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9 14:44:22

테네신

주기율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9em"
<colbgcolor=#f5f5f5,#2d2f34>
주기
123456789101112131415161718
1H He
2Li Be B C N O F Ne
3Na Mg Al Si P S Cl Ar
4K Ca Sc Ti V Cr Mn Fe Co Ni Cu Zn Ga Ge As Se Br Kr
5Rb Sr Y Zr Nb Mo Tc Ru Rh Pd Ag Cd In Sn Sb Te I Xe
6Cs Ba (란)Hf Ta W Re Os Ir Pt Au Hg Tl Pb Bi Po At Rn
7Fr Ra (악)Rf Db Sg Bh Hs Mt Ds Rg Cn Nh Fl Mc Lv Ts Og
(란)La Ce Pr Nd Pm Sm Eu Gd Tb Dy Ho Er Tm Yb Lu
(악)Ac Th Pa U Np Pu Am Cm Bk Cf Es Fm Md No Lr
{{{#!wiki style="margin:-15px -10px; font-size:calc(10em/9); word-break: keep-all"범례
{{{#!wiki style="margin:-15px -10px"}}}
• 배경색: 위와 같은 원소 종류 분류
• 글자색: 표준 상태(298 K(25 °C), 1기압)에서의 원소 상태, ◆ 고체 · ◆ 액체 · ◆ 기체
밑줄: 자연계에 없는 인공 원소 혹은 극미량으로만 존재하는 원소로, 정확한 원자량을 측정하기 어려움
관련 문서: 틀:확장 주기율표}}}}}}}}}}}}


117Ts
테네신
 | 
Tennessine
분류 전이후 금속 상태 고체
원자량 294 밀도 7 g/cm3
녹는점 450 °C 끓는점 610 °C
용융열 // kJ/mol 증발열 // kJ/mol
원자가 // 이온화에너지 // kJ/mol
전기음성도 // 전자친화도 // kJ/mol
발견 미국 오크리지 화학연구소// (2010?)
CAS 등록번호 87658-56-8
이전 원소 리버모륨(Lv) 다음 원소 오가네손(Og)


1. 개요2. 상세

1. 개요

파일:ununseptium.jpg
테네신-297의 붕괴 사슬 그림

Tennessine (Ts)
원자 번호 117번.

이름은 오크리지 국립 연구소밴더빌트 대학교가 있는 미국 테네시 주에서 유래되었다. 이름이 제안되기 전까지는 우눈셉튬이라고 불렀다.

2. 상세

2010년 미국 오크리지 연구소와 러시아 합동원자핵연구소 연구진이 버클륨-249에 칼슘-48을 충돌시켜 테네신-293, 294 원자를 발견했다. 2014년에는 독일에서도 원자 여러 개를 만들어내는 데 성공했다. 그리고 2015년 12월, IUPAC 확정되었다. 다른 할로젠 원소들과는 다른 성질을 지닐 것으로 추측되나, 다른 할로젠 원소들처럼 ~ine 접미사를 붙여 테네슘(Tenessium)이 아닌 테네신(Tennessine)으로 명명되었다. IUPAC에서 16년 11월 30일에 확정 고시했다. IUPAC에서 제공하는 주기율표 또한 11월 28일자로 업데이트 되었다.

이 원소는 할로젠 원소에 속해 있기 때문에 이원자 비금속으로 추측될 수 있으나, 준금속 라인에 속한 아스타틴 아래에 있으며, 무거운 원소일수록 금속성이 강해지는 점을 감안하면 준금속 또는 전이후 금속일 가능성이 크다. 과학자들은 전이후 금속으로 예상하는 것으로 보인다.

원자량 294의 테네신이 가장 안정하고, 원자 번호가 조금 작은 다른 원소에 비해서 반감기가 길어졌다. 반감기가 더 긴 동위 원소가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안정성의 섬 이론에 따라 8주기 원소에서 반감기가 상당히 긴 원소가 있을 것이며 거기까지 갈 때는 반감기가 원자 번호에 따라 길어질 것으로 과학자들은 추측하고 있는데 이게 사실로 추정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화학적으로는 테네신화 수소(HTs), 사테네신화 오가네손(OgTs4) 등의 화합물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