 · 예멘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카타르 · 쿠웨이트 | |||
중앙아시아 | 우즈베키스탄 · 카자흐스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유럽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colbgcolor=#eee,#000>서유럽 | 네덜란드 · 룩셈부르크 · 모나코 · 벨기에 · 영국 · 아일랜드 · 프랑스 | ||
남유럽 | 구호기사단 · 그리스 · 몬테네그로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스페인 · 알바니아 · 이탈리아 · 키프로스 · 크로아티아 · 튀르키예 · 포르투갈 | |||
중유럽 | 독일 · 오스트리아 · 스위스 ·슬로베니아 · 슬로바키아 · 체코 · 폴란드 · 헝가리 | |||
북유럽 | 노르웨이 · 덴마크 · 라트비아 · 리투아니아 · 스웨덴 · 아이슬란드 · 에스토니아 · 핀란드 | |||
동유럽 | 러시아 · 루마니아 · 몰도바 · 벨라루스 · 불가리아 · 세르비아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우크라이나 · 조지아 · 트란스니스트리아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메리카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colbgcolor=#eee,#000>북아메리카 | 멕시코 · 미국 · 캐나다 | ||
카리브 |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바베이도스 · 아이티 · 자메이카 · 쿠바 · 트리니다드 토바고 | |||
중앙아메리카 | 과테말라 · 니카라과 · 벨리즈 · 엘살바도르 | |||
남아메리카 | 가이아나 · 베네수엘라 · 볼리비아 · 브라질 · 수리남 · 아르헨티나 · 에콰도르 · 우루과이 · 칠레 · 콜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colbgcolor=#eee,#000>북아프리카 | 리비아 · 모로코 · 수단 · 알제리 · 이집트 · 튀니지 | ||
남아프리카 | 나미비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레소토 · 말라위 · 모리셔스 · 모잠비크 · 보츠와나 · 앙골라 · 에스와티니 · 잠비아 · 짐바브웨 | |||
서아프리카 | 가나 · 감비아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이지리아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말리 · 모리타니 · 베냉 · 부르키나파소 · 세네갈 · 시에라리온 · 적도 기니 · 카보베르데 · 코트디부아르 · 토고 | |||
동아프리카 | 남수단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부룬디 · 세이셸 · 소말리아 · 소말릴란드 · 에리트레아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지부티 · 코모로 · 케냐 · 탄자니아 | |||
중앙아프리카 | 가봉 · 상투메 프린시페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차드 · 카메룬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오세아니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colbgcolor=#eee,#000>오스트랄라시아 | 뉴질랜드 · 호주 | ||
멜라네시아 | 바누아투 · 솔로몬 제도 · 파푸아뉴기니 · 피지 | |||
미크로네시아 | 나우루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키리바시 · 팔라우 | |||
폴리네시아 | 사모아 · 통가 · 투발루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radial-gradient(circle, #ff0000 70%, transparent 70%), linear-gradient(to left, #ff0000 10%, #ffff00 10%, #ffff00 90%, #ffff00 90%, #ff0000 90%)"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0000><colbgcolor=#ffff00> 상징 | <colcolor=#000,#fff>국가 |
역사 | 역사 전반 · 소련(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2005년, 2010년 혁명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대통령 | |
외교 | 외교 전반 · 독립국가연합 · 상하이 협력기구 · 튀르크어권 국가 기구 · 유라시아 경제 연합 · 집단 안보 조약 기구 | |
경제 | 경제 전반 · 키르기스스탄 솜 | |
국방 | 키르기스스탄군 | |
문화 | 문화 전반 · 요리 · 관광 · 유르트 · 필라프 · 라그만 · 클 크야크 · ЕНТ · 키르기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 키르기스어 · 러시아어 | |
지리 | 텐산 산맥 · 잘랄아바트 · 오쉬 · 비슈케크 | |
교통 | 마나스 국제공항 | |
인물 | 쿠르만잔 닷카 · 알마즈베크 아탐바예프 · 사디르 자파로프 | |
사회 | 알라 카추 · 키르기스스탄 마피아 | |
민족 | 키르기스 · 재한 키르기스스탄인 | }}}}}}}}} |
<colbgcolor=#006600><colcolor=gold> 키르기스 공화국 국군 Кыргыз Республикасынын Куралдуу Күчтөрү Armed Forces of the Kyrgyz Republic | |||||
깃발 | 엠블럼 | ||||
창설일 | 1992년 5월 29일 | ||||
국가 | [[키르기스스탄| ]][[틀:국기| ]][[틀:국기| ]] | ||||
소속 | 키르기스스탄 국방부 | ||||
병역 제도 | Милдет, Намыс, Ата-Мекен 의무, 명예, 조국 | ||||
상비군 | 20,000명 (2022년) | ||||
예비군 | 300,000명 (2022년) | ||||
병역 제도 | 징병제 | ||||
총참모장 | 루슬란 무캄베토프 소장 | ||||
참전 | 타지키스탄 내전 바트켄 분쟁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21년 키르기스스탄-타지키스탄 국경 분쟁 2022년 카자흐스탄 시위 2022년 키르기스스탄-타지키스탄 국경분쟁 | ||||
육군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06600><colcolor=#FFD700> 2세대 전차 | <colbgcolor=#fff>215대 | |||
2세대 전차 | |||||
장갑차 (APCs/IFVs) | 525대 | ||||
견인포 | 175문 | ||||
자주포 | 54문 | ||||
박격포 | 54문 | ||||
방공포 | 52문 | ||||
다연장로켓 | 50문 | }}}}}}}}} | |||
공군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06600><colcolor=#FFD700> 수송기 | <colbgcolor=#fff>2기 | |||
훈련기겸 경공격기 | 96기 | ||||
헬리콥터 | 58기 | ||||
지대공 미사일 | 48문 | }}}}}}}}} | |||
국방비 총합 | 2억 4만달러(2019) | ||||
링크 |
[clearfix]
1. 개요
키르기스스탄의 군대이다.내륙국으로 해군은 없는데 영토 내에 여러 강과 이식쿨 호가 있지만 군함정을 1척도 보유하고 있지 않다. 구소련 구성국들이 다 그렇듯 이 나라도 소련군의 영향으로 내무부조리가 극심하다. 당장 유튜브에서도 키르기스스탄군 내에서 벌어지는 구타 영상들이 몇 개 있다. 중국과 국경분쟁을 일으키고 있으나 2010년 이후로 중국 측에 영토를 분할하는 것으로 입장을 내놨으나 갈등은 여전한 편이라고 한다.
소련의 영향이 남아있고 중국과는 갈등이 강하지만 중국의 영향력을 가장 강하게 받고 있는 나라 중 하나다. 더 큰 문제는 정보를 얻는 것이 좀 힘들며 키르기스어 위키백과에는 최근 기록이 대부분이 수년 전의 자료거나 아예 정보도 없거나 부족하여 현재 정확한 전력 파악이 힘들다. 키르기스어 위키백과랑 영어 위키백과의 차이가 심하다. 대부분이 키르기스어 자료에 맞추었다.
2. 역사
키르기즈 국군은 창설은 1992년 5월 29일 소련 붕괴로 키르기스 SSR 영토에 주둔중이던 소련군 중앙아시아 군관구와 투르키스탄 군관구의 소속의 장비와 병력으로 재창설되었다. 이때 아스카르 아카예프 대통령은 여기저기 주둔군과 명령체계를 다시 재편하거나 통합하는 형식으로 현재의 키르기즈 국군을 창설하게 된다. 이날이 5월 29일으로 키르기스스탄의 국군의 날이다. 1993년 소련 육군 제17군단의 본부는 키르기즈 국방부 건물로 사용되고 제8근위기계화소총사단을 기반으로 제1코이타쉬보병여단, 제2오시보병여단, 제3발릭친보병여단이 창설되었다. 2006년 공군과 방공군을 합병하여 키르기즈 공군이 창설되었으며, 같은해 복무기간을 18개월에서 12개월로 단축하였다. 2014년 2월 국군총참모부를 확대하여 군 전권을 가지게 되었고, 국방부는 국방위원회로 바꿔 행정적인 역할로 변경되었다. 하지만 많은 전직군/보안관리들은 이전체계로 바꾸는 것에 동의하였고, 이후 2021년 사디르 자파로프 대통령의 취임 이후 7년만에 국방부가 재창설되었다.3. 조직
3.1. 육군
키르기즈 공화국 육군 Кыргызстандын куралдуу күчтөру Kyrgyz Army | |
창설년도 | 2017년 1월 25일 |
국가 | 키르기스스탄 |
소속 | 키르기즈 공화국군 |
군종 | 육군 |
전력 | 23,000명 |
본부 |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 |
색상 | 빨간색, 노란색 |
- 북부군 군사령부
- 제8기계화 근위 소총 판필로프 사단 토크마크
- 제2기계화 근위 소총 프룬제 여단 코이타쉬
- 독립전차연대
- 스콜피온 제25특수여단 토크마크
- 포병여단
- 발릭친여단
- 전문대대, 포병대대, 기관총대대, 공병대대, 통신대대, 공병대대
- 남부군 군사령부
- 제68독립 산악 소총 사단 오시
- 독립 산악 소총 대대 '박켄'
- 제24독립 일비르스 특수목적 여단
- 대공연대
- 전문부대, 기관총포병대대, 기갑대대, 정찰대대
3.2. 공군
키르기즈 공화국 공군 Кыргыз Республикасы Аскер-аба күчтөрү Kyrgyz Air Force | |
공군 라운델 | |
창설년도 | 1992년 7월 27일 |
국가 | 키르기스스탄 |
소속 | 키르기즈 공화국군 |
군종 | 공군 |
전력 | |
본부 |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 |
색상 | 빨간색, 노란색 |
키르기즈 공군의 창설은 소련 붕괴 당시의 중앙아시아 군관구 장비를 기반으로 창설되었다. 공군의 발전의 부질한 점은 1990년 경제위기 때 공군 전력의 감축을 불러일으켰고 이때 수많은 항공기가 타국에 판매되었다. 공군 발전비용과 군사교리로 인해 키르기스스탄은 항공전력을 증강하지 못했고 이 때문에 지금까지 규모가 형편없는데, 러시아에게 MiG-21을 임대받아서 운용해왔으나 90년대에 이미 반환함으로서 현재는 중앙아시아에서 타지키스탄과 함께 전투기가 단 한 대도 없다. 2014년 러시아에서 Mi-8 2기를 기증받았고, 2017년 러시아에서 An-26과 지상장비를 기증받았다. 영토 내에는 아직 소련 시절에 건설된 공군기지가 많이 남아있지만 전투기가 없으니 부족하게 사용되거나 사용되지 않고 있는 기지가 대부분이다. 현재는 어느 정도 키우고 있으나 이마저도 주변 국가들에 비하면 많이 부족하다. 항공기로는 L-39, Mi-8, Mi-24, An-26만 보유하고 있으며, 방공무기는 SA-2, SA-3, S-75, S-125, 크루그 지대공미사일을 보유하고 있다. 이는 항공 전력이 취약한 개발도상국들이 으레 그렇듯 방공군에 더 투자를 하는 것으로 보인다. 2002년부터 2014년까지는 미국에게 마나스 공군기지를 사용하도록 허용하였다. 대부분의 편제 중 11방공여단만 오시에 주둔중이고 대부분이 비슈케크에 주둔중이다.
- 공군사령부
- 제 5근위 독립 대공미사일여단
- 제 11방공여단
- 제 44독립 통신공병대대
- 프룬제-1 공군기지
- 북부군 중앙사령부
상세한 정보는 이곳과 이곳에서 참고할 수 있다.
4. 역대 총참모장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6600, #006600 20%, #006600 80%, #0066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color: #fff; min-height: 31px" {{{#gol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펠릭스 쿨로프 | 에센 토포예프 | 쿠바니치바이 티날리예프 | 멜스 베크보예프 |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보리스 유가이 | 아비빌라 쿠다이베르비예프 | 타알라이베크 오무랄리예프 | 일야즈 수반쿨로프 |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아산베크 알리코조예프 | 자니베크 카파로프 | 라임베르디 두이셴비예프 | 타알리베크 오무랄리예프 | |
제13대 | 제14대 | |||
에를리스 테르디크바예프 | 루슬란 무캄베토프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