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6 14:12:50

토마스 파노니

파노니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71d49><tablebgcolor=#071d49> 파일:내슈빌 사운즈 엠블럼.svg밀워키 브루어스 산하 AAA팀
내슈빌 사운즈 로스터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000
<colcolor=#ffffff> 투수 <colbgcolor=#ffffff,#191919><colcolor=#c8102e> 28 카스타네다 · 29 개서 · 40 허브 · 50 블랙 · 52 하디 · 80 마이어스 · 85 라자르 · # 예거 · # 맥켄드리 · # 맥기 · # 가르시아 · # 파노니 · # 짐머맨
포수 11 나바레토 · # 하스
내야수 1 모나스테리오 · 3 데반니 · 12 도리안 · 94 콜린스 · # 에르난데스 · # 아로요
외야수 8 프레릭 · 21 추리오 · # 올리바
''' 파일:미국 국기.svg 릭 스위트''' 파일:미국 국기.svg 제레미 아카르도 파일:미국 국기.svg 알 르버프 파일:미국 국기.svg 패트릭 맥거프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리우 로드리게스 · 파일:미국 국기.svg 네드 요스트 4세
파일:밀워키 브루어스 엠블럼.svg 밀워키 브루어스 40인 로스터 보기
}}}}}}}}}}}}}}} ||
토마스 파노니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토론토 블루제이스 등번호 45번
크리스 롤리
(2017)
<colcolor=#ffffff> 토마스 파노니
(2018~2019)
미치 화이트
(2022~2024)
KIA 타이거즈 등번호 45번
로니
(2022~2022. 6. 27.)
<colbgcolor=#06141f> 파노니
(2022. 7. 4.~2022)
메디나
(2023~2023. 7. 3.)
밀워키 브루어스 등번호 45번
루크 보이트
(2023)
토마스 파노니
(2023)
에이브너 우리베
(2023~)
KIA 타이거즈 등번호 45번
메디나
(2023~2023. 7. 3.)
파노니
(2023. 7. 11.~2023)
김민주
(2024~)
}}} ||
파일:토마스 파노니 2023 정면 프로필.jpg
<colbgcolor=#071d49><colcolor=#FFFFFF> 내슈빌 사운즈 No.
토마스 파노니
Thomas Pannone
본명 토머스 에드워드 파노니 주니어
Thomas Edward Pannone Jr
출생 1994년 4월 28일 ([age(1994-04-28)]세)
로드아일랜드 주 크랜스턴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학력 비숍 핸드리켄 고등학교 - 서던 네바다 칼리지
신체 185cm, 92kg
포지션 선발 투수
투타 좌투좌타
프로 입단 2012년 드래프트 33라운드 (전체 1004번, CHC)
2013년 드래프트 9라운드 (전체 261번, CLE)
소속팀 토론토 블루제이스 (2018~2019)
KIA 타이거즈 (2022)
밀워키 브루어스 (2023)
KIA 타이거즈 (2023)
계약 1yr / MiLB
연봉 2024 / MiLB
등장곡 Lil Durk - 〈All My Life(feat. J.cole)〉
기록 무결점 이닝 (2019. 4. 14.[1])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피칭 스타일4. 사건사고5. 여담6. 관련 문서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밀워키 브루어스 산하 AAA 내슈빌 사운즈 소속 좌완 투수.

파노니(Pannone) 이름의 발음 기호는 /pɑːˈnoʊn/ pah-NOHN;. 처음 한국에는 토마스 패넌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졌으나, 이탈리아계 미국인이기 때문에 이탈리아식 발음#인 파노니가 등록명으로 사용되었다. 이 외에도 파파고에서도 Pannone라고 입력하면 파노니라고 발음한다. 메이저리그 중계진은 영어식으로 패넌이라고 발음한다.#

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토마스 파노니/선수 경력
파일:MLB 로고.svg
2018년 2019년 2023년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22년 2023년

3. 피칭 스타일

패스트볼 평균 구속은 142㎞/h로 빠르지는 않지만, 제구가 좋고 커터와 커브를 잘 던지는 유형의 투수이다. 구속이 느리지만 커터의 무브먼트가 나쁜 편이 아니라 구위가 단점으로 지적되지는 않으며 탈삼진도 곧잘 잡아낸다. 인버티드-W 투구폼을 가지고 있는 투수이기 때문에 부상의 위험이 적지 않다.

한편 마이너 시절부터 피홈런이 많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KBO에서의 적응기를 거친 이후 제구와 변화구의 위력이 나날히 좋아지며 탈피에 성공한다.

이후 반년간의 짧은 미국 생활동안 커터를 포커스에 두고 부단히 연습하고 투구폼을 약간 수정하며 마이너리그에서 좋은 성적을 남겼고, 잠깐이지만 빅리그에도 콜업되기도 했다.

4. 사건사고

4.1. 금지약물 복용

토론토 산하 AAA에서 뛰던 2018년 3월 아나볼릭 스테로이드[2] 양성 반응으로 80경기 출전 정지 징계를 받은 이력이 있다.

파노니는 자신이 투약한 것은 무고하다면서 거짓말 탐지기까지 동원하며 결백하다고 주장했고 전 FBI 요원이 실시한 3시간 동안의 거짓말 탐지기 테스트에서 가장 높은 점수로 합격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징계를 뒤집을만한 근거를 찾지 못하면서 그대로 확정된 바 있다.관련기사 이런 파노니의 주장들은 약물투약을 한 선수들의 전형적인 변명이라 곧이 받아들이기는 어렵다.

다만 파노니가 복용한 DHCMT란 약물은 일반적인 스테로이드들과 다르게 현지에서도 논란이 많은 약물이다. 의학 전문가들은 DHCMT가 100pg/ml 이하면 경기력 향상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한다. 또한 이 물질은 날짜 별로 양성, 음성이 달라지는 경우도 있다. 약물 검사가 까다롭기로 유명한 UFC에서는 DHCMT가 100pg/ml 이하로 적발되면 단순 이상 수치로 판단한다. 하지만 MLB에선 미량만 검출되어도 양성으로 취급한다. 휴스턴 애스트로스의 투수 켄트 임마누엘은 고작 7pg/ml라는 수치로 80경기 정지를 받았고 이 사건으로 인해 MLB 위원인 롭 맨프레드가 기자들과 야구팬들에게 비판을 받기도 했다. DHCMT의 대사물질은 스테로이드를 복용해야 생성이 되지만 시중에 판매되는 일부 보충제에서 DHCMT 양성반응이 유발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실제로 그 보충제를 복용하고 도핑에 걸린 마이너리거가 있었다. 이에 선수협은 UFC와 동일한 규정 개정을 제기했지만 여전히 변경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라고 한다.

5. 여담

  • 2022년 6월 28일 자신의 SNS에 KIA 타이거즈 행을 알렸고# 얼마 지나지 않아 계약 확정 기사가 났다.
  • 소크라테스 브리토와는 2019년 토론토에서 한솥밥을 먹은 적 있다. 또한 동갑내기 kt 앤서니 알포드와는 토론토 시절 팀메이트였고 그를 데뷔전에서 상대해 라이징패스트볼로 삼진으로 잡아냈지만 우천 노게임으로 없던 일이 되었다.
  • 글렌 스파크맨과 공통점이 있었다. 둘 다 초반에 패스트볼을 고집했으며 이 때 성적이 애매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둘의 결과는 전혀 달랐는데 파노니는 박동원의 조언을 받아들여서 커브의 구사 비율을 높여 성적이 좋아졌는데 글렌 스파크맨은 코치의 조언을 듣고 커브와 체인지업을 조금이나마 던져 성적이 잠깐 개선되었다가 피칭 패턴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며 다시 패스트볼을 고집해 성적이 하락하면서 결국 방출당했다.
  • 2023년에 컴백한 뒤부터 수염을 밀었다.
  • 승운이 없었다. 파노니가 마운드에 있을 때 득점지원이 매우 적으며, 불펜 투수들이 방화를 저지르거나 파노니가 내려간 이후에야 타선이 터져서 파노니가 승리투수가 되지 못한 적이 많았다. 다만 2023 시즌 후반기에는 오히려 승운이 좋아졌다.
  • 최근 부진으로 인해 매우 수척해졌다.
  • 좌투좌타이나 필기와 젓가락질을 오른손으로 한다.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ea0029>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KIA 타이거즈
역대 외국인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fff>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숀헤어 파일:미국 국기.svg 브릭스 파일:미국 국기.svg
샌더스 파일:미국 국기.svg
피어슨(1) 파일:미국 국기.svg
배스(3)(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미첼(3) 파일:미국 국기.svg
말레브(1)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포조(3)(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타바레스(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산토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타바레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젠슨(3)(2) 파일:미국 국기.svg
리치(3) 파일:미국 국기.svg
루이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레스(3) 파일:미국 국기.svg
리오스 파일:미국 국기.svg
키퍼파일:미국 국기.svg
뉴선(2) 파일:미국 국기.svg
펨버튼(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리오스 파일:미국 국기.svg
키퍼(2) 파일:미국 국기.svg
존슨(3) 파일:캐나다 국기.svg
리오스 파일:미국 국기.svg
마뇽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리오스(2) 파일:미국 국기.svg
그레이싱어(3) 파일:미국 국기.svg
존슨(2) 파일:미국 국기.svg
블랭크(3) 파일:미국 국기.svg
그레이싱어 파일:미국 국기.svg
서브넥(2) 파일:미국 국기.svg
스캇(3) 파일:미국 국기.svg
서튼(2) 파일:미국 국기.svg
스코비(3) 파일:미국 국기.svg
에터톤(2) 파일:미국 국기.svg
로드리게스(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리마(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데이비스(3) 파일:미국 국기.svg
발데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디아즈(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페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구톰슨 파일:미국 국기.svg
로페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드리게스(1)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라이트(3)(2) 파일:미국 국기.svg
콜론(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페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트레비스 파일:호주 국기.svg
알렉스(1) 파일:미국 국기.svg
라미레즈(3)(2) 파일:미국 국기.svg
소사(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앤서니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소사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앤서니(2) 파일:미국 국기.svg
빌로우(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어센시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홀튼(2) 파일:미국 국기.svg
토마스(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험버(2) 파일:미국 국기.svg
에반(3) 파일:미국 국기.svg
스틴슨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헥터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지크 파일:미국 국기.svg
버나디나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헥터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팻딘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버나디나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헥터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팻딘 파일:미국 국기.svg
해즐베이커(2) 파일:미국 국기.svg
터커(3) 파일:미국 국기.svg
터너 파일:미국 국기.svg
윌랜드 파일:미국 국기.svg
브룩스 파일:미국 국기.svg
가뇽 파일:미국 국기.svg
터커 파일:미국 국기.svg
브룩스(2) 파일:미국 국기.svg
다카하시(3) 파일:브라질 국기.svg
멩덴 파일:미국 국기.svg
터커 파일:미국 국기.svg
로니(2) 파일:미국 국기.svg
파노니(3) 파일:미국 국기.svg
놀린 파일:미국 국기.svg
소크라테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앤더슨(2) 파일:미국 국기.svg
파노니(3) 파일:미국 국기.svg
메디나(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산체스(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소크라테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크로우(2) 파일:미국 국기.svg
알드레드(4) 파일:미국 국기.svg
라우어(3) 파일:미국 국기.svg
네일 파일:미국 국기.svg
스타우트(4) 파일:미국 국기.svg
소크라테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네일 파일:미국 국기.svg
올러 파일:미국 국기.svg
위즈덤 파일:미국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계약 취소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4) 일시 대체 영입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했다.
}}}}}}}}} ||

[1] 아비사일 가르시아, 브랜든 라우, 대니얼 로버트슨[2] dehydrochloromethyltestosterone. 금지목록 국제 표준 기준 S1에 해당된다.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한 부류로,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과 관계가 있으며 세포 조직, 특히 근육의 성장과 발달을 가져오는 약물이다. 1970/80년대에 유행했던 레트로 스테로이드로 알려져 있다.